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3150U - 피어싱 홀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피어싱 홀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3150U
KR20000003150U KR2019980013204U KR19980013204U KR20000003150U KR 20000003150 U KR20000003150 U KR 20000003150U KR 2019980013204 U KR2019980013204 U KR 2019980013204U KR 19980013204 U KR19980013204 U KR 19980013204U KR 20000003150 U KR20000003150 U KR 200000031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rcing hole
piercing
switch
hole
gaug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32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주
Original Assignee
김무
삼성상용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무, 삼성상용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무
Priority to KR20199800132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3150U/ko
Publication of KR200000031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3150U/ko

Links

Landscapes

  • Drilling And Boring (AREA)

Abstract

피어싱 펀치에 의해 피어싱 홀을 절단가공시 피어싱 펀치의 파손으로 인해 피어싱 홀이 절단되지 않는 경우 및 피어싱 홀의 불완전한 절단가공되는 것을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프레스기 구동으로 인한 피어싱 펀치 승하강으로 절단가공되는 피어싱 홀의 절단유무 및 불완전 절단가공되는 것을 검출하는 피어싱 홀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기에 일체형으로 부착되는 몸체; 상기 피어싱 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게이지 핀; 상기 프레스기 구동으로 상기 피어싱 홀에 대해 상기 게이지 핀의 하강시 상기 피어싱 홀의 가공불량으로 상기 게이지 핀 상승으로 인해 접점되는 스위치; 일단이 상기 몸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게이지 핀에 고정되며, 상기 몸체의 상승시 상기 게이지 핀을 초기위치로 복귀시켜 상기 스위치의 접점을 해제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스위치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피어싱 홀의 절단가공 불량유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에 접속되며, 상기 피어싱 홀이 가공불량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를 소정의 경고수단을 통하여 작업자에게 알리며, 상기 피어싱 홀을 절단가공하는 프레스기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소정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더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홀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이로 인해, 피어싱 펀치에 의해 피어싱 홀을 절단가공시 피어싱 펀치의 파손으로 인해 피어싱 홀이 절단되지 않는 경우 및 피어싱 홀의 불완전한 절단가공되는 것을 자동으로 검출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며, 검사장치의 에러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검출이 가능하여 품질을 향상시키며, 피어싱 홀을 절단가공하는 프레스기계 자체를 이용하여 피어싱 홀을 검사할 수 있어 검사장치의 제작 및 설치비용을 대폭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이점을 갖는다.

