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695B1 - 휴대폰용 스피커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폰용 스피커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695B1
KR100967695B1 KR1020080075346A KR20080075346A KR100967695B1 KR 100967695 B1 KR100967695 B1 KR 100967695B1 KR 1020080075346 A KR1020080075346 A KR 1020080075346A KR 20080075346 A KR20080075346 A KR 20080075346A KR 100967695 B1 KR100967695 B1 KR 100967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component
microphone
actua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3715A (ko
Inventor
구윤섭
조장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아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아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아정밀
Priority to KR1020080075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695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1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폰용 스피커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스피커가 구비된 부품을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그 위에 올려진 부품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접속부를 갖는 부품검사대와; 상기 부품검사대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마이크홀더와; 상기 마이크홀더에 장착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가 스피커에 최대한 근접했을 때 스피커로 전기신호를 보내어 스피커가 음향을 출력하게 하는 애널라이져와; 상기 마이크에 접속되며 마이크가 스피커로부터 받은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상기 애널라이져로 보내어, 애널라이져로 하여금 스피커로 보낸 전기신호와 마이크를 통해 받은 전기신호를 비교하여 스피커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휴대폰용 스피커 검사장치는, 스피커가 구비되어 있는 부품을 자동으로 이송하며 이송과정 중 애널라이져를 이용하여 스피커의 성능을 검사하므로 작업 속도가 매우 빠르고 검사의 정확도가 높아 신뢰성은 물론 생산성이 매우 높다.
스피커, 스피커검사, 스피커성능, 휴대폰스피커

Description

휴대폰용 스피커 검사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speaker for cell phone}
본 발명은 휴대폰용 스피커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에 내장되는 스피커는 통화 중의 수화음이나 각종 알람 또는 벨소리 등을 출력하는 기본 기능 이외에 DMB폰이나 MP3폰의 경우 노래나 음향 또는 방송내용을 내보내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상기한 스피커에도 여러 종류가 있으며 보다 고품질의 음향을 구현하기 위한 많은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이를테면 종전의 스피커에는 스테레오 기능이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았지만 근래 출시되는 휴대폰은 거의 대부분 스테레오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스테레오 스피커는 두 개의 스피커가 한 조를 이루며 이를테면 도 1에 확대해서 도시한 형식을 갖는다.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휴대폰용 스피커(11a,11b)는 플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되며 그 내부에 전기 회로가 구비되어 있는 바디(11e)의 일측에 배치된다. 상기 바디(11e)는 스피커(11a,11b)를 가지며 휴대폰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는 하나의 부품(11)이다. 본 설명에서 부품(11)이라 함은 스피커(11a,11b)와 리드선(11c) 등 을 포함하며 휴대폰 케이스에 내장되는 요소를 의미한다.
상기 부품(11)은, 바디(11e)와, 상기 바디(11e)에 고정되며 하나의 쌍을 이루는 두 개의 스피커(11a,11b)와, 상기 스피커(11a,11b)를 휴대폰 내부의 회로에 접속시키는 리드선(11c)을 갖는다. 상기 리드선(11c)의 단부에는 단자(11d)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부품(11)은 휴대폰의 다른 부품들과 마찬가지로 별도로 제작된 후 휴대폰 조립과정 중에 휴대폰 케이스 내에 장착된다.
한편, 상기 스피커(11a,11b)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출력 성능이라 할 것이다. 만일 스피커(11a,11b)가 설계된 정도의 출력을 내지 못하여 이를테면 스테레오 기능이 불량하다거나 한쪽 스피커는 정상인데 반대편 스피커가 비정상이라거나 출력이 약하다거나 하면 해당 스피커를 휴대폰에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부품(11)의 제작 과정에는 스피커의 성능을 검사하는 공정이 필수적으로 포함된다. 스피커의 성능검사는 부품(11) 조립 후 스피커(11a,11b)에 전기신호를 인가하여 스피커(11a,11b)가 제대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과정이다.
