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9472B1 - 이어셋 인라인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이어셋 인라인 검사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9472B1 KR101569472B1 KR1020140058797A KR20140058797A KR101569472B1 KR 101569472 B1 KR101569472 B1 KR 101569472B1 KR 1020140058797 A KR1020140058797 A KR 1020140058797A KR 20140058797 A KR20140058797 A KR 20140058797A KR 101569472 B1 KR101569472 B1 KR 1015694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crophone
- earphone
- ear
- earset
-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2—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25—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household appliances or professional audio/video equipmen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1/00—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 G01H11/06—Measuring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by detecting changes in electric or magnetic properties by electric mea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1—Subjecting similar articles in turn to test, e.g. "go/no-go" tests in mass production; Testing objects at points as they pass through a testing station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4—Automated test systems [ATE]; using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32—Specific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36—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 G01R31/2844—Fault-finding or characterising using test interfaces, e.g. adapters, test boxes, switches, PIN dri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된 이어셋의 출고전 주요부분에 대한 테스트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며, 구체적으로 이어셋의 이어폰, 마이크로폰 및 연결잭에 대한 검사를 자동화하는 이어셋 인라인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어폰 홀더유닛과 마이크로폰 홀더유닛 및 측정기 접속유닛을 포함하는 이어셋 셋팅지그를 준비하는 제1단계; 테스트하고자 하는 이어셋의 이어폰은 상기 이어폰 홀더유닛에 장착시키고, 상기 이어셋의 마이크로폰은 상기 마이크로폰 홀더유닛에 장착하고, 상기 이어셋의 연결잭은 상기 측정기 접속유닛에 연결하도록 하는 제2단계; 상기 이어셋 셋팅지그에 상기 이어셋의 장착 완료 후 상기 이어셋 셋팅지그를 컨베어 위에 올려 자동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3단계; 상기 컨베어를 타고 상기 이어셋 셋팅지그가 측정지점으로 이동되면, 상기 측정기 접속유닛에 측정기 연결단자가 연결된 후 상기 이어폰의 음질 및 상기 마이크로폰의 음압이 자동측정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제조된 이어셋의 출고전 주요부분에 대한 테스트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며, 구체적으로 이어셋의 이어폰, 마이크로폰 및 연결잭에 대한 검사를 자동화하는 이어셋 인라인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가능한 전자기기들이 널리 보급되면서 간편하게 음악을 듣거나 동영상을 볼 수 있게 됨에 따라 이어셋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어셋은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하도록 소형화되어 제공되며, 특히 근래에는 이어셋에 이어폰과 마이크로폰이 결합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어폰은 사용자의 귀에 꽂아서 소리를 들을 수 있도록 기능하며, 마이크로폰은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어셋의 이어폰은 많은 장점을 제공하지만 장시간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청각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으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신중한 사용이 요구되고, 제조자 입장에서는 출고전에 충분한 테스트를 거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이어셋은 기본적으로 대략 1m 정도에 달하는 와이어를 가지며, 와이어의 일측단부에 연결잭이 마련되고, 타측 단부에 이어폰이 결합된다. 그리고 와이어의 대략적으로 중간부분에 마이크로폰이 결합되는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이어셋의 이어폰 및 마이크로폰에 대한 출고전 검사를 위해서는 3 부분에 대한 테스트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즉, 연결잭에 대한 검사, 이어폰에 대한 검사 및 마이크로폰에 대한 개별적인 검사가 이루어져야만 한다.
기존에는 이들 각 부분에 대한 검사를 개별적으로 실시하였고, 이어셋의 제품 특성상 인라인 형태로 자동 검사를 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수동방식의 검사시에는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해 제품 단가 절감에 큰 장애물이 되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6309호(2013.03.15 등록)의 "이어 잭 검사장치"가 있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이어 잭 검사장치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패널(115)을 포함하는 검사대 본체(110)와, 검사대 본체(110)에 설치된 마운팅 패널부(120)와, 마운팅 패널부에 왕복 이송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부(130)와, 마운팅 패널부(120)에 설치된 이어잭 안착부(14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어잭 안착부(140)에 이어잭이 안착되면, 사용자의 제어 패널 조작에 의하여 이송부가 왕복 이송되는 동작으로 이송부의 단부에 연결된 이어폰 연결단이 이어잭에 형성된 연결홀에 삽입 및 발거되도록 한다.
