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8231U - 시트 댐핑 시스템 - Google Patents

시트 댐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8231U
KR19980028231U KR2019960041229U KR19960041229U KR19980028231U KR 19980028231 U KR19980028231 U KR 19980028231U KR 2019960041229 U KR2019960041229 U KR 2019960041229U KR 19960041229 U KR19960041229 U KR 19960041229U KR 19980028231 U KR19980028231 U KR 199800282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damping
vehicle
vehicle speed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12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원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412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8231U/ko
Publication of KR199800282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231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2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fluid means
    • B60N2/527Seat suspension devices using fluid means using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0Seat suspension devices
    • B60N2/502Seat suspension devices attached to the base of the seat

Abstract

본 고안은 운전석 시트의 하단에 구비되는 충격 흡수 장치에 유압 댐퍼를 장착하여 차속과 차고 변화에 따른 충격 흡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시트 댐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시트 댐핑 시스템은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18)와, 차고를 감지하는 현가 장치(19)와, 상기 차속 센서(18) 및 현가 장치(19)로부터 차속과 차고 변화량을 입력받는 댐핑 제어 유니트(17)와, 상기 댐핑 제어 유니트(17)에 의해 댐핑 계수가 제어되는 댐퍼(1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대형 버스 또는 트럭 운전석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면서 핸들링의 안전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시트 댐핑 시스템(SEAT DAMPING SYSTEM)
본 고안은 버스나 대형 트럭의 운전석 승차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시트 댐핑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운전석 시트의 하단에 구비되는 충격 흡수 장치에 유압 댐퍼를 장착하여 차속과 차고 변화에 따른 충격 흡수량을 조절할 수 있는 시트 댐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버스나 대형 트럭의 운전석 시트에 장착되는 충격 흡수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버스나 대형 트럭의 운전석 시트 쿠션(1) 하면에 장착되는 종래의 충격 흡수 장치(3)는 시트 쿠션(1) 하면에 부착되는 시트 프레임(2)과 플로어(도시하지 않음)에 부착되는 하부 프레임(10) 사이에 제 1 링크(5)와 제 2 링크(7)가 X 자로 장착되고, 상기 제 1 링크(7)의 하단과 하부 프레임(10) 사이에 스프링(9)이 장착된다.
상기 제 1 링크(5)와 제 2 링크(7)가 교차하는 부분은 핀 절점되어 서로 반대되는 회전 운동을 하고, 제 1 링크(5)는 상단이 시트 프레임(2)의 프론트 하면에 핀 절점되고, 제 2 링크(7)는 상단이 시트 프레임(2)의 리어 하면에 핀 절점되며, 하단이 하부 프레임(10)의 프론트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종래의 충격 흡수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스프링(9)이 압축되면 제 1 링크(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 링크(7)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시트 쿠션(1)이 하부로 내려오고, 스프링(9)이 인장되면 제 1 링크(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 링크(7)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시트 쿠션(1)이 상부로 올라간다. 상기와 같이 작동되면서 스프링(9)이 충격력을 흡수하여 운전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충격 흡수 장치는 고속 주행시 운전자의 피로를 저감시키나, 상태가 좋지 않은 도로를 저속 주행시에는 오히려 더 큰 진폭으로 작동되어 운전자의 피로를 증대시키고, 시트가 상하 방향으로 운동하는 중에 코너링을 하게 되면 운전자의 핸들링이 불안해져 위험에 대처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충격 흡수 장치에 유압 댐퍼를 장착하여 고속 주행시, 코너링 그리고 험로 주행시 충격 흡수량의 조절이 가능한 시트 댐핑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시트 댐핑 시스템의 일예로서,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와, 차고를 감지하는 현가 장치와, 상기 차속 센서 및 현가 장치로부터 차속과 차고 변화량을 입력받는 댐핑 제어 유니트와, 상기 댐핑 제어 유니트에 의해 댐핑 계수가 제어되는 댐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댐퍼로 스프링의 진동을 제어함으로써, 대형 버스 또는 트럭 운전석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면서 핸들링의 안전성을 부여한다.
도 1은 버스나 대형 트럭의 운전석 시트에 장착되는 충격 흡수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시트 댐핑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시트 댐핑 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트 쿠션 2 : 시트 프레임
3 : 충격 흡수 장치 5 : 제 1 링크
7 : 제 2 링크 9 : 스프링
10 : 하부 프레임 15 : 댐퍼
16 : 댐핑 제어 유니트 18 : 차속 센서
19 : 현가 장치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시트 댐핑 시스템은 차속 센서(18)와 현가 장치(19)로부터 차속과 차고 변화량이 댐핑 제어 유니트(17)로 입력되고, 댐핑 제어 유니트(17)는 차속과 차고 변화량을 연산하여 댐퍼(15)의 댐핑 계수를 변화시킨다.
상기 댐핑 제어 유니트(17)는 고속 주행시 댐퍼(15)의 댐핑 계수를 작게 하고, 저속 주행 중 차고 변화량이 큰 경우에는 댐핑 계수를 크게하며, 차량이 코너링을 하는 경우 댐핑 계수를 크게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댐퍼(15)는 제 1 링크(5)와 하부 프레임(10) 사이에 스프링(9)과 병렬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댐퍼(15)의 댐핑 계수가 작아지면 시트 쿠션(1)의 상하 진동이 커지고, 댐핑 계수가 커지면 시트 쿠션(1)의 상하 진동이 작아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의 시트 댐핑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스프링(9)이 압축되면 제 1 링크(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 링크(7)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시트 쿠션(1)이 하부로 내려오고, 스프링(9)이 인장되면 제 1 링크(5)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 2 링크(7)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시트 쿠션(1)이 상부로 올라가는 충격 흡수 장치에 댐퍼(15)가 스프링(9)과 병렬로 장착되어 차속과 차고 변화량에 따라 시트 쿠션(1)의 상하 진동을 제어한다. 즉, 댐핑 제어 유니트(17)는 차속 센서(18)와 현가 장치(19)로 부터 차속과 차고 변화량을 받아들여, 고속 주행시 댐퍼(15)의 댐핑 계수를 작게 하고, 저속 주행 중 차고 변화량이 큰 경우에는 댐핑 계수를 크게하며, 차량이 코너링을 하는 경우에는 댐핑 계수를 크게하여 스프링(9)의 진동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시트 댐핑 시스템은 댐퍼로 스프링의 진동을 제어함으로써, 대형 버스 또는 트럭 운전석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면서 핸들링의 안전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시트 댐핑 시스템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차량의 속도를 감지하는 차속 센서(18)와, 차고를 감지하는 현가 장치(19)와, 상기 차속 센서(18) 및 현가 장치(19)로 부터 차속과 차고 변화량을 입력받는 댐핑 제어 유니트(17)와, 상기 댐핑 제어 유니트(17)에 의해 댐핑 계수가 제어되는 댐퍼(1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댐핑 시스템.
KR2019960041229U 1996-11-21 1996-11-21 시트 댐핑 시스템 KR1998002823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229U KR19980028231U (ko) 1996-11-21 1996-11-21 시트 댐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229U KR19980028231U (ko) 1996-11-21 1996-11-21 시트 댐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231U true KR19980028231U (ko) 1998-08-05

