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4162A - 새로운 티탄산아연마그네슘, 그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하는온도조절 화장료 - Google Patents

새로운 티탄산아연마그네슘, 그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하는온도조절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4162A
KR20000004162A KR1019980025563A KR19980025563A KR20000004162A KR 20000004162 A KR20000004162 A KR 20000004162A KR 1019980025563 A KR1019980025563 A KR 1019980025563A KR 19980025563 A KR19980025563 A KR 19980025563A KR 20000004162 A KR20000004162 A KR 20000004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sium
zinc
temperature
titanium
tita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5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7619B1 (ko
Inventor
서동성
손홍하
박지호
강세훈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80025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7619B1/ko
Priority to KR1020007014154A priority patent/KR100558340B1/ko
Priority to DE69916630T priority patent/DE69916630D1/de
Priority to AU35390/99A priority patent/AU3539099A/en
Priority to JP2000556995A priority patent/JP3566927B2/ja
Priority to EP99917230A priority patent/EP1112227B1/en
Priority to PCT/KR1999/000192 priority patent/WO2000000432A1/en
Priority to US09/720,728 priority patent/US6540823B1/en
Publication of KR20000004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4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7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76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3/00Compounds of tita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23/00Compounds of titanium
    • C01G23/003Titan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7Zinc;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2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d-values or two theta-values, e.g. as X-ray diagra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8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data other than those specified in group C01P2002/70
    • C01P2002/84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data other than those specified in group C01P2002/70 by UV- or VIS- data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3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SE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32Thermal properties
    • C01P2006/33Phase transition temperatures
    • C01P2006/36Solid to solid transition temper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60Optical properties, e.g. expressed in CIELAB-valu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새로운 티탄산아연마그네슘계 무기분체, 그의 제조방법 및 화학식 1의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Zn2-XMgX·yTiO4
상기식에서,
x 는 0.5 내지 1.5의 실수를 나타내고,
y 는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새로운 티탄산아연마그네슘,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온도조절 화장료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새로운 티탄산아연마그네슘계 무기분체, 그의 제조방법 및 화학식 1의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Zn2-XMgX·yTiO4
상기식에서,
x 는 0.5 내지 1.5의 실수를 나타내고,
y 는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낸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온도조절 화장료는 태양에 의해 조사되는 자외선, 가시광선 및 적외선을 선택적으로 반사시켜 온도상승을 억제할 뿐아니라 저온에 대하여 우수한 단열특성을 발휘하여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킴으로써 온도조절 기능을 갖는다.
일본 공개 특허 평8-3019호에는 체온에 따라 물에 대한 친화성을 변화시킴으로써 수분 보유량이 바뀌어 우수한 사용감을 얻는 아크릴산공중합체 또는 가교 겔(crosslinked gel), 예를들어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N-펜틸메타크릴아미드 등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고, 미국특허 제5,353,600호에는 전지를 내장하여 열전자적 냉각장치(thermoelectric refrigera- tion device)를 샌드위치처럼 내장시킨 화장품 용기(cosmetic case)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미국특허 제5,237,838호 및 4,892,226호에는 열에 민감하여 열분해(heat degradation)우려가 있는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한 휴대용 화장품 가방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고, 미국특허 제3,732,702호에는 욕실이나 탈의실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열과 습기를 분산시키는 냉각장치(cooling unit)가 부착된 화장 캐비닛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온도제어(thermal control)를 목적으로 하는 무기분체에 관한 종래의 기술을 살펴보면, 타일형태로 우주선 표면에 사용되는 티탄산아연(zinc titanate)이 알려져 있고(참조: NASA Contract. Rep., NASA-CR-144310, 466pp, 1976), 미국특허 제5,401,583호에 백색 코팅제로 산화아연과 이산화티탄을 사용한 것이 개시되어 있으며, 미국특허 제5,476,696호 및 5,567,490호에 x-선과 자외선 조사로 인해 발생하는 흑화(darkening)에 대한 내구성을 지닌 규산지르코늄에 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의 무기분체는 주로 우주공간에서 피폭되는 파장이 짧은 자외선 및 x-선을 방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구 표면에서 오존층에 의해 차단된 자외선 C(280nm 이하)를 제외한 자외선 B(280∼320nm), 자외선 A(320∼400nm), 가시광선 (400∼760nm) 및 적외선 (760nm 이상)을 효과적으로 반사하여 제어하는 무기분체에 대해서는 별다른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한편, 세라믹형태로 제조된 티탄산마그네슘을 유전체로 사용한 예가 미국특허 제4,882,650호에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서와 같이 온도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것과는 전혀 무관한 기술분야에 속한다.