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1030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1030A
KR20000011030A KR1019980709180A KR19980709180A KR20000011030A KR 20000011030 A KR20000011030 A KR 20000011030A KR 1019980709180 A KR1019980709180 A KR 1019980709180A KR 19980709180 A KR19980709180 A KR 19980709180A KR 20000011030 A KR20000011030 A KR 20000011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stle
toothbrush
tip
bristles
gr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유키 가네다
미츠유키 구보
도시로 신타니
Original Assignee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874596A external-priority patent/JP29421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2442196A external-priority patent/JP282927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208096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57149A/ja
Application filed by 가오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오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11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03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76Bristles having pointed en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16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wires or other anchoring means, specially for U-shaped bristle tuf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6Arrangement of mixed bristles or tufts of bristles, e.g. wire, fibre, rubber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84Bristles having rounded en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00Brushing, scrubbing, and general cleaning
    • Y10S15/05Varied length bristle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칫솔은, 헤드부에 가로 및 세로로 형성된 구멍에 각각 심어진 복수의 브리슬(bristles)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브리슬 다발을 포함한다. 상기 각 브리슬 다발은 제 1 및 제 2 브리슬을 포함하며, 상기 각 브리슬 다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브리슬의 총수는 50%이상이다. 상기 제 1 브리슬은 하기 수학식(Ⅰ)에 있어서 계승 계수(factorial coefficient) n=0.29∼0.51인 테이퍼 형상의 브리슬이다. 상기 제 2 브리슬의 선단은 상기 제 1 브리슬의 선단보다 하측에 위치한다. 상기 각 구멍의 종방향의 간격이 1.2mm∼3.0mm, 횡방향의 간격이 0.75mm∼1.5mm이다.
r(x)=a{(L-x)/L}n(Ⅰ)
여기서, r(x): 단면 반경
x: 각 브리슬의 베이스로부터의 길이
L: 각 브리슬의 베이스로부터 선단까지의 길이
a: x=0일 때의 단면 반경〔=r(0)〕
n: 계승 계수

Description

칫솔
통상의 칫솔은, 치아와 잇몸의 표면, 치아와 치아의 사이(이하, "치간부"라고 함) 및 치아와 잇몸의 경계(이하, "치주부"라고 한다)의 청소 및 치간부와 치주부에 있어서의 플라크(dental plaque) 제거를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성능을 이하에서는 "청소성"이라 한다. 칫솔에 의한 브러싱에는, 잇몸에 대한 맛사지 효과도 있다. 잇몸의 맛사지는 치은 궤양(gumboil) 또는 치주염(periodontitis)을 방지하는데 현저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맛사지 효과도 칫솔 디바이스의 목적의 하나이다. 상술한 청소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각종 칫솔이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공고 소61-10495호 공보에는, 테이퍼 형상의 브리슬(tapered bristles)과 비테이퍼 형상의 브리슬을 번갈아 심은 칫솔이 개시되어 있다. 테이펴 형상의 브리슬에 의하여 치간부 및/또는 치주부의 청소를 행하고, 비테이펴 형상의 브리슬에 의하여 치아와 잇몸의 표면의 청소를 행한다. 그러나, 이 칫솔은 잇몸에 대한 맛사지 효과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청소성과 맛사지 효과를 양립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일본국 실용신안공고 소63-31640호 공보에는, 선단에 구형상부가 형성된 비테이퍼 형상의 브리슬을, 선단부에 단차를 형성하여 심고, 맛사지 효과를 향상시킨 칫솔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칫솔은 비테이퍼 형상의 브리슬 선단에 구형상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부가 휘기 어려우며, 플라크 제거, 맛사지 효과의 점에서 더욱 개선의 여지가 있는 것이었다.
게다가, 일본국 실용신안공개 평 5-15834호 공보에는, 심어지는 브리슬의 전부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칫솔이 기재되어 있다. 이 칫솔은 전체적으로 강성(stiffness)이 충분하지 않으며, 브리슬이 너무 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감촉은 좋아도 청소성 및 맛사지 효과에 있어서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게다가, 일본국 특허공개 평 7-284412호 공보 및 미국 특허 제 5500975호에는, 브리슬의 한쪽 선단을 구형상으로 형성하고, 다른쪽 선단을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한 브리슬을 2개로 절곡하여 구멍에 심은 칫솔이 기재되어 있다. 이 칫솔은 선단을 구형상으로 함에 따른 잇몸 마사지 효과 및 플라크 긁어냄 효과와, 선단을 테이퍼 형상으로 함에 따른 치주 포켓(periodontal pocket)에 쌓인 플라크를 제거하는 효과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 칫솔은 상기 효과를 갖지만, 구형상으로 형성된 브리슬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브리슬보다도 휘기 어려우며, 구형상으로 형성된 브리슬이 촉감의 점에서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내구성의 점에서도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칫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치아와 잇몸의 표면, 치아와 치아 사이 및 치아와 잇몸의 경계의 청소성이 우수한 칫솔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칫솔은 잇몸의 맛사지성이 우수하고 감촉이 우수하며 게다가 내구성이 우수하다.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잘 이해함으로써,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와 이것에 부수되는 많은 이점을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칫솔의 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칫솔의 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칫솔에 있어서의 브리슬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칫솔의 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브러싱시에 있어서의 제 1 및 제 2 브리슬의 선단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칫솔에 있어서의 제 2 브리슬을 테이퍼 형상으로 할 때의 여러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칫솔에 있어서의 브리슬 선단에 형성되는 구형상부의 여러 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칫솔을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연삭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칫솔을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연삭 장치의 브러시부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칫솔을 제조할 때에 사용되는 연삭 장치에 있어서, 칫솔을 단계적으로 연삭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열심히 연구를 행하고,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는 칫솔을 개발하였다.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치아와 잇몸의 표면, 치아와 치아의 사이 및 치아와 잇몸의 경계의 청소성이 우수하고, 잇몸의 맛사지성이 우수하며 감촉이 우수하고 또한 내구성이 우수한 칫솔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헤드부에 가로 및 세로로 형성된 구멍에 각각 심어진 복수의 브리슬(bristles)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브리슬 다발을 포함하는 칫솔로서,
상기 각 브리슬 다발은 제 1 및 제 2 브리슬을 포함하며, 상기 각 브리슬 다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브리슬의 총수는 50%이상이며,
상기 제 1 브리슬은 하기 수학식(Ⅰ)에 있어서 계승 계수(factorial coefficient) n=0.29∼0.51인 테이퍼 형상의 브리슬이고,
상기 제 2 브리슬의 선단은 상기 제 1 브리슬의 선단보다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각 구멍의 종방향의 간격이 1.2mm∼3.0mm, 상기 각 구멍의 횡방향의 간격이 0.75mm∼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이 제공된다.
