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7062U - 승용차용 에어 매트 - Google Patents

승용차용 에어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7062U
KR20000007062U KR2019980018397U KR19980018397U KR20000007062U KR 20000007062 U KR20000007062 U KR 20000007062U KR 2019980018397 U KR2019980018397 U KR 2019980018397U KR 19980018397 U KR19980018397 U KR 19980018397U KR 20000007062 U KR20000007062 U KR 2000000706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mat
air
driver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3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흥재
Original Assignee
장흥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흥재 filed Critical 장흥재
Priority to KR20199800183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7062U/ko
Publication of KR2000000706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062U/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운전석, 조수석, 또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등받이를 뒤로 완전히 제끼고 누워 차내 휴식이나 수면을 취할 때에 보다 안락하고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승용차용 에어 매트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의 대부분은 앞좌석의 등받이를 뒤로 완전히 제끼더라도 앞 뒤 좌석이 평탄하지가 않아서 등받이를 제끼고 누웠을 적에는 그 돌출부분이 등에 베겨서 도리어 불편하다.
이런 불편은 특히 앞좌석 등받이를 완전히 제끼더라도 그 상단이 뒷좌석 좌판 위에 얹혀 단을 이루는 승용차에서 심했다.
본 고안은 앞좌석 등받이가 뒷좌석 좌판과 나란히 제껴지거나 또는 뒷좌석 좌판과는 단차가 생기게 제껴지는 승용차를 불문하고 앞좌석 등받이를 뒤로 제낀 상태에서 편안한 휴식,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에어 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기주입구(6)와 선단 중앙에 변속레버를 비껴 가는 공간부(24) 및 폭을 절반으로 분할하여 양쪽에 운전석 매트부(22)와 조수석 매트부(21)를 구비한 매트(2)와; 매트(2)의 상면 후단에 부착한 공기주입구(6)를 가진 베개(3)와; 매트(2)의 선단에 부착한 공기주입구(6)를 가진 받침(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승용차용 에어 매트
본 고안은 운전석, 조수석, 또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등받이를 뒤로 완전히 제끼고 누워 차내 휴식이나 수면을 취할 때에 보다 안락하고 평안한 휴식,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 승용차용 에어 매트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의 대부분은 앞좌석의 등받이를 뒤로 완전히 제끼더라도 앞 뒤 좌석이 평탄하지가 않다.
개중에는 머리받이를 떼내고 앞좌석을 앞으로 최대한 옮긴 다음에 앞좌석의 등받이를 뒤로 완전히 제끼면 앞좌석의 등받이 상단이 뒷좌석의 좌판 앞에 놓임 으로써 평탄하게 보이는 승용차도 물론 있지만 매트처럼 평탄하게 되지는 않는다.
일반 승용차의 앞좌석 등받이는 운전할 때 혹은 조수석에 앉았을 때에 안락한 착석감을 주기 위하여 앞좌석 등받이의 양측 가장자리를 앞쪽으로 약간 튀어 나오게 되어 있는데, 앞자석에 착석한 상태에서는 편안하게 느껴지지만 등받이를 제끼고 누웠을 적에는 그 돌출부분이 등에 베겨서 도리어 불편하다.
어째든 앞좌석의 등받이가 뒷좌석의 바닥과 나란하게 되든 그렇지 않든 간에 앞좌석 등받이를 완전히 뒤로 제끼고 누우면 어딘지 모르게 불편했던 것 하나만은 분명한 사실이다.
야외 나들이에서나 장거리 운행길에서, 혹은 야간 낚시를 하다가 잠시 눈을 붙이려고 앞좌석 등받이를 뒤로 제끼고 누워도 쉬이 깊은 잠에 빠져들지 못하고 잠이 들었다가도 잠결에 몸을 뒤척이다가 언뜻 잠에서 깬다든지 잠에서 깬 후의 몸이 찌뿌듯하게 느껴지는 것은 모두 앞좌석 등받이의 구조적 불편 때문이다.
