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6779U - 코일카의 크래들롤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코일카의 크래들롤 고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06779U KR20000006779U KR2019980018024U KR19980018024U KR20000006779U KR 20000006779 U KR20000006779 U KR 20000006779U KR 2019980018024 U KR2019980018024 U KR 2019980018024U KR 19980018024 U KR19980018024 U KR 19980018024U KR 20000006779 U KR20000006779 U KR 20000006779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il
- horizontal
- vertical
- contact
- bar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Winding, Rewinding, Material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코일카의 크래들롤을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코일(2)의 하부외주면이 접해지는 접촉판(13)을 상단부에 장착한 수직바(11)를 갖추고, 상기 수직바(11)에는 제 1스프링(16)이 조립되어 중공형의 수직본체(12)내에 삽입되며, 상기 제 1스프링(16)은 상기 수직바(11)의 걸림턱(11a)과 수직본체(12)의 걸림턱(12a)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바(11)의 하단부에는 'V'자형 단면구조의 접촉면(14)을 갖추어 코일적재시 수직작동되는 작동부(10);와, 상기 수직본체(12)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홀더(15)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몸체(8)의 상부면에 좌우대칭으로 각각 고정설치되는 중공형의 수평본체(21)를 갖추며, 상기 각 수평본체(21)내로 삽입되는 각 수평바(22)에는 제 2스프링(23)을 갖추고, 상기 제 2스프링(23)은 상기 수평본체(21)의 걸림턱(21a)과 상기 수평바(22)의 걸림턱(22a)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수평바(22)의 각 일측단부에는 상기 크래들롤(7)의 외주면과 접하는 접촉판(23)을 갖추고, 서로 마주하는 각 타단부에는 상기 수직바(11)의 접촉면(14)과 밀착되는 경사면(24)을 갖추는 한편, 상기 경사면(24)에 복수개의 볼부재(25)를 갖추어 코일적재시 수평작동되는 고정부(20);를 포함하는 코일카의 크래들롤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코일카(coil car)의 크래들롤(cradle roll)을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권취완료된 코일을 운반하는 코일카상에 올려진 코일이 운반도중 회전되지않도록 크래들롤을 고정하여 코일테일(coil tail)부의 위치변경을 방지하고, 안전이송이 가능한 코일카의 크래들롤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코일카의 크래들롤을 고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권취완료된 코일을 운반하는 코일카에 올려진 코일이 운반도중 회전되지않도록 복수개의 크래들롤을 고정하여 코일제품손상을 방지하고, 코일테일부의 위치변경을 방지할수 있는 코일카의 크래들롤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의 열연설비에서 생산되는 강판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권취기(3)로서 두루마리형태의 코일(2)로 권취되고, 상하,전후진이동가능한 코일카(4)에 올려져 업엔더(up-ender)(5)까지 이동된 다음, 콘베어벨트(6)로 옮겨져 후공정으로 이송된다.
이러한 코일(2)을 운반하는 설비중 상기 코일카(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권취완료된 코일(2)을 업앤더(5)까지 운반하는 설비로서, 복수개의 크래들롤(7)과, 복수개의 휠(8a)을 장착한 몸체(8)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크래들롤(7)은 올려진 코일(2)의 테일부 위치를 수정하기 위하여 상기 코일(2)을 회전할수 있도록 아이들구동된다.