그런데, 종래에 행해지던 스피커 성능검사 방식은 작업자가 스피커에서 나오는 음향을 귀로 들어 불량 여부를 판별하는 인력방식이었다. 즉 작업자가 방음실에 앉아 하나 하나의 부품(11)을 신호발생부에 접속하여 스피커로부터 음향이 출력되도록 하고 귀로 음향의 특성을 판단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인력방식으로는 정확한 성능검사가 이루어질 수 없음은 물론이다. 매우 숙달된 작업자의 경우 성능검사를 어느 정도 신뢰할 수 있다 하더라도 초보자나 또는 청각능력에 문제가 있는 작업자는 해당 작업을 제대로 할 수 없다. 또한 하나의 부품을 신호발생부에 물리고 두 개의 스피커(11a,11b)를 차례로 동작시키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일이다. 더욱이 상기 부품(11)은 보통 몇 만개 내지 몇 십 만개씩 대량 생산되는데 이러한 많은 부품(11)의 스피커(11a,11b)를 하나 하나 정확하게 검사하는 것은 비현실적인 일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스피커가 구비되어 있는 부품을 자동으로 이송하며 이송과정 중 애널라이져를 이용하여 스피커의 성능을 검사하므로 작업 속도가 매우 빠르고 검사의 정확도가 보장되는 휴대폰용 스피커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스피커와, 단자를 통해 상기 스피커를 외부 회로에 연결하는 리드선을 갖는 휴대폰용 부품을 이송시키며 상기 스피커의 성능을 검사하는 것으로서, 상기 부품을 하나씩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부품의 이송경로 상에 위치하며 이송부에 의해 그 위에 올려진 부품을 지지하고, 일측부에 상기 리드선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접속부를 갖는 하나 이상의 부품검사대와; 상기 부품검사대의 측부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강운동하는 마이크홀더와; 상기 마이크홀더에 장착되되 검사할 스피커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홀더가 하강하여 마이크가 스피커에 최대한 근접했을 때 스피커로 전기신호를 보내어 스피커가 음향을 출력하게 하는 애널라이져와; 상기 마이크에 접속되며 마이크가 스피커로부터 받은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상기 애널라이져로 보내어, 애널라이져로 하여금 스피커로 보낸 전기신호와 마이크를 통해 받은 전기신호를 비교하여 스피커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부품검사대의 측부에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수평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지지되고 액츄에이터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으로 왕복 운동하는 왕복대와, 상기 왕복대에 설치되며 왕복대의 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수평 이송력을 제공하는 제 1액츄에이터와, 상기 제 1액츄에이터에 의해 수평으로 왕복하고 수직 이송력을 제공하는 제 2액츄에이터와, 상기 제 2액츄에이터에 의해 승강하며 상기 왕복대와 제 1,2액츄에이터의 동작에 의해 상기 부품에 근접하여 부품을 집어 올리거나 부품검사대에 내려놓는 핑거부를 갖는 액츄에이터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부품에 구비되어 있는 스피커의 개수는 두 개이며 상기 두 개의 스피커를 순차적으로 검사하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조립체는 상기 왕복대 위에 두 개 이상이 수평방향으로 이격 설치되고, 상기 부품검사대는; 수평의 지지면을 제공하는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핑거에 의해 안착된 부품을 지지하며 상기 단자접속부가 위치하는 좌대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좌대에 부품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대에는 상기 부품의 안착을 가이드하여 리드선의 단부를 단자접속부로 유도하는 안착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홀더에는 마이크홀더가 최대한 하강하였을 때 상기 단자를 단자접속부로 가압하는 가압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휴대폰용 스피커 검사장치는, 스피커가 구비되어 있는 부품을 자동으로 이송하며 이송과정 중 애널라이져를 이용하여 스피커의 성능을 검사하므로 작업 속도가 매우 빠르고 검사의 정확도가 높아 신뢰성은 물론 생산성이 매우 높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스피커 검사장치의 일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검사장치는, 별도로 대량 생산된 부품(11)을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며 좌우 스피커(11a,11b)의 성능을 검사하는 구성을 갖는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검사장치는, 소정 넓이를 갖는 작업대(13)와, 상기 작업대(13)의 일측에 설치되며 공급콘베이어(15)를 거쳐 공급된 부품(11)을 이송시키는 이송부(19)와, 상기 이송부(19)에 의해 이송되는 부품(11)이 그 위에 안착되는 부품검사대(31)와, 상기 부품검사대(31)에 올려진 상태의 스피커(11a,11b)를 검사하는 스피커검사부(29)와, 검사를 통해 정상 판별된 부품(11)을 후속 작업 라인으로 보내는 배출콘베이어(37)를 포함한다. 