이런 불편은 특히 앞좌석 등받이를 완전히 제끼더라도 그 상단이 뒷좌석 좌판 위에 얹혀 단을 이루는 승용차에서 심했다.
본 고안은 앞좌석 등받이가 뒷좌석 좌판과 나란히 제껴지거나 또는 뒷좌석 좌판과는 단차가 생기게 제껴지는 승용차를 불문하고 앞좌석 등받이를 뒤로 제낀 상태에서 편안한 휴식, 수면을 취할 수 있는 에어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공기주입구와 선단 중앙에 변속레버를 비껴가도록 된 공간부를 가진 매트로 하고, 매트의 상면 후단에는 공기주입구를 가진 베개를 재치하며, 매트의 선단에는 공기주입구가 딸린 받침을 부착한다.
또한, 상기 매트는 폭을 절반으로 분할하여 한쪽은 운전석 매트부로 하고 나머지 반쪽은 조수석 매트부로 구성한 승용차용 에어 매트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승용차용 에어 매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에어 매트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승용차용 에어 매트 2 : 매트
3 : 베개 4 : 받침
5 : 연결편 6 : 공기주입구
21,22 : 매트부 23 : 접음선
24 : 공간부
도 1에서, 본 고안에 의한 승용차용 에어 매트(1)는 매트(2)와 베개(3) 및 받침(4)으로 구성되어 있다.
매트(2)는 승용차의 실내장, 즉 운전석 앞 공간에서 뒷좌석 등받이에 이르는 차내 길이에 버금가고 폭도 실내폭에 버금갈 정도의 규모로 한다.
매트(2)는 2 부분으로 구분한다.
즉, 폭을 절반으로 분할하여 한쪽은 운전석 매트부(22)로 하고 나머지 반쪽은 조수석 매트부(21)로 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각 매트부(21)(22)의 경계에는 마땅히 접음선(23)을 부여한다.
이처럼 매트(2)를 양분하는 이유는 1인이 차내 휴식을 취할 경우와 2인이 차내 휴식을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1인이 차내 휴식을 취할 시에는 불필요한 나머지 반쪽 매트부(22) 또는 (21)는 공기를 넣지 않은 채 접음선(23)을 따라 공기가 주입된 매트부(21) 또는 (22)의 밑으로 접어 둔다.
매트부(21)(22)의 접음선(23) 앞단에는 U형 공간부(24)로 남겨 둔다.
이 공간부(24)는 변속레버를 비껴나게 함으로써 앞, 뒤 좌석 위에 에어 매트(1)를 놓았을 때 변속레버에 에어 매트(1)의 중앙 선단부가 들떠 겪을 불편을 덜기 위해 주어진 것이다.
베개(3)는 매트부(21)(22)의 상면 후단에 거치하는데, 매트부(21)(22)를 일체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고, 또는 매트부(21)(22)와는 별개로 제작하여 벨크로 파스너 등의 결착구로 고정시킬 수도 있다.
받침(4)은 상기 매트부(21)(22)의 선단에 부착한다.
받침(4)은 앞좌석 좌판의 앞쪽으로 들뜬 매트부(21)(22)의 선단을 떠받쳐 처지지 않게 하는 것인데, 매트부(21)(22)에서 연장된 연결편(5)에 의해 서로 연결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의 연결편(5)은 받침(4)을 매트부(21)(22)의 선단 밑으로 내려서 안전 하게 떠받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매트부(21)(22)와 나란하게 펴서 매트의 기장을 늘리는 효과도 곁들이면 더할 나위가 없다.
그래서 연결편(5)은 매트부(21)(22)의 상면과 나란히 붙이되 매트부(21)(22)의 선단면의 두께만한 길이로 하여 밑을 받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하고, 연결부(5)를 매트부(21)(22)의 저면에 바짝 붙일 경우에는 반듯하게 펼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한것이다.
매트(2)와 베개(3) 및 받침(4)에는 각기 별도의 공기주입구(6)를 구비한다.
