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00405U - 구이판 - Google Patents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00405U
KR20000000405U KR2019980009841U KR19980009841U KR20000000405U KR 20000000405 U KR20000000405 U KR 20000000405U KR 2019980009841 U KR2019980009841 U KR 2019980009841U KR 19980009841 U KR19980009841 U KR 19980009841U KR 20000000405 U KR20000000405 U KR 2000000040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meat
cold water
plat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98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관
Original Assignee
이충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관 filed Critical 이충관
Priority to KR20199800098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00405U/ko
Publication of KR2000000040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0405U/ko

Link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원은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정 또는 음식점에서 육류를 불에 구울 때 육류가 타지 않고 정상적으로 조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상단 일측에 냉수주입구와 타측 상단으로 안전밸브가 설치된 외주연 파이프 내에 냉수를 충진시키고, 상기 외주연 파이프 내측단부에 연결되게 소형파이프를 일정간격으로 연속배열시켜 설치하므로서 가열 온수와 냉수가 원활히 순환되도록 한 구이판에 관한 것인데, 가스나 숯불화로 상단에 안착시켜 육류를 구울 때 화기가 직접 닿는 소형파이프에 있어, 소형파이프 내측의 가열온수가 외주연 파이프 내의 냉수와 순환되어 소형파이프 상단부에 얹어진 육류를 태울수 있는 적정온도까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육류가 심하게 타지 않고 정상적인 조리를 할 수 있음은 물론, 파이프 내측의 물이 화기에 의해 고온으로 가열되면 안전밸브가 작동하여 수증기를 배출하며 새로이 냉수를 충진시켜 안전하게 육류를 조리할 수 있도록 된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이판
본 고안은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정 또는 음식점에서 가스나 숯불화로 위에 육류를 구울 때 타지 않고 조리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상단 일측에 각각 냉수주입구와 안전밸브가 설치된 외주연 파이프의 내측단에 소형파이프를 일정간격으로 연속배열시켜 설치하고 상기 각 파이프 내측으로 냉수를 충진시켜된 구이판으로, 육류를 구울 때 가열된 온수와 냉수의 원활한 순환으로 육류가 급하게 타지 않고 적당하게 구워지므로 정상적인 조리를 할 수 있음은 물론, 파이프 내의 물이 고온이 되면 안전밸브가 작동하므로 안전하게 조리할 수 있도록 된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를 구울 때 사용하는 구이판은 일정굵기의 철사를 용접하여 제작하였으나, 화기와 육류 사이에서 열료열을 그대로 전달하는 금속재 철사구이판은 육류를 손쉽게 태워버리므로 수차례에 걸쳐 구이판을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매우 불편하였으며 까맣게 탄 육류는 인체에 해로운 것으로 건강에도 좋지 않은 폐단이 있었고, 구이판 전체가 금속판재로 된 금속판체형 구이판도 동일하게 육류가 손쉽게 타므로 자주 교체해야 하는 폐단이 있었다.
