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7726Y1 - 진동센서 불량여부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진동센서 불량여부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7726Y1
KR200387726Y1 KR20-2005-0009086U KR20050009086U KR200387726Y1 KR 200387726 Y1 KR200387726 Y1 KR 200387726Y1 KR 20050009086 U KR20050009086 U KR 20050009086U KR 200387726 Y1 KR200387726 Y1 KR 2003877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sensor
vibration
pressing
support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0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점채
Original Assignee
윤점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점채 filed Critical 윤점채
Priority to KR20-2005-00090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77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77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77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2Vibration-testing by means of a shake table
    • G01M7/025Measur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5Testing of complete machines, e.g. washing-machines or mobile 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진동에서도 진동센서가 불량여부 측정판상에서 이탈되지 않고 회로에 연결되어서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진동센서 불량여부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진동장치상에 형성되는 측정부에 고진동상태에서도 정확하게 진동센서의 불량여부를 검사할 수있도록 고장력의 스프링이 설치된 지지대와 고강도 우레탄으로 된 누름판을 새롭게 개발하여 적용시킨 것이다.
따라서, 검사용 진동센서의 정확한 불량여부측정이 가능하도록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켜서 안정적으로 회로를 연결시켜 진동센서의 불량여부 검사에 오류가 없게 되며, 특히 검사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져서 작업속도와 효율 및 유지관리에 경제적인 효과를 얻게 된다.