즉, 종래기술은 이어셋의 연결잭에 대한 검사가 가능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고, 이어셋의 또 다른 중요 검사부위인 이어폰 및 마이크로폰에 대한 검사는 별도의 공정에서 개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수작업으로 개별적으로 테스트를 했었던 이어셋의 이어폰, 마이크로폰 및 연결잭 각각에 대한 테스트를 한번에 실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이어셋 검사를 인라인으로 자동화시킬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취급이 용이치 못해 각각의 주요부에 대한 검사를 수작업으로 했었던 기존의 테스트 방식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효율을 높이며,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이어셋 인라인 검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이어셋 인라인 검사방법은,이어폰 홀더유닛과 마이크로폰 홀더유닛 및 측정기 접속유닛을 포함하는 이어셋 셋팅지그를 준비하는 제1단계; 테스트하고자 하는 이어셋의 이어폰은 상기 이어폰 홀더유닛에 장착시키고, 상기 이어셋의 마이크로폰은 상기 마이크로폰 홀더유닛에 장착하고, 상기 이어셋의 연결잭은 상기 측정기 접속유닛에 연결하도록 하는 제2단계; 상기 이어셋 셋팅지그에 상기 이어셋의 장착 완료 후 상기 이어셋 셋팅지그를 컨베어 위에 올려 자동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3단계; 상기 컨베어를 타고 상기 이어셋 셋팅지그가 측정지점으로 이동되면, 상기 측정기 접속유닛에 측정기 연결단자가 연결된 후 상기 이어폰의 음질 및 상기 마이크로폰의 음압이 자동측정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이어셋 셋팅지그는 마이크로폰 홀더유닛과 측정기 접속유닛 사이에 와이어 정리유닛이 마련되며,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연결잭 사이의 와이어를 상기 와이어 정리유닛에 감아 정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제4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이어폰의 음질 및 마이크로폰의 음압 측정은, 상기 컨베어의 하부에 마련되어 승하강되는 이어시뮬레이터와 마우스시뮬레이터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어셋 인라인 검사방법은 취급이 용이치 못한 이어셋의 이어폰, 마이크로폰, 연결잭을 이어셋 셋팅지그에 장착하여 자동측정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원가 절감을 달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이어 잭 검사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이어셋 인라인 검사방법의 작업 공정도.
도 3은 이어셋 셋팅지그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이어셋 인라인 검사방법의 구체적인 실시 상태도.
도 5는 이어셋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지는 상태의 이어셋 셋팅지그의 단면도.
도 6은 이어폰 패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마이크로폰 패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이어셋 인라인 검사방법의 작업 공정도.
도 3은 이어셋 셋팅지그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이어셋 인라인 검사방법의 구체적인 실시 상태도.
도 5는 이어셋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지는 상태의 이어셋 셋팅지그의 단면도.
도 6은 이어폰 패드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마이크로폰 패드의 개략적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이어셋 인라인 검사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제시되는 도면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보여주는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따른다.
본 발명은 취급이 용이치 못한 이어셋을 준비된 이어셋 셋팅지그에 장착한 후 컨베어를 통해 자동 이송되게 하고, 측정지점에서 일괄적으로 이어셋의 주요부위에 대한 테스트가 자동 실행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이어셋 인라인 검사방법의 작업 공정도이며, 도 3은 이어셋 셋팅지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는 이어셋 인라인 검사방법의 구체적인 실시 상태도이며, 도 5는 이어셋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지는 상태의 이어셋 셋팅지그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이어폰 패드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마이크로폰 패드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이어셋 인라인 검사방법은 크게 제1단계(S1), 제2단계(S2), 제3단계(S3), 제4단계(S4)로 구성되며, 이런 일련의 과정을 통해 이어셋을 자동검사할 수 있는 인라인 검사방법을 구축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단계(S1)는 테스트하고자 하는 이어셋(10)을 장착하기 위한 이어셋 셋팅지그(100)를 준비하는 것이다. 이어셋 셋팅지그(100)에는 이어폰 홀더유닛(120), 마이크로폰 홀더유닛(140), 측정기 접속유닛(130)이 마련되며, 보다 바람직하게 와이어 정리유닛(150)도 마련될 수 있다.