그러나, 상기 코일카(4)에 코일(2)을 싣고 업엔더(5)까지의 이동운반시 아이들구동되는 상기 크레들롤(7)들이 올려진 코일(2)의 형상불량 및 테일부위치불량에 기인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코일(2)의 테일부 위치를 변경시키기 때문에, 운반도중 돌출된 코일테일부가 주변설비와 간섭될 우려가 있고, 이를 처리하기 위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근접밴딩작업시 작업상태가 불량하여 후공정에서 재작업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그 목적은, 권취완료된 코일을 코일카로서 운반할 때 코일적재와 동시에 크래들롤의 아이들구동을 정지시켜 코일테일부의 위치가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코일카의 크래들롤 고정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코일을 이송하는 작업을 도시한 작업상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코일카를 도시한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코일카의 크래들롤 고정장치를 도시시한 전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코일카의 크래들롤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작동부의 사시도,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코일카의 크래들롤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고정부의 사시도,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코일카의 크래들롤 고정장치의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코일 7 ....... 크래들롤
10 ...... 작동부 11 ...... 수직바
12 ...... 수직본체 13, 23 ..... 접촉판
14 ...... 접촉면 16 ...... 제 1스프링
20 ...... 고정부 21 ...... 수평바
22 ...... 수평본체 24 ...... 경사면
25 ...... 볼부재 26 ...... 제 2스프링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복수개의 크래들롤과 몸체를 갖추어 권취완료된 코일을 운반하는 코일카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하부외주면이 접해지는 접촉판을 상단부에 장착한 수직바를 갖추고, 상기 수직바에는 제 1스프링이 조립되어 중공형의 수직본체내에 삽입되며, 상기 제 1스프링은 상기 수직바의 걸림턱과 수직본체의 걸림턱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바의 하단부에는 'V'자형 단면구조의 접촉면을 갖추어 코일적재시 수직작동되는 작동부;와,
상기 수직본체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홀더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좌우대칭으로 각각 고정설치되는 중공형의 수평본체를 갖추며, 상기 각 수평본체내로 삽입되는 각 수평바에는 제 2스프링을 갖추고, 상기 제 2스프링은 상기 수평본체의 걸림턱과 상기 수평바의 걸림턱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수평바의 각 일측단부에는 상기 크래들롤의 외주면과 접하는 접촉판을 갖추고, 서로 마주하는 각 타단부에는 상기 수직바의 접촉면과 밀착되는 경사면을 갖추는 한편, 상기 경사면에 복수개의 볼부재를 갖추어 코일적재시 수평작동되는 고정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카의 크래들롤 고정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코일카의 크래들롤 고정장치를 도시한 전체구성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코일카의 크래들롤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작동부의 사시도,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코일카의 크래들롤 고정장치를 구성하는 고정부의 사시도,종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코일카의 크래들롤 고정장치의 작업상태도이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코일카의 크래들롤 고정장치(1)는 도 3 내지 6에 도시한 바와같이, 권취완료된 코일(2)을 적재하여 운반하는 코일카(4)의 몸체(8)상부면에 갖추어져 상기 코일(2)와 면접되는 복수개의 크래들롤(7)을 고정시켜 아이들구동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장치(1)는 작동부(10)와 고정부(20)로 이루어져 있다.
즉, 올려지는 코일(2)의 자체무게에 의해서 수직방향으로 동작되는 작동부(10)는 도 3과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일정길이의 수직바(11)와, 후술하는 수평본체(21)와 일체로 연결되는 중공형의 수직본체(12)로 구성되는바, 상기 수직바(11)의 상단부에는 적재되는 상기 코일(2)의 하부외주면과 밀착되어 자중이 전달되도록 반원형의 접촉판(13)을 장착하고, 하단부에는 'V'자형 단면구조를 갖는 접촉면(14)을 각각 경사지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본체(12)에 수직하게 삽입되는 일정길이의 상기 수직바(11)에는 일정 탄성복원력을 갖는 제 1스프링(16)이 조립되고, 상기 제 1스프링(16)은 상기 수직바(11)의 외부면에 형성된 걸림턱(11a)과 상기 수직본체(12)의 내부면에 형성된 걸림턱(12a)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수직본체(12)로 부터의 외부이탈없이 상기 코일(2)적재시 하강작동되는 수직바(11)를 코일(2)이재시 상승시켜 원위치시키는 복원력을 발휘한다.
