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1635U - 수평안전 스위치를 구비한 세탁기 - Google Patents

수평안전 스위치를 구비한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1635U
KR20000001635U KR2019980011425U KR19980011425U KR20000001635U KR 20000001635 U KR20000001635 U KR 20000001635U KR 2019980011425 U KR2019980011425 U KR 2019980011425U KR 19980011425 U KR19980011425 U KR 19980011425U KR 20000001635 U KR20000001635 U KR 200000016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cabinet
washing machine
washing
safety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4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찬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114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1635U/ko
Publication of KR200000016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635U/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외체를 형성하는 캐비넷(3), 소정량의 세탁액이 공급되도록 상기 캐비넷(3)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저수조(5)와, 세탁물이 투입되도록 상기 저수조(5) 안쪽에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세탁조(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탁기(1)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3)의 내주면 상의 상기 저수조(5) 상단과 인접한 위치에 장착된 거리 감지기(61) 및 상기 거리 감지기(61)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저수조(5)와 캐비넷(3)의 간격이 과도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경고하는 경고수단(63)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안전 스위치를 구비한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세탁기가 기운 상태에서 거리 감지기에 의해 캐비넷과 저수조 상단의 간격을 측정하여 경사도가 설정값 이상일 때 이를 사용자에 경고함으로써 탈수시 발생하는 저수조의 진동으로 인해 세탁기가 기계적 손상을 받거나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수평안전 스위치를 구비한 세탁기(washing machine having level safety switch)
본 고안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저수조의 상단과 인접한 캐비넷의 내주면에 거리 감지기를 부착하여 세탁기가 오설치 등의 원인으로 후방 또는 전방으로 기울어져 캐비넷 내주면과 저수조 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좁아지거나 멀어지더라도 이를 정확히 판별하여 설정된 간격과 비교하여 설정범위 이상으로 경사가 심한 경우에 사용자에게 이를 경고함으로써 탈수시 저수조의 진동으로 인해 세탁기 내부 구조물들 간에 충돌로 인한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은 물론 탈수행정의 빈번한 정지를 방지하여 안정적인 세탁기의 사용이 가능하게 한 소음저감구조를 가진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급수, 배수, 헹굼, 및 탈수의 과정을 거쳐 세탁물을 전자동으로 세탁하도록 한 것으로, 대체로 도 1에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체를 형성하는 캐비넷(103), 소정량의 세탁액을 수용하기 위해 캐비넷(10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저수조(105), 측면에 다수개의 세탁액 유통공(107)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수조(105) 안쪽에 설치된 세탁조(109), 세탁조(109)의 바닥에 설치되어 수류를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는 펄세이터(111), 펄세이터(111)의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11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캐비넷(103) 상측의 상면패널(115) 개구부의 한쪽 측면에는 힌지(119)에 의해 뚜껑(117)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면패널(115) 내부에는 세탁기(101)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1)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저수조(105)의 하단 일측에는 세탁 후의 혼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 파이프(123)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저수조(105)의 상단 일측면에는 급수호스(125)와 연결된 세제통(127)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구성된 세탁기(101)는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먼저, 세탁조(109) 내부에 세탁물을 넣은 다음, 세제통(127)에 적정량의 세제를 투입하고, 급수호스(125)와 연결된 수도꼭지와 같은 급수원을 개방하면 급수밸브(131)를 거쳐 세제통(127)에 유입된 급수가 세제와 혼합된 세탁액이 되어 세탁조(109) 내부에 일정한 높이까지 채워진다. 그리고나서 사용자 조작에 의해 구동부(113)가 동작하면 펄세이터(111)의 회전이 개시되고 정역회전을 반복하면서 세탁조(109) 내부에 수류를 발생시켜 세탁물을 세탁하게 된다. 