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 본 발명자들은 외부환경, 예를 들면 햇빛이 과도하게 조사되는 무더운 여름철이나 차가운 겨울철과 같이 변화가 심한 기후에도 일정하게 피부온도를 유지시켜 줄 수 있는 새로운 화장료의 필요성을 인지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새로운 온도조절 기능을 갖는 무기분체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아연-마그네슘-티탄으로 이루어진 3 성분계 복합 산화물이 자외선 C영역의 일부 파장에서부터 적외선 영역까지의 파장을 효율적으로 반사시켜 온도상승을 억제하고, 또한 급격한 온도강하에도 뛰어난 단열특성을 발휘하여 지속적인 온도유지 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함과 아울러, 이러한 복합 산화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에 온도조절기능이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새로운 티탄산아연마그네슘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Zn2-XMgX·yTiO4
상기식에서,
x 는 0.5 내지 1.5의 실수를 나타내고,
y 는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1의 무기분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1의 무기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의 광반사율(Light reflec- tance)을 나타내는 스펙트럼이고;
도 2는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의 입자 모양을 관찰한 전자현미경 사진(×10,000배)이며;
도 3은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을 X-선 회절 분석도이고;
도 4는 실시예 2에서 수득한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의 입자 모양을 관찰한 전자현미경 사진(×10,000배)이며;
도 5는 실시예 4 및 비교예 2를 성형한 제품을 실온에서 보관한 후, 그 온도분포를 D.I.T.I.(Digital Infrared Thermal Imaging System)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실시예 4 및 비교예 2를 성형한 제품을 실온에서 일정기간 보관한 후, 광을 조사하여 그 온도분포를 D.I.T.I. 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실시예 4 및 비교예 2를 성형한 제품을 냉장고에서 냉각시킨 후, 그 온도분포를 D.I.T.I. 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실온에서 아무런 화장을 하지 않은 피시험자 얼굴의 온도분포를 D.I. T.I. 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실시예 4 및 비교예 2를 성형한 제품을 피시험자의 코를 중심으로 얼굴 양면에 균일하게 도포하고 광을 조사한 후, 그 온도분포를 D.I.T.I. 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학조성비를 갖는 본 발명의 티탄산아연마그네슘에서 아연과 마그네슘 원소를 합한 당량과 티탄의 당량비는 y가 1인 경우 2:1이고, y가 2인 경우는 2:2이다. 아연과 마그네슘과 당량은 각각 0.5∼1.5의 범위에서 조정되어지며, 그 합은 항상 2이다. 상기 화학식 1에서 x가 0.5 이하일 경우, 생성되는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은 아연의 함량이 높게 구성되어 소결시 수축율이 커지고 소결체의 비중이 높아지므로 바람직하지 않고, x가 1.5 이상일 경우, 소결성이 나빠지고 분체의 물성이 벌키(bulky) 또는 라이트(light) 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y가 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티탄 원소의 구성비가 높아져 자외선 반사효율이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분말상의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은 티탄원 화합물, 아연원 화합물 및 마그네슘원 화합물을 화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당량범위가 되도록 혼합하고 분쇄한 다음, 이를 900℃ 내지 1300℃의 온도범위에서 1 내지 10시간동안 소결처리하고 냉각 및 분쇄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산화티탄, 황산티타늄 등과 같은 티탄원 화합물, 산화아연, 탄산아연, 인산아연 등과 같은 아연원 화합물, 산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등과 같은 마그네슘원 화합물을 화학식 1의 조합비로 하여 평량한 후 균일하게 혼합하여 유발밀(Labo-MillR)이나 볼밀(ball mill) 등으로 분쇄한다. 분쇄물을 전기로에서 900℃ 내지 1300℃의 온도 범위로 조절하여 1 내지 10시간동안 소결처리하고 서서히 냉각시킨 후, 그 소결물을 분쇄하여 입자경 0.1 내지 3.0㎛의 미립자 형태로 된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을 수득한다.
한편,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이 코팅된 판상의 무기분체는, 판상 무기안료를 수상에 분산시킨 후 수용성염 형태의 티탄원, 아연원 및 마그네슘원 화합물을 화학식 1의 조합비에 따라 수상에 용해시키고 40 내지 80℃로 승온시킨 후 알칼리로 적정하고 여과, 수세, 건조시킨 후 900 내지 1300℃에서 소결처리함을 특징으로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코팅을 위한 기재로서의 판상 무기안료로는 탈크, 마이카, 세리사이트, 카올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화학식 1의 티탄산아연마그네슘과 같은 조성을 갖도록 첨가되는 티탄원, 아연원 및 마그네슘원 수용성염을 기재인 판상의 무기안료에 대하여 10 내지 60중량% 범위로 적용한다. 이때, 사염화티탄 및 황산티타늄 중에서 선택된 1종을 화학식 1의 티타늄 조성으로 환산하여 평량하고, 질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및 황산마그네슘 중에서 선택된 1종을 화학식 1의 마그네슘 조성으로 환산하여 평량하며, 염화아연 및 황산아연 중에서 선택된 1종을 아연 조성으로 환산하여 평량한 후 함께 수상에 분산, 용해시킨다. 그 후, 판상의 무기안료와 상기와 같이 제조된 수상을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40 내지 80℃로 승온시키고, 동온도에서 티타늄, 마그네슘 및 아연을 공침시키기 위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암모니아 중에서 선택된 1종을 수상을 기준으로 1/3∼1/10부피배의 물에 용해시켜 수상에 적하하면서 적정한다. 이와 같이 알칼리 적정이 수행됨으로써 티탄수화물, 마그네슘수화물 및 아연수화물로 공침됨과 동시에 수상에 분산되어 있던 이산화티탄과 함꼐 판상의 무기안료 표면에 흡착 코팅된다.
