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5715A - 개선된전사장치,방법및상기전사장치혹은방법을사용하는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개선된전사장치,방법및상기전사장치혹은방법을사용하는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5715A
KR20000005715A KR1019990018995A KR19990018995A KR20000005715A KR 20000005715 A KR20000005715 A KR 20000005715A KR 1019990018995 A KR1019990018995 A KR 1019990018995A KR 19990018995 A KR19990018995 A KR 19990018995A KR 20000005715 A KR20000005715 A KR 20000005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transfer member
image carrier
image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8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7956B1 (ko
Inventor
요시나가히로시
오야마쿠니히로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20000005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5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9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03G15/1685Structure, details of the transfer member, e.g. chemical compos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사장치는 화상을 담지하는 로터리식 화상담체와 전사부재사이의 닢부를 형성하고, 상기 화상담체상의 화상을 상기 닢부를 통과하는 전사재료로 전사시키는 전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전사부재는 그 표면상에 노치들을 갖추고, 이들은 전사부재의 표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 대하여 경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사장치는 밀음부재들을 갖추어 전사부재를 화상담체로 밀음으로서 상기 전사재료로부터 전사부재로 가해지는 밀음력에 대향하도록 하며, 구동력 전달장치를 갖추어 상기 전사부재로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서 상기 전사부재의 표면이 상기 화상담체의 속도와는 다른 원주속도로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전사부재에는 상기 전사부재의 노치들이 일정방향으로 경사형성되어 상기 전사재료가 전사부재에 대하여 이동하는 때에 이물질들이 상기 노치의 오목부로 거의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Description

개선된 전사장치, 방법 및 상기 전사장치 혹은 방법을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IMPROVED TRANSFER DEVICE,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TRANSFER DEVICE OR METHOD}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내에 구비된 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들면,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혹은 그와 유사한 화상형성장치에서는, 전사장치, 예를들면, 전사롤러와 같은 것이 제공되어 상기 장치의 화상담체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을 상기 화상담체와 전사장치의 사이의 전사위치로 이송되어 오는 전사시트에 전사시키게 된다. 전사롤러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해서는, 일본특허공보 제 2686267호, 1997년에서 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화상담체로부터 전사롤러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전사롤러의 원주속도가 상기 전사롤러와 화상담체사이의 닢부(a nip)에서 화상담체의 속도보다 큰 전달장치를 갖는 장치가 있다. 상기 설명된 구성에서는, 일정 화상이 위치이동 없이, 심지어는 전사시트가 화상이 전사되어지는 동안 외부충격을 받게 되어도 위치이동 없이 화상이 전사시트로 전달된다.
그리고, 문자화상(a character image)의 일부가 전사되어지지 못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문자화상이 그 내부에 브랭크부(blank portion)를 갖는 것과 같은 전사에러가 상기 화상담체와 전사롤러와 같은 전사장치사이의 원주속도의 차이를 둠으로서 감소되어 질 수 있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전사롤러는 금속제 축과 상기 축을 감싸는 전도성 발포 폴리우레탄과 같은 탄성보디를 포함한다. 상기 화상담체와 상기 전사롤러사이의 닢부가 전사성능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상기 전사롤러의 외경 공차(tolerance)는 정확하게 제어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이유에서, 일반적으로, 전사롤러를 제작하는 공정에서는, 상기 전사롤러의 외경이 필요한 것 이상으로 크게 제작되고, 탄성보디가 상기 금속으로 이루어진 축에 부착되며, 상기 탄성보디가 필요한 외경을 갖도록 연마석으로서 연마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 설명된 연마공정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치 101가 전사롤러 10의 표면에 형성되어 각각의 노치가 상기 전사롤러 10의 표면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는 방향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로 경사 형성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하에서 상기 노치 101의 경사방향은 "노치방향" 혹은 "노치의 방향"으로서 불리게 된다.
또한, 노치 101를 갖는 전사롤러 10의 이송력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사롤러 10가 사용되어 지는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감소하고, 화상담체로서의 광전도성 드럼 1과 상기 전사롤러 10는 화살표 C 와 D로 지시된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며, 기록재료인 전사시트 8는 화살표 B로 도시된 방향으로 상기 광전도성 드럼 1과 전사롤러 10 사이의 닢부를 통하여 통과하고, 만일 상기 전사롤러 10의 노치 101가 화살표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사시트 8의 이동방향으로 향하여 경사된다면, 상기 전사롤러 10는 광전도성 드럼 1의 속도보다는 큰 원주속도로서 회전된다는 사실도 알려져 있다. 전사롤러 10의 이송력의 감소의 결과로서, 아래의 전사에러들이 발생하며;(1) 시트진행방향으로 상기 전사시트 8로 전사된 화상의 길이가 상기 화상담체 1상에 형성된 화상의 길이보다 확대되고 감소된다(이하, "확대/감소 에러"라 함),(2) 일정화상의 단지 외주부만이 상기 전사시트 8로 전사되고, 화상중앙부분의 일부가 전사되지 않는다(이하, "브랭크 화상"이라함),그리고(3)상기 전사된 화상의 위치가 전사시트 8상에서 이동된다( 이하, "화상이동"이라함 ).
본 발명자들은 아래와 같은 심도 깊은 연구를 수행하여 상기와 같은 전사에러들의 원인을 발견하였다.
일반적으로, 전사시트는 광전도성 드럼의 정전기식 견인력에 의해서 화상담체인 광전도성 드럼의 표면에 견인되고, 상기 드럼의 회전에 의해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전사롤러와 광전도성 드럼이 회전하여 상기 전사롤러의 원주속도가 상기 광전도성 드럼의 속도보다 크게 되면, 상기 전사시트는 상대적으로 전사롤러의 진행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전사롤러 10의 노치 101의 경사방향이 도 9에도 화살표 B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시트 진행방향으로 향하는 경우, 상기 전사시트 8와 전사롤러 10의 대향부 주위의 이질 물질(alien substances)들이 상기 노치 101의 오목부(concave portion)로 유입하려는 경향이 있다. 예를들면, 전사된 화상의 배경부에 일치하는 광전도성 드럼 1의 일부분에 잔류하는 토너와 종이 가루들이 상기 노치 101로 유입한다.