제2단계(S2)는 이어셋 셋팅지그(100)에 테스트하고자 하는 이어셋(10)을 장착시키도록 하는데, 이어셋(10)의 이어폰(11)은 이어폰 홀더유닛(120)에 장착하고, 이어셋(10)의 마이크로폰(12)은 마이크로폰 홀더유닛(140)에 장착하고, 이어셋(10)의 연결잭(13)은 측정기 접속유닛(130)에 연결하도록 한다.
이어셋 셋팅지그(100)에 와이어 정리유닛(150)이 마련될 수 있는데, 와이어 정리유닛(150)은 마이크로폰 홀더유닛(140)과 측정기 접속유닛(130) 사이에 배치되며, 이 경우 제2단계(S2)에서 와이어 정리유닛(150)에 이어셋(10)의 마이크로폰(12)과 연결잭(13) 사이의 와이어를 감아 정리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어셋 셋팅지그(100)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 및 이어셋(10)을 이어셋 셋팅지그(100)에 장착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셋 셋팅지그(100)는 사각 판상 형태의 지그 플레이트(110)를 포함하며, 지그 플레이트(110)의 일측 상면에 이어폰 홀더유닛(120)이 형성되고, 이어폰 홀더유닛(120)은 두 개가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이어셋(10)의 좌우측 이어폰(11)을 이어폰 홀더유닛(120)에 하나씩 장착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이어폰 홀더유닛(120)은 이어폰 패드(120a)와 제1가압부(120b)로 이루어진다. 이격거리를 두고 두 개의 이어폰 홀더유닛(120)이 지그 플레이트(110) 상면에 마련되는데, 두 개의 이어폰 패드(120a)가 지그 플레이트(110) 상면에 결합된다. 이어폰 패드(120a)가 결합되는 지그 플레이트(110)에는 상하 천공되는 이어홀(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어폰 패드(120a)는 이어폰(11)이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어홀(111)과 연통되는 패드홀(121)이 형성된다. 이어폰 패드(120a)는 합성수지나 고무재 등 다양한 소재를 활용할 수 있다.
이어폰 패드(120a)에 이어셋(10)의 이어폰(11)이 올려지게 되는데, 제1가압부(120b)는 이어폰(11)을 눌러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 제1가압부(120b)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에 의해 적당한 압력으로 이어폰 패드(120a)에 올려지는 이어폰(11)을 하방으로 눌러줄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가압부(120b)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에 좌우 이어폰을 가압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이격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이어폰 패드(120a) 사이에 제1가압부(120b)를 두도록 한다.
제1가압부(120b)는 지그 플레이트(110)에 고정 설치되는 포스트(122)와, 포스트(122)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바아(123)와, 포스트(122)와 회동바아(123)를 연결하는 스프링(124)과, 회동바아(123)의 자유단 단부에 직각으로 결합되는 가압바아(125) 및 가압바아(125)의 양 단부에 하나씩 결합되는 누름체(126)를 포함한다. 누름체(126)는 이어폰 패드(120a)에 올려진 이어폰(11)의 외부를 감싸면서 누를 수 있는 오목한 형상이 적합하다.
고정된 포스트(122)에 대해 회동바아(123)는 상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으며, 스프링(124)에 의해 회동바아(123)는 포스트(122)와 연결됨으로써 회동바아(123)는 하방으로 힘을 받게 된다. 물론, 스프링(124)은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에 불과한 것이며, 스프링 작용을 할 수 있는 공지의 탄성체들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회동바아(123)를 상방으로 회동시켜서 이어폰 패드(120a)에 이어폰(11)을 올려둔 다음 회동바아(123)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회동바아(123)가 하방으로 회동되고, 가압바아(125)에 결합된 누름체(126)가 이어폰(11)의 상부를 눌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지그 플레이트(110)의 타측 상면에 측정기 접속유닛(130)이 마련되며, 측정기 접속유닛(130)은 커넥터(131)와 측정기 연결 단자대(132)로 이루어진다.
