KR19980054334U -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바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바 고정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80054334U KR19980054334U KR2019960067526U KR19960067526U KR19980054334U KR 19980054334 U KR19980054334 U KR 19980054334U KR 2019960067526 U KR2019960067526 U KR 2019960067526U KR 19960067526 U KR19960067526 U KR 19960067526U KR 19980054334 U KR19980054334 U KR 19980054334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bilizer bar
- bracket
- fixing
- automobile
- vehicl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60G2204/4307—Bracket or knuckle for torsional spr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5—Stops limiting travel
Abstract
본 고안은 트럭 등과 같은 프레임 장착 차량에서 사용되는 차축 현가 장치의 스테빌라이저 바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스테빌라이저 바의 조립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바 고정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스테빌라이저 바(56)와 브라켓(58)의 사이에 위치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제한 수단으로 구성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고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트럭 등과 같은 프레임 장착 차량에서 사용되는 차축 현가 장치의 스테빌라이저 바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바디와 새시가 타이어에 지지된 상태로 주행하는 장치인 바, 상기한 타이어와 바디의 사이에는 노면으로부터의 충격 등을 흡수하여 탑승자에게 전달하지 않도록 서스펜션이 설치되어 있게 된다.
즉, 상기한 서스펜션은 노면의 굴곡으로부터 충격이 바디에 전달될 때 이를 감소 또는 흡수하여 승객이 과다하게 흔들려 승차감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트럭 등과 같이 자체 중량이 클 뿐만 아니라 고중량의 화물을 싣는 프레임 장착 차량에서는 각 차륜이 독립된 승용차와 상이하게 일체식인 차축 현가 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50)과, 상기한 프레임(50)의 차축(51) 설치 위치에 스프링 브라켓(52)으로 양단이 고정됨과 아울러 차축(51)이 U볼트(53)로 고정된 리프 스프링(54)과, 상기한 차축(51)과 프레임(50) 사이에 설치된 공기 스프링(55) 및 양측의 리프 스프링(54)을 연결한 스테빌라이저 바(5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스테빌라이저 바(56)는 차량의 롤링 방지를 위해 설치되어 있는 바, 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빌라이저 바(56)가 관통함과 아울러 브라켓(57)에 내재된 부시(58)와, 상기한 브라켓(57)의 상면에 부착됨과 아울러 바디에 고정된 로드(59)와, 상기한 스테빌라이저 바(56)의 고정됨과 아울러 부시(58)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설치된 리테이너(60)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리테이너(60)가 부시(58)와 브라켓(57)의 위치를 고정시킴으로써 스테빌라이저 바(56)의 롤링 억제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스테빌라이저 바의 중간 부분을 고정하기 위해 리테이너로 부시와 브라켓의 위치를 제한하는 것은 부품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 조립 작업이 복잡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테빌라이저 바의 조립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바 고정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스테빌라이저 바와 브라켓의 사이에 위치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제한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바 고정 구조를 도시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일반적인 프레임 장착 차량에서 차축 현가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스테빌라이저 바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제한홈2:고정공
3:끼움공4:로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고정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스테빌라이저 바(56)와 브라켓(58)의 사이에 위치를 제한하도록 제한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제한 수단은 스테빌라이저 바(56)의 일정 위치에 형성된 제한홈(1)과, 상기한 제한홈(1)에 끼워지도록 브라켓(58)에 형성된 고정공(2)으로 부시(57)의 위치가 제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브라켓(58)에 부시(57)를 내재한 상태로 상기한 고정공(2)이 제한홈(1)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리테이너(60)를 사용하지 않고도 스테빌라이저 바(56)의 롤링 억제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제한 수단의 다른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빌라이저 바(56)에 형성된 끼움공(3)과, 상기한 끼움공(3)에 삽입되도록 브라켓(58)을 관통한 로드(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작업자가 부시(57)를 내재한 상태에서 브라켓(58)을 스테빌라이저 바(56)에 끼우게 된다.