그리고, 상기 전사위치로 이송하고자 하는 전사시트 8가 걸리고(jam), 전사위치로 이송되지 않는 경우, 상기 광전도성 드럼 1의 표면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은 상기 전사롤러 10의 표면에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토너가 노치 101의 오목부로 유입하게 된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조건에서는, 상기 노치 101의 경사방향은 상기 전사롤러 10에 대한 전사시트 8의 이동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되며, 전사롤러 10는 전사시트 8의 배면측(backside)에 대하여 마찰한다. 따라서, 종이가루는 전사위치에서 생성되어지고, 상기 노치 101의 오목부로 유입된다 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노치 101의 오목부로 유입하는 이물질의 결과로서,상기 전사시트 8상에 작용하는 전사롤러 10의 마찰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감소하여 상기 전사롤러 10의 이송력이 감소한다. 따라서, 상기 설명된 전사에러들은 예를들어 "확대/축소 에러", "브랭크 에러" 및 "화상이동"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전사에러들은 상기 전사롤러의 원주속도가 상기 감전도성 드럼의 속도보다 큰 경우뿐만이 아니라, 상기 전사롤러의 원주속도가 상기 광전도성 드럼의 속도보다 작은 경우에도, 즉 상기 전사롤러와 광전도성 드럼의 속도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1998년의 일본특허공보 제 2847927호는 화상형성장치내에 포함된 다른 화상전사장치를 기재하고 있는 바, 여기서는 전사롤러가 그 표면상에 노치들을 갖고 있다. 이러한 화상전사장치에서, 상기 전사롤러의 전사재료 이송력은 상기 전사롤러의 노치들이 마찰되는 경우에 증대되며, 따라서 상기 노치들의 볼록부들이 프린팅 체적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되어 상기 전사재료와 전사롤러사이의 접촉영역이 증대하는 것이다. 전사재료 이송속도의 증대에 의해서 발생되는 화상품질의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전사롤러는 광전도성 드럼의 표면에 관계하여 배치됨으로서 상기 전사롤러의 표면마찰력이 원주방향으로 크게 되는 방향으로 상기 전사롤러가 접촉하고 회전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내에서 광전도성 드럼과 전사 롤러를 구동하는 구동 메카니즘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프린터에서 광전도성 요소와 전사롤러의 대향부를 도시한 상세도;
도 4A와 4B는 본 발명의 프린터에서 제거장치를 도시한 설명도로서, 도 4A는 마이러(mylar)와 전사롤러의 구성도이고, 도 4B는 브러쉬, 마이러 및 전사롤러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제 1 및 제 2실험에서 공급된 시트에 따른 마찰계수의 변화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도;
도 6은 제 1 및 제 2실험에서 공급된 시트수에 따른 브랭크(blank)화상등급의 변화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도;
도 7은 제 1 및 제 2실험에서 공급된 시트수에 따른 확대/축소 에러의 변화 결과를 도시한 그래프도;
도 8은 전사롤러의 표면상의 노치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도;
도 9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사장치의 광전도성 드럼과 전사롤러의 대향된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
도 10은 전사롤러에 가해지는 미는 힘과 화상이동의 발생사이의 상관 관계를 설명하는 실험의 결과를 도시한 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광전도성 드럼 2..... 대전롤러
3..... 현상 유니트 4..... 크리닝 유니트
6..... 잠상기입 유니트 7..... 시트공급 카세트
9..... 시트공급롤러 11.... 등록롤러 쌍
14.... 정착롤러 15.... 가압롤러
18.... 시트방전롤러 23.... 수동공급 유니트
30.... 마이러(MYLAR) 100... 프로세스 카트리지
101... 노치 200... 프린터
201... 개방/폐쇄커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전사에러가 방지되어지는 신규한 전사장치와 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전사에러가 방지되어지는 신규한 화상형성장치와 방법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사장치는 화상을 담지하는 로터리식 화상담체와 전사부재사이의 닢부를 형성하고, 상기 닢부를 통과시킴으로서 상기 화상담체상의 화상을 전사재료로 전사시키는 전사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전사부재는 그 표면상에 노치들을 갖추고, 이들은 전사부재의 표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 대하여 경사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사장치는 밀음부재들을 갖추어 전사부재를 화상담체로 밀음으로서 상기 전사재료로부터 전사부재로 가해지는 밀음력에 대향하도록 하며, 구동력 전달장치를 갖추어 상기 전사부재로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서 상기 전사부재의 표면이 상기 화상담체의 속도와는 다른 원주속도로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전사부재에는 상기 전사부재의 노치들이 일정방향으로 경사형성되어 상기 전사재료가 전사부재에 대하여 이동하는 때에서 이물질들이 상기 노치의 오목부로 거의 유입되지 못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사부재의 노치들은 전사부재에 대한 전사재료의 상대적인 이동방향으로 향하여 경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사부재는 대략 50μm 내지 100μm의 범위에서 평균 셀직경을 갖는 탄성층 함유 셀들을 갖는다.
상기 구동력 전달장치는 전사부재의 원주속도가 상기 화상담체의 속도보다 크게 구성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력 전달장치는 화상담체의 구동력을 전사부재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사장치는 상기 전사부재의 표면에 부착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장치를 추가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가 화상을 담지하는 로터리식 화상담체와 상기 화상담체를 회전시키는 화상담체 구동장치들을 갖는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화상담체와 전사부재사이의 닢부를 형성하고, 상기 닢부를 통과시킴으로서 상기 화상담체상의 화상을 전사재료로 전사시키는 전사부재를 갖는 전사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전사부재는 그 표면상에 노치들을 갖추고, 이들은 전사부재의 표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 대하여 경사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사장치는 구동력 전달장치를 갖추어 상기 전사부재로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서 상기 전사부재의 표면이 상기 화상담체의 속도와는 다른 원주속도로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굽혀진 시트이송통로를 갖추고, 이를 통하여 전사재료가 상기 닢부로 이송된다. 