한편, 티탄원 화합물로서 사염화티탄 또는 황산티타늄과 같은 수용성염 대신에 이산화티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산화티탄을 판상의 안료와 함께 분산시키고, 마그네슘염 및 아연염을 흡착시켜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이 표면에 코팅된 판상의 무기분체를 제조할 수 있다. 즉, 기재로 사용되는 판상의 무기안료와 함께 코팅에 이용되는 마그네슘염 및 아연염의 처리량 및 화학식 1의 조성으로부터 계산되어진 이산화티탄을 평량하여 수상에 분산시킨다. 분산에 이용되는 수상의 양은 판상의 무기안료와 이산화티탄의 중량합의 5∼10배가 적당하다. 구체적으로는, 판상의 무기안료, 이산화티탄, 마그네슘염 및 아연염이 분산 또는 용해된 수상을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40 내지 80℃로 승온시킨다. 동온도에서 마그네슘과 아연을 공침시키기 위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암모니아 중에서 선택된 1종을 수상에 대해 1/3∼1/10부피배의 물에 용해시켜 수상에 적하하면서 적정한다. 알칼리 적정에 의하여 마그네슘 이온과 아연 이온이 마그네슘수화물과 아연수화물로 공침됨과 동시에 수상에 분산되어 있던 이산화티탄과 함께 판상의 무기안료 표면에 흡착 코팅된다. 알칼리 용액의 적하는 pH 7∼9.5 의 영역에서 백탁이 생성되면서 점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될 때 중지한다. 공침과 흡착 코팅 공정이 끝나면 실온에서 3시간이상 방치하여 숙성한 후 여과하고, 정제수로 세척하여 미반응의 잔류물을 제거한다. 수득물을 110℃에서 건조하여 얻어진 분말을 900℃ 내지 1300℃ 온도범위의 전기로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소결처리하여 서서히 냉각시킨 후, 소결물을 분쇄하여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이 표면에 코팅된 판상의 무기분체를 수득한다.
이상 설명한 방법으로 제조된 티탄산아연마그네슘 및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이 코팅된 판상 무기분체는 자외선 B 및 A, 가시광선, 적외선 영역의 빛을 효율적, 선택적으로 반사시켜 온도상승을 억제할 뿐아니라, 저온 환경에 대하여 뛰어난 단열특성을 발휘하여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써 온도조절 기능을 갖는 새로운 기능성 무기분체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무기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는 태양에 의해 조사되는 자외선, 가시광선 및 적외선을 선택적으로 반사시켜 온도상승을 억제할 뿐아니라 저온에 대하여 우수한 단열특성을 발휘하여 일정한 온도로 유지시킴으로써 온도조절 기능을 가지며, 본 발명은 이러한 화장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의 바람직한 배합량은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하여 0.1∼60.0중량%이다. 0.1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 온도조절 기능을 발휘하기 힘들고, 60.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하는 경우 사용량의 비례에 따른 효과의 증대를 가져오지 않아 비경제적이기 때문이다. 조성물내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의 배합량은 상기 0.01∼60.0중량% 범위에서 화장료의 제형과 원하는 온도조절 기능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산화아연 81.4g, 산화마그네슘 40.3g,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탄 79.9g을 평량하여 유발 밀(Labo Mill, Mitto, 일본)로 10분간 혼합 분쇄하고, 이것을 전기로(Electric Fumace, Lenton thermal Co., 영국)의 알루미나 도가니에 넣었다. 5℃/분의 속도로 전기로 온도를 승온시켜 1000℃에서 4시간 소결처리한 다음, 15℃/분 의 속도로 냉각시켰다. 냉각된 소결물을 분쇄기(Atomizer, Hosokawa-Micron, 일본)로 분쇄하여 티탄산아연마그네슘 200g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미국특허 제3,607,338호의 실시예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공지의 티탄산아연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1: 광 반사율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의 광 반사율을 분광광도계(UV-VIS Spectrophotometer, Varian, 호주)로 200∼900nm 파장범위에서 측정하였다. 광 반사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비교예 1에서 얻은 티탄산아연, 자외선 차단제로 사용되는 이산화티탄 및 산화아연에 대해서도 광 반사율을 측정하여 얻어진 스펙트럼을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에서 얻은 본 발명의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의 광 반사 스펙트럼은 비교예 1의 티탄산아연에 비해 30nm 정도, 이산화티탄 및 산화아연에 비해 약 80∼100nm 정도 청색 변이되어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은 280nm부터 반사가 시작되어 자외선 B, A영역과 가시광선 및 적외선의 일부 파장을 대부분 반사하고 있음을 도 1의 광 반사율 스펙트럼이 보여주고 있다.