Description

피어싱 홀 검사장치
본 고안은 피어싱 홀 검사장치(INSPECTOR FOR PIERCING HOLE)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어싱 펀치에 의해 피어싱 홀을 절단가공시 피어싱 펀치의 파손으로 인해 피어싱 홀이 절단되지 않는 경우 및 피어싱 홀의 불완전한 절단가공되는 것을 자동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한 피어싱 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a-d)는 종래 기술에 의한 피어싱 홀 검사장치의 개략도 이다.
(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피어싱 홀(1)에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2)를 설치하며, 발광부(2)로 부터 조사되어 피어싱 홀(1)을 통과하는 빛을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제어장치에 입력함에 따라 피어싱 홀(1)의 절단유무 및 불완전하게 절단가공되는 것을 검출하는 수광부(3)를 설치함에 따라, 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을 갖게된다.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어싱 홀(1)의 절단유무 및 불완전하게 절단가공되는 것을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제어장치에 입력할 수 있도록 근접센서(4)를 설치하는 경우, 피어싱 홀(1)의 검출결과가 부정확하여 품질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게된다.
(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어싱 홀(1)의 절단유무 및 불완전하게 절단가공되는 것을 검출하여 검출화상을 제어장치에 입력할 수 있도록 카메라(5)를 설치하는 경우, 검사장치의 가격이 고가여서 설치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을 갖게된다.
(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어싱 홀(1)의 절단유무 및 불완전하게 절단가공되는 것을 검출하여 검출신호를 제어장치에 입력할 수 있도록 압력센서(6)를 설치하는 경우, 검사장치의 가격이 고가여서 설치비용이 상승되는 단점을 갖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피어싱 펀치에 의해 피어싱 홀을 절단가공시 피어싱 펀치의 파손으로 인해 피어싱 홀이 절단되지 않는 경우 및 피어싱 홀의 불완전한 절단가공되는 것을 자동으로 검출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며, 검사장치의 에러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검출이 가능하여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피어싱 홀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피어싱 홀을 절단가공하는 프레스기계 자체를 이용하여 피어싱 홀을 검사할 수 있어 검사장치의 제작 및 설치비용을 대폭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피어싱 홀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d)는 종래 기술에 의한 피어싱 홀 검사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피어싱 홀 검사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피어싱 홀 검사장치의 사용상태도 이다.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홀더(HOLDER)
11; 몸체
12; 피어싱 홀(PIERCING HOLE)
13; 게이지 핀(GAUGE PIN)
13A; 접촉부
14; 스위치
15; 탄성부재
16; 제어장치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프레스기 구동으로 인한 피어싱 펀치 승하강으로 절단가공되는 피어싱 홀의 절단유무 및 불완전 절단가공되는 것을 검출하는 피어싱 홀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기에 일체형으로 부착되는 몸체; 상기 피어싱 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게이지 핀; 상기 프레스기 구동으로 상기 피어싱 홀에 대해 상기 게이지 핀의 하강시 상기 피어싱 홀의 가공불량으로 상기 게이지 핀 상승으로 인해 접점되는 스위치; 일단이 상기 몸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게이지 핀에 고정되며, 상기 몸체의 상승시 상기 게이지 핀을 초기위치로 복귀시켜 상기 스위치의 접점을 해제시키는 탄성부재; 상기 스위치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피어싱 홀의 절단가공 불량유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에 접속되며, 상기 피어싱 홀이 가공불량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를 소정의 경고수단을 통하여 작업자에게 알리며, 상기 피어싱 홀을 절단가공하는 프레스기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소정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더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홀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경고수단으로써 상기 피어싱 홀이 가공불량인 경우 이를 소정의 경보음을 발생시켜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부저 또는 조명램프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며, 이는 본 고안 기술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피어싱 홀 검사장치의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피어싱 홀 검사장치의 사용상태도 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기 구동으로 인한 피어싱 펀치 승하강으로 절단가공되는 피어싱 홀의 절단유무 및 불완전 절단가공되는 것을 검출하는 피어싱 홀 검사장치에 적용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프레스기에 일체형으로 부착되는 홀더(10)에 몸체(11)가 일체형으로 고정되며, 전술한 피어싱 홀(12)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는 게이지 핀(GAUGE PIN)(13)이 몸체(11)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전술한 프레스기 구동으로 피어싱 홀(12)에 대해 게이지 핀(13)의 하강시 피어싱 홀(12)의 가공불량으로 인해 게이지 핀(13)이 상승되는 경우 접점되도록 스위치(14)가 형성되며, 전술한 몸체(11)의 상승시 게이지 핀(13)을 초기위치로 복귀시켜 스위치(14)의 접점을 해제시키는 탄성부재(15)의 일단이 전술한 몸체(11)에 고정되고 탄성부재(15)의 타단은 게이지 핀(13)에 고정되며, 스위치(14)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피어싱 홀(12)의 절단가공 불량유무를 판단하며 피어싱 홀(12)이 가공불량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를 소정의 경고수단을 통하여 작업자에게 알리며, 피어싱 홀(12)을 절단가공하는 프레스기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소정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16)가 케이블(17)을 통하여 스위치(14)에 접속된다.
이때, 전술한 경고수단으로써 전술한 피어싱 홀(12)의 절단가공이 불량으로 판단시 이를 소정의 경보음을 발생시켜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부저 또는 조명램프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피어싱 홀 검사장치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피어싱 홀 검사장치의 사용상태도 이다.
미도시된 프레스기에 부착되는 피어싱 펀치의 하강으로 인해 절단가공되는 피어싱 홀(12)의 중심과 전술한 게이지 핀(13)의 중심이 상호 일치되도록 피절단부재(P)를 위치조정하여 고정시킨다. 프레스기 구동으로 전술한 몸체(11)의 하강으로 인해 몸체(11)에 피어싱 홀(12)의 갯수만큼 장착된 게이지 핀(13)이 피어싱 홀(12)에 대해 각각 하강된다.
이때, 전술한 피어싱 홀(12)의 가공상태가 불량인 경우, 즉 피어싱 홀(12)이 아예 절단가공되지 않거나 또는 피어싱 홀(12)이 부분적으로 절단가공된 경우, 전술한 게이지 핀(13)이 몸체(11)의 상방으로 밀리게 된다(이때, 전술한 탄성부재(15)는 압축상태임). 이로 인해, 전술한 게이지 핀(13)의 상단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접촉부(13A)에 의해 전술한 스위치(14)가 접점됨에 따라, 스위치(14)와 제어장치(16)를 접속시킨 케이블(17)을 통하여 피이싱 홀(12)의 검출신호가 제어장치(16)에 입력된다.
따라서, 전술한 제어장치(16)는 전술한 피어싱 홀(12)의 절단가공 상태가 불량인 것을 판단하게 됨에 따라, 미도시된 부저 등의 경고수단을 통하여 작업자에게 알리며, 이와 동시에, 제어장치(16)는 피어싱 홀(12)을 절단가공하는 프레스기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소정의 신호를 출력시킨다.
이후, 전술한 몸체(11)는 프레스기 구동으로 인해 상방으로 이동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전술한 게이지 핀(13)은 전술한 탄성부재(15)의 복원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전술한 스위치(14)의 접접이 해제되어 제어장치(16)에 입력되는 신호가 차단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소정의 조치를 취한 다음, 전술한 제어장치(16)를 리셋(RESET)시켜 전술한 피어싱 홀(12)의 검사작업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피어싱 펀치에 의해 피어싱 홀을 절단가공시 피어싱 펀치의 파손으로 인해 피어싱 홀이 절단되지 않는 경우 및 피어싱 홀의 불완전한 절단가공되는 것을 자동으로 검출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며, 검사장치의 에러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정확한 검출이 가능하여 품질을 향상시키며, 피어싱 홀을 절단가공하는 프레스기계 자체를 이용하여 피어싱 홀을 검사할 수 있어 검사장치의 제작 및 설치비용을 대폭적으로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한 이점을 갖는다.