r(x)=a{(L-x)/L}n(Ⅰ)
여기서, r(x): 단면 반경
x: 각 브리슬의 베이스로부터의 길이
L: 각 브리슬의 베이스로부터 선단까지의 길이
a: x=0일 때의 단면 반경〔=r(0)〕
n: 계승 계수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브리슬 다발 각각이, 상기 제 1 브리슬을 10%∼90% 포함하고, 상기 제 2 브리슬을 90%∼10%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각 제 1 브리슬의 선단과 상기 각 제 2 브리슬의 선단간의 단차 d가 0.5mm∼4.0mm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각 제 1 브리슬 및 상기 각 제 2 브리슬의 베이스의 외부 직경이 0.15mm∼0.30mm이고, 상기 각 구멍의 내부 직경이 1.2mm∼2.4mm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각 제 2 브리슬은 그 선단부에 형성된 구형상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2 브리슬은 선단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관하여 설명하겠다. 도면중에 있어서의 유사 참조 부호는, 전체 도면에 걸쳐서 해당 부분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하에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브리슬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브러싱시에 있어서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제 1 및 제 2 브리슬의 선단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복수의 브리슬을 포함하는 복수의 브리슬 다발(1)을 포함하며, 이 브리슬 다발(1)이, 헤드부(2)에 가로 및 세로로 형성된 구멍(21, 21‥)에 각각 심어져 있다. 이 점에 관해서는 본 실시 형태의 칫솔은 종래의 칫솔과 다르지 않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의 칫솔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브리슬 다발(1)은 각각 제 1 브리슬(11) 및 제 2 브리슬(12)을 포함하며, 상기 각 브리슬 다발(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브리슬 다발(11, 12)의 총수는 50%이상이다. 상기 각 브리슬 다발(1)은, 상기 제 1 브리슬(11)을 10%∼90% 포함하며, 상기 제 2 브리슬(12)을 90%∼10% 포함한다. 상기 제 1 브리슬은, 하기 수학식(Ⅰ)에 있어서 계승 계수(factorial coefficient) n이 0.29∼0.51인 테이퍼 브리슬이다. 상기 제 2 브리슬(12)의 선단이 상기 제 1 브리슬(11)의 선단보다 하측에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21, 21··)의 종방향의 간격 P1이 1.2mm∼3.0mm, 횡방향의 간격 P2가 0.75mm∼1.5mm로 되어 있다.
r(x)=a{(L-x)/L}n(Ⅰ)
수학식(Ⅰ)에 있어서, "r(x)"는 x의 함수이며 브리슬의 원형 횡단면의 단면 반경을 나타내고, "x"는 브리슬의 베이스로부터의 길이를 나타낸다. 또한, "L"은 브리슬의 베이스로부터 선단까지의 브리슬의 길이를 나타낸다. "a"는 x=0일 때의 단면 반경, 즉 "r(0)"의 값을 나타낸다. "n"은 계승 계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경우, 계승 계수 "n"은 0.29∼0.51의 범위의 값이다.
게다가, 도 2에 있어서는, 상기 헤드부(2)의 구성을 알기 쉽게 도시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브리슬(11) 및 상기 제 2 브리슬(12)이 각각 1개씩만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제 1 브리슬(11) 및 복수의 상기 제 2 브리슬(12)이 상기 구멍(21)에 각각 심어진다.
본 실시 형태의 칫솔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본 실시 형태의 칫솔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의 칫솔과 마찬가지로, 복수의 상기 브리슬 다발(1, 1‥)이 심어진 상기 헤드부(2)와, 사용할 때에 쥐게 되는 손잡이부(4)와, 상기 헤드부(2)와 상기 손잡이부(4)를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목부(3)를 포함한다.
상기 구멍(21, 21‥)에 심어지는 상기 브리슬(11, 12)은,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나일론(6-12, 6-10, 6-6), 폴리프로필렌 등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브리슬은, 한 단부측에 상기 제 1 브리슬(11), 다른 단부측에 상기 제 2 브리슬(12)이 형성된 1개의 브리슬이 그 거의 중앙부에서 2개로 절곡되어 있으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절곡된 부분이 평판(22)에 의해 지지되면서 대응하는 구멍(21)에 끼워넣어져 심어져 있다.
게다가 도 2에는, 그 구성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브리슬(11) 및 상기 제 2 브리슬(12)이 각각 1개씩만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복수의 제 1 및 제 2 브리슬(11, 12)이 상기 구멍(21)에 각각 심어진다.
상기 제 1 브리슬(11)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학식(Ⅰ)에 의하여 얻어지는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제 1 브리슬(11)은, 연마 등에 의한 기계적 수단 또는 화학적 처리에 의한 화학적 수단에 의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브리슬(11) 및 상기 제 2 브리슬(12)은, 기계적 수단에 의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시키고 있으며, 그 구체적인 공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겠다.
상기 제 1 브리슬(11)의 높이(h)는, 9mm∼13mm가 바람직하며, 상기 제 1 브리슬(11)의 높이(h)가 9mm미만이면, 상기 제 1 브리슬(11)이 휘어지는 것이 매우 어려워지므로, 맛사지성 및 청소성을 악화시키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제 1 브리슬(11)의 높이(h)가 13mm를 넘으면, 브러싱시에 브리슬이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브리슬(11)의 강성이 너무 약해져서 맛사지성 및 청소성을 악화시키게 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브리슬(11, 12)의 테이퍼 형상이 아닌 부분의 두께는, 직경 0.15mm∼0.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직경 0.15mm미만이면, 상기 브리슬(11, 12)의 강성이 너무 약해져서 맛사지성 및 청소성을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브리슬이 잘려지기 쉬우며 또한 마찰이 심해서 내구성에 문제가 있다. 반대로, 두께가 직경 0.30mm을 넘으면, 강성이 너무 강해져서 맛사지성 및 청소성을 악화시키게 된다. 상기 구멍(21)의 크기와 상기 브리슬(11, 12)의 두께의 관계로부터, 맛사지성 및 청소성을 고려하면, 각 구멍(21)에, 상기 제 1 브리슬(11) 및 상기 제 2 브리슬(12)이 합해서 9개 내지 25개 정도 심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브리슬(1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수학식(Ⅰ)에 의하여 나타내어진 형태를 갖는다. 상기 식(Ⅰ)에 있어서, "n"이 0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브리슬의 형상은 원주형에 가까워지며, "n"이 1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브리슬의 형상은 원추형에 가까워진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n"은 0.29∼0.51의 범위의 값을 취하며, 상기 제 1 브리슬(11)은 유선형(streamline-like)의 선단 형상을 갖고 있다.
상기 제 1 브리슬(1)이, 계승 계수 "n"이 0.29∼0.51일 때에 상기 수학식(Ⅰ)에 의하여 나타나는 테이퍼 형상을 갖기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칫솔은 치간부 및 치주부에 들어가기 쉬우며, 너무 단단하지 않으므로 감촉이 좋고 잇몸의 맛사지에 적합한 강성을 가지며 또한 우수한 내구성을 갖는 것이 된다.