Description

진동센서 불량여부 검사장치{A Tester for checking the quality of vibration-senors}
본 고안은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를 생산함에 있어서 생산된 진동센서의 불량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진동에서도 진동센서가 불량여부 측정판상에서 이탈되지 않고 회로에 연결되어서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도록 설계된 진동센서 불량여부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센서는 인간이 오감(五感)을 이용하여 느낌을 전달 받는 원리를 기술에 적용한 감지기로, 그 기능에 따라 진동센서, 압력센서, 온도감지 센서등 다양한 종류가 개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이중 진동센서의 불량여부를 테스트하여 진동센서가 갖추어진 장비의 사용에 정확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일반적인 진동센서 불량여부 검사장치는 도1과 같이 구성되어있다.
즉, 종래의 진동센서 불량여부 검사장치는 하부의 지지대(10)상에 진동장치(12)를 설치하고, 이 진동장치(12) 상부의 진동판(14)과 함께 측정부(16)가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특히 측정부(16)는 생산된 진동센서(100)가 놓여지는 작업대(18)와, 이 작업대(18)상부에서 승강되면서 진동센서(100)의 검사시간동안 진동센서(100)를 눌러주는 누름핀(20)과, 이 누름핀(20)을 작업대(18)상에서 지지시키는 지지대(22)로 이루어 진다.
따라서, 도2와 같이 다수의 진동센서(100)가 형성된 기판(200)이 작업대(18)상에 놓이게 되면 누름핀(20)이 하강하여 진동센서(100)들이 붙어있는 기판(200)의 테두리(202)를 눌러주게 되며, 따라서 진동센서(100)에 형성되어 있는 핀(102)들이 미리 설치된 단락감지회로(도시 않됨)에 접촉되어 지면 소정의 전류가 흐르면서 진동센서(100)의 성능검사가 이루지면서 그 결과는 배선으로 연결된 모니터 혹은 스피커(도시 않됨)를 통하여 눈으로 확인하거나 소리로 전달되어서 진동센서(100)의 불량여부를 가리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진동센서(100)의 불량여부를 검사하기 위하여 인위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에 10G~50G의 중력가속도가 작용하게 되므로 진동센서(100)가 설치된 기판(200)이 이탈되지 않고 회로가 연결되도록 하는 기술이 이 장치의 핵심을 이루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진동센서 불량여부 검사장치는 상기한 측정부(16)의 누름핀(20)이 도3과 같이 실린더 형상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있어서, 진동시 접촉저항이 발생하게 되므로 미세한 전류를 이용하여 진동센서의 불량여부를 감지하는 장치의 특성상 누름핀의 접촉저항은 진동센서의 불량여부 검출에 매우 큰 장애요소과 되어 왔으며, 하강시의 충격흡수와 누름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실린더와 피스톤 형태로 스프링(도시 않됨)을 내장한채 제작된 누름핀(20)은 피스톤운동을 하게 되므로 고진동 횟수가 일정 한계가 있게 되며, 정밀가공으로 인한 부품비의 상승은 물론, 잦은 불량으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을 상기한 종래의 장치가 지닌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신규하고 진보적인 진동센서 불량여부 검사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진동센서의 불량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여하한의 형태의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진동장치 상에 형성되는 측정부의 누름핀을 대신하여 고진동 상태에서도 정확하게 진동센서의 불량여부를 검사할 수있도록 고장력의 스프링이 설치된 지지대와 고강도 우레탄으로 된 누름판을 새롭게 개발한 것이다.
여기서 지지대는 수직과 수평의 지지대로 누름판을 승강시키도록 결합하고, 수직지지대에는 스프링을 설치하여서 진동이 발생하더라도 일정한 밀착압력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한 수단이 적용된 본 고안의 장치를 사용하면 검사용 진동센서의 정확한 불량여부측정이 가능하도록 밀착된 상태를 유지시켜서 안정적으로 회로를 연결시켜 진동센서의 불량여부 검사에 오류가 없게 되며, 특히 검사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져서 작업속도와 효율을 비약적으로 증대시켰음은 물론, 고진동에서 사용되는 측정부의 고장이 없어서 유지관리에 경제적인 효과를 얻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하부의 지지대(10)상에 진동장치(12)가 설치되고, 이 진동장치(12)상부의 진동판 (14)과 함께 측정부(16)가 설치되며,
측정부(16)에는 생산된 진동센서(100)가 놓여지는 작업대(18)와, 이 작업대(18)상부에서 승강되면서 진동센서(100)의 검사시간 동안 진동센서(100)를 눌러주는 가압밀착부(30)로 구성된 진동센서 불량여부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압밀착부(30)는 작업대(18)상에 설치되는 수직지지대(32)와, 이 수직지지대(32)상부에서 작업대(18)와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수평지지대(34)와, 상기 수평지지대(34)의 중앙 위치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압밀착 지지대(38)와, 가압밀착지지대(38)하부에 설치되며 스프링(36)으로 탄지되는 누름판(40)을 갖추어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누름판(40)은 우레탄 재질의 판상구조이면서 하부누름부(42)는 다수의 진동센서(100)가 붙어있는 기판(200)과 닿는 누름면(44)과 진동센서(100)의 핀(102)부분을 가압하는 가압면(46)이 단차를 두고 형성되며, 누름판(40)은 누름대(50)에 형성된 끼움홀(52)에 그 상단부분이 강제끼움에 의해 고정설치되어서 설치작업이나 교환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도4는 본고안의 가압밀착부(30)를 확대도시한 것으로, 작업대(18)상에 놓여지는 기판(200)에는 두줄로 여러 개의 진동센서(100)가 균일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어서 진동센서(100)의 크기와 작업조건에 따라 한번에 검사할 수있는 갯수가 다르게 정해지게 되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한번에 두줄의 두개씩, 즉 4개의 진동센서의 불량여부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5는 누름판(40)의 정면구성도면으로, 하단부의 누름면(44)과 가압면(46)은 단차(d)를 이루도록 형성되어서 가압면(46)이 누름면(44)보다 다소 돌출되어있으며, 그 단차의 범위는 진동센서의 크기와 기판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수 있으나 본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단차의 범위를 0.1 mm ~1mm 의 범위로 정하였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을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동장치(12)를 통해 진동판(14)이 진동하도록 구성시킨 장치의 작업대(18)상에 진동센서가 붙여진 기판(200)이 놓여지는 과정은 종래와 다를 바 없다.
기판(200)이 놓여진 후 누름판(40)이 하강하여 누름부(42)의 누름면(44)이 기판(200)을 누르게 되면 가압면(46)은 그 단차(d)에 의해 진동센서(100)의 핀(102)을 다소 강하게 가압밀착 시키게 되며, 따라서 고진동(10G~50G)상태라 하더라도 기판(200)의 분리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특히 진동센서의 불량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회로의 연결이 단락되지 않도록 가압된 상태를 유지시켜주게 된다.
이때 스프링(36)은 누름판(40)은 고진동에 의해 순간적으로 누름판의 가압력이 변화하더라도 이를 상쇄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장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의 반복작업으로 진동센서의 불량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상기한 구성은 하나의 실시예를 기재한 것으로 본 고안의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 속하는 동일 유사기술은 균등한 범위내에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고안은 고진동에서도 검사할 진동센서의 밀착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져서 회로단락에 의한 진동센서 불량여부의 검사에 정확성을 기할 수 있으며, 누름판은 누름대에 형성된 끼움홀에 그 상단부분이 강제끼움에 의해 고정설치되어서 설치작업이나 교환작업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고, 누름판의 간단한 구조와 정확한 검사측정 효과는 작업효율과 장비의 유지관리에 큰 경제적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1은 종래 진동센서 불량여부 검사장치의 구성도,
도2는 진동센서가 부착된 기판의 구성도,
도3은 종래 누름핀의 예시도,
도4는 본고안의 요부 구성도,
도5는 도4의 누름판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설명]
10-지지대 12-진동장치
14-진동판 16-측정부
30-가압밀착부 32-수직지지대
34-수평지지대 36-스프링
38-가압밀착지지대 40-누름판
42-누름부 44-누름면
46-가압면
100-진동센서 200-기판