사실 본 실시예에 따른 검사장치에는 상기 요소 이외에도 도 5에 도시한 애널라이져(39)와 제어 부(41)도 포함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공급콘베이어(15)는 외부로부터 투입된 부품(11)을 일정 속도로 이송시켜 수평판(27)측으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공급콘베이어(15)의 단부에는 부품(11)을 정지시키는 스토퍼(17)가 구비되어 있다. 부품(11)은 스토퍼(17)에 걸려 정위치된 상태로 대기한다. 상기 콘베이어의 공급 속도는 이송부(19)나 스피커검사부(29)의 작업속도에 맞추어 조절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이송부(19)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작업대(13)의 상부에 수평 고정되는 가이드레일(23)과, 상기 가이드레일(23)에 지지되며 액츄에이터(24)에 의해 가이드레일(23)을 따라 화살표 a방향을 따라 왕복운동 하는 왕복대(21)와, 상기 왕복대(21)의 상부에 고정되는 세 개의 액츄에이터조립체(25)로 구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조립체(25)는 세 개가 동일한 구성 및 동작을 한다. 상기 액츄에이터조립체(25)는 상기 왕복대(21)의 상부에 고정되는 프레임(25a)과, 상기 프레임(25a)에 지지되며 화살표 b방향의 이송 운동을 구현하는 제 1액츄에이터(25b)와, 상기 제 1액츄에이터(25b)에 의해 상기한 화살표 b방향으로 왕복운동하며 그 자체는 수직방향 이송 운동력을 제공하는 제 2액츄에이터(25d)와, 상기 제 2액츄에이터(25d)에 의해 승강운동하는 핑거부(25c)를 포함한다.
상기 핑거부(25c)는 부품(11)을 잡거나 잡은 부품(11)을 내려놓은 역할을 한다. 상기 핑거부(25c)는 왕복대(21)를 구동하는 액츄에이터(24)와, 제 1,2액츄에이터(25b,25d)의 작용에 의해 화살표 p방향으로 이동하여 대기하고 있는 부품(11)을 집어 올리고 화살표 q방향으로 귀환한다.
상기 세 개의 액츄에이터조립체(25)에 있어서 도면상 좌측의 액츄에이터조립체(25)는 화살표 p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토퍼(17)에 걸려 있는 부품(11)을 집어 좌측 부품검사대(31)에 올린 후 귀환한다. 즉 화살표 q방향의 귀환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 중 상기 부품검사대(31)에 들러 부품(11)을 부품검사대(31)에 올린 후 귀환하는 것이다.
또한 가운데 액츄에이터조립체(25)는 좌측 부품검사대(31)에 올려진 부품을 우측 부품검사대(31)로 옮기는 것이고, 나머지 액츄에이터조립체(25)는 우측 부품검사대(31)에서 검사를 마친 부품(11)을 배출콘베이어(37)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과정은 부품(11)이 정상적인 것을 전제로 설명한 것이다.
만일 부품(11)의 스피커(11a,11b)에 문제가 있다면 해당 부품(11)은 불량품배출슬라이드(33)로 이동하여 수거함(35)측으로 수거된다. 불량 부품을 상기 불량품배출슬라이드(33)로 이송시키는 것도 상기 액츄에이터조립체(25)가 담당한다.
즉 중앙의 액츄에이터조립체(25)가 좌측 부품검사대(31)에서 검사를 마친 부품(11)을 집어 우측 부품검사대(31)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불량품배출슬라이드(33)의 상부를 통과하는 순간 부품을 떨어뜨려 부품을 수거함(35)측으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동작은 후술할 제어부(41)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부(41)는 검사한 부품의 스피커의 이상 유무를 기초로, 부품을 다음 단계로 이송시킬지 외부로 배출할지 결정한다.
마찬가지로 우측의 액츄에이터조립체(25)는 나머지 부품검사대(31)에서 검사를 마치고 대기하고 있는 부품을 집어 올려 왕복대(21)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불량품배출슬라이드(33)에 떨어뜨린다.
상기 불량품배출슬라이드(33)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제작한 것으로서 마치 미끄럼틀과 같이 불량 부품을 화살표 s방향으로 미끄러뜨려 수거함(35)으로 보낸다.
한편, 상기 부품검사대(31)는 좌측스피커(11a)와 우측스피커(11b)의 성능을 각각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수평판(27) 위에 두 개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두 개의 부품검사대(31)는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이격거리는 상기 액츄에이터조립체(25) 상호간의 이격거리와 같다. 상기 수평판(27)은 수평면을 제공하는 플레이트이다.
