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2247A - 차량용 판 스프링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판 스프링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2247A
KR20090062247A KR1020070129382A KR20070129382A KR20090062247A KR 20090062247 A KR20090062247 A KR 20090062247A KR 1020070129382 A KR1020070129382 A KR 1020070129382A KR 20070129382 A KR20070129382 A KR 20070129382A KR 20090062247 A KR20090062247 A KR 20090062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f spring
vehicle
spring assembly
braking
inter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호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9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2247A/ko
Publication of KR20090062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2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22Braking, stop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F16F1/182Leaf springs with inter-engaging portions between leaves or between leaves and mountings, e.g. ridges, notches, ripples

Abstract

본 발명은 판 스프링이 설치된 상용 차량이 제동을 실시할 때 와인드 업 현상에 의한 휠 센터와 드래그 링크의 궤적 변화를 최소화하여 상기한 상용 차량의 쏠림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상용차량의 판 스프링 조립체의 최상단에 설치되며 고정 브라켓의 연결핀에 권취 형성되는 취부부를 포함하는 상부 판 스프링이 구비되되,
상기한 취부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가상의 수평선과 수직선을 그었을 때 발생되는 교차점을 기준으로 상기한 상부 판 스프링의 상면과 교차점이 동일 선상을 유지하여 와이드 업 현상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판 스프링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판 스프링, 와인드 업, 취부부

Description

차량용 판 스프링 조립체{Leaf Spring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상용 차량에 구비된 판 스프링에 발생되는 와인드 업 현상에 의한 차량 쏠림을 개선하기 위한 차량용 판 스프링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중에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차체와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만드는 장치로서 노면으로부터 충격을 완화시키는 섀시 스프링과, 섀시 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제어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쇽 업소버 및 차량의 롤링을 방지하는 스태빌라이저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섀시스프링은 차체와 바퀴사이에 설치되어 자동차가 주행할 때에 노면에서 받는 충격과 바퀴의 진동을 흡수하여 차체에 전달하지 않기 위해 장착되는 것으로서, 금속제의 리프스프링(leaf spring)이나 코일 스프링 혹은 토오션 바아 스프링이 사용되고, 이외에도 고무 스프링이나 공기 스프링 등도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스프링은 스프링 판을 활모양으로 약간 굽히고 여러 장을 겹쳐서 만든 것으로서, 스프링 자체의 강성에 의해 차축을 정위치에 지지할 수 있으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판간의 마찰로 인해 진동을 억제하는 제어작용을 하며, 내구성이 큰 잇점이 있어 화물 차량 또는 다량의 하중이 부과되는 상용차량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첨부된 도 1은 종래의 판 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상용 차량이 도로를 따라 주행하면서 급제동을 실시할 경우에 전륜으로 하중 이동이 이루어지면서 판 스프링(2)의 스프링 아이부(2a)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판 스프링의 와인드 업(wind up) 현상이 발생 된다.
상기한 와인드 업 현상은 차량 제동시 판 스프링의 양단 구속에 의한 과도한 토크 발생으로 인해 판 스프링 자체가 회전이 발생되는 현상을 말한다.
상기한 와인드 업 현상이 발생 되면 전륜 액슬과 드래그 링크(1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그때 너클암(20)이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되어 타이어 방향이 미세하게 좌측 방향으로 쏠리게 된다.
첨부된 도 1의 점선은 와인드 업 현상에 의해 드래그 링크의 궤적을 나타낸 것이고, 실선은 휠의 궤적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래그 링크의 궤적과 휠 궤적 상호간의 궤적 차이에 의해 차량의 쏠림이 발생 되어 상용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 및 탑승객에게 상해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을 필요로 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용 차량에 구비된 판 스프링에 발생되는 와인드 업 현상에 의한 차량 쏠림을 개선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조정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차량용 판 스프링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판 스프링 조립체는 상용차량의 판 스프링 조립체의 최상단에 설치되며 고정 브라켓의 연결핀에 권취 형성된 취부부를 포함하는 상부 판 스프링이 구비되되,
상기한 취부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가상의 수평선과 수직선을 그었을 때 발생되는 교차점을 기준으로 상기한 상부 판 스프링의 상면과 교차점이 동일 선상을 유지하여 차량 제동시 일측 방향으로의 쏠림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 판 스프링은 차량 제동에 따른 궤적 변화력이 취부부의 교차점을 향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취부부는 교차점을 중심으로 시작점이 1사분면에서부터 시작하여 4사분면 까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판 스프링 조립체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판 스프링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판 스프링 조립체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판 스프링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에서 와이드 업 발생에 따른 변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용차량의 판 스프링 조립체(1)의 최상단에 설치되며 고정 브라켓의 연결핀에 권취 형성된 취부부(110)를 포함하는 상부 판 스프링(100)이 구비되되,
상기한 취부부(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가상의 수평선과 수직선을 그었을 때 발생되는 교차점을 기준으로 상기한 상부 판 스프링(100)의 상면과 교차점이 동일 선상을 유지하여 차량 제동시 일측 방향으로의 쏠림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 판 스프링(100)은 차량 제동에 따른 궤적 변화력이 취부부의 교차점을 향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취부부(110)는 교차점을 중심으로 시작점이 1사분면에서부터 시작하여 4사분면 까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판 스프링 조립체(1)는 상부 판 스프링(100)의 하측에 다수개의 판 스프링이 적층되어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판 스프링 조립체(1)는 상용 차량의 전륜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판 스프링 조립체의 작동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판 스프링 조립체(1)가 상 용 차량의 프레임에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 주행이 이루어지다가 전방에서 급정차하는 선행 차량을 운전자가 발견하고 급제동을 실시하게 되면 취부부(110)의 교차점을 향해 화살표 방향으로 궤적 변화력이 작용하여 취부부(110) 내측에 설치된 러버의 변형 이외에는 상기한 판 스프링 조립체(1)의 궤적 변화에 별다른 영향을 주는 요소가 없어 와인드 업에 의한 리프 스프링 조립체(1)의 과도한 변형이 최소화 되고 휠 궤적 변화량이 최소화 되어 상용 차량의 쏠림 현상이 개선된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X축은 휠 스트로크 변위를 도시한 것이고, Y축은
실선으로 도시된 궤적은 드래그 링크의 이동 궤적을 도시한 것이고, 점선으로 도시된 것은 휠 센터의 궤적을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판 스프링 조립체를 실차에 적용하여 실험을 실시하게 되면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에서 드래그 링크의 이동 궤적과 휠 센터의 궤적이 근소한 차이로 근접하여 궤적 변화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에 의한 상부 판 스프링(100)이 구비된 판 스프링 조립체(1)에 의해 차량 제동시 판 스프링 조립체(1)의 하중 변위를 감소시켜 드래그 링크의 이동 궤적과 휠 센터의 궤적이 상호간에 최소화 됨으로써 토우 변화가 축소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판 스프링 조립체는 상용 차량의 급제동에 따른 차량 쏠림을 방지하여 사고의 위험성을 예방하여 운전자 및 탑승객의 상해 예방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용 차량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감 증가와 함께 불필요한 클레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판 스프링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판 스프링 조립체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판 스프링 조립체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판 스프링 조립체가 설치된 상태에서 와이드 업 발생에 따른 변위를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판 스프링 조립체 100 : 상부 판 스프링
110 : 취부부