시험예 2: 전자현미경 관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본 발명의 티탄산아연마그네슘 입자형상을 전자현미경(SEM, Jeol, 일본)으로 관찰한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은 도 2의 전자현미경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0.8∼1.0㎛의 균일한 입자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시험예 3: X-선 회절분석
실시예 1에서 수득한 본 발명의 티탄산아연마그네슘 결정구조를 확인하기 위하여 XRD(Rigaku, 일본)를 사용하여 결정형 패턴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으로부터 보는 바와 같이, 티탄산아연마그네슘계 무기분체의 특성 피크(◆로 표시)는 35.5°, 30°및 33°위치에서 매우 강한 세기로 나타나 있다. 이것은 이산화티탄의 피크위치(●로 표시)인 26°및 38°, 산화아연의 피크위치(▼로 표시)인 32°및 37°, 산화마그네슘의 피크위치(■로 표시)인 43°와 다른 위치로서 뚜렷이 구별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티탄산아연마그네슘계 무기분체에서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및 산화마그네슘의 특성 피크는 없어졌거나 흔적만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4: 온도상승 억제효과 및 저온 단열특성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의 표면 온도상승에 대한 측정 비교물질로 비교예 1에서 수득한 티탄산아연 및 아나타제형 이산화티탄과 산화아연을 사용하였다. 표면 온도측정을 위해서 분체 약 0.5g을 가압 성형하여 지름 1㎝의 원형 시편을 만들고, 실내온도 22℃, 상대습도 45%로 유지되는 항온항습실에서 미리 2시간 이상 방치하여 적응시켰다. 각 시편을 흑색 아트 용지 위에 놓고, 시편으로부터 수직 방향 30cm 위에 적외선 온도계(Spot Thermometer TA- 0510F, Minolta, 일본)를 설치하여 시편의 초기 표면 온도를 측정하였다. 시편에 조사되는 에너지 원으로서 자외선, 가시광선 및 적외선이 함께 방출되는 할로겐 램프(500W)를 시편의 수직 방향 50㎝위에 설치하고, 각각의 시편에 대해서 10분간 빛을 조사하였다. 빛을 차단하고 공기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10초동안 방치한 후 각 시편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고, 조사 전과 후의 온도변화를 측정하였다.
한편, 저온 단열특성은 항온항습실에서 2시간동안 적응시킨 시편을 4℃의 저온실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꺼내어 곧바로 항온 항습실에서 적외선 온도계로 표면온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각 시편의 표면 온도 변화 추이(단위: ℃)
시료명 광조사 전 광조사 후 ΔT 냉각 전 냉각 후 ΔT
실시예 1 22.0 68.5 46.5 22.0 16.5 5.5
비교예 1 22.0 72.1 50.1 22.0 11.3 10.7
이산화티탄 22.0 78.5 56.5 22.0 9.8 12.2
산화아연 22.0 73.7 51.7 22.0 10.1 11.9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의 온도상승 억제효과 및 저온 단열특성은 공지의 티탄산아연, 이산화티탄 및 산화아연에 비해 매우 우수하였다.
실시예 2
염화마그네슘 30.5g, 황산아연 43.1g을 정제수 2000㎖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마이카 70.0g과 이산화티탄 12.0g을 투입하여 분산하였다. 분산액을 교반하면서 가온하여 수상의 온도를 70℃로 유지하였다. 수산화나트륨 24.0g을 정제수 200㎖에 용해시키고 천천히 적하하였다. 수상의 pH가 8 부근일 때,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적하를 조심스럽게 하면서 pH 8.5에서 적하를 멈추고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3시간동안 방치하였다. 이것을 여과하고 1000㎖의 정제수로 세척한 후 다시 여과하였다. 재여과하여 얻은 수득물을 110℃에서 3시간동안 건조시키고 유발밀로 30초간 분쇄하였다. 분쇄물을 알루미나 도가니에 넣고 전기로에서 5℃/분의 속도로 승온시켜 1000℃에서 4시간동안 소결처리한 다음, 15℃/분의 속도로 냉각시켰다. 소결물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티탄산아연마그네슘 코팅 마이카 100g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5: 전자현미경 관찰
실시예 2에서 수득한 티탄산아연마그네슘 코팅 마이카의 입자형상을 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10,000배로 관찰하고, 그 결과도를 도 4에 나타내었다. 티탄산아연마그네슘 코팅 마이카는 도 4의 전자현미경 사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상의 마이카 표면에 0.3㎛ 정도의 티탄산아연마그네슘 입자들이 빽빽하게 고착된 상태로 피복되어 있다.