계승 계수 "n"이 0.29미만이면, 각 제 1 브리슬(11)은 원주형에 가까워지고, 상기 제 1 브리슬(11)의 강성이 너무 강해져서 감촉이 딱딱해진다. 게다가, 브러싱시에 상기 제 2 브리슬(12)을 치아의 표면에 적절하게 접촉시키는 대신에, 상기 제 2 브리슬(12)을 치아의 표면으로부터 다소 솟아오르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브리슬(12)과 협동하기 어려우며, 청소성 및 맛사지성을 악화시키게 된다. 반대로, 계승 계수 "n"이 0.51을 넘으면, 각 제 1 브리슬(11)은 원추형에 가까워지고, 강성이 너무 약해진다. 그 결과, 브러싱시에 상기 제 1 브리슬(11)이 너무 휘어서 상기 제 2 브리슬(12)과 치아 사이 및 상기 제 2 브리슬(12)과 잇몸 사이에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브리슬(12)과 협동하기 어려우며, 청소성 및 맛사지성을 악화시키게 된다. 또한, 계승 계수 "n"은 0.33∼0.40의 범위의 값인 경우, 내구성이 더욱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각 제 1 브리슬(11)은 그 선단 근처의 전체 길이의 30%∼80%의 부분의 표면 거침 Ra가 0.5μm∼1.5μm로 되어 있다. 한 예로서, Ra의 측정은, 레이저식 표면 형상 측정 현미경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또한, 도 3에는, 한 단부에 상기 제 1 브리슬(11)이 형성되고, 다른 단부에 상기 구형상의 브리슬(12)이 형성되어 있는 브리슬이 그 거의 중앙에 있어서 2개로 접혀서 이루어진 브리슬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실시 형태의 칫솔은, 실제로는 브리슬이 심어진 후에 테이퍼 형상으로 연삭되는 것이다.
각 제 1 브리슬(11)이, 테이퍼 형상을 가짐과 아울러 상술한 범위내에 있어서 상술한 표면 거침을 갖고 있기 때문에, 그 선단부가 치간부 및 치주부에 들어가기 쉬워서 청소성이 우수하다. 또한 선단이 휘어지기 쉬워서 촉감이 우수하다. 게다가 선단이 휘어지기 쉽지만, 그 측면에 의한 플라크 및 오물의 긁어냄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표면 거침 Ra가 0.5μm미만이면, 상기 제 1 브리슬(11)의 측면이 너무 매끄러워서, 외측면에 의한 긁어냄 효과가 얻어지지 않으며, 그 결과 플라크의 제거성이 나빠진다. 반대로, Ra가 1.5μm를 넘으면, 그 제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브리슬(11)의 내구성이 나빠진다. 또한, 상술한 표면 거침으로 되는 범위가, 선단 근처의 전체 길이의 30%미만이면, 긁어냄 효과가 우수한 범위가 너무 좁아서 충분한 긁어냄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반대로, 80%를 넘으면 내구성이 나빠짐과 아울러 제조도 곤란해진다.
한편, 상기 제 2 브리슬(12)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선단부에 상기 구형상부(12a)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선단을 향하여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 형상의 브리슬의 선단에 구형상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브리슬을 미리 테이퍼 처리한 후, 브리슬의 선단을 가열하여 구형상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원주 형상의 브리슬에 구형상부를 형성한 후, 화학적 처리 또는 연마 등의 기계적 수단에 의하여 브리슬을 테이퍼화함으로써 행할 수가 있다. 게다가, 여기서 말하는 "구형상부"란, 상기 구형상부의 횡방향의 최대 외부 직경이 상기 구형상부가 붙어 있는 부분의 외부 직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상기 제 2 브리슬(12)의 선단에 형성되는 각 구형상부(12a)의 횡방향의 최대 외부 직경은, 0.15mm∼0.3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0.15mm미만이면, 충분한 맛사지 효과를 얻기 어려움과 아울러, 치아와 잇몸의 표면의 오물 및 플라크를 긁어내는 효과를 얻기 어렵다. 반대로, 0.38mm를 넘으면 제조가 곤란해질 뿐만 아니라, 상기 브리슬 다발(1)이 휘어지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칫솔이 실용적이지 않게 된다.
상기 제 2 브리슬(12)의 선단에 형성되는 상기 구형상부(12a)는, 도 6a∼도 6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 가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a∼도 6c와 같이 완전한 구형상부가 그 크기를 변화시킨 경우, 도 6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로 신장된 구형상부가 형성된 경우 및 도 6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로 신장된 구형상부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제 2 브리슬(12)의 테이펴 형상은, 도 5a∼도 5e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임의의 형상이어도 되지만, 상술한 제 1 브리슬(1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수학식(Ⅰ)에 의하여 얻어지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브리슬(12)을 상기 수학식(Ⅰ)에 의하여 얻어진 테이퍼 형상을 갖도록 디자인하면, 내구성이 한층 우수한 것이 얻어진다.
각 제 2 브리슬(12)은, 그 선단 근처의 전체 길이의 30%∼80%의 부분의 표면 거침 Ra가, 0.5μm∼1.5μm로 되어 있다. 상기 표면 거침 Ra가 0.5μm미만이면, 상기 제 1 브리슬(11)의 측면이 너무 매끄러워서, 외측면에 의한 긁어냄 효과가 얻어지지 않으며, 그 결과 플라크의 제거성이 나빠진다. 반대로, Ra가 1.5μm를 넘으면, 그 제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브리슬(11)의 내구성이 나빠진다. 또한, 상술한 표면 거침으로 되는 범위가, 선단 근처의 전체 길이의 30%미만이면, 긁어냄 효과가 우수한 범위가 너무 좁아서 충분한 긁어냄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반대로, 80%를 넘으면 내구성이 나빠짐과 아울러 제조도 곤란해진다.
상기 헤드부(2)는, 그 중앙부(50)에 오목부가 형성된 계단 형상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도 2 참조). 그리고 전방부(51)에는 각각 3개 및 4개의 상기 구멍(21, 21‥)이 2열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50)에는 5개×3열의 상기 구멍(21, 21‥)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부(52)에는 각각 5개 및 4개의 상기 구멍(21, 21‥)이 2열로 형성되어 있다.
각 구멍(21)의 크기는, 심어지는 상기 브리슬(11, 21)의 두께 및 경도에 따라 결정되는데, 직경 1.2mm∼2.4mm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경이 1.2mm미만이면, 1개의 상기 브리슬 다발(1)의 강성이 너무 약해져서 맛사지성 및 청소성을 악화시키게 되며, 반대로 2.4mm를 넘으면, 1개의 상기 브리슬 다발(1)의 강성이 너무 강해져서 맛사지성 및 청소성을 악화시키게 된다.
상기 헤드부(2)의 중앙부(50)에 형성되는 단차 "D"는, 그 상단(전방부 51 및 후방부 52)에 심어지는 상기 브리슬 다발(1, 1 ‥)의 강성을, 하단(중앙부 50)에 심어진 상기 브리슬 다발(1, 1‥)의 강성보다도 크게 하여, 상단에 심어진 상기 브리슬 다발(1)에 의한 청소성을 향상시키도록 이루어져 있다. 하단에 심어진 상기 브리슬 다발(1)은, 상단에 심어진 상기 브리슬 다발(1)보다도 강성이 약하기 때문에, 칫솔 전체적으로 강성이 너무 강해지는 일은 없으며, 맛사지성 및 촉감을 악화시키지 않는다.