상기 전사부재에는 상기 전사재료들이 전사부재에 대하여 이동하는 때, 이물질들이 상기 노치의 오목부로 거의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방향으로 상기 전사부재의 노치들이 경사 형성되고, 상기 전사재료는 상기 굽혀진 시트이송통로를 통하여 이송됨으로서 상기 전사부재를 향하여 그 선단 모서리부가 굽혀진 닢부를 향하여 이송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효과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참조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몇몇 도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일치하는 부분을 나타내고, 화상형성장치인 레이저 프린터( 이하, 간단히 프린터라함 )에 적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 200는 전자사진식 공정에서 기록재료인 전사시트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를 감싸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0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100는 아래의 요소들이, 즉 화상 담체인 직경 30mm의 OPC 광전도성 드럼 1( 이하, "광전도성 드럼 1"이라함 ), 대전장치인 대전롤러 2, 현상장치인 현상유니트 3 및, 소제장치인 소제 유니트 4들이 하나의 소형크기로서 일체형으로 제공되어진 하우징 5을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100의 측방에는, 상기 광전도성 드럼 1의 표면상에 정전기식 잠상을 기입하는 잠상기입 유니트 6가 제공된다. 상기 잠상기입 유니트 6에서는, 레이저빔이 스캐너(미도시) 혹은 그와 유사한 것에 의해서 스캐닝된 화상의 정보에 일치하는 광신호에 기초한 반도체 레이저(미도시)로부터 레이저빔이 방출된다. 상기 레이저빔은 로터리식 다면경(polygonal mirror)(미도시)에 의해서 편향되며, 초점과 교정렌즈(미도시)를 통과하고, 거울(미도시)에 의해서 반사되어 상기 광전도성 드럼 1의 표면을 주사(scan)한다. 따라서, 각각의 컬러에 대한 화상정보에 일치하는 광빔 6a은 광전도성 드럼 1상에 정전기식 잠상을 형성한다.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100 아래는, 시트공급롤러 9와 한쌍의 등록롤러 11들이 제공된다. 상기 시트공급롤러 9는 시트공급 카세트 7내에 수용된 전사시트 8를 한 장씩 공급한다. 상기 시트공급롤러 9로부터 공급된 상기 전사시트 8는 광전도성 드럼 1 앞에서 대기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등록롤러 11쌍들은 일정 타이밍으로서 상기 광전도성 드럼 1의 회전에 동기하여 전사시트 8를 재공급하여 상기 광전도성 드럼 1상에 형성된 화상의 선단모서리와 상기 전사시트 8의 선단모서리들이 상기 광전도성 드럼 1과 전사롤러 10의 사이에 형성된 닢부에 거의 동시적인 타이밍으로서 도달하도록 한다.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 100의 상부측에서, 히터 13를 갖는 정착롤러 14와 가압롤러 15를 갖는 정착장치 16가 제공된다. 상기 정착롤러 14와 가압롤러 15는 서로 대향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서로 밀착 가압됨으로서 그 사이에서 전사시트 이송통로 12를 형성한다. 그리고, 전사시트 이송방향으로 상기 정착장치 16의 하류측에는, 시트 배출롤러 18가 제공된다. 상기 시트배출롤러 18는 상기 정착롤러 14와 가압롤러 15사이의 닢부를 통과한 전사시트 8를 상기 프린터 200의 주몸체 케이스 200a의 상부에 형성된 시트배출 트레이인 스테커 17로 배출한다.
상기 설명된 구성의 프린터 200에서, 광전도성 드럼 1은 예를들면, 초당 80mm의 선형속도(a linear speed)로서 회전하고, 대전롤러 2로서 전압을 이가시킴으로서 균일하게 대전되며, 동시에 상기 광전도성 드럼 1은 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잠상기입 유니트 6는 주사된 화상정보에 근거하여 구동되고, 그에 따라서 화상형성이 광전도성 드럼 1의 대전영역( 즉, 화상형성영역)상에 정전기식 잠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광전도성 드럼 1상에 형성된 정전기식 잠상은 현상 유니트 3의 현상롤러 3a에 의해서 공급된 현상제(토너)에 의해서 현상되고, 가시화상(토너상)으로 된다.
광전도성 드럼 1상에 토너화상을 형성하는 동안, 상기 전사시트 8는 시트공급롤러 9에 의해서 시트공급 카세트7로부터 인출되고, 그 선단모서리가 상기 등록롤러 11 쌍의 닢부에 대하여 인접하는 상태로 대기된다. 그리고, 상기 등록 롤러 11들은 회전을 개시하여 전사시트 8를 공급하고, 이는 광전도성 드럼 1의 회전에 동기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광전도성 드럼 1상에 형성된 토너화상의 선단모서리가 상기 전사시트 8의 선단모서리에 일치하는 타이밍으로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전사시트 8는 광전도성 드럼 1에 가압 접촉됨으로서 회전하는 전사롤러 10와 상기 광전도성 드럼 1사이의 닢부에 형성된 전사위치로 이송된다. 상기 광전도성 드럼 1상의 토너화상은 전사위치에서 전사시트 8로 전사된다. 그리고, 상기 전사된 화상은 정착장치 16의 정착롤러 14와 가압롤러 15사이를 통과함으로서 상기 전사시트 8에 정착되고, 상기 전사시트 8는 시트배출롤러 18에 의해서 스태커 17상에 배출된다. 한편, 상기 토너화상전사공정에서 상기 전사시트 8로 전사되어짐이 없이 상기 광전도성 드럼 1상에 남아 있는 잔류토너는 소제 유니트 4의 소제 블레이드 4a로서 광전도성 드럼 1으로부터 제거되고, 소제 콘테이너 4b내에 수집된다.
그리고, 개방/폐쇄 커버 201가 상기 프린터 200의 주 몸체 케이스 200a 에 제공되어, 주몸체 케이스 200a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개방/폐쇄 커버 201는 커버 축 202에 의해서 지지되고, 개방 및 폐쇄되어질 수 있다.
또한, 전사시트를 수동으로 공급하기 위한 수동 공급 유니트 23가 상기 개방/폐쇄 커버 201에 제공된다. 특히, 시트공급 카세트 7로부터 공급하기에 적절하지 않은 전사용지들, 예를들면, 두꺼운 전사시트, 우편엽서, 및 오버헤드 프로젝터(OHP)등에 사용되어지는 투명 필름등이 수동공급 유니트 23로부터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수동공급 유니트 23는 상기 커버 축 202에 의해서 지지되고, 개방 및 폐쇄될 수 있다. 상기 수동공급 유니트 23로부터 공급된 전사시트는 프린터 200의 주몸체부상에 제공된 공급 롤러 24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등롤롤러 11로 이송된다. 상기 수동공급 유니트 23가 사용되어지지 않는 경우, 상기 개방/폐쇄 커버 201의 내측에 형성된 수동공급 유니트 하우징부 201c내에 내장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내의 광전도성 드럼 1과 전사롤러 10를 구동하는 구동 메카니즘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광전도성 드럼 1의 회전축의 방향으로 양단부에서, 플랜지 1L과 1R등이 각각 제공된다. 상기 플랜지 1L과 1R들은 상기 광전도성 드럼 1혹은 그 밖의 부재들의 구동력이 다른 부재들로 예를들면, 기어형상으로 전달되어 질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광전도성 드럼 1의 우측상의 플랜지 1R는 화상담체 구동장치인 주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을 받아 상기 광전도성 드럼 1이 회전하도록 구동된다.