커넥터(131)는 이어셋(10)의 연결잭(13)을 꽂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커넥터(131)와 측정기 연결 단자대(132)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측정기 연결 단자대(132)에는 이후 단계에서 측정기 연결단자(400)가 연결됨으로써 이어셋의 주요부분에 대한 성능측정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어셋 셋팅지그(100)에는 바람직하게 이어폰 홀더유닛(120)과 측정기 접속유닛(130) 사이에 마이크로폰 홀더유닛(140)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홀더유닛(140)은 이어셋(10)의 마이크로폰(12)을 검사하기 위해 마이크로폰(12)을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마이크로폰 홀더유닛(140)은 마이크로폰 패드(140a)와 제2가압부(140b)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폰 패드(140a)는 지그 플레이트(110) 상면에 고정되며, 마이크로폰(12)이 안정적으로 올려질 수 있도록 오목한 형태가 적합하고 후술될 마우스시뮬레이터(600)로부터 생성되는 소리가 마이크로폰(12)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개구된 패드홀(141)이 형성된다. 마이크로폰 패드(140a)가 장착되는 지그 플레이트(110)에는 상하 개구되는 마우스홀(112)이 형성되어서 패드홀(141)과 연통되는 구조를 이룬다.
마이크로폰 패드(140a)에 이어셋(10)의 마이크로폰(12)이 올려지면 마이크로폰(12)을 눌러 고정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제2가압부(140b)가 마련된다. 제2가압부(140b)는 마이크로폰 패드(140a)에 올려진 마이크로폰(12) 상부를 눌러 가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형태라도 무방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아래와 같은 구조의 제2가압부(140b)를 사용토록 한다.
제2가압부(140b)는 마이크로폰 패드(140a)에 인접하여 지그 플레이트(110) 상면에 설치되며, 직립 상태로 지그 플레이트(110)에 고정되는 포스트(142)와, 포스트(142)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는 회동바아(143)와, 포스트(142)와 회동바아(143)를 연결시키는 탄성체(144) 및 회동바아(143)의 타단에 결합되는 누름체(1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회동바아(143)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으며, 외력이 작용하지 않으면 탄성체(144)에 의해 회동바아(143)는 하방으로 누르는 형태로 힘을 받게 되므로 마이크로폰 패드(140a)에 올려진 마이크로폰(12)을 적당한 힘으로 눌러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이어셋 셋팅지그(100)에는 와이어 정리유닛(150)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 홀더유닛(140)이 구비되는 경우라면 마이크로폰 홀더유닛(140)과 측정기 접속유닛(130) 사이에 와이어 정리유닛(15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와이어 정리유닛(150)은 이어셋(10)의 와이어를 감아 정리하기 위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와이어 정리유닛(150)은 크게 수직 정리부재(150a)와 수평 정리부재(150b)를 포함한다.
수직 정리부재(150a)는 지그 플레이트(110) 상면에 고정되는데, 상하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움직이는 누름판(151)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수직 정리부재(150a)는 지그 플레이트(110) 상면에 고정되는 수직기둥(152)과 수직기둥(152)에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는 고정판(153), 고정판(153)과 마주보게 고정판(153) 위에 놓여져 상하로 움직이는 누름판(151)으로 이루어지며, 누름판(151)은 스프링(154)에 의해 지지된다.
수평 정리부재(150b)는 수직 정리부재(150a)와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지그 플레이트(110) 상면에 설치되는데,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무빙블럭(155)을 포함한다. 무빙블럭(155)은 지그 플레이트(110) 상면에 고정되는 레일(153)에 끼워진다. 그리고 무빙블럭(155)과 마주보면서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좌우로 움직이는 와이어 걸이(157)를 두도록 한다.
이어셋(10)의 마이크로폰(12)과 연결잭(13) 사이의 와이어는 이어셋 테스트시에 거추장스럽기 때문에 와이어 정리유닛(150)에 와이어 중 일부를 감아두도록 하면 테스트시 편리하고 테스트 후에는 또 다시 와이어를 정리할 필요없이 감긴 상태의 와이어를 분리하여 포장 단계로 보낼 수 있다.