Claims (2)

  1. 상용차량의 판 스프링 조립체의 최상단에 설치되며 고정 브라켓의 연결핀에 권취 형성된 취부부를 포함하는 상부 판 스프링이 구비되되,
    상기한 취부부의 중심을 기준으로 가상의 수평선과 수직선을 그었을 때 발생되는 교차점을 기준으로 상기한 상부 판 스프링의 상면과 교차점이 동일 선상을 유지하여 차량 제동시 일측 방향으로의 쏠림을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판 스프링 조립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판 스프링은 차량 제동에 따른 궤적 변화력이 취부부의 교차점을 향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판 스프링 조립체.
KR1020070129382A 2007-12-12 2007-12-12 차량용 판 스프링 조립체 KR20090062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382A KR20090062247A (ko) 2007-12-12 2007-12-12 차량용 판 스프링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9382A KR20090062247A (ko) 2007-12-12 2007-12-12 차량용 판 스프링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2247A true KR20090062247A (ko) 2009-06-17

Family

ID=40991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382A KR20090062247A (ko) 2007-12-12 2007-12-12 차량용 판 스프링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224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7247B2 (en) Wheel suspension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6676160B2 (en) Rear frame rail that incorporates leaf spring clearance zone
CN202294136U (zh) 汽车的非独立悬架系统和汽车
KR100882667B1 (ko) 승차감과 롤 거동 안정성 향상 타입 차량 현가 장치
US7147236B2 (en) Suspension
CN106627016B (zh) 一种汽车纵横臂独立悬挂
KR20010046884A (ko) 스태빌라이저의 취부구조
KR20090062247A (ko) 차량용 판 스프링 조립체
KR100828762B1 (ko) 전방 2축 차량의 판스프링 현가장치
US11548336B1 (en) Suspension system having rebound control for a vehicle
KR20100084793A (ko) 차량용 후방 현가장치
KR100883251B1 (ko) 상용차량의 리프스프링 조립체
CN105216884A (zh) 一种滑块导向型驾驶室后悬置装置
EP4261056A1 (en) A leaf spring arrangement for use in a vehicle suspension
KR100527720B1 (ko) 버스용 후륜 현가장치
KR100916795B1 (ko) 차량용 서스펜션의 스테빌라이저 바
KR100501385B1 (ko) 화물 차량 캡의 피칭모션억제장치
KR20080008150A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리프 스프링 장착구조
JP4047145B2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構造
KR101125301B1 (ko) 스트럿 가변 인슐레이터
CN205588908U (zh) 一种可万向调节减震铝制整体汽车摆臂
KR100452200B1 (ko) 상용차의 현가장치
KR101620961B1 (ko) 스트럿의 휨 방지장치
JP2024046588A (ja) トレーリングアーム用緩衝器
KR200155765Y1 (ko) 뒤 현가장치의 어퍼 아암 차체장착브라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