상기 단차 "D"는 0.5mm∼3.0mm인 것이 바람직하며, 0.5mm미만이면, 상단(전방부 51 및 후방부 52)에 심어진 상기 브리슬 다발(1)과 하단(중앙부 50)에 심어진 상기 브리슬 다발(1)의 사이에 강성의 등급에 차가 생기지 않게 된다. 반대로, 3.0mm를 넘으면, 상단(전방부 51 및 후방부 52)에 심어진 상기 브리슬 다발(1)과 하단(중앙부 50)에 심어진 상기 브리슬 다발(1) 사이의 강성의 등급이 너무 달라서, 맛사지성 및 촉감을 악화시키는 일 없이 청소성을 향상시킬 수 없게 된다.
상기 구멍(21, 21‥)이 형성되는 간격은, 도 2의 P1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종방향의 간격이 1.2mm∼3.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의 P2로 나타낸 바와 같이 횡방향의 간격이 0.75mm∼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간격 P1, P2가 각각 1.2mm, 0.75mm미만이면, 인접하는 상기 브리슬 다발(1, 1)끼리가 너무 가까워지기 때문에, 상기 브리슬 다발(1, 1)이 휘어지기 어렵게 되며, 전체적으로 강성이 너무 강해져서 맛사지성 및 청소성을 악화시키게 된다. 반대로, 상기 간격 P1, P2가 각각 3.0mm, 1.5mm를 넘으면, 인접하는 상기 브리슬 다발(1, 1)끼리가 너무 멀어지기 때문에 상기 브리슬 다발(1, 1)이 휘어지기 쉬워지며, 그 결과 전체적으로 강성이 너무 약해져서 맛사지성 및 청소성을 악화시킨다.
상기 헤드부(2)의 상면에 있어서의 상기 구멍(21, 21‥)이 차지하는 면적비에 관해서는, 상기 면적비는 20%∼3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면적비가 20%미만이면, 상기 헤드부(2)상의 상기 브리슬 다발(1, 1)이 너무 희박해지며, 전체적으로 강성이 너무 약해져서 맛사지성 및 청소성을 악화시킨다. 반대로 상기 면적비가 35%를 넘으면 상기 헤드부(2)상의 상기 브리슬 다발(1, 1)이 너무 촘촘해지며, 전체적으로 강성이 너무 강해져서 맛사지성 및 청소성을 악화시킨다.
상기 헤드부(2)의 상기 전방부(51) 및 상기 후방부(52)에 있어서의 제 1 브리슬(11)의 길이는, 상기 헤드부(2)의 상기 중앙부(50)에 있어서의 길이와 다르지만, 모든 상기 제 1 브리슬(11)의 선단이 거의 동일 위치가 되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헤드부(2)의 상기 전방부(51) 및 상기 후방부(52)에 있어서의 제 2 브리슬(12)의 길이는, 상기 헤드부(2)의 상기 중앙부(50)에 있어서의 길이와 다르지만, 모든 상기 제 2 브리슬(12)의 선단이 거의 동일 위치가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 1 브리슬(11)의 선단과 상기 제 2 브리슬(12)의 선단의 사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차 "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단차 "d"는 0.5mm∼4.0mm로 되어 있다. 상기 단차 "d"가 형성됨으로써,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러싱시에, 상기 제 1 브리슬(11)의 선단이 휘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단차 "d"가 형성됨으로써, 촉감이 좋고 또한 상기 제 1 브리슬(11)의 선단이 치간부 및 치주부에 들어가기 쉬워서 오물 및 플라크를 긁어낼 수가 있다. 게다가, 상기 제 2 브리슬(12)의 상기 구형상부(12a)에 의하여 양호한 잇몸의 맛사지 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상기 구형상부(12a)에 의하여 치아와 잇몸 표면에 쌓인 오물 및 플라크를 긁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브리슬(12)이 테이퍼 형상의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구형상부(12a)에 의한 청소성 및 맛사지성을 악화시키는 일 없이상기 제 2 브리슬(12)의 선단부만을 휘기 쉽게 하여, 촉감에 있어서도 더욱 양호한 것으로 할 수가 있으며, 브리슬의 내구성도 우수하다.
상기 단차 "d"가 0.5mm미만이면, 상기 제 1 브리슬(11)의 선단이 휘어지지 않고 상기 제 2 브리슬(12)의 상기 구형상부(12a)와 동시에 치아 및 잇몸의 표면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촉감이 향상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제 1 브리슬(11)의 선단이 치간부 및 치주부에 들어가기 어려우므로 청소성을 향상시킬 수가 없다. 반대로, 상기 단차 d가 4.0mm를 넘으면, 상기 제 2 브리슬(12)이 상기 제 1 브리슬(11)의 선단과 충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충분한 맛사지 효과가 얻어지지 않는다. 게다가, 강성이 약한 상기 제 1 브리슬(11)만으로 브러싱을 행하게 되기 때문에, 청소성을 향상시킬 수가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브리슬(11) 및 상기 제 2 브리슬(12)이 양단에 형성된 브리슬을 2개로 절곡한 것을 사용하여 상기 브리슬 다발(1)을 형성시키고 있기 때문에, 상기 브리슬 다발(1)의 한 쪽에 상기 제 1 브리슬(11)이 많고, 다른 쪽에 상기 제 2 브리슬이 많아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모든 상기 브리슬 다발(1)에 있어서, 칫솔의 길이 방향의 축선 L에 대한 상기 평판(22)의 끼워넣음 각도 α(도 2 참조)가 갖추어져 있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의 칫솔을 제조할 때에, 상기 브리슬을 테이퍼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브리슬의 측면을 상술한 표면 거침으로 하기 위한 장치 및 순서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겠다. 본 실시 형태의 칫솔은, 양단에 구형상부를 갖는 원주형상의 브리슬 부재를, 그 거의 중앙에서 2개로 절곡시켜서, 상기 평판(22)을 이용하여 상기 구멍(21)에 각각 심어서 얻어진 칫솔로부터 제조된다. 그리고, 이 칫솔의 브리슬이 와이어 브러시에 의하여 연삭되어 테이퍼 형상으로 된다. 그 후, 이어서 나일론 브러시에 의하여 연삭되어 브리슬 측면이 상술한 표면 거침으로 된다. 이 과정에 있어서, 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구형상부의 한쪽은, 연삭에 의하여 없어진다.