상기 전사롤러 10는 구동력 전달장치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 광전도성 드럼 1의 구동력이 전사롤러 10로 전달된다. 특히, 상기 구동력 전달장치는 도 2에 도시된 광전도성 드럼 1의 좌측상의 플랜지 1L를 포함하고, 상기플랜지 1L에 맞물리도록 도 2에 도시된 전사롤러 10의 축 10a의 좌측상에 제공된 구동기어 10b를 포함한다. 상기 플랜지 1L로부터 전사롤러 10의 구동기어 10b로의 구동력의 전달은 전사롤러 1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준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 1L와 구동기어 10b들은 상기 전가롤러 10의 원주속도가 상기 광전도성 드럼 1의 속도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사롤러 10의 원주속도가 상기 광전도성 드럼 1의 속도보다 크게 함으로서, 상기 광전도성 드럼 1의 표면상에서 토너화상은 광전도성 드럼 1의 표면으로부터 마찰제거 될 수 있으며, 광전도성 드럼 1과 전사롤러 10사이의 닢부에서 상기 전사롤러 10에 의하여 전사시트 8상으로 전사된다. 따라서, 양호한 품질의 화상이 "브랭크 화상"을 초래함이 없이 형성되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에서, 상기 전사롤러 10는 상기 설명된 구동력 전달장치에 의해서 상기 광전도성 드럼 1으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으로서 구동되어지고, 상기 전사롤러 10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터와 같은 별도의 구동원이 불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프린터의 구성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실시예의 프린터에서, 상기 전사롤러 10는 금속제로 이루어진 축 10a상에 탄성층을 갖추고, 필요한 직경을 갖도록, 예를들면 16mm의 직경을 갖도록 상기 탄성층을 연마시킴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전사롤러 10의 탄성층의 재료는 전도성의 발포체인 폴리우레탄이고, 그 평균 셀 직경은 50μm 내지 100μm의 범위내이다. 상기 전사롤러 10의 이러한 재료는 상기 전사롤러 10에 소제바이어스 전압을 인가시킴으로서 양호한 소제결과가 얻어지기 때문에 선택된 것이다. 특히,셀의 깊이가 짧을 경우, 상기 셀내로 유입되는 토너 및 종이가루들은 상기 소제바이어스 전압이 전사롤러 10로 인가되는 경우, 상기 광전도성 드럼 1으로 쉽게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전사롤러 10의 전사성능은 유지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사롤러 10는 프린터 200의 주몸체의 측방으로부터 가압스프링 20으로서 상기 광전도성 드럼 1으로 밀려진다. 그리고, 갭 롤러(gap roller)21가 상기 전사롤러 10의 각 단부에서 제공되어 전사롤러 10와 광전도성 드럼 1사이의 상기 닢부에서 압력을 조절하여, 상기 전사롤러 10가 가압 스프링 20으로서 광전도성 드럼 1측으로 밀리는 경우, 상기 닢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도 8에는 전사롤러 10의 표면에 대한 직각방향에 대하여 임의의 각도로 경사진 노치 101들이 제공되어 있다. 이물질, 예를 들면, 토너와 종이가루들이 노치 101의 오목부로 유입하는 경우, 상기 전사롤러 10의 표면조건은 변화한다. 특히, 마찰력은 감소하며, 따라서 상기 전사롤러 10의 이송력도 감소한다. 그 결과, "확대/축소 에러", "브랭크 화상" 및 "화상 이동" 등과 같은 전사에러들이 발생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전사롤러 10와 프린터의 아래와 같은 특성으로 인하여, 토너와 종이가루들은 전사롤러 10에 영향을 주는 경향이 있다. 첫째, 본 발명의 프린터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시트 이송통로가 짧고, 굽어서 소형의 설계구조를 이루고 제 1프린트를 출력하는 데 시간이 적게 소요된다. 2개의 전사시트 이송통로들 중의 어느 것에서도; 용지공급 카세트 7로 부터의 하나 및 수동공급 유니트 23로 부터의 다른 하나에서, 상기 전사시트는 상기 전사시트 이송통로내에서상기 전사롤러 10를 향하여 굽어진 선단 모서리부를 갖은 상태로 전사위치에 도달한다. 따라서, 상기 전사시트의 선단 모서리부는 상대적으로 강하게 상기 전사롤러 10의 표면을 누른다. 따라서, 전사롤러 10를 광전도성 드럼 1측으로 밀기 위한 가압 스프링 20의 작용력은 증대되어 상기 전사시트로부터 전사롤러 10로 향한 압력에 대항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 접촉압력은 전사시트와 전사롤러 10사이에서 보다 커지게 되고, 따라서, 상기 전사롤러 10는 전사시트에 마찰하며, 종이가루는 전사위치에서 생성되어지려는 경향이 있다. 도 10은 전사롤러 10에 대한 가압 스프링 20의 미는 힘과 전사시트상의 "화상이동"의 발생사이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 일련의 실험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미는 힘이 16 뉴톤(newton) 일 때, "화상이동"은 단지 상기 전사시트가 수동공급 유니트 23로부터 공급되는 때에만 발생하였다.상기 미는 힘이 24 뉴톤일 때, "화상이동"은 단지 두꺼운 전사시트가 수동공급 유니트 23로부터 공급되는 때에만 발생하였다. 상기 미는 힘이 32 뉴톤일 때, "화상이동"은 단지 수동공급 유니트 23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두꺼운 전사시트의 후단부에서만 발생하였다. 미는 힘이 40 혹은 48 뉴톤인 경우, "화상이동"은 프린터에서 사용되는 모든 전사시트에 대하여 발생하지 않았다. 본 실시예의 프린터에서, 전사롤러 10에 대한 가압 스프링 20의 미는 힘은 다른 기계상태들을 고려하여 48 뉴톤으로 설정된다.
둘째, 사용자들 사이의 증대되는 환경적 감성으로 인하여, 재생용지의 사용이 프린트용으로서 증대되고 있다. 재생된 종이의 섬유는 미세하기 때문에, 종이가루가 보통의 종이에 비하여 상기 전사위치에서 생성되어지는 경향이 있다.
