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8744U - 제품의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제품의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8744U
KR20000008744U KR2019980020572U KR19980020572U KR20000008744U KR 20000008744 U KR20000008744 U KR 20000008744U KR 2019980020572 U KR2019980020572 U KR 2019980020572U KR 19980020572 U KR19980020572 U KR 19980020572U KR 20000008744 U KR20000008744 U KR 200000087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upply
molding
discharg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5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걸
Original Assignee
이명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걸 filed Critical 이명걸
Priority to KR20199800205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8744U/ko
Publication of KR200000087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744U/ko

Links

Landscapes

  • Special Convey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급컨베이어에 의해 제품을 이송시켜 올 수 있도록 하고 이송 되어온 제품을 프레스와 같은 성형장치에 공급하여 소정의 공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며 소정의 공정이 완료된 제품 성형장치에서 인출한 후 배출컨베이어에 의해 차기공정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된 제품의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선행공정에서 성형된 제품을 이송공급시켜 온 후 성형프레스 장치에 의해 소정의 공정을 성형 실시한 후 후행공정으로 배출 시켜주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으로 실시하므로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성형공정이 일정시간에 따라 반복적으로 실시되어지도록 하므로 전후 공정을 유기적으로 연계시켜주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주며, 헤드(22)에 부착된 자석(23)에 의해 제품(A)을 성형프레스장치(36)에 공급 인출시키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 할 염려를 없앨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제품의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
본 고안은 스위치박스와 같은 제품을 성형하는데 있어 제품을 자동으로 공급하고 배출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공급컨베이어에 의해 제품을 이송시켜 올 수 있도록 하고 이송 되어온 제품을 프레스와 같은 성형장치에 공급하여 소정의 공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며 소정의 공정이 완료된 제품 성형장치에서 인출한 후 배출컨베이어에 의해 차기공정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된 제품의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제품의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같은 철재의 스위치박스(1)를 성형하는 공정에서 주로 사용된다.
예컨데 스위치박스(1)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스위치박스의 틀을 성형한 후 전후면에 전선공(1-1)이 형성되도록 제거편(1-2)을 프레스 성형한 후 저면에 제거편(1-2)을 성형하며 좌우면에 좌우면에 제거편(1-2)을 프레스 성형하는 공정을 거치게 되는데, 본 고안은 선행공정이 완료된 스위치박스(1)의 저면에 제거편(1-2)을 성형하는 공정에서 유용하게 사용하여 성형을 실시한 후 후행공정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된다.
종래에는 스위치박스(1)와 같은 제품을 성형함에 있어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위적인 방법에 의해 성형을 실시 하였었다.
즉, 선행공정에서 소정의 프레스 성형장치에 의해 스위치박스(1)의 전·후면에 제거편(1-2)을 형성한 후 수납바구니(4)에 넣어주면 작업자(7)는 스위치박스(1)를 수납바구니(3)에서 인출하여 프레스성형기(2)로 저면에 제거편(1-2)을 성형시킨 후 수납바구니(4)에 넣어주며, 차기공정에서는 수납바구니(4)에 넣어진 스위치박스(1)를 인출하여 소정의 프레스 성형장치에 의해 좌·우 양측면에 제거편(1-2)을 성형시켜 주었었다.