본 실시 형태의 칫솔을 제조하는데 사용하는 연삭 장치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회전 방향이 다른 한 쌍의 원통 형상의 와이어 브러시(101, 102)를 갖는 제 1 연삭 수단(103), 제 2 연삭 수단(104) 및 제 3 연삭 수단(105)과; 회전하는 상기 와이어 브러시(101, 102)에 섬유재의 선단을 접촉시키고, 칫솔(106)을 상기 와이어 브러시(101, 102)상에 있어서 평면적으로 회전시키면서 상기 칫솔(106)을 상기 와이어 브러시(101, 102)의 길이 방향으로 순차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10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3 연삭 수단(105)의 전방에는, 서로 회전 방향이 다른 원통 형상의 한 쌍의 나일론 브러시(120, 121)를 갖는 제 4 연삭 수단(122)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연삭 수단(103) 내지 제 3 연삭 수단(105)은, 모두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원통 형상의 와이어 브러시(101, 102)를 갖고 있다. 상기 와이어 브러시(101, 102)는, 한 쌍이 한 세트로 구성되며, 브러시 부착대(180)에 각각 회전 자유롭게 부착됨과 아울러, 브러시 회전용 모터(109)에 의하여 도 8의 화살표 A, B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즉, 한 쌍의 상기 와이어 브러시(101, 102)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브러시 회전용 모터(109)의 구동축(110)의 선단에 형성된 베벨 기어(bevel gear)(111)와 맞물리는 회전 전달용 기어(112, 113)를 가지며, 상기 브러시 회전용 모터(109)의 회전을 이들 회전 전달용 기어(112, 113)에 의하여 와이어 브러시(101, 102)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와이어 브러시(101, 102)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한쪽의 와이어 브러시(101)는, 도 8의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하고, 다른쪽의 와이어 브러시(102)는 이것과는 반대 방향인 도 8의 화살표 B로 나타낸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브러시(101, 102)는, 도 7의 화살표 W로 나타낸 바와 같이, 루프(loop)를 그리도록 하여 이동하는 상기 칫솔(106)의 이동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도 7의 화살표 C로 나타낸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구성된 제 1 연삭 수단(103) 내지 제 3 연삭 수단(105)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칫솔(106)의 브리슬과 상기 와이어 브러시(101, 102)간의 접촉 높이가 서서히 높아지도록, 차례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칫솔(106)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제 1 연삭 수단(103)에 있어서의 와이어 브러시(101, 102)는 도 9의 실선 H1으로 나타낸 위치, 제 2 연삭 수단(104)에 있어서의 와이어 브러시(101, 102)는 일점 쇄선 H2로 나타낸 위치, 제 3 연삭 수단(105)에 있어서의 와이어 브러시(101, 102)는 이점 쇄선 H3으로 나타낸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와이어 브러시(101, 102)의 높이가 제 1 연삭 수단(103)으로부터 제 2 연삭 수단(104) 및 제 3 연삭 수단(105)으로 단계적 또는 무단계적(steplessly)으로 증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각 연삭 수단(103∼105)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칫솔(106)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다음과 같이 배치되어 있다. 즉, 상기 제 1 연삭 수단(103)은, 연삭전의 상태의 칫솔(106)이 공급되는 후방에 배치되며, 제 2 연삭 수단(104)은, 상기 제 1 연삭 수단(103)의 전방에 소정 간격을 두어 배치되며, 제 3 연삭 수단(105)은 상기 제 2 연삭 수단(104)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4 연삭 수단(122)은, 상기 와이어 브러시(101, 102)에 의한 연삭만으로는 연삭면이 거칠기 때문에, 매끄러운 연삭면으로 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나일론 브러시(120, 121)는 그 표면에 숫돌 가루(abrasive grains)를 이겨 넣은 것이다. 게다가, 상기 제 4 연삭 수단(122)은 브러시가 나일론 브러시인 점을 제외하고, 상기한 제 1 연삭 수단(103) 내지 제 3 연삭 수단(105)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공통 부분에 대해서는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상술한 장치를 이용하여 칫솔(106)을 연삭하는 순서를 간단히 설명하겠다. 상술한 바와 같은 아직 테이퍼 형상으로 연삭되지 않은 칫솔(106)이 장치에 공급되면, 상기 칫솔(106)은 상기 이동 수단(107)에 있어서의 도시하지 않은 칫솔 지지부에 의해, 브리슬을 아래로 향한 상태에서 그 헤드부가 쥐어진다. 그리고, 상기 칫솔(106)은 상기 이동 수단(107)에 의하여 도 7의 화살표 W방향으로 순차로 연속적으로 이동된다. 이 때, 상기 칫솔(106)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를 중심으로 수평면내에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칫솔(106)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속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 1 연삭 수단(103)의 와이어 브러시(101, 102)에 접촉하고, 상기 와이어 브러시(101, 102)상에 있어서 평면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와이어 브러시(101, 102)의 길이 방향으로 순차로 이동한다.
이 제 1 연삭 수단(103)에 있어서는, 상기 칫솔(106)은 도 9의 실선 H1으로 나타낸 위치에 세트된 와이어 브러시(101, 102)와 접촉한다. 즉, 상기 칫솔(106)의 브리슬의 가장 선단이, 상기 와이어 브러시(101, 102)에 접촉한다. 그리고 상기 칫솔(106)은 도 7의 화살표 C로 나타낸 상기 칫솔(106)의 이동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는 상기 와이어 브러시(101, 102)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 브러시(101, 102)의 회전과 요동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연삭된다.
게다가, 상기 칫솔(106)이 상기 와이어 브러시(101, 102)와 접촉하고 있는 동안에는, 상기 브리슬의 변형을 억제하고 연삭분을 씻어내리기 위하여, 냉각수를 주입한다. 냉각수는 부직포나 종이 등의 필터를 통하여 연삭분을 회수한 후, 순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삭 수단(103)에 있어서의 연삭이 종료되면, 상기 칫솔(106)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연삭 수단(104)에 의해 연삭된다. 이 제 2 연삭 수단(104)에 있어서는, 상기 칫솔(106)은 도 9의 일점 쇄선 H2로 나타낸 위치에 세트된 와이어 브러시(101, 102)와 접촉한다. 즉, 상기 칫솔(106)의 브리슬 선단으로부터 약간 베이스 근처에 접어든 부분에 이르기까지 상기 브리슬이 상기 와이어 브러시(101, 102)와 접촉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하여 상기 칫솔(106)은 상기 와이어 브러시(101, 102)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 브러시(101, 102)의 회전과 요동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연삭된다.
이어서, 상기 제 2 연삭 수단(104)에 있어서의 연삭이 종료되면, 상기 칫솔(106)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에 배치되어 있는 제 3 연삭 수단(105)에 의해 연삭된다. 이 제 3 연삭 수단(105)에 있어서는, 상기 칫솔(106)은, 도 9의 이점 쇄선 H3으로 나타낸 위치에 세트된 와이어 브러시(101, 102)와 접촉한다. 즉, 상기 칫솔(106)의 브리슬 선단으로부터 베이스 근방 근처에 이르는 부분까지 상기 브리슬이 상기 와이어 브러시(101, 102)와 접촉한다. 그리고, 역시 마찬가지로 하여 상기 칫솔(106)은 상기 와이어 브러시(101, 102)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 브러시(101, 102)의 회전과 요동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연삭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연삭 수단(105)에 있어서의 연삭이 종료되면, 상기 칫솔(106)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에 배치되어 있는 제 4 연삭 수단(122)에 의해 연삭된다. 이 제 4 연삭 수단(122)에 있어서는, 상기 칫솔(106)은 상기 제 3 연삭 수단(105)에 있어서 와이어 브러시(101, 102)가 세트된 위치와 동일한 위치, 즉 도 9의 이점 쇄선 H3으로 나타낸 위치에 세트된 나일론 브러시(120, 121)와 접촉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하여 상기 칫솔(106)은 상기 나일론 브러시(120, 121)에 의하여 상기 나일론 브러시(120, 121)의 회전과 요동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연삭된다. 이상의 4개의 연삭 공정을 거쳐서 연삭이 종료된 칫솔(106)은, 상기 이동 수단(107)에 있어서의 칫솔 지지부에 의한 지지가 해제되어, 도시하지 않은 배출구로 보내어진다.