한편, 상기 수직바(11)의 하강작동시 좌우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동작되어 크래들롤(7)의 아이들구동을 강제로 정지시키는 고정부(20)는 도 3과 5에 도시한 바와같이, 마주하는 크래들롤(7)사이에 좌우대칭으로 각각 고정설치되는 한쌍의 수평본체(21)와, 이에 삽입되는 일정길이의 수평바(22)로 구성되는바, 이러한 중공형의 수평본체(21)는 상기 수직본체(12)의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어 하방으로 굴국된 홀더(15)의 하단과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코일카(4)의 몸체(8)상부면에 각각 고정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각 수평본체(21)내에 좌우 수평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상기 각 수평바(22)의 일측단부에는 대응하는 크래들롤(7)의 일측외주면에 밀착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키도록 반원형의 접촉판(23)을 갖추고, 타측단부에는 코일(2)적재시 하강작동되는 상기 수직바(11) 하단부의 접촉면(14)과 접하여 올려진 코일(2)의 자체무게가 전달되는 경사면(24)을 각각 갖추는 한편, 상기 각 경사면(24)에는 접해지는 상기 수직바(11)의 접촉면(14)이 원할하게 미끄러져 상기 수평바의 좌우 수평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복수개의 볼부재(25)를 각각 삽입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각 수평바(22)에는 상기와 수직바(11)와 마찬가지로 일정 탄성복원력을 갖는 제 2스프링(26)을 각각 갖추며, 상기 제 2스프링(26)은 상기 수평본체(21)의 내부면에 형성된 걸림턱(21a)과 상기 수평바(22)의 외부면에 형성된 걸림턱(22a)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수평본체(21)로 부터의 외부이탈없이 상기 코일적재시 좌우양측으로 수평이동하는 상기 각 수평바(22)를 코일이재시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발휘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바(11)와 수평바(22)는 코일적재,이재에 따른 수직,수평방향으로의 이동시 상기 수직, 수평본체(12),(21)내에서 자체회전이 곤란하도록 사각단면구조를 갖는 각부재로 갖추어지는 것이 바람직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코일카의 크래들롤 고정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코일카의 크래들롤 고정장치(1)를 이용하여 코일카(4)의 이송동안 코일(2)과 접하는 크래들롤(7)의 아이들구동을 정지시키고자 하는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먼저, 권취완려된 코일(2)을 크레인장치(미도시)로서 들어서 이송설비인 코일카(4)의 직상부로 옮긴 다음, 상기 코일카(4)의 몸체(8)상으로 적재시키면, 상기 코일은 크래들롤(7)과 접하기 전에 수직본체(12)에 조립된 수직바(11)의 접촉판(13)상에 올려지기 때문에, 적재되는 상기 코일(2)의 자체무게가 상기 수직바(11)로 직접 전달되어 상기 수직바(11)는 상기 수직본체(12)내에 조립된 제 1스프링(16)을 강제로 압축시키면서 하강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바(11)는 코일적재에 의한 완전하강시 하단부가 몸체(8) 상부면에 접하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갖추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하강되는 상기 수직바(11)의 하단부인 'V'자형의 접촉면(14)과, 서로 마주하는 크래들롤(7)사이에 마련된 각 수평바(22)의 경사면(24)이 서로 접해지고, 상기 수직바(11)의 하강작동이 더욱 진행되면, 상기 각 수평바(22)는 수평본체(21)내에 조립된 제 2스프링(26)을 강제로 압축시키면서 좌우양측 수평방향으로 벌어진다.
이러한 경우, 초기에 상기 크래들롤(7)과 이격상태로 있던 상기 각 수평바(22)의 접촉판(23)과 일측 크래들롤(7)의 외부면이 서로 접촉되어 마찰력을 발생시킴에 따라, 상기 코일카의 이송도중 상기 크래들롤(7)의 불필요한 회전을 정지시켜 올려진 코일테일부의 변경을 방지할수 있고, 밴딩되지 않은 테일부와 주변설비의 간섭염려없이 상기 코일카(4)을 목적인 업엔더(5)까지 안전하게 이송시킬수 있는 것이다.
한편, 안전하게 이송된 상기 코일(2)이 코일카(4)로부터 이재되어 상기 수직바(11)의 상단부에 가해지던 코일자체무게에 의한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수직바(11)는 코일적재시 압축되었던 제 1스프링(16)이 자유로워지기 때문에, 자유로워진 상기 제 1스프링(1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원위치로 상승작동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수직바(11)의 접촉면(14)과 접하여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였던 각 수평바(22)도 압축되었던 제 2스프링(2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원위치로 이동되어 후속작업을 위해서 상기 수직바(11)와 수평바(22)는 초기상태로 신속하게 복귀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코일(2)의 자체무게만으로 하강되는 작동부(10)의 수직바(11)와, 연속적으로 외력을 전달받아 좌우로 수평이동되는 수평바(22)의 접촉판(23)에 의해서 코일(2)의 외부면과 일부 접해지는 복수개의 크래들롤(7)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기 때문에, 코일카(4)의 이송도중 발생하던 코일테일부의 위치변경을 방지하고, 코일이송작업을 작업지연없이 원할하게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밴딩작업불량에 의한 후공정에서의 재작업을 방지하여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1)