본 실시예의 프린터에서는, 상기 전사롤러 10가 광전도성 드럼 1에 대향되어 상기 전사시트 8가 전사롤러 10에 대하여 이동하는 때, 이물질들이 상기 노치 101의 오목부로 거의 유입하지 않는 방향으로 상기 노치 101들이 경사 형성된다.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치 101들은 전사롤러 10에 대하여 전사시트 8의 이동방향을 향하여 경사된다. 이하에서 상세 구조와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 광전도성 드럼 1은 화살표 C로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하고, 전사롤러 10는 화살표 D로 도시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사롤러 10의 원주속도는 광전도성 드럼 1의 속도보다 크게 설정된다. 전사시트 8는 광전도성 드럼 1의 정전기식 견인력에 의해서 광전도성 드럼 1으로 견인되고, 광전도성 드럼 1의 회전에 의하여 화살표B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전사시트 8는 광전도성 드럼 1의 원주속도와 거의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거나 혹은, 전사롤러 10의 회전영향하에서, 광전도성 드럼 1의 원주속도보다 다소 빠른 속도( 그러나 전사롤러 10의 원주속도보다는 느림)로 이동한다. 상기 설명한 조건에서의 전사시트 8는 전사롤러 10에 대하여 화살표 B로 도시된 방향에 대향된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의 프린터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사롤러 20는 광전도성 드럼 1에 대향되어 상기 노치 101들이 전사롤러 10에 대한 상기 전사시트 8의 상대적인 이동방향으로 향하여 경사가 형성된, 즉 상기 노치 101들이 전사시트 8의 실제이동방향에 대향하는 반대의 방향으로 경사 형성된다. 그 결과, 이물질들이 상기 노치 101의 오목부로 유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상기 오목부내로의이물질 유입에 기인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전사롤러 10의 표면특성의 변화, 즉 그 마찰력의 감소로 인한 전사롤러 10의 이송력의 변화가 방지된다. 따라서, 시간이 경과하는 것과는 무관하게, 전사에러, 즉 "확대/축소에러" ,"브랭크 화상", 및 "화상 이동"등이 방지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치 101들이 전사롤러 10에 대한 전사시트 8의 상대적인 이동방향으로 향하여 경사지는 경우, 상기 노치 101들이 반대방향으로 경사지는 경우와는 반대로 상기 노치 101들 사이의 전사롤러 10의 표면 일부( 즉, 오목부)는 상기 전사시트 8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강하게 마찰하려는 가능성이 훨씬 적어진다. 그 결과, 종이 가루의 발생이 적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치 101들의 오목부로의 종이가루의 유입에 의해서 발생되어지는 전사에러들은 방지되어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프린터에서, 상기 전사롤러 10의 표면에 부착하는 이물질, 예를 들면 토너와 종이가루들을 제거하는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거장치인 마이러(mylar) 30등이 상기 전사롤러 10의 표면에 접촉하도록 제공되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사롤러 10의 표면으로부터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상기 전사롤러 10와 광전도성 드럼 1사이의 닢부에서 상기 노치 101의 오목부로 상기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거장치의 다른 구성, 예를 들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러쉬 롤러 31와 마이러 30의 조합구성이 효과적으로 상기 노치 101의 오목부에 유입된 이물질을 제거시킬 수 있는 것이다.특히, 브러쉬 31롤러의 선단이 상기 노치 101의 오목부로 삽입되어 상기 오목부로부터 오목부내의 이물질을 긁어내게 된다. 도 4A 및 4B내에 도시된 상기 제거장치의 구성으로서, 전사에러의 발생, 즉 "확대/축소에러" ,"브랭크 화상", 및 "화상 이동"등이 보다 안전하게 방지되어 질 수 있다.
상기 노치 101들의 경사방향이 변화함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프린터에 의한 실험결과에 대하여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전사롤러 10가 회전하는 상태하에서 첫 번째 실험이 진행되어 그 노치 101들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롤러 10에 대한 전사시트 8의 상대적인 이동방향으로 경사지고, A4크기의 시트들이 풍경위치(landscape orientation)에서 공급된 용지들로서 연속적으로 인쇄된다. 이 실험에서, 상기 전사롤러 10의 표면의 "마찰계수", "브랭크 화상 등급", 및 "확대/축소 에러"의 변화들이 임의의 수의 시트가 공급된 후 주기적으로 관찰된다. 상기 첫 번째 실험의 결과가 도 5,6 및 7에서속이 빈 원(open circle)으로서 그래프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내의 전사롤러 10의 표면 마찰계수값이 "1.0" 혹은 그 이상일 것이 요구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찰계수는 시트의 수가 200,000에 도달하는 때에도 상기 필요한 값 이상으로 유지되고 있다. "브랭크 화상등급"의 수가 커질수록, 상기 브랭크 화상의 발생은 적어진다. 상기 등급 5은 아무런 브랭크 화상도 발생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프린터에서, 허용가능한 등급은 4 혹은 그 이상이며, 등급 3.5 혹은 그 이하인 것은 부적절한 화상으로간주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랭크 화상의 발생은 4이상으로 유지된다. 도 7에 관련하여, 확대/축소 에러는 광전도성 드럼 1으로부터 전사용지 8로 전사된 화상의 시트진행방향에서 길이의 확대 및 축소의 차이를 나타낸다. L1이 " 이론적인 화상길이 ", 및 L2 가 " 전사시트로 전사된 화상길이 "를 나타낸다고 가정하면, "확대/축소에러"는 아래의 수식으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확대/축소에러(%)= L2 - L1 X 100
L1
본 실시예의 프린터에서, 상기 확대/축소에러의 값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미만으로 유지된다.
제 2실험이 상기 전사롤러 10가 회전하는 상태하에서 진행되어 상기 노치 101들이 반대의 방향으로,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사시트 8의 실제 이동방향으로 경사지고, A4크기의 시트들이 풍경위치(landscape orientation)에서 공급된 용지들로서 연속적으로 인쇄된다. 이 제 2실험은 상기 제 1실험과 유사하게 실행되며, 단지 상기 노치 101의 방향성을 설정하는 것이 다르다. 상기 제 2실험의 결과들은 도 5,6 및 7에서 속이 검은 점과 같은 원(black solid circles)으로서 그래프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본 제 2실험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 브랭크 화상등급 "은 50,000 시트 공급시에 3.5의 결과를 얻는다. 또한, 125,000 시트공급시에, 상기 등급은 2로 낮아진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확대/축소 에러"는 25,000의 시트 공급시에 1.0%의 결과를 나타내고, 50,000의 시트 공급시엔 1.3%의 결과를 나타내며, 이는 필요값 이상인 것이다. 상기 브랭크 화상의 발생과 제 2실험에서 확대/축소 에러의 증가에 대한 원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상기 전사롤러 10의 표면성분에 50,000 시트 공급시에 분석된다. 그 결과, 시트의 성분인 칼슘 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와 탈크(talc) 및, 토너의 성분등이 검출된다. 또한, 상기 전사롤러 10의 표면의 " 마찰계수 "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50,000의 시트 공급시에 1.5(초기값)으로 부터 0.83으로 낮아짐이 발견된다.
