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681U - 전화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전화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681U
KR20000000681U KR2019980010212U KR19980010212U KR20000000681U KR 20000000681 U KR20000000681 U KR 20000000681U KR 2019980010212 U KR2019980010212 U KR 2019980010212U KR 19980010212 U KR19980010212 U KR 19980010212U KR 20000000681 U KR20000000681 U KR 200000006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hone
telephone
pedestal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02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재서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20199800102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0681U/ko
Publication of KR200000006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681U/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키폰등과 같은 전화기를 테이블상에 놓거나 벽에 놓았을 때, 통화하기가 편리하도록 개량한 전화기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메모 카드(54)와, 못이 걸림되는 못구멍(48, 49)과, 레그(50)를 포함하며 삼각형상의 받침대(45)와, 상기 받침대(45)상에서 180도로 자유롭게 장착되는 본체(60)로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서, 벽걸이 브라켓을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금형비와 부품비가 절감되고, 벽에 전화기가 장착되었을 때 벽으로부터 전화기가 돌출된 양이 작게되어 미관이 좋게되고, 전화기의 하부쪽으로 전화기 코드가 인출되므로 배선 배치가 용이하게 되고, 키버튼의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화기 고정장치( TELEPHONE INSTRUMENT HOLDING APPARATUS )
본 고안은 전화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키폰등과 같은 전화기를 테이블상에 놓거나 벽에 놓았을 때, 통화하기가 편리하도록 개량한 전화기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우를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키폰 전화기는 수화기(5)가 안착되는 본체(3)와, 상기 본체(3)를 지지하며 삼각형상을 이루는 받침대(7)와, 상기 받침대(7)의 하부에 구비된 다수개의 레그(13)와, 상기 받침대(7)의 높은 부위의 하부에 구비된 유지부(17)와, 상기 받침대의 낮은 부위의 하부에 구비된 메모카드(11)로 구성되고, 상기 유지부(17)쪽으로 전화기 코드(9)가 연결되며, 받침대의 높은 부위 상부쪽에 LCD(6)가 본체(3)상에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 1과같이 테이블(15)상에 전화기를 안착할 때에는 받침대(7)의 레그(13)에 의해서 전화기가 지지되고, 받침대의 삼각형상에 의해서 번호숫자판 및 LCD(6)가 잘보이게 된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전화기를 벽(20)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벽(20)에 브라켓(22)을 고정하고, 받침대(7)의 하부에 상기 브라켓(22)과 착탈할 수 있는 결합부(25)가 구비된다. 이것에 의해서, 받침대(7)가 브라켓(22)에 고정되고, 유지부(17)의 바닥이 벽(20)에 밀착된다. 전화기 본체(3)는 LCD(6)가 위에 위치하게 되어 유저가 편리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전화기의 벽 부착방식은 벽걸이 브라켓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며, 브라켓에 전화기를 고정시키면, 전화기가 벽으로부터 많이 돌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화기 본체가 벽과 평행하게 위치되므로 수화기가 자주 바닥쪽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테이블형과 벽걸이형이 가능해야하는 단말기에서 별도의 벽걸이용 브라켓을 사용하지 않고 단말기 자체내의 구조로 벽걸이의 구조를 만족하며 키버튼 및 LCD를 사용하는데 지장이 없게하는 전화기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전화기 고정장치의 일예로서,
메모 카드와, 못이 걸림되는 못구멍과, 레그를 포함하며 삼각형상의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상에서 180도로 자유롭게 장착되는 본체로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서, 벽걸이 브라켓을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금형비와 부품비가 절감되고, 벽에 전화기가 장착되었을 때 벽으로부터 전화기가 돌출된 양이 작게되어 미관이 좋게되고, 전화기의 하부쪽으로 전화기 코드가 인출되므로 배선 배치가 용이하게 되고, 키버튼의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화기 고정장치에 의해서 테이블상에 전화기가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전화기 고정장치에 의해서 벽상에 전화기가 매달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종래의 전화기 고정장치의 받침대의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 고정장치의 받침대의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 고정장치에 의해서 테이블상에 전화기가 안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 고정장치에 의해서 벽상에 전화기가 매달린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본체 5 : 수화기
7 : 받침대 9 : 코드
11 : 메모카드 13 : 레그
15 : 테이블 17 : 유지부
20 : 벽 22 : 브라켓
25 : 결합부 45 : 받침대
46 : 저부 47 : 고부
48, 49 : 홈 50 : 레그
52 : 볼트 54 : 메모카드
56 : 코드 60 : 받침대
62 : 수화기 70 : 테이블
72 : 벽 74 : 못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 고정장치의 받침대(45)의 하부가 도시되어 있다. 하부에는 메모 카드(54)와, 못이 걸림되는 못구멍(48, 4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에는 4개의 레그(50)가 구비된다.