실시예 3
2000㎖ 용량의 반응기에서 세리사이트 70.0g을 정제수 430㎖에 분산시키고 교반하면서 가온하여 수상의 온도를 80℃로 유지하였다. 염화마그네슘 50g 및 황산아연 50g을 정제수 400㎖에 용해시키고 가온하여 온도를 80℃로 유지하였다. 별도로 사염화티탄 50.0g을 차가운 정제수 300㎖에 용해시켰다. 세리사이트가 분산, 교반되고 있는 반응기에 사염화티탄 수용액, 염화마그네슘과 황산아연의 혼합 수용액의 순으로 서서히 투입하면서 온도를 75℃로 유지시켰다. 여기에 수산화나트륨 80g을 정제수 400㎖에 용해시킨 수용액을 천천히 적하하였다. 반응기내 수상의 pH 가 8을 넘는 순간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적하를 멈추고, 75℃에서 3시간동안 조심스럽게 교반을 계속하였다. 이것을 실온에서 5시간 방치하고, 정제수로 3회 세척하고 여과하였다. 여과하여 얻은 수득물을 110℃에서 건조시키고 알루미나 도가니에 넣었다. 전기로에서 5℃/분의 속도로 승온시켜 900℃에서 2시간동안 소결처리한 다음, 15℃/분의 속도로 냉각시켰다. 소결물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티탄산아연마그네슘 코팅 세리사이트 100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티탄산아연마그네슘에 내수성을 부여하기 위해 반응성 실리콘오일 3.0중량%로 처리한 다음, 이를 함유하는 투웨이케익을 하기 표 2에 기재한 바와 같은 조성비를 갖도록 제조하였다.
투웨이케익의 원료조성(단위: 중량%)
원료명 실시예 4 비교예 2
1. 실리콘처리 세리사이트2. 실리콘처리 탈크3. 실리콘처리 마이카4. 실리콘처리 티탄산아연마그네슘5. 실리콘처리 이산화티탄6. 실리콘처리 산화아연7. 적색 산화철8. 황색 산화철9. 흑색 산화철10. 스테아린산아연11. 디메틸폴리실록산12. 스쿠알란13. 라놀닐14. 이로프로필미리스테이트15. 조합향료16. 방부제 잔량20.0015.0015.00--0.753.800.451.003.002.802.002.00적량적량 잔량20.0015.00-10.005.000.753.800.451.003.002.802.002.00적량적량
시험예 6 : 투웨이케익의 온도조절효과
상기 실시예 4 및 비교예 2에서 얻은 투웨이케익에 대한 온도상승 억제효과를 다음과 같이 비교하였다. 투에이케익을 성형하고 리필 용기에 담은 후, 상대습도가 50%이고, 실내온도가 22.0℃인 항온 항습실에서 하루동안 미리 방치하였다. 온도상승 억제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500W 할로겐 램프를 제품의 상부 50㎝ 위에 설치하고 2분간 조사한 후, 램프의 스위치를 끄고 10초간 기다린 후 적외선 디지털 온도계로 제품 중앙부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저온 단열특성은 항온 항습실에서 2시간 동안 적응시킨 투웨이케익을 4℃의 저온실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꺼내어 곧바로 항온 항습실에서 적외선 온도계로 표면온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투웨이케익의 온도상승 억제효과 비교 (단위: ℃)
광조사 전 광조사 후 ΔT 냉장 전 냉장 후 ΔT
실시예 4 22.5 37.6 5.6 22.5 7.3 2.1
비교예 2 22.5 43.2 22.5 5.2
표 3의 결과로부터, 광을 조사할 경우 본 발명의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을 함유한 실시예 4의 투웨이케익은 비교예 2의 투웨이케익보다 5.6℃ 정도의 온도상승 억제효과를 보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저온실에서 강제로 냉각시킬 경우 2.1℃의 온도유지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5.6℃ 정도의 온도상승 억제효과와 2.1℃의 단열효과는 인체 특히 얼굴이 충분히 그 온도차이를 느낄 수 있는 유의한 수준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투웨이케익을 사용할 경우 얼굴 피부 표면의 온도조절 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한편, D.I.T.I(Digital Infrared Thermal Imaging System; Thermo Tracer 6T62, NEC San-ei, 일본)를 사용하여 실시예 4 및 비교예 2에서 얻은 투웨이케익에 대한 온도조절 및 화장효과를 측정하고, 그 열적 분포를 이미지로 얻어서 비교한 사진을 도 5 내지 9에 나타내었다. 본 시험에 사용된 D.I.T.I. 