본 실시 형태의 칫솔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 형태의 칫솔에 의하면, 상기 제 1 브리슬(11)이 계승 계수 n=0.29∼0.51일 때에 상기 수학식(Ⅰ)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는 테이퍼 형상의 형태를 가지며, 또한 상기 제 1 브리슬(11)의 선단에 상기 단차 "d"를 형성시켜서, 상기 제 1 브리슬(11)의 선단이 상기 제 2 브리슬(12)보다도 돌출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개개의 브리슬의 강성을 약하게 하는 일 없이 상기 제 1 브리슬(11)의 선단만을 쉽게 휘게 한다. 또한 상기 제 2 브리슬(12)보다도 먼저 치아 및 잇몸에 접촉시킬 수 있어서, 브러싱하였을 때의 촉감을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 1 브리슬(11)의 선단이 치간부 및 치주부에 쉽게 들어가서, 치아로부터 오물 및 플라크를 효율성 좋게 제거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 1 브리슬(11)의 선단은, 종래의 방법으로는 맛사지되기 어려운 치간부 및 치주부 근방의 잇몸을 쉽게 맛사지할 수 있다.
계승 계수 n이 0.29∼0.51의 범위인 경우에는 하기의 모든 항목을 만족시킬 수가 있다. (1)상기 제 1 브리슬(11)이 치간부 및 치주부에 들어가기 쉬운 형상이다. (2)청소성 및 맛사지성의 양자의 효과를 양립시키기 위한 가장 적절한 강성이 부여된다. (3)상기 제 1 브리슬(11)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4) 촉감이 양호하다. 따라서, 상기 범위는 계승 계수 n에 관한 가장 적합한 범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칫솔에 의하면, 상기 제 2 브리슬(12)의 선단은 상기 제 1 브리슬(11)의 선단보다도 하측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선단이 휘기 쉬운 상기 제 1 브리슬(11)과 협동함으로써, 상술한 효과에 더하여, 선단부에 의하여 치아 와 잇몸의 표면의 오물 및 플라크를 긁어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칫솔은, 브러싱시에 있어서 치아 및 잇몸에 주는 촉감의 점에서 우수하다. 또한 치아 및 잇몸의 표면의 청소성 뿐만 아니라, 치간부 및 치주부의 청소성도 우수하다. 게다가, 치간부의 맛사지하기 어려운 부위를 포함한 잇몸의 맛사지 효과가 우수하다. 본 실시 형태의 칫솔은, 이들 효과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칫솔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상기 브리슬 다발(1)은, 양단에 상기 제 1 브리슬(11)이 형성된 제 1 타입의 브리슬과, 양단에 상기 제 2 브리슬(12)이 형성된 제 2 타입의 브리슬, 이 두 타입의 브리슬을 각각 2개로 절곡한 것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2)는 상기 단차 D를 갖는 계단 형상의 형태로 형성되었으나, 상기 헤드부(2)의 상면이 평탄하게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낸 브리슬을 복수개 사용하여, 상기 평판(22)을 경계로 하여 하나의 상기 브리슬 다발(1)의 한 쪽에 상기 제 1 브리슬(11)이 위치하고, 다른 쪽에 상기 제 2 브리슬(12)이 위치하도록 되었으나, 도 3에 나타낸 브리슬을 이용하여, 각각의 쪽에 상기 제 1 브리슬(11)과 상기 제 2 브리슬(12)이 혼재하도록 배치시켜도 된다. 본 발명의 칫솔은, 그 외의 점에 관해서도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많은 변경 형태가 가능하다는 것이 상기 기재에 비추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범위내에 있어서, 상기 형태와는 다른 형태도 본 발명에 의하여 보호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칫솔은, 치아 및 잇몸의 표면의 청소성, 치아와 치아의 사이 및 치아와 잇몸의 경계의 청소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칫솔은, 잇몸의 맛사지성이 우수하며 감촉의 점에서 우수하며, 게다가 브리슬의 내구성이 우수하다.

Claims (6)

  1. 헤드부에 가로 및 세로로 형성된 구멍에 각각 심어진 복수의 브리슬(bristles)을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브리슬 다발을 포함하는 칫솔로서,
    상기 각 브리슬 다발은 제 1 및 제 2 브리슬을 포함하며, 상기 각 브리슬 다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브리슬의 총수는 50%이상이며,
    상기 제 1 브리슬은 하기 수학식(Ⅰ)에 있어서 계승 계수(factorial coefficient) n=0.29∼0.51인 테이퍼 형상의 브리슬이고,
    상기 제 2 브리슬의 선단은 상기 제 1 브리슬의 선단보다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각 구멍의 종방향의 간격이 1.2mm∼3.0mm, 상기 각 구멍의 횡방향의 간격이 0.75mm∼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r(x)=a{(L-x)/L}n(Ⅰ)
    여기서, r(x): 단면 반경
    x: 각 브리슬의 베이스로부터의 길이
    L: 각 브리슬의 베이스로부터 선단까지의 길이
    a: x=0일 때의 단면 반경〔=r(0)〕
    n: 계승 계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브리슬 다발은 상기 제 1 브리슬을 10%∼90% 포함하고 상기 제 2 브리슬을 90%∼10%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 1 브리슬의 선단과 상기 각 제 2 브리슬의 선단간의 단차 d가 0.5mm∼4.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 1 브리슬 및 상기 각 제 2 브리슬의 베이스의 외부 직경이 0.15mm∼0.30mm이고, 상기 각 구멍의 내부 직경이 1.2mm∼2.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 2 브리슬은 그 선단부에 형성된 구형상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브리슬은 선단을 향하여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19980709180A 1996-05-14 1997-05-08 칫솔 KR200000110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18745 1996-05-14
JP11874596A JP2942191B2 (ja) 1996-05-14 1996-05-14 歯ブラシ
JP8-124421 1996-05-20
JP12442196A JP2829275B2 (ja) 1996-05-20 1996-05-20 歯ブラシ
JP22208096A JPH1057149A (ja) 1996-08-23 1996-08-23 歯ブラシ
JP8-222080 1996-08-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030A true KR20000011030A (ko) 2000-02-25

Family

ID=2731366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179A KR20000011029A (ko) 1996-05-14 1997-05-08 칫솔
KR1019980709180A KR20000011030A (ko) 1996-05-14 1997-05-08 칫솔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179A KR20000011029A (ko) 1996-05-14 1997-05-08 칫솔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6044514A (ko)
EP (2) EP0901330A1 (ko)
KR (2) KR20000011029A (ko)
CN (2) CN1218374A (ko)
DE (1) DE69707441T2 (ko)
ID (2) ID16892A (ko)
MY (1) MY119429A (ko)
TW (2) TW414035U (ko)
WO (2) WO199704285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318B1 (ko) * 2013-04-22 2013-07-17 김태영 자동 양면테이프 접착장치
WO2021010533A1 (ko) * 2019-07-18 2021-01-21 주식회사 리앤코 이노베이션 칫솔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칫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7532B1 (en) 1997-05-15 2003-02-11 Palomar Medical Technologies, Inc. Light energy delivery head
US8182473B2 (en) 1999-01-08 2012-05-22 Palomar Medical Technologies Cooling system for a photocosmetic device
ES2226133T3 (es) 1997-05-15 2005-03-16 Palomar Medical Technologies, Inc. Aparato de tratamiento dermatologico.