스테빌라이저 바(56)에 브라켓(58)을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한 스테빌라이저 바(56)의 제한홈(1)에 고정공(2)이 결합되어 고정된다.
물론,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스테빌라이저 바(56)에 부시(57)와 브라켓(58)을 삽입시킨 후 상기한 로드(4)를 끼움공(3)에 끼워 고정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브라켓(58)을 고정시키게 되면 차량 주행중 상기한 스테빌라이저 바(56)가 비틀려도 상기한 제한홈(1)과 끼움공(3)에 의해 브라켓(58)과 부시(57)가 이동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브라켓과 부시를 제한홈과 끼움공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스테빌라이저 바의 고정 부품을 감소시킴과 아울러 조립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3)
- 스테빌라이저 바와 브라켓의 사이에 위치를 제한하도록 구성된 제한 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고정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제한 수단은 스테빌라이저 바의 일정 위치에 형성된 제한홈과, 상기한 제한홈에 끼워지도록 브라켓에 형성된 고정공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고정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제한 수단은 스테빌라이저 바에 형성된 끼움공과, 상기한 끼움공에 삽입되도록 브라켓을 관통한 로드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 고정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67526U KR19980054334U (ko) | 1996-12-31 | 1996-12-31 |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바 고정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60067526U KR19980054334U (ko) | 1996-12-31 | 1996-12-31 |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바 고정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80054334U true KR19980054334U (ko) | 1998-10-07 |
Family
ID=54005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60067526U KR19980054334U (ko) | 1996-12-31 | 1996-12-31 |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바 고정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9980054334U (ko) |
-
1996
- 1996-12-31 KR KR2019960067526U patent/KR19980054334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9980054334U (ko) |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바 고정 구조 | |
KR19980061196A (ko) |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바 고정 구조 | |
KR200153472Y1 (ko) | 자동차의 스테이빌라이저 바와 쇽 어브소버 장착구조 | |
KR100369145B1 (ko) | 차량의 비구동용 서스펜션 시스템 | |
KR100667429B1 (ko) | 자동차용 스트럿바 | |
KR200253064Y1 (ko) | 자동차현가장치의롤링보상장치 | |
KR0125067Y1 (ko) | 자동차용 전륜 현가장치의 하중분리구조 | |
KR19980017187U (ko) | 자동차용 댐퍼분리형 서스펜션의 로어 스프링시트 | |
KR19980032757U (ko) |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바 고정 구조 | |
KR200270375Y1 (ko) | 자동차용 현가장치 | |
KR0139695Y1 (ko) | 상부 컨트롤 아암의 리바운드 범퍼 | |
KR100192403B1 (ko) | 승용차의 맥퍼슨형 서스펜션용 프론트로어아암의 설치구조 | |
KR19980045482A (ko) | 자동차 현가장치의 완충기 | |
KR19980054333U (ko) |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바 고정 구조 | |
KR19980032782U (ko) | 차축 현가 장치 차량의 쇽 업소버지지 구조 | |
KR100192331B1 (ko) | 화물트럭용 2축식 현가장치 | |
KR980007139U (ko) | 자동차의 현가 장치 | |
KR19990028511U (ko) | 자동차의 서스펜션 링크 취부용 브라케트 | |
KR19980029742U (ko) | 컨트롤 아암을 마운팅하기 위한 고정 브라켓 | |
KR19980054330U (ko) | 차축 현가 장치의 리프 스프링 고정 구조 | |
KR19980054331U (ko) | 차축 현가 장치 | |
KR19990018587A (ko) | 자동차의 댐핑 부시 | |
KR19980068340U (ko) | 자동차 현가장치의 쇽 업소버와 코일 스프링 일체구조 | |
KR19980052266U (ko) | 자동차 스태빌라이저의 가변구조 | |
KR20000014438U (ko) | 차량용 현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