이와같이 인위적으로 성형시키는 방법은 작업자가 제품을 파지하여 프레스성형기(2)에 인입시키고 인출시키는 과정을 직접실시 하여야 하기 때문에 안전사고로 인하여 작업자가 신체적으로 손상을 당하게 되는 일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고,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작업능률이 달라지게 되고 전후공정을 유기적으로 연계시킬 수가 없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제품의 성형공정을 자동화하는데 있어 필연적으로 개선하여야만 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된 제품의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선행공정에서 성형 제품을 이송시켜 오고 이송되어온 제품을 성형장치에 공급하여 소정의 공정을 성형시킬 수 있도록 하며 성형된 제품을 인출하여 차기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공정을 자동으로 실시 할 수 있도록 된 제품의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일련의 공정을 자동으로 실시하여 작업자가 신체적으로 손상당하는 것과 같은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이 일정하고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며 전후 공정을 유기적으로 연계시킬 수 있도록 된 제품의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생산서이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품의 성형공정을 자동화 시킬 수 있도록 된 제품의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통상의 성형프레스장치(36)에 있어서,
성형프레스장치(36)의 안치대(36-1)의 내측에 제품감지용 센서(S2)를 구비한 것과, 장치판(11)의 전면일측에는 안치대(36)와 동일선상에 ''형의 슬립평면(13)을 구비하여 슬립평면(13)의 안치면(13-1)과 정지면(13-2)의 양측에 센서(S1)와 가이드(31)가 구비된 공급컨베이어(30) 및 푸셔실린더(28)와 배출컨베이어(35)를 각각 구비하되 상기 공급컨베이어(30)와 배출컨베이어(35)는 서로 대향되고 엇갈리게 구비하며, 정지면(13-2)의 후측으로 헤드(22)에 자석(23)이 구비된 공급인출실린더(20)를 장착하여 헤드(22)가 슬립평면(13)을 따라 전후진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10)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되어 있으므로, 공급컨베이어(30)에 의해 공급되는 제품(A)이 슬립평면(13)에 안치되면 센서(S1)가 제품(A)을 감지하여 공급인출실린더(20)를 작동시켜 헤드(22)로서 제품(A)을 성형프레스장치(36)의 안치대(36-1)에 안치시켜 주고, 센서(S2)가 이를 감지하여 성형프레스장치(36)를 작동시켜 제품(A)에 소정의 성형을 실시하여 주며, 성형이 완료된 후 공급인출실린더(20)가 역으로 작동하여 헤드(22)를 회수시키면 헤드(22)에는 자석(23)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제품(A)은 헤드(22)에 부착된 상태로 이동하여 정지면(13-2)에 도달하게 되고 푸셔실린더(28)가 작동하여 푸셔(29)로서 정지면(13-2)에 있는 제품(A)을 푸싱하여 배출컨베이어(35)로 전이시켜서 차기 공정으로 이송되어지도록 하여 준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제품자동공급 및 배출장치의 사시도
도 2a, b, c, d도는 본 고안에 따른 제품자동공급 및 배출장치의 작동관계 설명도
도 3은 종래의 작업공정을 보인 예시도
도 4a 및 도 4b는 도 3의 작업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제품의 정단면도 및 평 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 : 스위치박스 10 : 제품의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
11 : 장치판 12 : 가이드유도부
13 : 슬립평면 14 : 스톱블럭
15 : 지지블럭 20 : 공급인출실린더
22 : 헤드 23 : 자석
24 : 전방지지대 25 : 후방지지대
26 : 가이드지지봉 28 : 푸셔실린더
29 : 푸셔 30 : 공급컨베이어
31 : 가이드 32 : 인입유도롤러
33 : 공급유도롤러 34 : 스톱퍼
35 : 배출컨베이어 36 : 성형프레스장치
36-1 : 안치대 S1, S2: 센서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품의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10)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로서,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a, b, c, d도는 작동관계 설명도이다.
장치틀(11-1)에 의해 지지되는 장치판(11)의 전면 일측에 ''형으로된 슬립평면(13)을 고정시키되 정지면(13-2)을 장치판(11)에 고정시켜 주었다.
상기 슬립평면(13)에서 안치면(13-1)의 일측편에 스톱블럭(14)을 고정시켜 공급되는 제품(A)이 이탈되지 못하도록하여 타측편은 개방형으로하여 통상의 벨트컨베이어로 되는 공급컨베이어(30)를 구비하되 공급컨베이어(30)의 상면에는 가이드(31)를 구비하여 제품(A)을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전후 양단에는인입유도롤러(32)와 공급유도롤러(33)를 각각 굴대설치하여 제품(A)이 용이하게 안치면(13-1)사이에 스톱퍼(34)를 구비하여 안치면(13-1)으로 전이되어지는 제품(A)을 단속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스톱블럭(14)에 센서(S1)를 구비하여 안치면(13-1)에 상기 안치면(13-1)의 전방에 성형프레스장치(36)를 구비하되 안치대(36-1)를 안치면(13-1)과 일치시켜 제품(A)을 용이하게 삽입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안치대(36-1)의 내측에 센서(S2)를 구비하여 제품(A)이 센싱되었을 때 성형프레스장치(36)가 작동되도록 하였다.