한편, 상기 제 1실험에서는, 상기 " 브랭크 화상등급 "이 등급 4 및 그 이상으로 유지되고, 200,000 시트가 공급되기 까지 상기 "확대/축소 에러"가 1%내로 유지된다. 상기 제 2실험과 유사하게, 전사롤러 10의 표면 성분이 50,000 시트 공급시에 분석된다. 그 결과, 칼슘 카보네이트, 탈크 및 토너의 성분들이 검출된다. 그러나, 상기 칼슘 카보네이트 및 탈크량들은 각각 제 2실험에서의 값에 비하여 대략 1/3인 것이고, 상기 토너의 성분량은 제 2실험의 대략 절반이다. 그리고, 상기 전사롤러 10의 표면의 "마찰계수"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50,000 시트 공급시에 1.5(초기값)으로부터 1.34로 저하하는 경우라도 아직 충분한 수준이라는 것이 발견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실험의 결과에 따르면, 상기 전사롤러 10의 노치 101들이 상기 전사롤러 10에 대한 전사시트 8의 상대적인 이동방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때, 상기 전사롤러 10의 표면의 "마찰계수"는 현저히 저하하고, 따라서 부적절한 화상들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노치 101들이 상기 전사롤러 10에 대하여 전사시트 8의 상대적인 이동방향으로 향하여 경사 형성되는 경우, 양호한 품질의 화상들은 60,000 내지 80,000 시트가 공급되기까지 유지되어 질수 있고, 이는 전사롤러 10의 수명에 일치하는 것이다.
상기 제 1실험 및 제 2실험에서 나타내어진 도면들은 본 실험에서의 프린터에 특정된 것이며, 이는 광전도성 드럼의 선형속도, 전사장치의 재질등에 따라서 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상형성장치에서, 전사롤러가 전사장치로 사용되는 경우라도, 본 발명은 다른 방식의 전사장치, 예를들면 전사밸트등을 사용하는 여하한 화상형성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분명한 것은, 본 발명의 다수의 부가적인 개선구조나 변형구조들이 상기 기재내용으로부터 가능하다는 점이다. 따라서 첨부된 클레임의 범위내에서, 본 발명은 여기에서 특정하게 언급된 것과 다르게 실행되어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본 출원은 1998. 6. 8일자로 일본특허청에 제출된 일본특허출원 제 10-175436호에 근거한 것이고, 그 전체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 수록되어 있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0)

  1. 화상을 담지하는 로터리식 화상담체와 전사부재사이에서 닢부를 형성하고, 화상담체상의 화상을 상기 닢부를 통과하는 전사재료에 전사하며, 그 표면에는 표면에 대한 직각방향에 관하여 경사진 노치들을 갖는 전사부재;
    상기 전사부재를 화상담체로 밀어서 상기 전사재료로부터 전사부재로의 미는 힘에 대항하도록 하는 밀음부재;
    상기 전사부재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전사부재의 표면이 화상담체의 속도와는 다른 원주속도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력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사부재는 전사재료가 상기 전사부재에 대하여 이동하는 때 이물질들이 상기 노치의 오목부로 거의 들어가지 않는 방향으로 상기 전사부재의 노치들이 경사되도록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들은 상기 전사부재에 대한 전사재료의 상대적인 이동방향으로 향하여 경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재는 대략 50μm 내지 100μm범위의 평균 셀 직경을 갖는 탄성층 함유 셀들을 갖춤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장치는 전사부재의 원주속도가 화상담체의 속도보다 크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장치는 화상담체의 구동력을 상기 전사부재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재의 표면에 부착한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제거장치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장치.
  7. 화상을 담지하는 로터리식 화상담체;
    상기 화상담체를 회전시키는 화상담체 구동장치;
    상기 화상담체와 전사부재사이에서 닢부를 형성하고, 화상담체상의 화상을 상기 닢부를 통과하는 전사재료에 전사하며, 그 표면상에 상기 전사부재의 표면에 대한 직각방향에 관하여 경사진 노치들을 갖는 전사부재와, 상기 전사부재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전사부재의 표면이 화상담체의 속도와는 다른 원주속도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력 전달부재를 갖는 전사장치; 및
    상기 전사재료들을 상기 닢부로 이송시키는 절곡된 시트이송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전사부재는 전사재료가 상기 전사부재에 대하여 이동하는 때 이물질들이 상기 노치의 오목부로 거의 들어가지 않는 방향으로 상기 전사부재의 노치들이 경사되도록 제공되어지고, 그리고 상기 전사재료는 상기 절곡된 시트이송통로를 통하여 이송됨으로서 그 선단모서리부가 상기 전사부재로 향하여 굽혀진 상태로 상기 닢부를향하여 이송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들은 상기 전사부재에 대한 전사재료의 상대적인 이동방향으로 향하여 경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재는 대략 50μm 내지 100μm범위의 평균 셀직경을 갖는 탄성층 함유 셀들을 갖춤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장치는 전사부재의 원주속도가 화상담체의 속도보다 크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장치는 화상담체의 구동력을 상기 전사부재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장치는 전사부재의 표면에 부착한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제거장치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재료로서 재생종이(recycled paper)가 사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4. 화상을 담지하는 로터리식 화상담체;
    상기 화상담체를 회전시키는 화상담체 구동장치;
    상기 화상담체와 전사부재사이에서 닢부를 형성하고, 화상담체상의 화상을 상기 닢부를 통과하는 전사재료에 전사하며, 그 표면상에 상기 전사부재의 표면에 대한 직각방향에 관하여 경사진 노치들을 갖는 전사부재와,
    상기 전사부재를 화상담체로 밀어서 상기 전사재료로부터 전사부재로의 미는 힘에 대항하도록 하는 밀음부재및,
    상기 전사부재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전사부재의 표면이 화상담체의 속도와는 다른 원주속도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력 전달부재를 갖는 전사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사부재는 전사재료가 상기 전사부재에 대하여 이동하는 때 이물질들이 상기 노치의 오목부로 거의 들어가지 않는 방향으로 상기 전사부재의 노치들이 경사되도록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들은 상기 전사부재에 대한 전사재료의 상대적인 이동방향으로 향하여 경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재는 대략 50μm 내지 100μm범위의 평균 셀직경을 갖는 탄성층 함유 셀들을 갖춤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장치는 전사부재의 원주속도가 화상담체의 속도보다 크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장치는 화상담체의 구동력을 상기 전사부재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장치는 전사부재의 표면에 부착한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제거장치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재료로서 재생종이(recycled paper)가 사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1. 화상을 담지하는 로터리식 화상담체와 전사수단사이에서 닢부를 형성하고, 화상담체상의 화상을 상기 닢부를 통과하는 전사재료에 전사하며, 그 표면에는 표면에 대한 직각방향에 관하여 경사진 노치들을 갖는 전사수단;
    상기 전사수단을 화상담체로 밀어서 상기 전사재료로부터 전사수단으로의 미는 힘에 대항하도록 하는 밀음수단;
    상기 전사수단으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전사수단의 표면이 화상담체의 속도와는 다른 원주속도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력 전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사수단은 전사재료가 상기 전사수단에 대하여 이동하는 때 이물질들이 상기 노치의 오목부로 거의 들어가지 않는 방향으로 상기 전사수단의 노치들이 경사되도록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들은 상기 전사수단에 대한 전사재료의 상대적인 이동방향으로 향하여 경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장치.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수단은 대략 50μm 내지 100μm범위의 평균 셀직경을 갖는 탄성층 함유 셀들을 갖춤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장치.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수단은 전사수단의 원주속도가 화상담체의 속도보다 크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장치.