세탁 과정이 끝난 후 헹굼과 탈수를 마치면 모든 세탁과정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세탁기(101)의 세척력은 기본적으로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부(113)에서 비롯되며, 구동부(113)는 다시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35), 펄세이터(111) 회전축(141)과 결합되어 있는 구동기어 기구(137) 및 구동모터(135)의 회전 구동력을 구동기어 기구(137)로 전달하는 전동벨트(139)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세탁기(101)는 탈수시 세탁조(109)가 고속으로 회전하므로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103)의 4군데 모서리에 댐핑폴(151)을 설치하고, 이 댐핑폴(151)과 저수조(105)를 감고 있는 고정 밴드부(153)를 고정 와이어(154)로 연결하여 댐핑폴(151)에 의해 정위치로 유지한 상태에서 저수조(105)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캐비넷(103)이 불안정한 설치나 설치 바닥의 결함과 같은 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기울게 되면, 저수조(105)가 캐비넷(103)에 대해 상대적으로 기울게 되므로 탈수시의 진동이 과도하게 발생되고, 이로 인해 작동 소음이 크게 증대되거나 저수조(105), 세탁조(109) 또는 캐비넷(103)에 충격이 가해져 손상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종래의 세탁기(101)에 있어서는 도 2에서와 같이 상면패널(115) 내부에 접촉식 안전 스위치(155)를 장착함으로써 저수조(105)의 진폭이 커지거나 캐비넷(103)이 전방쪽으로 즉, 도면상 좌측으로 기울게 되는 경우에 안전 스위치(155)의 스위치 레버(157)가 저수조(105)의 상단과 접촉하면서 작동하여 세탁기(101)의 불안정한 설치상태 또는 저수조(105) 등의 과도한 요동상태를 사용자에 경고하거나 자동으로 탈수를 중지시키는 방식으로 세탁기 오설치 오작동으로 인한 문제를 극복하고 있었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안전 스위치(155)에 의한 오설치 또는 오작동 경고 시스템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103)이 외부적 요인으로 인해 후방쪽으로 즉, 도면상 우측으로 기울어져 있게 되면, 스위치 레버(157)와 저수조(105)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아니면 완전히 접촉됨으로써 안전 스위치(155)가 매우 민감하게 작동하거나 연속작동 상태로 되어 탈수시 세탁조(109) 내에서의 세탁물 쏠림이 약간만 발생해도 탈수행정이 정지되거나 빈번히 헹굼행정을 수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반대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103)이 전방으로 즉, 도면상 좌측으로 기울게 되면, 상대적으로 스위치 레버(157)와 저수조(105) 간의 간격이 과대해져 어지간한 저수조(105)의 진동은 안전 스위치(155)로 감지할 수 없게 되어 저수조(105), 세탁조(109) 또는 캐비넷(103) 등이 상호간에 가하는 충격력으로 인해 내구성이 약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세탁기가 가지고 있는 수평 안전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캐비넷 내주면 상의 저수조 상단과 인접한 위치에 거리 감지기를 부착하여 세탁기의 전전방 경사로 인해 발생하는 캐비넷과 저수조 사이의 간격 변화를 측정하고, 설정된 간격과 측정된 간격과의 차이에 따라 세탁기의 오설치 여부를 사용자에 경고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세탁기의 사용을 보장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펄세이터형 세탁기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저수조 고정구조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 3a 및 3b는 도 2에 도시된 세탁기의 경사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세탁기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저수조 고정구조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 6a 및 6b는 도 5에 도시된 세탁기의 경사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세탁기 3 : 캐비넷
5 : 저수조 9 : 세탁조
11 : 펄세이터 61 : 거리 감지기
63 : 경고수단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외체를 형성하는 캐비넷, 소정량의 세탁액이 공급되도록 캐비넷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저수조와, 세탁물이 투입되도록 저수조 안쪽에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세탁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탁기에 있어서, 캐비넷의 내주면 상의 저수조 상단과 인접한 위치에 장착된 거리 감지기 및 거리 감지기에 의해 측정된 저수조와 캐비넷의 간격이 과도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경고하는 경고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수평안전 스위치를 구비한 세탁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수평안전 스위치를 구비한 세탁기는 도 4에 도면번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펄세이터형 세탁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캐비넷(3), 저수조(5), 세탁조(9), 펄세이터(11) 및 펄세이터 구동부(13)를 가지고 있으며, 여기에서 캐비넷(3)은 세탁기(1)의 외체를 형성하며, 이 캐비넷(3)의 안쪽에는 저수조(5)가 설치되어 급수밸브(31)를 통해 공급된 세탁액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저수조(5)의 하단 일측면에는 세탁이 끝난 뒤의 혼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수 파이프(23)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저수조(5)의 안쪽에 설치된 세탁조(9)는 투입된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세탁조(9)의 측벽면에는 세탁액을 배출시키는 복수개의 유통공(7)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캐비넷(3)의 상부에는 블록 형태의 상면패널(15)이 설치되며 이 상면패널(15)의 개구부 일측 모서리에는 힌지(19)에 의해 세탁조(9) 뚜껑(17)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면패널(15)의 내부에는 세탁기(1)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1)가 설치되어 있고, 상면패널(15) 내부의 저수조(5) 위쪽에는 세탁수와 세제를 혼합한 세탁액을 세탁조(9)에 투입하기 위한 세제통(27)이 설치되어 있다.
세제통(27)에는 급수호스(25)를 거쳐 상수원 또는 기타 용수원과 연결된 급수밸브(31)를 통해 세탁수가 공급되며, 급수 전 사용자의 세탁목적에 따라 적정량의 세제가 투입된다. 따라서, 세제통(27)으로 급수가 시작되면 이미 세제통(27)에 투입되어 있는 세제와 급수 즉, 세탁수가 세제통의 내부구조로 인해 자연스럽게 혼합되어 세탁액으로 된 다음 세탁조(9)로 투입된다.