Family

ID=539841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1229U KR19980028231U (ko) 1996-11-21 1996-11-21 시트 댐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823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7525A (ko) * 2021-03-11 2022-09-20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댐퍼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7525A (ko) * 2021-03-11 2022-09-20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댐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98929A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US4341397A (en) Stabilizing device for a suspension of an automotive vehicle
KR0181727B1 (ko) 차량 현가 장치
RU2415045C2 (ru) Система подвески кабин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ZA200105970B (en) Integrated semi-active seat suspension and seat lock-up system.
JPH0565364B2 (ko)
KR20210067004A (ko) 차량 통합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210739240U (zh) 减振装置及工程机械
JPH10297241A (ja) 車両用ローリング減殺装置
KR19980028231U (ko) 시트 댐핑 시스템
US6186257B1 (en) Method and system for floating a vehicle
JPS6112301Y2 (ko)
JP3079823B2 (ja) リーチ式フォークリフト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216560B1 (ko) 자동차용 세미 액티브 서스펜션 시스템
JP2696463B2 (ja) 運転台防振装置
KR100501385B1 (ko) 화물 차량 캡의 피칭모션억제장치
JP2906210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0120252Y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KR100452428B1 (ko) 후방현가장치의 팬하드 로드 보강구조
JPS6342647Y2 (ko)
KR19980010408U (ko) 자동차의 전자제어 틸팅 현가장치
KR20000014438U (ko) 차량용 현가장치
KR19990004996A (ko) 캐빈 서스펜션 구조
JP4047145B2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構造
JPS64112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