  25.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수단은 화상담체의 구동력을 상기 전사수단으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장치.
  26.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수단의 표면에 부착한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제거수단을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장치.
  27. 화상을 담지하는 화상담체수단;
    상기 화상담체수단을 회전시키는 화상담체 구동수단;
    상기 화상담체수단상의 화상을 전사재료로 전사시키기 위하여,
    상기 화상담체수단과 전사부재수단사이에서 닢부를 형성하고, 화상담체수단상의 화상을 상기 닢부를 통과하는 전사재료에 전사하며, 그 표면상에 상기 전사부재수단의 표면에 대한 직각방향에 관하여 경사진 노치들을 갖는 전사부재수단과,
    상기 전사부재수단으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전사부재수단의 표면이 화상담체수단의 속도와는 다른 원주속도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력 전달수단을 갖는 전사수단; 및
    상기 전사재료들을 상기 닢부로 이송시키는 절곡된 시트이송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사부재수단은 전사재료가 상기 전사부재수단에 대하여 이동하는 때 이물질들이 상기 노치의 오목부로 거의 들어가지 않는 방향으로 상기 전사부재수단의 노치들이 경사되도록 제공되어지고, 그리고 상기 전사재료는 상기 절곡된 시트이송수단을 통하여 이송됨으로서 그 선단모서리부가 상기 전사부재수단으로 향하여 굽혀진 상태로 상기 닢부를 향하여 이송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들은 상기 전사부재수단에 대한 전사재료의 상대적인 이동방향으로 향하여 경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9.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재수단은 대략 50μm 내지 100μm범위의 평균 셀직경을 갖는 탄성층 함유 셀들을 갖춤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0.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수단은 전사부재수단의 원주속도가 화상담체수단의 속도보다 크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1.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수단은 화상담체수단의 구동력을 상기 전사부재수단으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2.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수단은 전사부재수단의 표면에 부착한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제거수단을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3.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재료로서 재생종이(recycled paper)가 사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4. 화상을 담지하는 화상담체수단;
    상기 화상담체수단을 회전시키는 화상담체 구동수단;
    상기 화상담체 수단상의 화상을 전사재료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화상담체수단과 전사부재수단사이에서 닢부를 형성하고, 화상담체수단상의 화상을 상기 닢부를 통과하는 전사재료에 전사하며, 그 표면상에 상기 전사부재수단의 표면에 대한 직각방향에 관하여 경사진 노치들을 갖는 전사부재수단과,
    상기 전사부재수단을 화상담체수단으로 밀어서 상기 전사재료로부터 전사부재수단으로의 미는 힘에 대항하도록 하는 밀음수단및,
    상기 전사부재수단으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전사부재수단의 표면이 화상담체수단의 속도와는 다른 원주속도로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력 전달수단을 갖는 전사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전사부재수단은 전사재료가 상기 전사부재수단에 대하여 이동하는 때 이물질들이 상기 노치의 오목부로 거의 들어가지 않는 방향으로 상기 전사부재수단의 노치들이 경사되도록 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5.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들은 상기 전사부재수단에 대한 전사재료의 상대적인 이동방향으로 향하여 경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6.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재수단은 대략 50μm 내지 100μm범위의 평균 셀직경을 갖는 탄성층 함유 셀들을 갖춤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7.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수단은 전사부재수단의 원주속도가 화상담체수단의 속도보다 크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8.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수단은 화상담체수단의 구동력을 상기 전사부재수단으로 전달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9.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수단은 전사부재수단의 표면에 부착한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제거수단을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0. 제 34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재료로서 재생종이(recycled paper)가 사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1. 화상담체상의 화상을 상기 화상담체와 그 표면상에 표면에 대한 직각방향에 관하여 경사진 노치들을 갖는 전사부재사이의 닢부를 통과하는 전사재료에 전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재의 표면이 화상담체의 속도와는 다른 원주속도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전사부재를 화상담체로 밀어서 상기 전사재료로부터 전사부재로의 미는 힘에 대항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사재료가 상기 전사부재에 대하여 이동하는 때, 이물질들이 상기 노치의 오목부로 거의 들어가지 않는 방향으로 상기 전사부재의 노치들이 경사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방법.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들은 상기 전사부재에 대한 전사재료의 상대적인 이동방향으로 향하여 경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방법.
  43.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재는 대략 50μm 내지 100μm범위의 평균 셀 직경을 갖는 탄성층 함유 셀들을 갖춤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방법.
  44.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계에서 전사부재의 원주속도가 화상담체의 속도보다 크도록 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방법.
  45.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계에서 상기 화상담체의 구동력은 상기 전사부재의 표면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사부재로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방법.
  46.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재의 표면에 부착한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제거단계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방법.