와이어 정리유닛(150)을 이용하여 와이어를 감을 때에는 누름판(151)과 와이어 걸이(157)를 이용하여 적당량 감도록 하면 된다.
제3단계(S3)에서는 이어셋 셋팅지그(100)에 이어셋(10)을 장착한 후 이어셋 셋팅지그(100)를 컨베어(200)에 올려 자동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컨베어(200)에 이어셋 셋팅지그(100)를 등간격으로 올려두도록 하고, 컨베어(200)를 타고 이어셋 셋팅지그(100)는 측정지점으로 자동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컨베어(200)를 타고 이어셋 셋팅지그(100)가 측정지점으로 이동되면, 제4단계(S4)로 이어셋 셋팅지그(100)에 마련되는 측정기 접속유닛(130)의 측정기 연결단자대(132)에 측정기 연결단자(400)가 접속되어 이어폰의 음질 및 마이크로폰의 음압이 자동 측정된다.
제4단계(S4)에서 이루어지는 이어셋(10)을 이루는 이어폰(11)의 음질 및 마이크로폰(12)의 음압 측정시에는 컨베어(200)의 하부에 마련되는 이어시뮬레이터(500)와 마우스시뮬레이터(600)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어시뮬레이터(500)와 마우스시뮬레이터(600)는 하부덮개(800)에 설치되고, 하부덮개(800)는 상하로 승하강되도록 한다.
제4단계(S4)에서 이루어지는 보다 구체적인 테스트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어셋 셋팅지그(100)는 컨베어(200)를 타고 이동하게 되며, 이어셋 셋팅지그(100)가 검사 위치로 이동되면 자동 측정이 이루어진다.
컨베어(200)의 일측 단부 근처가 검사 위치가 되는데, 검사 위치에는 컨베어(200)의 상부에 방음덮개(300)가 마련된다. 방음덮개(300)는 이동되어온 이어셋 셋팅지그(100)를 덮는 역할을 하며, 상하로 이동되는 구조를 이룬다.
방음덮개(300)의 상하 이동은 유압이나 공압 실린더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방음덮개(300)의 내부에 측정기 연결단자(400)가 마련되는데, 측정기 연결단자(400)는 이어셋 셋팅지그(100)에 구비되는 측정기 접속유닛(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측정기 연결단자(400)들은 후술될 음질 검사기(700)와 연결되어 전기적 신호를 주고 받게 된다.
한편, 검사 위치에 해당되는 컨베어(200)의 하면에 이어시뮬레이터(500)와 마우스시뮬레이터(600)가 인접하여 설치된다.
이어시뮬레이터(500)는 측정용 마이크로폰(510)을 내장하고 있어 이어셋(10)의 이어폰(11)에서 발생되는 소리의 음질 측정을 하게 된다. 즉, 이어시뮬레이터(500)는 사람의 귀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어폰(11)을 통해 생성되는 음악 등의 소리가 안정적으로 발생되는지를 검사하게 된다.
이어시뮬레이터(500)는 이어셋 셋팅지그(100)의 이어폰 홀더유닛(120) 하방에 마련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두 개의 이어폰 홀더유닛(120)이 마련되므로 2개의 이어시뮬레이터(500)가 컨베어(200) 하방에 설치된다.
그리고 이어시뮬레이터(500)와 인접하여 마우스시뮬레이터(600)가 마련되는데, 마우스시뮬레이터(600)는 사람의 입에 해당하는 기능을 한다. 즉, 마우스시뮬레이터(600)에는 스피커(610)가 내장되어 소리를 발생시켜서 이어셋(10)의 마이크로폰(12)에 음향을 제공하게 된다.