시스템은 물체의 온도분포를 색상으로 표현한 이미지 사진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을 함유한 본 발명의 투웨이케익과 일반 투웨이케익에 대한 온도상승 억제효과 및 단열효과에 의한 온도조절 기능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D.I.T.I 시스템으로 측정한 결과가 도 5 내지 7이다. 이중 도 5는 항온 항습실에서 하루 이상 방치한 투웨이케익을 D.I.T.I. 시스템으로 측정한 것이며, 실시예 4의 투웨이케익(좌측, A로 표시)과 비교예 2의 투웨이케익(우측, B로 표시)의 열적 분포는 거의 동일한 색상을 나타내고 있다. 그림의 우측에 표시된 해당색상이 나타내는 온도 값은 투웨이케익과 부착판이 거의 동일한 온도임을 보여주고 있다. 도 6은 각각의 투웨이케익을 할로겐 램프로 3분간 조사한 후 D.I.T.I. 시스템으로 측정한 결과로서 실시예 4의 투웨이케익(좌측, A로 표시)은 37.5℃이하로 훨씬 푸르게 나타나 있고, 비교예 2의 투웨이케익(우측, B로 표시)은 40℃이상을 나타내기 때문에 적갈색으로 나타나 있어서 제품의 온도가 상승되어 있음을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조사된 광이 투웨이케익을 비교하기 위해 부착한 부착판의 온도를 40℃ 이상으로 상승시켜 제품 주위가 적갈색으로 변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이 함유된 본 발명의 투웨이케익의 온도조절 기능을 더욱 부각시켜 주고 있다. 도 7은 각각의 투웨이케익을 4℃로 유지되는 저온실에 30분간 방치한 후 D.I.T.I 시스템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4의 투웨이케익(좌측, A로 표시)이 훨씬 붉게 나타나 있고, 비교예 2의 투웨이케익(우측, B로 표시)이 푸르게 나타나 있는데, 이는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이 함유된 투웨이케익이 단열 효과가 우수하여 보온에 의한 온도조절 기능이 있음을 시각적으로 잘 보여주고 있다.
한편, 온도상승 억제효과가 피부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항온 항습실에서 3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얼굴 부위의 온도변화를 적외선 디지털 온도계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내에서 할로겐 램프를 2분간 조사할 경우, 평균 피부온도가 32.5℃에서 35.7℃로 30명 평균 3.2℃가 상승하였고, 또한 하절기에 얼굴 표면온도의 변화는 정오 무렵 실외에서 햇빛에 10분간 노출되었을 때 39℃∼41℃까지 상승되어 약 8℃정도의 온도상승을 보여주었다. 한편, 인체가 느끼는 온도감수성은 입술, 안면, 흉복부, 팔, 다리의 순으로 민감하고, 온도자극이 아주 느리게 주어질 경우 3℃ 정도의 온도차이를 느낄 수 있으며 아주 빠른 온도자극의 경우 0.1℃ 이하의 온도차이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도 5 내지 7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이 함유된 투웨이케익은 광조사에 의한 피부온도 상승억제와 추운날씨에 의한 피부온도 하강을 조절하여 쾌적한 피부상태를 유지시키는 온도조절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8은 항온 항습실에서 화장을 하지 않은 건강한 피시험자의 얼굴을 D.I.T.I. 시스템으로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얼굴 좌우의 열적 분포가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칭을 이루고 있다. 도 9는 피시험자의 얼굴 왼쪽에 실시예 4의 투웨이케익(A로 표시)을, 오른쪽에 비교예 2의 투웨이케익(B로 표시)을 코를 경계로 균일하게 도포하고 할로겐 램프로 3분간 조사한 후 D.I.T.I. 시스템으로 측정한 것을 나타낸 것으로서, 얼굴 왼쪽의 실시예 4의 투웨이케익을 바른 부분(A로 표시)이 비교예 2의 투웨이케익을 바른 부분(B로 표시)보다 푸른 색상의 면적이 많음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이마와 뺨, 입 주위 등 광이 90°가까이 조사되는 부분에서의 온도편차가 큼을 알 수 있었다. 즉, 도 9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을 함유한 실시예 4의 투웨이케익은 피부의 온도조절 기능이 탁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0)

  1. 하기 화학식 1의 티탄산아연마그네슘:
    화학식 1
    Zn2-XMgX·yTiO4
    상기식에서,
    x 는 0.5 내지 1.5의 실수를 나타내고,
    y 는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낸다.