- 복수개의 크래들롤(7)과 몸체(8)를 갖추어 권취완료된 코일(2)을 운반하는 코일카에 있어서,상기 코일(2)의 하부외주면이 접해지는 접촉판(13)을 상단부에 장착한 수직바(11)를 갖추고, 상기 수직바(11)에는 제 1스프링(16)이 조립되어 중공형의 수직본체(12)내에 삽입되며, 상기 제 1스프링(16)은 상기 수직바(11)의 걸림턱(11a)과 수직본체(12)의 걸림턱(12a)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바(11)의 하단부에는 'V'자형 단면구조의 접촉면(14)을 갖추어 코일적재시 수직작동되는 작동부(10);와,상기 수직본체(12)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된 홀더(15)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몸체(8)의 상부면에 좌우대칭으로 각각 고정설치되는 중공형의 수평본체(21)를 갖추며, 상기 각 수평본체(21)내로 삽입되는 각 수평바(22)에는 제 2스프링(23)을 갖추고, 상기 제 2스프링(23)은 상기 수평본체(21)의 걸림턱(21a)과 상기 수평바(22)의 걸림턱(22a)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수평바(22)의 각 일측단부에는 상기 크래들롤(7)의 외주면과 접하는 접촉판(23)을 갖추고, 서로 마주하는 각 타단부에는 상기 수직바(11)의 접촉면(14)과 밀착되는 경사면(24)을 갖추는 한편, 상기 경사면(24)에 복수개의 볼부재(25)를 갖추어 코일적재시 수평작동되는 고정부(2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카의 크래들롤 고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8024U KR200285933Y1 (ko) | 1998-09-21 | 1998-09-21 | 코일카의 크래들롤 고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80018024U KR200285933Y1 (ko) | 1998-09-21 | 1998-09-21 | 코일카의 크래들롤 고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06779U true KR20000006779U (ko) | 2000-04-25 |
KR200285933Y1 KR200285933Y1 (ko) | 2002-11-18 |
Family
ID=695211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80018024U KR200285933Y1 (ko) | 1998-09-21 | 1998-09-21 | 코일카의 크래들롤 고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285933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7334B1 (ko) * | 2001-09-25 | 2008-01-22 | 주식회사 포스코 | 코일 받침점이 가변되는 코일카 |
KR100803984B1 (ko) * | 2001-10-19 | 2008-02-15 | 주식회사 포스코 | 코일카의 크레들롤 고정장치 |
KR101251491B1 (ko) * | 2007-10-19 | 2013-04-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강판 코일 적재장치 |
-
1998
- 1998-09-21 KR KR2019980018024U patent/KR20028593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7334B1 (ko) * | 2001-09-25 | 2008-01-22 | 주식회사 포스코 | 코일 받침점이 가변되는 코일카 |
KR100803984B1 (ko) * | 2001-10-19 | 2008-02-15 | 주식회사 포스코 | 코일카의 크레들롤 고정장치 |
KR101251491B1 (ko) * | 2007-10-19 | 2013-04-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강판 코일 적재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85933Y1 (ko) | 2002-1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8524090A (ja) | シートの自動貯蔵及び搬出装置 | |
KR200285933Y1 (ko) | 코일카의 크래들롤 고정장치 | |
KR102410731B1 (ko) | 권취부가 개선된 보호 커버 공급장치 | |
JP3317051B2 (ja) | ストリップコイル搬送用無人搬送車のコイルクランプ装置 | |
JP3187679B2 (ja) | ワーク反転装置 | |
KR20100046344A (ko) | 코일 터닝이 가능한 코일 카 | |
JP2000103507A (ja) | コイルの転回装置 | |
JPH09156754A (ja) | コンクリート製品反転機 | |
KR100523347B1 (ko) | 적재시스템 | |
KR20040041448A (ko) | 페이오프릴의 원통형 슬리브 분리 및 이송 처리 장치 | |
KR200331472Y1 (ko) | 장입주편 추락 방지장치 | |
KR100916058B1 (ko) | 변형 압연소재 처리장치 | |
JPS643531Y2 (ko) | ||
KR20000010619U (ko) | 코일소재 안착유도장치 | |
KR20020049171A (ko) | 권취용 슬리브의 이송 안내장치 | |
JP3124669B2 (ja) | クロスロール移載装置 | |
JP2000318606A (ja) | 無人搬送車 | |
KR200296869Y1 (ko) | 적재 시스템용 이송장치 | |
JPH08290758A (ja) | 洗車設備 | |
JPH1177693A (ja) | 金型移載装置 | |
JP2004255404A (ja) | コイルの横孔姿勢搬送装置 | |
JP2001187621A (ja) | 搬送装置 | |
JPH06239423A (ja) | 棚のストッパー装置 | |
JP2001002322A (ja) | ボビン搬送装置 | |
KR920006571Y1 (ko) | 벽돌자동적재기의 벽돌전복방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