마우스시뮬레이터(600)는 이어셋 셋팅지그(100)의 마이크로폰 홀더유닛(140)의 하방에 마련되어 마이크로폰(12)의 음압측정을 위한 소리를 발생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어시뮬레이터(500) 및 마우스시뮬레이터(600)는 음질 검사기(700)와 연결되며, 음질 검사기(700)는 모니터, PC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이어셋(10)의 이어폰(11), 마이크로폰(12) 및 연결잭(13)에 대한 성능 테스트가 동시에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컨베어(200)의 하부에 마련되는 이어시뮬레이터(500) 및 마우스시뮬레이터(600)도 하부덮개(800)로 덮히도록 하여 외부 잡음의 영향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이어셋 인라인 검사방법은 제조가 완료된 이어셋에 대한 모든 필수적 검사를 자동화를 통해 한꺼번에 실시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테스트가 가능하고 작업효율을 높일 수 있고, 생산성 향상으로 제조원가를 절감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어셋에 대한 테스트를 자동화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S1 :제1단계 S2 : 제2단계
S3 : 제3단계 S4 : 제4단계
100 : 이어셋 셋팅지그
110 : 지그 플레이트 111 : 이어홀
112 :마우스홀 120 : 이어폰 홀더유닛
120a: 이어폰 패드 120b: 제1가압부
121 : 패드홀 122 : 포스트
123 : 회동바아 124 : 스프링
125 : 가압바아 126 : 누름체
130 : 측정기 접속유닛 131 : 커넥터
132 : 측정기 연결 단자대 140 : 마이크로폰 홀더유닛
140a: 마이크로폰 패드 141 : 패드홀
140b: 제2가압부 142 : 포스트
143 : 회동바아 144 : 탄성체
145 : 누름체 150 : 와이어 정리유닛
150a: 수직 정리부재 151 : 누름판
152 : 수직기둥 153 : 고정판
154 : 스프링 150b: 수평 정리부재
155 : 무빙블럭 156 : 레일
157 : 와이어 걸이
10 : 이어셋 11 : 이어폰
12 : 마이크로폰 13 : 연결잭
200 : 컨베어 300 : 방음덮개
400 : 측정기 연결단자 500 : 이어시뮬레이터
510 : 측정용 마이크로폰 600 : 마우스시뮬레이터
610 : 스피커 700 : 음질 검사기
800 : 하부덮개
S3 : 제3단계 S4 : 제4단계
100 : 이어셋 셋팅지그
110 : 지그 플레이트 111 : 이어홀
112 :마우스홀 120 : 이어폰 홀더유닛
120a: 이어폰 패드 120b: 제1가압부
121 : 패드홀 122 : 포스트
123 : 회동바아 124 : 스프링
125 : 가압바아 126 : 누름체
130 : 측정기 접속유닛 131 : 커넥터
132 : 측정기 연결 단자대 140 : 마이크로폰 홀더유닛
140a: 마이크로폰 패드 141 : 패드홀
140b: 제2가압부 142 : 포스트
143 : 회동바아 144 : 탄성체
145 : 누름체 150 : 와이어 정리유닛
150a: 수직 정리부재 151 : 누름판
152 : 수직기둥 153 : 고정판
154 : 스프링 150b: 수평 정리부재
155 : 무빙블럭 156 : 레일
157 : 와이어 걸이
10 : 이어셋 11 : 이어폰
12 : 마이크로폰 13 : 연결잭
200 : 컨베어 300 : 방음덮개
400 : 측정기 연결단자 500 : 이어시뮬레이터
510 : 측정용 마이크로폰 600 : 마우스시뮬레이터
610 : 스피커 700 : 음질 검사기
800 : 하부덮개
Claims (3)
- 이어셋 검사방법으로서,
이어폰 홀더유닛과 마이크로폰 홀더유닛 및 측정기 접속유닛을 포함하는 이어셋 셋팅지그를 준비하는 제1단계;
테스트하고자 하는 이어셋의 이어폰은 상기 이어폰 홀더유닛에 장착시키고, 상기 이어셋의 마이크로폰은 상기 마이크로폰 홀더유닛에 장착하고, 상기 이어셋의 연결잭은 상기 측정기 접속유닛에 연결하도록 하는 제2단계;
상기 이어셋 셋팅지그에 상기 이어셋의 장착 완료 후 상기 이어셋 셋팅지그를 컨베어 위에 올려 자동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3단계;
상기 컨베어를 타고 상기 이어셋 셋팅지그가 측정지점으로 이동되면, 상기 측정기 접속유닛에 측정기 연결단자가 연결된 후 상기 이어폰의 음질 및 상기 마이크로폰의 음압이 자동측정되는 제4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어셋 셋팅지그는 마이크로폰 홀더유닛과 측정기 접속유닛 사이에 와이어 정리유닛이 마련되며, 상기 제2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로폰과 상기 연결잭 사이의 와이어를 상기 와이어 정리유닛에 감아 정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인라인 검사방법.