  2. 티탄원 화합물, 아연원 화합물 및 마그네슘원 화합물을 제 1 항에 정의된 화학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당량범위가 되도록 혼합하고 분쇄한 다음, 이를 900℃ 내지 1300℃의 온도범위에서 1 내지 10시간동안 소결처리하고 냉각 및 분쇄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분말상의 제 1 항에 따른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을 제조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티탄원 화합물이 이산화티탄 및 황산티타늄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이고, 아연원 화합물이 산화아연, 탄산아연 및 인산아연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이며, 마그네슘원 화합물이 산화마그네슘, 탄산마그네슘 및 수산화마그네슘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방법.
  4. 판상 무기안료를 수상에 분산시킨 후 수용성염 형태의 티탄원 또는 이산화티탄, 수용성염 형태의 아연원 및 수용성염 형태의 마그네슘원 화합물을 제 1 항에 정의된 화학식 1의 조합비에 따라 수상에 용해 또는 분산시키고 40 내지 80℃로 승온시킨 후 알칼리로 적정하고 여과, 수세, 건조시킨 후 소결처리함을 특징으로 하여 제 1 항에 따른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이 코팅된 판상의 무기분체를 제조하는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판상 무기안료가 탈크, 마이카, 세리사이트, 카올린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수용성염 형태의 티탄원이 사염화티탄 및 황산티타늄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이며, 수용성염 형태의 아연원이 염화아연 및 황산아연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이고 수용성염 형태의 마그네슘원이 질산마그네슘, 염화마그네슘 및 황산마그네슘 중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인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티탄산아연마그네슘과 같은 조성을 갖도록 첨가되는 티탄원, 아연원 및 마그네슘원을 기재인 판상의 무기안료에 대하여 10 내지 60중량% 범위로 적용하는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적정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암모니아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수용액을 사용하여 수상의 pH를 7∼9.5 범위로 조절함으로써 이루어지는 방법.
  8. 제 4 항에 있어서, 건조후 얻어진 분말을 900 내지 1300℃ 온도범위에서 1 내지 10시간 동안 소결처리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정의된 티탄산아연마그네슘 또는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이 코팅된 판상의 무기분체를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도조절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티탄산아연마그네슘 또는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이 코팅된 판상의 무기분체를 0.1 내지 60.0중량% 함유하는 조성물.
KR1019980025563A 1998-06-30 1998-06-30 새로운 티탄산아연마그네슘, 그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하는온도조절 화장료 KR100277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5563A KR100277619B1 (ko) 1998-06-30 1998-06-30 새로운 티탄산아연마그네슘, 그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하는온도조절 화장료
KR1020007014154A KR100558340B1 (ko) 1998-06-30 1999-04-23 새로운 티탄산아연마그네슘,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함유하는 온도조절 기능성조성물
DE69916630T DE69916630D1 (de) 1998-06-30 1999-04-23 Neue zink-magnesium-titanate,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selben und zusammensetzungen mit temperaturregelnder funktionalität diese enthaltend
AU35390/99A AU3539099A (en) 1998-06-30 1999-04-23 Novel zinc magnesium titanates, processes for preparing thereof and thermoregulating function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JP2000556995A JP3566927B2 (ja) 1998-06-30 1999-04-23 新規なチタン酸亜鉛マグネシウム、そ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温度調節機能性組成物
EP99917230A EP1112227B1 (en) 1998-06-30 1999-04-23 Novel zinc magnesium titanates, processes for preparing thereof and thermoregulating function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PCT/KR1999/000192 WO2000000432A1 (en) 1998-06-30 1999-04-23 Novel zinc magnesium titanates, processes for preparing thereof and thermoregulating function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US09/720,728 US6540823B1 (en) 1998-06-30 1999-04-23 Zinc magnesium titanates, processes for preparing thereof and thermoregulating function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5563A KR100277619B1 (ko) 1998-06-30 1998-06-30 새로운 티탄산아연마그네슘, 그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하는온도조절 화장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4162A true KR20000004162A (ko) 2000-01-25
KR100277619B1 KR100277619B1 (ko) 2001-01-15

Family

ID=195419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5563A KR100277619B1 (ko) 1998-06-30 1998-06-30 새로운 티탄산아연마그네슘, 그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하는온도조절 화장료
KR1020007014154A KR100558340B1 (ko) 1998-06-30 1999-04-23 새로운 티탄산아연마그네슘,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함유하는 온도조절 기능성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4154A KR100558340B1 (ko) 1998-06-30 1999-04-23 새로운 티탄산아연마그네슘,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함유하는 온도조절 기능성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40823B1 (ko)