Claims (2)

  1. 프레스기 구동으로 인한 피어싱 펀치 승하강으로 절단가공되는 피어싱 홀의 절단유무 및 불완전 절단가공되는 것을 검출하는 피어싱 홀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기에 일체형으로 부착되는 몸체;
    상기 피어싱 홀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게이지 핀;
    상기 프레스기 구동으로 상기 피어싱 홀에 대해 상기 게이지 핀의 하강시 상기 피어싱 홀의 가공불량으로 상기 게이지 핀 상승으로 인해 접점되는 스위치;
    일단이 상기 몸체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게이지 핀에 고정되며, 상기 몸체의 상승시 상기 게이지 핀을 초기위치로 복귀시켜 상기 스위치의 접점을 해제시키는 탄성부재; 및
    상기 스위치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피어싱 홀의 절단가공 불량유무를 검출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에 접속되며, 상기 피어싱 홀이 가공불량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를 소정의 경고수단을 통하여 작업자에게 알리며, 상기 피어싱 홀을 절단가공하는 프레스기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소정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장치를 더 구비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홀 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수단으로써,
    상기 피어싱 홀이 가공불량으로 검출된 경우 이를 소정의 경보음을 발생시켜 작업자에게 알려주는 부저 또는 조명램프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어싱 홀 검사장치.
KR2019980013204U 1998-07-16 1998-07-16 피어싱 홀 검사장치 KR2000000315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204U KR20000003150U (ko) 1998-07-16 1998-07-16 피어싱 홀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204U KR20000003150U (ko) 1998-07-16 1998-07-16 피어싱 홀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3150U true KR20000003150U (ko) 2000-02-15

Family

ID=69518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3204U KR20000003150U (ko) 1998-07-16 1998-07-16 피어싱 홀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3150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654B1 (ko) * 2012-05-08 2013-10-30 주식회사 새한산업 자동차용 프론트 서브프레임 체결용 볼트의 나사산 불량감지 장치
KR101342159B1 (ko) * 2012-06-25 2014-01-16 (주)엘림티에스 타발 성형품 검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타발장치
KR102591614B1 (ko) * 2022-08-10 2023-10-19 배찬호 차량 부품용 홀 검사측정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2654B1 (ko) * 2012-05-08 2013-10-30 주식회사 새한산업 자동차용 프론트 서브프레임 체결용 볼트의 나사산 불량감지 장치
KR101342159B1 (ko) * 2012-06-25 2014-01-16 (주)엘림티에스 타발 성형품 검사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타발장치
KR102591614B1 (ko) * 2022-08-10 2023-10-19 배찬호 차량 부품용 홀 검사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8912B1 (ko) 피크-앤-플레이스 로봇으로 기판 상에 배치된 소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방법
JP5649770B2 (ja) 機械的な薄板製作装置
KR20000003150U (ko) 피어싱 홀 검사장치
JP5064294B2 (ja) 端子検査治具及び端子検査方法
KR101283815B1 (ko) 차량용 오토레버의 조립 및 검사 장치
JP2007283368A (ja) キャップチップ研摩品質の判定装置
KR20070062330A (ko) 오일홀 관통 검사장치
CN212082285U (zh) 一种用于对头孔尺寸进行检测的检具
KR0117267Y1 (ko) 태핑가공 확인장치
KR200387726Y1 (ko) 진동센서 불량여부 검사장치
JP2017067526A (ja) 打刻検査方法
KR20150131685A (ko) 용접기의 용접 누락 검사 장치
KR100394666B1 (ko) 차량용 사이드 프레임 홀 검사 시스템
JPH079539U (ja) かしめ検査装置
KR20020049240A (ko) 프레스 금형내 패널 안착 오류 감지장치
JPH09254188A (ja) コネクタ成形用金型のコネクタピン折損検出装置
KR100201109B1 (ko) 내연기관의 다수 구멍 가공 유무 검사장치
KR102054469B1 (ko) 성형불량 검사장치
JP2011123056A (ja) 製品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CN107717559B (zh) 一种cnc机床及其气缸夹具在线检测防呆方法及系统
JP2004053439A (ja) スリット検査装置
JP3859090B2 (ja) 被加工物の設置位置検査装置
KR20000000665A (ko) 미세선폭 측정설비의 홀더 센서
JPS6021764Y2 (ja) 被加工物の穴深さ検査装置
KR100362757B1 (ko) 차량용미션케이스의드릴링가공부위확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