세탁조(9)의 바닥면에는 펄세이터(11)가 설치되어 공급된 세탁액에 수류를 발생시킴으로써 마찰력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하도록 되어 있으며, 캐비넷(3)의 하부 저수조(5) 밑부분에 장착된 구동부(13)는 펄세이터(11)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서 세탁조(9)를 둘러싸고 있는 저수조(5)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세탁기와 같이 외부에 감겨지는 고정 밴드부(53)와 고정 밴드부(53)에 연결된 고정 와이어(54)를 통해 댐핑폴(51)에 의해 지지되는데, 이 댐핑폴(51)은 자체의 감쇠능력으로 저수조(5)의 요동을 어느 정도 완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저수조(5)와 인접한 캐비넷(3) 상단 내주면에는 거리 감지기(61)가 부착되어 상시 캐비넷(3)에서 저수조(5) 상단까지의 간격을 측정하여 이를 제어부(21)로 송신하도록 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거리 감지기(61)로는 적외선 센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해서 측정된 거리간격을 전달받은 제어부(21)에서는 측정값에 따라 경고수단(63)을 작동시켜 사용자에게 경고신호를 보내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수평감지구조에 의하면, 저수조(5)와 캐비넷(3) 간의 간격을 기준값(L) ± 여유값(l)로 설정하여, 상시로 측정한 양벽의 간격(x)이 도 6a와 같이 세탁기(1)가 뒤로 기운 경우에는 x<L-l이면 과도한 기울기로, 반대로 세탁기(1)가 앞으로 기운 경우에는 x>L-l이면 후방 기울기가 과도한 것으로 판단하여 음성 또는 발광방식의 경고수단(63)을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평안전 스위치를 구비한 세탁기에 따르면, 캐비넷 내주면의 저수조 상단과 인접한 위치에 장착된 거리 감지기를 통하여 저수조와 세탁조 간의 상대적인 거리 간격을 측정하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측정된 거리값이 기준값을 초과할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신속히 세탁기의 오설치를 보완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시 항상 세탁기의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저수조와 캐비넷의 밀착으로 인해 탈수시 세탁기의 내부 구조물 들이 상호간의 충돌로 손상되는 것이 방지되며, 아울러 저수조와 캐비넷 간격 센서 등의 오작동으로 인한 탈수 등 세탁작업이 중단이 발생될 소지가 전혀 없으므로 안정적인 세탁기의 사용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외체를 형성하는 캐비넷(3), 소정량의 세탁액이 공급되도록 상기 캐비넷(3)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저수조(5)와, 세탁물이 투입되도록 상기 저수조(5) 안쪽에 동축상으로 설치되어 있는 세탁조(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세탁기(1)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3)의 내주면 상의 상기 저수조(5) 상단과 인접한 위치에 장착된 거리 감지기(61) 및 상기 거리 감지기(61)에 의해 측정된 상기 저수조(5)와 캐비넷(3)의 간격이 과도한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경고하는 경고수단(63)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안전 스위치를 구비한 세탁기.
KR2019980011425U 1998-06-29 1998-06-29 수평안전 스위치를 구비한 세탁기 KR2000000163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425U KR20000001635U (ko) 1998-06-29 1998-06-29 수평안전 스위치를 구비한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425U KR20000001635U (ko) 1998-06-29 1998-06-29 수평안전 스위치를 구비한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635U true KR20000001635U (ko) 2000-01-25

Family

ID=69518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425U KR20000001635U (ko) 1998-06-29 1998-06-29 수평안전 스위치를 구비한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163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72928B1 (en) Control method for automatically positioning of inner drum
KR102606118B1 (ko) 세탁장치의 제어방법
EP2471993A1 (en) Drum type washing machine
MXPA00006076A (es) Control para una lavadora automatica con pretratamiento de aspersion.
KR102522794B1 (ko)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터브 세척 방법
JP3833068B2 (ja) 電気洗濯機のパルセータ装置
US20150067971A1 (en) Water inlet sprayer for low pressure (wilp)
KR20000001635U (ko) 수평안전 스위치를 구비한 세탁기
JP3663064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537194B1 (ko) 드럼 세탁기 및 드럼 세탁기의 터브 세척 방법
KR100346271B1 (ko) 수위 주파수를 이용한 세탁기의 포질 감지방법
KR100198328B1 (ko) 세탁기의 언발란스 조절장치
WO2023066274A1 (zh) 滚筒洗衣机
KR100282341B1 (ko) 전자동 세탁기의 정전보상방법
KR100686089B1 (ko) 세탁기의 헹굼행정 제어방법
KR19990070864A (ko) 세탁기의 포량감지방법
KR100686004B1 (ko) 세탁기의 세탁행정 제어방법
JP3234824B2 (ja) 全自動洗濯機
CN1213187C (zh) 全自动洗衣机
KR100739547B1 (ko) 세탁물 부유 검출 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KR100739546B1 (ko) 세탁물 부유 검출 장치를 구비한 세탁기
KR100686110B1 (ko) 세탁기의 탈수행정 제어방법
KR19990040896A (ko) 드럼 세탁기의 거품 감지방법
JPS603823Y2 (ja) 脱水洗濯機
KR101037152B1 (ko) 세탁기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