상기 슬립평면(13)에서 정지면(13-2)의 양측으로 푸셔실린더(28)와 통상의 벨트컨베이어로 되는 배출컨베이어(35)를 구비하되 푸셔실린더(28)는 지지대(28-1)에 의해 장치판(11)에 고정시키고 로드에 푸셔(29)를 구비하였고 배출컨베이어(35)를 대신하여 배출슬라이더를 경사지게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정지면(13-2)의 후측으로는 공급인출실린더(20)를 구비하였다.
전방지지대(24)와 후방지지대(25)에 의해 공급인출실린더(20)를 고정시키되 헤드(22)의 전면에는 자석(23)를 구비하였으며, 전방지지대(24)의 배면에 가이드지지봉(26)을 고정시키고 헤드(22)의 배면에는 상기 가이드지지봉(26)에 삽입되는 가이드봉(27)을 고정시켜서 헤드(22)가 로드(21)와 함께 전후진될 때 가이드봉(27)이 가이드지지봉(26)에 삽입된 상태로 작동되도록 하여 헤드(22)의 흔들림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이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스위치박스(1)와 가튼 제품(A)을 성형시키고자 할 때에,
선행공정에서 소정부위가 성형된 제품(A)이 공급컨베이어(30)로 공급된다.
선행공정에서 공급되는 제품(A)은 인입유도롤러(32)를 통하여 가이드(31)의 내측으로 유입되어지고 벨트컨베이어의 작동에 의해 가이드(31)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스톱퍼(34)가 상승된 상태일 때 제품(A)은 공급유도롤러(33)에서 슬립평면(13)의 안치면(13-1)으로 이송되어지지 못하게 되고 스톱퍼(34)가 하향된 상태일 때는 안치면(13-1)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제품(A)이 센서(S1)에 센싱되어지면 스톱퍼(34)가 작동하여 후행하는 제품(A)의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치면(13-1)에 제품(A)이 안치되어 센서(S1)에 센싱되어지면 공급인출실린더(20)가 작동하여 헤드(22)를 전진시키게 되고 헤드(22)가 전진하게 되면 자석(23)에 의해 제품(A)이 헤드(22)에 접착된 상태에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같이 성형프레스장치(36)의 안치대(36-1)에 제품(A)을 안치시켜준다. 제품(A)이 안치대(36-1)에 안치되면 센서(S2)가 안치된 제품(A)을 센싱하게 되고, 성형프레스장치(36)는 작동하여 제품(A)의 바닥면에 스위치박스(1)의 제어편과 같은 성형을 하여주며, 성형이 완료된 후 공급인출실린더(20)가 역으로 작동하여 헤드(22)를 회수하게 되고 헤드(22)에는 자석(23)이 구비되어있으므로 제품(A)이 자석(23)에 의해 헤드(22)에 붙착된 상태로 슬림평면(13)의 위를 슬립 이동하여 도 2c에 도시된 바와같이 정지면(13-2)에 정지하게 된다.