AU3450799A (en) 1998-03-12 1999-09-27 Palomar Medical Technologies, Inc. System for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the skin
US6571417B1 (en) * 1999-06-11 2003-06-03 James Albert Gavney, Jr. Dentition cleaning device and system
US8276231B2 (en) * 1999-06-11 2012-10-02 Gavney Jr James A Oral-care device and system
US7814603B2 (en) 1999-06-11 2010-10-19 Gavney Jr James A Powered toothbrush with polishing elements
US7562411B2 (en) * 1999-06-11 2009-07-21 Gavney Jr James A Oral-care device and system
US6319332B1 (en) * 1999-06-11 2001-11-20 James Albert Gavney, Jr. Squeegee device and system
US7877833B2 (en) * 1999-06-11 2011-02-01 Gavney Jr James A Oral-care device and system
US6859969B2 (en) 1999-06-11 2005-03-01 James A. Gavney, Jr. Multi-directional wiping elements and device using the same
US7181799B2 (en) * 1999-06-11 2007-02-27 Eegee, Llc Oral-care device and system
US7975339B2 (en) * 1999-06-11 2011-07-12 Gavney Jr James A Aquatic scrubber
US7743448B2 (en) 1999-06-11 2010-06-29 Gavney Jr James A Device and system with moving squeegee fields
US6865767B1 (en) 2000-06-05 2005-03-15 James A. Gavney, Jr. Device with multi-structural contact elements
US7090497B1 (en) 2001-02-21 2006-08-15 Harris David M Method of periodontal laser treatment
KR100421454B1 (ko) * 2001-02-23 2004-03-09 씨제이 주식회사 탄력성이 우수한 고도 테이퍼링 칫솔모가 식모된 칫솔 및그 제조방법
US6536979B1 (en) 2001-11-28 2003-03-25 Thomas A. Kenny Safe water toothbrush assembly
US7422598B2 (en) 2001-11-29 2008-09-09 Palomar Medical Technologies, Inc. Multi-wavelength oral phototherapy applicator
DE10164336A1 (de) 2001-12-28 2003-07-17 Trisa Holding Ag Triengen Zahnbürst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olchen Zahnbürste
DE10212701B4 (de) * 2002-03-21 2015-05-13 Geka Gmbh Borst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ihrer Herstellung sowie Borstenware
WO2004037287A2 (en) 2002-05-23 2004-05-06 Palomar Medical Technologies, Inc. Phototreatment device for use with coolants and topical substances
BR0312430A (pt) 2002-06-19 2005-04-26 Palomar Medical Tech Inc Método e aparelho para tratamento de condições cutâneas e subcutâneas
US7089621B2 (en) 2002-09-20 2006-08-15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US7975343B2 (en) * 2002-09-20 2011-07-12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ATE508659T1 (de) 2002-09-27 2011-05-15 Colgate Palmolive Co Zahnbürste
US20040261207A1 (en) * 2002-11-09 2004-12-30 Gavney James A. Squeegee device and system
US8141194B2 (en) 2002-11-09 2012-03-27 Gavney Jr James A Absorbent structures with integrated contact elements
BRPI0307110B1 (pt) * 2002-12-03 2017-03-28 Kwon Sung-Wook escova de dente com cerdas em formato de agulha afuniladas em uma extremidade e método de fabricação da mesma
DE10259723A1 (de) 2002-12-19 2004-07-01 Trisa Holding Ag Zahnbürs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AR043336A1 (es) * 2003-01-20 2005-07-27 Glaxosmithkline Consumer Healt Cabeza de cepillo de dientes con cerdas triangulares y ondulantes
US7934284B2 (en) 2003-02-11 2011-05-03 Braun Gmbh Toothbrushes
KR100485220B1 (ko) 2003-03-12 2005-04-27 권영준 다양한 끝 점 후도를 가진 침상모가 식모된 칫솔 및 그제조방법
US20060272112A9 (en) 2003-03-14 2006-12-07 The Gillette Company Toothbrush
AU2003218595B2 (en) * 2003-04-22 2009-08-06 Trisa Holding Ag Brush head for an electric toothbrush
US20050167438A1 (en) * 2004-02-02 2005-08-04 Max Minyayev Secure spill-proof configuration for child training cup
WO2005087045A1 (en) * 2004-03-16 2005-09-22 Best Whasung Co., Ltd. Toothbrush with needle-shaped bristles having improved cleaning effects
KR100577105B1 (ko) * 2004-03-16 2006-05-08 주식회사 베스트화성 기능성 칫솔
US8042217B2 (en) * 2004-11-02 2011-10-25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7329327B2 (en) * 2005-03-30 2008-02-12 Morris Jeffery Mays Method for glue-bonding toothbrush to closure with corresponding germicidal receptacle
US7856985B2 (en) 2005-04-22 2010-12-28 Cynosure, Inc. Method of treatment body tissue using a non-uniform laser beam
CN101309631A (zh) 2005-09-15 2008-11-19 帕洛玛医疗技术公司 皮肤光学表征设备
US20070101530A1 (en) * 2005-11-09 2007-05-10 Furumoto Co., Ltd. Hair brush
KR100590608B1 (ko) * 2005-12-22 2006-06-19 주식회사 베스트화성 침상모 및 그 제조방법
CN100364472C (zh) * 2006-01-12 2008-01-30 无锡市兴达尼龙有限公司 尖丝牙刷
DE102006012003A1 (de) * 2006-03-16 2007-09-20 Braun Gmbh Zahnbürste sowie Zahnbürstenkopf hierfür
US7586957B2 (en) 2006-08-02 2009-09-08 Cynosure, Inc Picosecond laser apparatus and methods for its operation and use
US20080104785A1 (en) * 2006-11-02 2008-05-08 Robinson Dane Q Bristle assembly for a brush and related method
US20090229064A1 (en) * 2006-11-02 2009-09-17 Robinson Dane Q Brush and bristle assembly therefor
US8006342B2 (en) 2007-04-12 2011-08-30 Dr. Fresh, Inc. Illuminated flashing toothbrush and method of use
US20090013489A1 (en) * 2007-06-28 2009-01-15 John Binet Novel device
DE102007059016A1 (de) * 2007-12-06 2009-06-10 Braun Gmbh Bearbeitung von Borsten
WO2009084637A1 (ja) * 2007-12-27 2009-07-09 Lion Corporation 歯ブラシ
US20100047734A1 (en) * 2008-08-20 2010-02-25 PathoLase, Inc. Periodontal laser treatment and laser applicator
US8079109B2 (en) * 2008-09-02 2011-12-20 Sunstar Americas, Inc. Illuminated toothbrush
EP2186434B1 (de) * 2008-11-05 2016-10-12 Braun GmbH Zahnbürste sowie Borste und Bürstenkopf für eine Zahnbürste
AR074602A1 (es) 2008-12-15 2011-01-26 Glaxosmithkline Consumer Healt Una cabeza de cepillo de dientes