또한 각 부품검사대(31)의 측부에는 스피커검사부(29)가 위치한다. 상기 스피커검사부(29)는 부품검사대(31)에 안착된 상태의 스피커를 검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부품검사대(31) 및 스피커검사부(29)를 도 2와 도 3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부품검사대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부품검사대(31)는 상기 수평판(27)의 상부에 고정되는 사각의 수평플레이트(31a)와, 상기 수평플레이트(31a)의 상면에 위치하는 좌대(31b)와, 상기 좌대(31b)를 사이에 두고 수평플레이트(31a)의 양측부에 대향 위치하는 센서(31m,31n)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31m,31n)는 좌대(31b)에 피검사물인 부품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제어부(41)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능을 할 수 있는 한 상기 센서(31m,31n)의 종류는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상기 좌대(31b)는 이송부(19)의 동작에 의해 이송하는 부품이 놓여지는 자리이다. 검사할 부품(11)은 상기 좌대(31b)에 안착된 상태로 애널라이져(도 5의 39)로부터 전달된 전기신호를 받아 스피커(11a,11b)를 통해 음향을 출력한다.
이를 위해 상기 좌대(31b)의 일측에는 회로기판(31d)이 구비된다. 상기 회로기판(31d)은 애널라이져(39)로부터 전달된 전기신호를 상기 부품(11)의 스피커(11a,11b)로 전달하는 것이다. 상기 회로기판(31d)에는 소정 패턴의 검사회로(31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검사회로(31e)의 단부에는 단자접속부(31f)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단자접속부(31f)는 부품(11)의 리드선(11c) 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단자(11d)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위이다.
도면부호 31c는 안착가이드돌기이다. 상기 안착가이드돌기(31c)는 부품(11)을 좌대(31b)에 올릴 때 상기 리드선(11c)의 안착을 가이드 함으로써 리드선(11c) 단부의 단자(11d)가 단자접속부(31f)에 자동적으로 맞추어지도록 유도하는 가이드이다. 상기 단자접속부(31f) 단자(11d)가 접속해야 스피커(11a,11b)의 성능을 검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스피커검사부의 사시도이다.
상기 스피커검사부(29)는, 단자접속부(31f)에 단자(11d)를 가압 밀착시킴과 아울러 스피커(11a,11b)로부터 출력되는 물리적 음향신호를 마이크(29d)를 통해 전달받고 이를 상기 제어부(41)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피커검사부(29)는, 부품검사대(31)의 측부에 고정되는 프레임(29a)과, 상기 프레임(29a)에 지지되는 수직액츄에이터(29b)와, 상기 수직액츄에이 터(29b)의 작동에 의해 승강하는 마이크홀더(29c)와, 상기 마이크홀더(29c)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는 마이크(29d)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액츄에이터(29b)의 작동로드(29f) 하단부에는 고정블록(29e)이 위치한다. 상기 고정블록(29e)은 수직액츄에이터(29b)의 구동에 의해 승강운동하는 것으로서 그 측부에 상기 마이크홀더(29c)가 고정된다. 상기 마이크홀더(29c)는 안착된 부품(11)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며 고정블록(29e)과 동시에 승강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이크홀더(29c)에는 두 개의 마이크장착구(29k)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마이크장착구(29k)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구멍으로서 그 내부에 마이크(29d)를 고정한다. 특히 상기 마이크장착구(29k)는 부품의 좌우측 스피커(11a,11b)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여 (마이크홀더(29c)가 최대한 하강한 상태에서) 마이크(29d)가 스피커(11a,11b)에 근접하여 스피커로부터 발생하는 음향신호를 효과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게 한다.