도 2에서, 앞좌석의 머리받침을 제거한 상태로 앞쪽으로 밀쳐놓고 그 등받이(7)는 뒤로 완전히 제낀다.
이때, 공간부(24)는 변속레버(8)를 비껴가게 한다.
등받이(7)가 뒤로 제껴진 앞좌석 위에 매트(2)를 깔고 공기주입구(6)를 통하여 공기를 가득 채운다.
공기로 가득찬 받침(4)은 매트부(21)(22) 밑으로 내려서 받친다.
만약, 1인용으로 사용하려면 어느 한쪽 매트부(22) 또는 (21)과 받침(4), 베개(3)중 사용하지 않는 쪽은 공기를 주입하지 않는다.
그리고, 공기가 주입되지 아니한 매트부(22) 또는 (21)은 점음선(23)을 따라 접어서 공기가 주입된 매트부(21) 또는 (22)의 밑으로 접어서 넣거나 펼친 채로 놔둔다.
이렇게 하면 단순히 앞좌석 등받이를 뒤로 제꼈을 때 보다도 훨씬 평탄하여 베기지 않고 쿠션감도 풍부한 휴식처로 변화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승용차용 에어 매트는 등받이를 뒤로 제꼈을 때 등받이와 뒷좌석 좌판과의 사이에 단차가 생기더라도 차내 휴식처를 보다 안락한 분위기로 전환시켜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가 있는 효과를 갖게 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공기주입구(6)와 선단 중앙에 변속레버를 비껴 가는 공간부(24) 및 폭을 절반으로 분할하여 양쪽에 운전석 매트부(22)와 조수석 매트부(21)를 구비한 매트(2)와; 매트(2)의 상면 후단에 부착한 공기주입구(6)를 가진 베개(3)와; 매트(2)의 선단에 부착한 공기주입구(6)를 가진 받침(4)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용 에어 매트.
KR2019980018397U 1998-09-25 1998-09-25 승용차용 에어 매트 KR2000000706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397U KR20000007062U (ko) 1998-09-25 1998-09-25 승용차용 에어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397U KR20000007062U (ko) 1998-09-25 1998-09-25 승용차용 에어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062U true KR20000007062U (ko) 2000-04-25

Family

ID=69516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397U KR20000007062U (ko) 1998-09-25 1998-09-25 승용차용 에어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7062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613164A (en) Child seat for a motor vehicle
US4558902A (en) Travel seat
JP2004131044A (ja) 自動車用フロントシート組立体
KR20000007062U (ko) 승용차용 에어 매트
KR101125784B1 (ko) 발판이 구비된 자동차용 테이블
KR20210002354U (ko) 차량용 보조 헤드레스트
KR200324008Y1 (ko) 간이침대 겸용 자동차 시트
CN212195176U (zh) 一种折叠式汽车后排座椅及包含其的房车
CN2445976Y (zh) 一种交通工具上的高靠座椅
KR960007636Y1 (ko) 머리받침용 리어 시트백
JPH10305744A (ja) 分割状に着脱できる背もたれを設けた自動車用シート
KR200145887Y1 (ko) 자동차시트용 아암레스트의 높이조절장치
KR0137061Y1 (ko) 자동차의 앞좌석 탑승자 발받침 장치
KR200291452Y1 (ko) 차량의자용 등쿠션
CN113954709A (zh) 具有能变为床的座椅的汽车
KR970002186Y1 (ko) 리어 시트
KR200293885Y1 (ko) 휴대용 간이 베개
KR890004557Y1 (ko) 자동차용 의자머리 받이
JPH0228099Y2 (ko)
KR0128837Y1 (ko) 자동차의 앞좌석 탑승자 발받침 장치
KR19990017400A (ko) 좌석의 머리지지장치
JP3036514U (ja) 雑誌を利用した携帯用枕
KR0162557B1 (ko) 자동차의 간이 침대 장치
KR200425623Y1 (ko) 차량용 시트
JPH011989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