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이루어지는 상기 이어폰의 음질 및 마이크로폰의 음압 측정은, 상기 컨베어의 하부에 마련되어 승하강되는 이어시뮬레이터와 마우스시뮬레이터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셋 인라인 검사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8797A KR101569472B1 (ko) | 2014-05-16 | 2014-05-16 | 이어셋 인라인 검사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58797A KR101569472B1 (ko) | 2014-05-16 | 2014-05-16 | 이어셋 인라인 검사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69472B1 true KR101569472B1 (ko) | 2015-11-16 |
Family
ID=54785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58797A KR101569472B1 (ko) | 2014-05-16 | 2014-05-16 | 이어셋 인라인 검사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947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0702Y1 (ko) * | 2018-11-30 | 2020-01-22 | 박만금 | 스피커고정지그 |
CN110881152A (zh) * | 2019-12-18 | 2020-03-13 | 深圳华玺声学智能制造技术有限公司 | 耳机组装方法 |
CN111804620A (zh) * | 2020-06-22 | 2020-10-23 | 歌尔科技有限公司 | 耳机自动测试设备及耳机自动测试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5923B1 (ko) * | 2011-11-21 | 2013-05-20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피엘씨 칩의 자동 검사 시스템 |
-
2014
- 2014-05-16 KR KR1020140058797A patent/KR10156947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5923B1 (ko) * | 2011-11-21 | 2013-05-20 |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 피엘씨 칩의 자동 검사 시스템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90702Y1 (ko) * | 2018-11-30 | 2020-01-22 | 박만금 | 스피커고정지그 |
CN110881152A (zh) * | 2019-12-18 | 2020-03-13 | 深圳华玺声学智能制造技术有限公司 | 耳机组装方法 |
CN111804620A (zh) * | 2020-06-22 | 2020-10-23 | 歌尔科技有限公司 | 耳机自动测试设备及耳机自动测试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18867B1 (ko) | 이어셋 검사장치용 셋팅지그 및 이어셋 검사장치 | |
DK2795928T3 (en) | MICROPHONE TEST STAND FOR Acoustic TESTING | |
CN104168349B (zh) | 智能手机测试设备及其测试方法 | |
KR101569472B1 (ko) | 이어셋 인라인 검사방법 | |
US9510120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sound transducers | |
CN101577922A (zh) | 手机声音系统测试装置及方法 | |
CN104601769A (zh) | 一种手机主板自动化音频测试系统 | |
CN202799152U (zh) | 一种音频测试装置 | |
CN103181197A (zh) | 用于测试听音设备的方法以及用于测试听音设备的装置 | |
CN104135707B (zh) | 含有标准麦克风的音频测试装置和方法 | |
KR100967695B1 (ko) | 휴대폰용 스피커 검사장치 | |
KR101588570B1 (ko) | 실장부품이 탑재된 완제품의 연성회로기판(fpcb) 통합 검사장치 | |
CN111865449B (zh) | 蓝牙音频设备全向连接性能测试方法 | |
KR100705662B1 (ko) | 이동통신 단말기의 검사장치 | |
KR101731391B1 (ko) | 이어폰 기능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 |
CN209627704U (zh) | 一种微型扬声器测试工装 | |
CN216017163U (zh) | 一种一体式音频堵唛测试治具 | |
CN205902075U (zh) | 一种终端设备的音频特性测试静音箱 | |
CN205404701U (zh) | 蜂鸣器自动测试机 | |
CN208891074U (zh) | 一种音频测试机 | |
KR100605460B1 (ko) | 핸드폰의 통화 시험장치 | |
CN202475546U (zh) | 手自动测试一体的标准夹具 | |
CN108471587B (zh) | 一种耳机单体的测试装置及其测试方法 | |
CN208752115U (zh) | 仪表用快装式测试工装 | |
CN206149504U (zh) | 耳机线阻抗测试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