EP (1) EP1112227B1 (ko)
JP (1) JP3566927B2 (ko)
KR (2) KR100277619B1 (ko)
AU (1) AU3539099A (ko)
DE (1) DE69916630D1 (ko)
WO (1) WO20000004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2147B1 (en) * 2004-08-19 2009-09-01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Composite powder particles
CN101563427B (zh) * 2006-10-18 2013-04-03 巴斯福公司 表现出随角异色性的多层颜料
WO2009142254A1 (ja) * 2008-05-23 2009-11-26 石原産業株式会社 赤外線反射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含有した塗料、樹脂組成物
TWI393695B (zh) * 2009-10-02 2013-04-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奈米粉末漿體的製造方法及其應用
WO2013006602A1 (en) * 2011-07-07 2013-01-10 The Shepherd Color Company Low-loading titanate inorganic pigments for use in infrared reflective colors
CN110628241A (zh) * 2019-09-30 2019-12-31 奈米科技(深圳)有限公司 近红外吸收颜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39686A (en) * 1934-03-14 1938-12-13 Lederle Ekbert White pigment
US3607338A (en) 1968-04-11 1971-09-21 Nasa Synthesis of zinc titanate pigment and coatings containing the same
US3732702A (en) 1969-12-22 1973-05-15 K Desch Cooling cosmetic cabinets for bathroom
SU763413A1 (ru) * 1975-03-28 1980-09-15 Предприятие П/Я Г-4855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белого пигмента
JPS63265810A (ja) 1987-04-23 1988-11-02 Sumitomo Metal Mining Co Ltd α−アルミナ粉体の製造方法
EP0340313B1 (en) 1987-11-06 1993-09-29 Nippon Steel Chemical Co., Ltd. Solar heat insulating paint composition and structures coated with said composition
US4892226A (en) 1988-08-17 1990-01-09 Abtahi Nooral S Portable apparatus for refrigerated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cosmetics and the like
US4882650A (en) 1988-12-05 1989-11-21 Sprague Electric Company Magnesium titanate ceramic and dual dielectric substrate using same
US5237838A (en) 1992-05-22 1993-08-24 Merritt Munson Carolann Portable refrigerated cosmetic carrying bag
US5476696A (en) 1993-04-16 1995-12-19 Martin Marietta Corporation White thermal control surfaces containing ZrSiO4
US5353600A (en) 1993-11-30 1994-10-11 Flori-Cal Inc. Solar powered thermoelectric cooled cosmetic case
JP3660697B2 (ja) 1994-06-22 2005-06-15 株式会社ノエビア 温度感受性粉体、及びこれを配合した粉体化粧料
JPH09132514A (ja) * 1995-11-10 1997-05-20 Catalysts & Chem Ind Co Ltd 薄片状微粉末および化粧料
KR100194526B1 (ko) 1997-02-27 1999-06-15 성재갑 새로운 자외선 반사형 티탄산 아연마그네슘계 무기안료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7619B1 (ko) 2001-01-15
KR20010052828A (ko) 2001-06-25
WO2000000432A1 (en) 2000-01-06
DE69916630D1 (de) 2004-05-27
EP1112227B1 (en) 2004-04-21
JP3566927B2 (ja) 2004-09-15
US6540823B1 (en) 2003-04-01
KR100558340B1 (ko) 2006-03-10
EP1112227A1 (en) 2001-07-04
JP2002519282A (ja) 2002-07-02
AU3539099A (en) 200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0133B1 (ko) 투명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폐성 산화아연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CN100548888C (zh) 性质有益的氧化钛粒子及其制造方法
KR100717490B1 (ko) 티탄실리카 복합체 및 그것을 배합한 화장료
WO2018004006A1 (ja) 酸化亜鉛蛍光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0359909B1 (en) Photochromic color rendering regulatory cosmetics
TW201542467A (zh) 六角板狀氧化鋅粒子、其製造方法、化妝料、塡料、樹脂組成物、紅外線反射材料及塗料組成物
KR100277619B1 (ko) 새로운 티탄산아연마그네슘, 그의 제조방법 및이를 함유하는온도조절 화장료
TWI670083B (zh) 組成物及其用途
JP2635073B2 (ja) 化粧品組成物
JPS60149517A (ja) 日焼け止め化粧料
KR101578466B1 (ko) 나노크기를 가지는 구상의 다공성 산화아연 분체,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한 색조화장료 조성물
JPH06116119A (ja) 紫外線吸収効果の高い化粧料
JPS6327419A (ja) メ−クアツプ化粧料
JP3594721B2 (ja) 表面被覆薄片状粉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3736970B2 (ja) 被覆粉体並びにこれを配合してなる化粧料
JP2978303B2 (ja) 化粧料
KR20130138979A (ko) 화장료용 망간-철-티타늄 산화물 안료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S60149516A (ja) 日焼け止め化粧料
JP3009506B2 (ja) 化粧料
JP3480879B2 (ja) 化粧料
JP2000034203A (ja) 化粧料
KR100803940B1 (ko) 기능성 파우더를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및 그의제조방법
JPH11166173A (ja) 紫外線吸収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
JPH11279432A (ja) 合成フッ素金雲母粉末を用いた着色剤、およびそれを配合した化粧料
JP2007182382A (ja) 透明性に優れる紫外線遮蔽性酸化亜鉛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