제품(A)이 정지면(13-2)에 정지된 상태에서 푸셔실린더(28)가 작동하여 푸셔(29)에 의해 제품(A)은 배출컨베이어(35)측으로 전이시켜 주며, 제품(A)은 배출컨베이어(35)에 의해 차기공정으로 이송되어진다. 이때 푸셔실린더(28)는 역으로 작동하여 푸셔(29)를 복귀시키게 되고 동시에 스톱퍼(34)가 작동하여 개방시켜주므로 공급컨베이어(30)에서 하나의 제품(A)이 공급유도롤러(33)를 통과하여 안치면(13-1)에 안치되며, 스톱퍼(34)가 역으로 작동하여 제품(A)의 공급을 차단시키게 되나. 이 후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이 반복실시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실시되면서 제품(A)에 소정의 성형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선행공정에서 성형된 제품을 이송공급시켜 온 후 성형프레스 장치에 의해 소정의 공정을 성형 실시한 후 후행공정으로 배출 시켜주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으로 실시하므로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성형공정이 일정시간에 따라 반복적으로 실시되어지도록 하므로 전후 공정을 유기적으로 연계시켜주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주며, 헤드(22)에 부착된 자석(23)에 의해 제품(A)을 성형프레스장치(36)에 공급 인출시키기 때문에 안전사고가 발생 할 염려를 없앨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Claims (1)

  1. 통상의 성형프레스장치(36)에 있어서,
    성형프레스장치(36)의 안치대(36-1)의 내측에 제품감지용 센서(S2)를 구비한 것과, 장치판(11)의 전면일측에는 안치대(36-1)와 동일선상에 ''형의 슬립평면(13)을 구비하여 슬립평면(13)의 안치면(13-1)과 정지면(13-2)의 양측에 센서(S1)와 가이드(31)가 구비된 공급컨베이어(30) 및 푸셔실린더(28)와 배출컨베이어(35)를 각각 구비하되 상기 공급컨베이어(30)와 배출컨베이어(35)는 서로 대향되고 엇갈리게 구비하며, 정지면(13-2)의 후측으로 헤드(22)에 자석(23)이 구비된 공급인출실린더(20)를 장착하여 헤드(22)가 슬립평면(13)을 따라 전후진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의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
KR2019980020572U 1998-10-27 1998-10-27 제품의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 KR200000087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572U KR20000008744U (ko) 1998-10-27 1998-10-27 제품의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572U KR20000008744U (ko) 1998-10-27 1998-10-27 제품의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744U true KR20000008744U (ko) 2000-05-25

Family

ID=69522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572U KR20000008744U (ko) 1998-10-27 1998-10-27 제품의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8744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359B1 (ko) * 2019-04-22 2020-09-25 김귀옥 스틱형 화장품케이스의 성형장치
KR102279009B1 (ko) * 2021-01-22 2021-07-19 김창모 바이알 자동 로딩 및 언로딩 장치
KR20220120296A (ko) 2021-02-23 2022-08-30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컨베이어벨트 부품 배출 안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359B1 (ko) * 2019-04-22 2020-09-25 김귀옥 스틱형 화장품케이스의 성형장치
KR102279009B1 (ko) * 2021-01-22 2021-07-19 김창모 바이알 자동 로딩 및 언로딩 장치
KR20220120296A (ko) 2021-02-23 2022-08-30 주식회사 디엔솔루션즈 컨베이어벨트 부품 배출 안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979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dies in thermoforming presses
US6340282B1 (en) Handling device for feeding and/or removing workpieces
EP0205231B1 (en) An automatic cutting apparatus for extrusion molded bodies
ATE361163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zuführen von stabförmigen metallprofilen in profilbearbeitungsmaschinen
BG99871A (bg) Мет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за производство на кухи изделия,по-специало на пластмасови заготовки
KR20000008744U (ko) 제품의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
CN212350382U (zh) 螺栓自动车削系统
KR101261600B1 (ko) 반도체 패키지 리드 프레임 매거진의 자동 공급 및 회수 장치
CN213151854U (zh) 全自动电机绕线骨架插针机
JP2007045554A (ja) ワークの自動掛け降し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使用したワークの自動掛け降し装置
KR100284757B1 (ko) 자동태핑장치
CN108556252B (zh) 一种多色注塑机
JP2002273539A (ja) アプセッティング鍛造プレス装置
CN205588443U (zh) 脱模机
KR101683173B1 (ko) 성형물 자동 탈거 및 인출장치
CN217414768U (zh) 一种用于密封圈生产的超声波脱圈装置
CN219378032U (zh) 一种汽车侧门锁自动化生产线视觉检测设备
CN215090203U (zh) 一种新型可抽拉的模具
KR102609028B1 (ko) 잉곳 자동 공급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832634B2 (ja) ブロー成形方法
CN215035790U (zh) 一种新型自动送料装置
JP3106383B2 (ja) キャリアバーからの形材リリース装置および方法
CN217296189U (zh) 异形活块自动传输系统
KR100202907B1 (ko) 컬러수상관의 테이프래핑장치용 테이프카세트교환장치
JP3638991B2 (ja) 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