  47. 화상형성장치내에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 표면상에서 표면에 대한 직각방향에 관하여 경사가 형성된 노치들을 갖는 전사부재의 표면을 이동시켜 상기 전사부재의 표면이 화상을 담지하는 화상담체의 속도와는 다른 원주속도로 이동시키는 단계;
    절곡된 시트이송통로를 통하여 상기 화상담체와 전사부재사이의 닢부로 전사재료를 이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닢부를 통하여 상기 전사재료를 통과시켜 화상담체상의 화상을 전사재료로 전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사재료가 상기 전사부재에 대하여 이동하는 때, 이물질들이 상기 노치의 오목부로 거의 들어가지 않는 방향으로 상기 전사부재의 노치들이 경사되고, 그리고 상기 전사재료들은 상기 절곡된 시트이송통로를 통하여 이송됨으로서 그 선단모서리부가 상기 전사부재로 향하여 절곡된 상태로 향하여 이송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48.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들은 상기 전사부재에 대한 전사재료의 상대적인 이동방향으로 향하여 경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49.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재는 대략 50μm 내지 100μm범위의 평균 셀직경을 갖는 탄성층 함유 셀들을 갖춤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50.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계에서 전사부재의 원주속도가 화상담체의 속도보다 크도록 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51.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계에서 상기 화상담체의 구동력은 상기 전사부재의 표면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사부재로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52.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재의 표면에 부착한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제거단계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53. 제 47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재료로서 재생종이(recycled paper)가 사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54. 화상형성장치내에 화상을 형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그 표면상에서 표면에 대한 직각방향에 관하여 경사가 형성된 노치들을 갖는 전사부재의 표면을 이동시켜 상기 전사부재의 표면이 화상을 담지하는 화상담체의 속도와는 다른 원주속도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화상담체와 전사부재사이의 닢부를 통하여 전사재료를 통과시켜 상기 화상담체상의 화상을 상기 전사재료로 전사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사부재를 화상담체로 밀어서 상기 전사재료로부터 전사부재로의 미는 힘에 대항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전사재료가 상기 전사부재에 대하여 이동하는 때, 이물질들이 상기 노치의 오목부로 거의 들어가지 않는 방향으로 상기 전사부재의 노치들이 경사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55.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들은 상기 전사부재에 대한 전사재료의 상대적인 이동방향으로 향하여 경사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56.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재는 대략 50μm 내지 100μm범위의 평균 셀직경을 갖는 탄성층 함유 셀들을 갖춤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57.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계에서 전사부재의 원주속도가 화상담체의 속도보다크도록 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58.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계에서 상기 화상담체의 구동력은 상기 전사부재의 표면을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사부재로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59.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부재의 표면에 부착한 이물질들을 제거하는 제거단계를 추가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60. 제 54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재료로서 재생종이(recycled paper)가 사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KR1019990018995A 1998-06-08 1999-05-26 개선된 전사장치, 방법 및 상기 전사장치 혹은 방법을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03279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75436 1998-06-08
JP17543698 1998-06-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5715A true KR20000005715A (ko) 2000-01-25
KR100327956B1 KR100327956B1 (ko) 2002-03-16

Family

ID=15996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8995A KR100327956B1 (ko) 1998-06-08 1999-05-26 개선된 전사장치, 방법 및 상기 전사장치 혹은 방법을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208826B1 (ko)
KR (1) KR100327956B1 (ko)
CN (1) CN113985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5600B2 (ja) 2000-01-13 2006-09-27 株式会社リコー 帯電装置、画像形成装置、像担持体ユニット及び荷電ローラ
JP3844658B2 (ja) 2000-02-08 2006-11-15 株式会社リコー 荷電ローラ、帯電装置、像担持体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及び荷電ローラへのフィルム材巻付方法
JP3795770B2 (ja) 2000-06-30 2006-07-12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2091123A (ja) 2000-07-14 2002-03-27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補給装置
JP2002060085A (ja) 2000-08-11 2002-02-26 Ricoh Co Ltd ベルト駆動装置及び該ベルト駆動装置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6567643B2 (en) 2000-09-27 2003-05-20 Ricoh Company, Ltd. Apparatuses for color image formation, tandem color image formation and image formation
JP3957968B2 (ja) 2000-11-24 2007-08-15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4143266B2 (ja) 2001-01-16 2008-09-03 株式会社リコー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プロセスユニット
JP3695696B2 (ja) 2001-01-25 2005-09-14 株式会社リコー クリーニング装置、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6795669B2 (en) * 2001-02-02 2004-09-21 Sharp Kabushiki Kaisha Image device with control members for rollers
WO2002077719A1 (de) * 2001-03-22 2002-10-03 OCé PRINTING SYSTEMS GMBH Umdruckstation für ein elektrofotografisches druck- oder kopiergerät
JP2003076189A (ja) 2001-06-22 2003-03-14 Ricoh Co Ltd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531307B2 (ja) 2001-08-29 2010-08-2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N1294462C (zh) * 2002-03-18 2007-01-10 富士施乐株式会社 成像装置
JP2004118076A (ja) * 2002-09-27 2004-04-15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US6731887B1 (en) * 2002-10-30 2004-05-0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uplex image registration
US6813451B2 (en) * 2002-10-30 2004-11-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uplex image registration
KR100667828B1 (ko) * 2005-11-03 2007-01-1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전사유닛,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및,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방법
JP2007127944A (ja) * 2005-11-07 2007-05-24 Ricoh Co Ltd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552732B2 (ja) * 2008-03-31 2014-07-16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6267B2 (ja) * 1988-01-30 1997-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2166487A (ja) * 1988-12-21 1990-06-27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JP2847927B2 (ja) * 1990-08-03 1999-01-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転写装置
JP2864788B2 (ja) * 1991-04-26 1999-03-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553456A (ja) 1991-08-23 1993-03-05 Toshiba Corp 電子写真装置の転写ローラ用クリーニング装置
JPH07237779A (ja) * 1994-03-01 1995-09-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H0980954A (ja) * 1995-09-18 1997-03-28 Konica Corp 電子写真画像形成方法
JPH09281819A (ja) * 1996-04-18 1997-10-31 Nec Niigata Ltd 電子写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08826B1 (en) 2001-03-27
CN1139851C (zh) 2004-02-25
CN1238477A (zh) 1999-12-15
KR100327956B1 (ko) 200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7956B1 (ko) 개선된 전사장치, 방법 및 상기 전사장치 혹은 방법을 사용하는 화상형성장치
US8380115B2 (en) Lubricant applicat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cartridge
US7509075B2 (en) Gear unit and image forming device
US7130096B2 (en) Light beam scann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218997B2 (en) Cleaning member, charging device,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5020780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46384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state in which a conveying roller is pressed toward a recording medium
US8019259B2 (en) Development device, process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305207B2 (en) Cleaning system
CN111620167B (zh) 成像设备
EP1930787A1 (en)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791421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068960B2 (en) Cleaning device including brush roller with high cleaning performan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rocess unit including the cleaning device, method of removing deposit, and method of forming an image
JP2002229348A (ja) 画像形成装置
US6389251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discharging device
US7162184B2 (en) Image-forming device
JP2007122083A (ja) 転写方法、転写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0066535A (ja) 転写方法、転写装置、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3371347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2013083771A (ja) 現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画像形成装置
US11520275B2 (en) Cleaning device capable of suppressing that a sealing member constitutes a resistance to a rotational operation of a supporting member for a cleaning blade
JP7298232B2 (ja) クリーニングブレード、クリーニング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02350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051497A (ja) 現像装置及び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H11219035A (ja) 画像形成装置の用紙剥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