아울러 하나의 마이크홀더(29c)에 두 개의 마이크장착구(29k)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좌우측 스피커(11a,11b) 중 검사할 스피커쪽 마이크장착구(29k)에 마이크(29d)를 끼운다. 이를테면 도 4에 도시한 바와같이 좌측 스피커검사부의 마이크홀더(29c)에는 마이크(29d)를 좌측에 위치시키고, 오른쪽 스피커검사부의 마이크홀더에는 마이크(29d)를 우측에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마이크홀더(29c)의 저면 일측부에는 가압팁(29h)이 위치한다. 상기 가압팁(29h)은, 마이크홀더(29c)가 최대한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단자(11d)를 단자접속부(31f)측으로 가압 지지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가압팁(29h)이 단자(11d)를 단자 접속부(31f)로 가압하도록 함으로써, 단자(11d)와 단자접속부(31f)가 안정적인 접속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스피커검사부와 부품검사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좌우 부품검사대(31)의 상부에 마이크홀더(29c)가 위치하고, 각 마이크홀더(29c)에 하나씩의 마이크(29d)가 설치되어 있다. 좌측 스피커검사부(29)의 경우 마이크(29d)가 좌측 마이크장착구(29k)에 위치하고, 우측 스피커검사부는 우측 마이크장착구(29k)에 마이크(29d)가 끼워져 있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홀더(29c)가 하강하면, 좌측 마이크(29d)는 부품(11)중 좌측 스피커(11a)에 근접하고, 우측 마이크(29d)는 후측 스피커(11b)에 근접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스피커 검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스피커 검사장치는, 발신호와 수신신호를 그 내부에서 분석하여 신호의 동일 여부를 판별하는 애널라이져(39)와, 상기 애널라이져(39)가 발신한 전기신호를 받아 스피커(11a,11b)로 전달하여 스피커로 하여금 물리적 음향을 출력하게 하는 부품검사대(31)와,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음향을 받아들이는 마이크(29d)를 갖는 스피커검사부(29)와, 상기 마이크(29d)로부터 음향신호를 전달받아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애널라이져(39)로 전송하는 제어부(41)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41)는 상기한 신호변환을 수행함과 아울러 이송부(19)와 스피커 검사부(29)를 작동시킨다. 또한 부품검사대(31)의 센서(31m,31n)와 접속되어 센서가 감지한 내용을 전달받아 해당 스피커검사부(29)의 작동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애널라이져(39)가 발신부(39a)를 통해 발신한 전기신호의 파형과, 스피커(11a,11b)를 통과한 후 제어부(41)에 의해 전기신호로 변환 된 후 수신부(39b)를 통해 들어온 전기신호의 파형이 동일하면, 스피커(11a,11b)의 재현성능이 정상인 것으로 보아 해당 부품(11)은 정상품으로 분류한다. 그러나 발신파형과 수신파형이 다를 경우에는 예컨대 스피커(11a,11b)에서 잡음이 발생한다거나 비정상적인 동작을 하는 것이므로 해당 스피커는 불량으로 판별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스피커 검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내 보인 평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부품검사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스피커검사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스피커검사부와 부품검사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용 스피커 검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부품 11a,11b:스피커 11c:리드선
11d:단자 11e:바디 13:작업대
15:공급콘베이어 17:스토퍼 19:이송부
21:왕복대 23:가이드레일 24:액츄에이터
25:액츄에이터조립체 25a:프레임 25b:제 1액츄에이터
25c:핑거부 25d:제 2액츄에이터 27:수평판
29:스피커검사부 29a:프레임 29b:수직액츄에이터
29c:마이크홀더 29d:마이크 29e:고정블록
29f:작동로드 29h:가압팁 29k:마이크장착구
31:부품검사대 31a:수평플레이트 31b:좌대
31c:안착가이드돌기 31d:회로기판 31e:검사회로
31f:단자접속부 31m,31n:센서 33:불량품배출슬라이드
35:수거함 37:배출콘베이어 39:애널라이져
39a:발신부 39b:수신부 41:제어부

Claims (5)

  1. 하나 이상의 스피커와, 단자를 통해 상기 스피커를 외부 회로에 연결하는 리드선을 갖는 휴대폰용 부품을 이송시키며 상기 스피커의 성능을 검사하는 것으로서,
    상기 부품을 하나씩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부품의 이송경로 상에 위치하며 이송부에 의해 그 위에 올려진 부품을 지지하고, 일측부에 상기 리드선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접속부를 갖는 하나 이상의 부품검사대와;
    상기 부품검사대의 측부에 구비되는 액츄에이터와;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강운동하는 마이크홀더와;
    상기 마이크홀더에 장착되되 검사할 스피커의 연직 상부에 위치하는 마이크와;
    상기 마이크홀더가 하강하여 마이크가 스피커에 최대한 근접했을 때 스피커로 전기신호를 보내어 스피커가 음향을 출력하게 하는 애널라이져와;
    상기 마이크에 접속되며 마이크가 스피커로부터 받은 음향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상기 애널라이져로 보내어, 애널라이져로 하여금 스피커로 보낸 전기신호와 마이크를 통해 받은 전기신호를 비교하여 스피커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스피커 검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상기 부품검사대의 측부에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수평 연장되어 있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지지되고 액츄에이터에 의해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으로 왕복 운동하는 왕복대와,
    상기 왕복대에 설치되며 왕복대의 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수평 이송력을 제공하는 제 1액츄에이터와, 상기 제 1액츄에이터에 의해 수평으로 왕복하고 수직 이송력을 제공하는 제 2액츄에이터와, 상기 제 2액츄에이터에 의해 승강하며 상기 왕복대와 제 1,2액츄에이터의 동작에 의해 상기 부품에 근접하여 부품을 집어 올리거나 부품검사대에 내려놓는 핑거부를 갖는 액츄에이터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스피커 검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에 구비되어 있는 스피커의 개수는 두 개이며 상기 두 개의 스피커를 순차적으로 검사하기 위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조립체는 상기 왕복대 위에 두 개 이상이 수평방향으로 이격 설치되고,
    상기 부품검사대는;
    수평의 지지면을 제공하는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핑거에 의해 안착된 부품을 지지 하며 상기 단자접속부가 위치하는 좌대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좌대에 부품이 안착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스피커 검사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좌대에는 상기 부품의 안착을 가이드하여 리드선의 단부를 단자접속부로 유도하는 안착가이드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스피커 검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홀더에는 마이크홀더가 최대한 하강하였을 때 상기 단자를 단자접속부로 가압하는 가압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용 스피커 검사장치.