US9919168B2 (en) 2009-07-23 2018-03-20 Palomar Medical Technologies, Inc. Method for improvement of cellulite appearance
US20110138559A1 (en) * 2009-12-10 2011-06-16 Ronald Plotka Toothbrush With Multi-Tiered Bristles
EP2420156A1 (de) 2010-08-18 2012-02-22 Trisa Holding AG Zahnbürste mit Borstenbündeln, die Borsten unterschiedlicher Länge aufweisen, und Vorrichtung zum Beborsten einer solchen Zahnbürste
EP2839552A4 (en) 2012-04-18 2015-12-30 Cynosure Inc PICOSCOPE LASER DEVICE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TARGET FABRICS THEREWITH
US9044083B2 (en) 2012-08-15 2015-06-02 Children Oral Care, Llc Illuminated multi-light flashing toothbrush and method of use
EP2973894A2 (en) 2013-03-15 2016-01-20 Cynosure, Inc. Picosecond optical radiation systems and methods of use
CN105708127A (zh) * 2016-02-23 2016-06-29 无锡市兴达尼龙有限公司 球形刷丝及其制造方法
CA3021605A1 (en) 2016-04-20 2017-10-26 Trisa Holding Ag Brush produc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10244857B2 (en) * 2016-08-29 2019-04-02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and filament for the same
USD840696S1 (en) * 2017-04-21 2019-02-19 Ningbo Shunqiziran Crafts Co., Ltd. Hairbrush
USD840694S1 (en) * 2017-07-25 2019-02-19 Jworks Ext. Hair brush
USD839610S1 (en) * 2017-08-09 2019-02-05 Conair Corporation Hair brush bristle
USD839607S1 (en) * 2017-08-09 2019-02-05 Conair Corporation Hair brush
CA3021410C (en) * 2017-10-27 2023-12-12 Sunstar Americas, Inc. Powered toothbrush bristle head
USD838495S1 (en) * 2017-10-30 2019-01-22 J & D Brush Co., Llc Brush
USD846885S1 (en) * 2017-11-21 2019-04-30 Conair Corporation Hair brush
EP3491964A1 (de) * 2017-12-01 2019-06-05 Storch-Ciret Holding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inseln sowie pinsel
USD846888S1 (en) * 2017-12-12 2019-04-30 J & D Brush Co., Llc Brush
USD841339S1 (en) * 2017-12-12 2019-02-26 J & D Brush Co., Llc Brush
USD845644S1 (en) * 2017-12-13 2019-04-16 Tong Fong Brush Factory Co., Ltd. Flexible hairbrush
USD839609S1 (en) * 2017-12-20 2019-02-05 J & D Brush Co., Llc Brush
CN304701695S (ko) * 2017-12-21 2018-06-29
WO2019165426A1 (en) 2018-02-26 2019-08-29 Cynosure, Inc. Q-switched cavity dumped sub-nanosecond laser
USD844332S1 (en) * 2018-03-19 2019-04-02 Don Park Grooming device
US10674808B2 (en) * 2018-03-23 2020-06-09 Colgate-Palmolive Company Oral care implement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CA3043205A1 (en) * 2018-05-21 2019-11-21 Sunstar Americas, Inc. Toothbrush bristle and bristle tuft
EP3586670A1 (en) * 2018-06-28 2020-01-01 Koninklijke Philips N.V. Controllable brush
EP3753448A1 (en) 2019-06-21 2020-12-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a toothbrush head
EP3753446A1 (en) * 2019-06-21 2020-12-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leaning element carrier and toothbrush head comprising it
EP3753445A1 (en) * 2019-06-21 2020-12-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otbrush head and part thereof
EP3753447A1 (en) 2019-06-21 2020-12-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producing a toothbrush head or a part thereof
EP3753449A1 (en) 2019-06-21 2020-12-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ole perforation plate for manufacturing of a toothbrush head and part thereof
USD898377S1 (en) * 2019-08-02 2020-10-13 J & D Brush Co., Llc Brush
KR102567050B1 (ko) * 2020-11-16 2023-08-16 주식회사 포인트산업 칫솔모 가공 방법, 칫솔모 가공 장치 및 칫솔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9318A (en) * 1964-05-15 1966-01-18 Sunbeam Corp Toothbrush
JPS58171024U (ja) * 1982-05-10 1983-11-15 花王株式会社 ヘアブラシ
EP0247224B1 (en) * 1986-05-28 1990-08-08 Kao Corporation Toothbrush
JPS6331640A (ja) * 1986-07-24 1988-02-1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情報処理方法
JP2984426B2 (ja) * 1991-07-10 1999-11-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カバー部品開閉装置
CN1042293C (zh) * 1992-06-22 1999-03-03 狮王株式会社 牙刷
JP3145213B2 (ja) * 1992-11-06 2001-03-12 ライオン株式会社 歯刷子
JP3050485B2 (ja) * 1994-04-15 2000-06-12 大平工業株式会社 歯ブラシ
GB9503706D0 (en) * 1995-02-24 1995-04-12 Lingner & Fischer Gmbh Toothbrus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318B1 (ko) * 2013-04-22 2013-07-17 김태영 자동 양면테이프 접착장치
WO2021010533A1 (ko) * 2019-07-18 2021-01-21 주식회사 리앤코 이노베이션 칫솔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된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707441D1 (de) 2001-11-22
US6088869A (en) 2000-07-18
MY119429A (en) 2005-05-31
ID16892A (id) 1997-11-20
US6044514A (en) 2000-04-04
TW414035U (en) 2000-12-01
CN1218375A (zh) 1999-06-02
DE69707441T2 (de) 2002-07-11
EP0901330A1 (en) 1999-03-17
ID16891A (id) 1997-11-20
EP0900034B1 (en) 2001-10-17
WO1997042854A1 (en) 1997-11-20
TW364841B (en) 1999-07-21
CN1218374A (zh) 1999-06-02
KR20000011029A (ko) 2000-02-25
WO1997042853A1 (en) 1997-11-20
EP0900034A1 (en) 1999-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11030A (ko) 칫솔
JP5685196B2 (ja) 歯ブラシ
FI67659C (fi) Tandborstar
JP5401154B2 (ja) 歯ブラシ及びその製造方法
CN100464667C (zh) 功能性牙刷
JPH08214947A (ja) 歯及び身体の手入れのためのブラシ
JP4397057B2 (ja) 歯ブラシ
JPH1057149A (ja) 歯ブラシ
JPH01501448A (ja) 歯ブラシ
JP4076404B2 (ja) 歯ブラシ
JP3583346B2 (ja) 歯ブラシ
JP2829275B2 (ja) 歯ブラシ
JP2006180973A (ja) 歯ブラシ
JP4173853B2 (ja) 歯ブラシ
JP6207808B2 (ja) 歯ブラシ
JP4530488B2 (ja) 歯ブラシ
JP4656775B2 (ja) 歯ブラシ
JP3585811B2 (ja) 歯ブラシ
JP4688344B2 (ja) 歯ブラシ
JPH026821Y2 (ko)
CN214711112U (zh) 一种具有异形刷毛的刷头及其牙刷
JP2942191B2 (ja) 歯ブラシ
JPH1042958A (ja) 階段状植毛歯ブラシ
JP2001346632A (ja) 歯ブラシ
JP2020198989A (ja) 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