Claims (2)

  1. 지지대상에 진동장치가 설치되고, 이 진동장치상부의 진동판과 함께 측정부가 설치되며, 이 측정부에는 생산된 진동센서가 놓여지는 작업대, 이 작업대 상부에서 승강되면서 진동센서의 검사시간동안 진동센서를 눌러주는 가압밀착부로 구성되면서
    상기 가압밀착부는 작업대상에 설치되는 수직지지대와,
    상기 수직지지대상부에서 작업대와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수평지지대와,
    상기 수평지지대의 중앙 위치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가압밀착 지지대와,
    상기 가압밀착지지대 하부에 설치되며 스프링으로 탄지되는 누름판을 갖추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센서 불량여부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누름판은 우레탄 재질의 판상구조로 누름판의 끼움홀에 그 상단부가 강제끼움으로 결합설치되며, 하부 누름부에는 누름면과 더불어 가압면이 단차를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센서 불량여부 검사장치.
KR20-2005-0009086U 2005-04-01 2005-04-01 진동센서 불량여부 검사장치 KR2003877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086U KR200387726Y1 (ko) 2005-04-01 2005-04-01 진동센서 불량여부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086U KR200387726Y1 (ko) 2005-04-01 2005-04-01 진동센서 불량여부 검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690A Division KR100647242B1 (ko) 2005-04-01 2005-04-01 진동센서 불량여부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7726Y1 true KR200387726Y1 (ko) 2005-06-21

Family

ID=43689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086U KR200387726Y1 (ko) 2005-04-01 2005-04-01 진동센서 불량여부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772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380B1 (ko) 2011-01-03 2013-03-1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가속도 센서 오차 측정 장치
CN112137626A (zh) * 2020-08-24 2020-12-29 杭州微策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多通道检测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380B1 (ko) 2011-01-03 2013-03-1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가속도 센서 오차 측정 장치
CN112137626A (zh) * 2020-08-24 2020-12-29 杭州微策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多通道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4805B2 (ja) プローブ装置及び被検査体とプローブとの接触圧の調整方法
CN106767603B (zh) 一种外扩式卡簧自动检测机构及检测方法
JP2009529667A (ja) 引張試験較正デバイス及び方法
KR100647242B1 (ko) 진동센서 불량여부 검사장치
WO2006030573A1 (ja) 回路基板検査装置
KR200387726Y1 (ko) 진동센서 불량여부 검사장치
CN105675413B (zh) 一种评估电路板应力寿命的方法
CN208780111U (zh) 手机支架平整度检测设备
CN100356184C (zh) 实装板的测试设备
JP3410680B2 (ja) 受圧部材の検査方法およびその装置
KR20100008974A (ko) 피 측정물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물 마모량측정방법
KR100967695B1 (ko) 휴대폰용 스피커 검사장치
CN211121853U (zh) 一种用于弹性垫层静刚度测试压力机的压紧结构
CN201867430U (zh) 测试机台的定位结构
CN216482616U (zh) 一种零件检测治具
KR0171116B1 (ko) 부품 압입장치
CN205785261U (zh) 一种测试治具
CN219475265U (zh) 一种高精准度的电路板硬度检测装置
CN220708297U (zh) 一种新型平面度检测治具
CN217764900U (zh) 一种零件圆台部斜面检具
CN215447741U (zh) 一种电子元件管脚翘曲检验治具
CN112798269B (zh) 一种飞轮本体游隙装配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08106596B (zh) 电子元件抗应变能力的检测装置
CN218545529U (zh) 一种pcb板厚度检查装置
CN211638046U (zh) 一种传动轴三销装配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05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