또한 받침대(45)와 전화기 본체(60)는 분리형으로서, 볼트(52)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를 테이블(70)상에 설치한 일예로서, 받침대(45)의 고부(47)상의 본체(60)에 LCD(80)가 위치하도록 본체(60)를 볼트(52)에 의해서 조립한다. 받침대(45)의 저부(46) 하부로 메모카드(54)가 인출된다. 전화기 코드(56)는 고부(47) 하부로부터 인출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이 벽(72)에 장착된다.
먼저, 본체(60)를 받침대(45)로부터 볼트(52)를 풀어 분리해낸다. 그런다음, 도 5의 상태에서는 LCD(80)가 받침대(45)의 고부(47)쪽에 위치하였으나, LCD(80)를 저부(46)쪽으로 위치하도록 본체(60)를 180도 회전시킨다. 그런 다음, 볼트(52)로써 본체(60)를 받침대(45)상에 고정시킨다.
그러면, 도 6과같이, 받침대(45)의 저부(46)의 상부쪽으로 위치하게 되고, 본체(60)의 LCD(80)가 상부쪽으로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벽(72)에 이미 고정되어 있는 못과 같은 걸림구(74)에 못구멍(48, 49)을 장착시켜 받침대(45)가 벽(72)에 고정되도록 한다.
도 6에서는 받침대(45)가 벽(72)에 완전 밀착되어 전화기가 벽으로부터 돌출되는 폭이 작게된다. 또한, 수화기도 본체상에 경사지게 안착하므로 바닥으로 미끄러내리는 일이 없게 되고, 키버튼이나 LCD를 유저가 사용하기도 편리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 고정장치는 벽걸이 브라켓을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므로 금형비와 부품비가 절감되고, 벽에 전화기가 장착되었을 때 벽으로부터 전화기가 돌출된 양이 작게되어 미관이 좋게되고, 전화기의 하부쪽으로 전화기 코드가 인출되므로 배선 배치가 용이하게 되고, 키버튼의 사용이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전화기 고정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메모 카드(54)와, 못이 걸림되는 못구멍(48, 49)과, 레그(50)를 포함하며 삼각형상의 받침대(45)와,
    상기 받침대(45)상에서 180도로 자유롭게 장착되는 본체(6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 고정장치.
KR2019980010212U 1998-06-15 1998-06-15 전화기 고정장치 KR2000000068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212U KR20000000681U (ko) 1998-06-15 1998-06-15 전화기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0212U KR20000000681U (ko) 1998-06-15 1998-06-15 전화기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681U true KR20000000681U (ko) 2000-01-15

Family

ID=69517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0212U KR20000000681U (ko) 1998-06-15 1998-06-15 전화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068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00681U (ko) 전화기 고정장치
JPS60160758A (ja) 電話機
JPS60140963A (ja) 卓上・壁掛兼用電話機
JPH0110046Y2 (ko)
JPS6126352A (ja) 電話機
JPH054360Y2 (ko)
JPH0241965Y2 (ko)
JPH018056Y2 (ko)
JPS6033645Y2 (ja) 電話番号リストの装着構造
JPH0317498Y2 (ko)
KR930000226Y1 (ko) 팩시밀리의 전화기 받침대 착탈장치
JPH0749881Y2 (ja) 卓上・壁掛け兼用電話機
JPS636917Y2 (ko)
JPS60160760A (ja) 電話機
JPH046291Y2 (ko)
JP3913893B2 (ja) 卓上及び壁掛け兼用電話機の筐体構造
KR20000019147U (ko) 일반 유선전화기에서 이어폰과 전화송수화기 분리사용의건
JPS6127237Y2 (ko)
JPH0238536Y2 (ko)
JPH0411400Y2 (ko)
JPS589399Y2 (ja) 電話機における回路網基板取付構造
JPS6130350Y2 (ko)
JPH0349489Y2 (ko)
JPH0136374Y2 (ko)
JP2548446B2 (ja) 電話機の送受話器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