KR1020080075346A 2008-07-31 2008-07-31 휴대폰용 스피커 검사장치 KR100967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346A KR100967695B1 (ko) 2008-07-31 2008-07-31 휴대폰용 스피커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346A KR100967695B1 (ko) 2008-07-31 2008-07-31 휴대폰용 스피커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715A KR20100013715A (ko) 2010-02-10
KR100967695B1 true KR100967695B1 (ko) 2010-07-07

Family

ID=42087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346A KR100967695B1 (ko) 2008-07-31 2008-07-31 휴대폰용 스피커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6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7144B1 (ko) * 2011-10-27 2013-04-01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휴대 단말기의 마이크 성능 측정용 커플러
KR101247143B1 (ko) * 2011-10-27 2013-04-01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성능 측정 장치
KR101327214B1 (ko) * 2012-09-21 2013-11-11 시그마엘텍(주) 스피커 이상음 검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피커 검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255A (ko) * 2002-02-19 2003-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의 음질 및 특성 테스트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86316A (ko) * 2004-02-25 2005-08-30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핸드폰의 통화 시험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255A (ko) * 2002-02-19 2003-08-27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피커의 음질 및 특성 테스트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086316A (ko) * 2004-02-25 2005-08-30 주식회사 제이엔에스 핸드폰의 통화 시험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715A (ko)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21428B (zh) 机械手式在线测试设备
KR101518867B1 (ko) 이어셋 검사장치용 셋팅지그 및 이어셋 검사장치
KR100967695B1 (ko) 휴대폰용 스피커 검사장치
TW201523555A (zh) 用於檢測amoled面板的顯示面板檢測裝置及其方法
CN107889041B (zh) 扬声器的检测方法及扬声器检测设备
JP4262705B2 (ja) 音響入力製品の選別装置
KR101588570B1 (ko) 실장부품이 탑재된 완제품의 연성회로기판(fpcb) 통합 검사장치
KR101346895B1 (ko) Amoled 패널 검사를 위한 표시 패널 검사 장치 및 그 모델 교체 방법
KR101569472B1 (ko) 이어셋 인라인 검사방법
CN113253100A (zh) 一种测试装置和检测系统
CN110877017B (zh) 一种电源变压器生产测试监控方法
CN205902075U (zh) 一种终端设备的音频特性测试静音箱
CN108414927B (zh) 基于开关自动检测设备的检测方法
CN111220212A (zh) 电子元器件的自动检测装置
CN207473048U (zh) 一种组合式线路板测试装置
CN202110251U (zh) 双面带顶针的pcba测试装置
KR101409643B1 (ko) 스피커 측정 시스템
KR100605460B1 (ko) 핸드폰의 통화 시험장치
CN115436781A (zh) 一种电路板测试系统及测式方法
CN112179843B (zh) 触摸屏粘贴可靠性测试设备及作业方法
KR101731391B1 (ko) 이어폰 기능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100561607B1 (ko) 핸드폰의 통화 시험장치 및 방법
CN213638212U (zh) 扩音器模组测试装置
CN111624535A (zh) 磁导率测试治具及其测试方法
CN209531491U (zh) 一种pcba板的分拣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