또, 수냉식 석쇠라 하여 양측으로 별도의 큰 물통이 형성되고 양측 물통사이에 다수개의 가는 파이프를 만곡되게 배열설치한 것이 있었으나 온수와 냉수와의 흐름이 원활치 못하여 가느다란 파이프상의 육류가 손쉽게 타는 것은 물론, 실제 사용시 고열의 물이 끓는 소리가 나며, 안전장치가 없어 위험한 등의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가정 또는 음식점에서 육류를 구울 때 온수의 순환으로 육류가 타지 않고 정상적으로 조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상단 일측에 각각 냉수주입구와 안전밸브가 설치된 외주연 파이프의 내측으로 소형파이프를 일정간격으로 연속되게 배열시켜 연결하되, 다수개의 연결봉으로 고정하고, 상기 냉수주입구로 물을 부어 충진시켜준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서, 화로 상단에 구이판을 안착시켜주면 연료열이 연속배열된 소형파이프를 뜨겁게 가열시켜 주는데, 이때 소형파이프 내의 충진된 물이 고열로 끓게 되고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외주연 파이프내의 충진된 물과 상호 순환되므로 물의 온도변화로 소형파이프 상단부에 올려진 육류가 구워지기는 하지만 타지 않고 적당히 조리가 되는 것이고, 각각의 파이프내의 물이 일정온도이상 상승되면 안전밸브가 작동하여 수증기가 배출되며, 내부의 물이 모자라면 냉수주입구를 열고 물을 충진시켜주면 되는 것으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 안전밸브의 단면도
도 4 는 본 고안을 숯불화로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6 은 도 5 의 단면도
도 7 은 안전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 : 구이판
10 : 외주연 파이프
20, 20' : 냉수주입구 21 : 부구
30, 30' : 안전밸브 30" : 에어배출구
31 : 스프링 32 : 작동편 33 : 환기공
40, 40' : 손잡이 50 : 소형파이프 60 : 연결봉
70 : 상판 71 : 함입부 72 : 장공
80 : 하판 90 : 공간부
상단부 양측에 각각 손잡이(40)가 형성되고, 상단 일측으로 내부에 부구(21)가 삽설된 냉수주입구(20)와 타측 상단으로 내측에 스프링(31)과 작동편(32) 및 환기공(33)이 설치된 안전밸브(30)가 형성된 외주연 파이프(10)와, 상기 외주연 파이프(10)의 내측으로 소형파이프(50)를 일정간격으로 연속되게 배열시켜 연결하되, 상기 소형파이프(50) 하측단과 외주연 파이프(10) 내측단에 각각 다수개의 연결봉(60)을 고정시켜서 결합된 구이판(1)의 구조이다.
미설명부호 "100" 은 탁자이고, "200" 은 화로이며, "300" 은 숯이고, "400" 은 통공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육류를 구울 때 사용하는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서, 탁자(100)에 설치된 화로(200) 내부에 숯(300)이나 가스로 불꽃을 발화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구이판(1)을 안착시켜 사용하는 것인데, 구이판(1)의 손잡이(40)를 잡고 화로(200) 상단에 안착시킨 후, 외주연 파이프(1) 상단 일측의 냉수주입구(20)를 열고 물을 충진시켜 외주연 파이프(10) 내측에 연결된 소형파이프(50) 내부까지 물이 충진되도록 하는데, 냉수주입구(20) 내부에 부구(21)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부구(21)의 부상에 따라 물의 충진 정도를 알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때, 소형파이프(50) 상단으로 육류를 올려 놓으면 숯불에서 발생되는 화기가 소형파이프(50)를 뜨겁게 달궈주게 되고, 이와 동시에 소형파이프(50) 내부의 물은 끓어오르게 되는데, 일정이상 온도로 끓는 물은 외주연 파이프(10) 내의 물과 상호 순환 및 교류되면서 적정온도까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그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면 수증기가 안전밸브(30)내의 작동편(32)을 밀어내면서 스프링(31)이 압축되고 이때 환기공(33)으로 수증기가 배출되며 일정량의 수증기가 빠져나가면 작동편(32)은 원위치가 되는데, 이를 확인하면 냉수주입구(20)를 열고, 부구(21)를 확인하면서 냉수를 부어주면 이후, 물이 순환되므로 물의 온도가 내려가게 되어 소형파이프(50) 상단의 육류는 심하게 타지 않고 정상적인 육류구이로서 시식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도 5 는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상단 양측에 손잡이(40')와 타측 상단에 각각 냉수주입구(20')와 안전밸브(30')가 설치되며 내측으로 함입부(71)가 형성되고, 상기 함입부 상부면에 다수개의 장공(72)이 형성된 상판(70)과, 상기 상판(70) 하측으로 외주연과 바닥부로 공간부(90)가 형성되도록 다수개의 장공이 형성된 하판(80)을 스포트 용접시켜 결합된 구이판(1')에 관한 것으로 상기 구이판(1')을 화로(200)에 손잡이(40')를 잡고 육류를 구우면 상술한 바와 같이 화기가 다수개의 장공이 형성된 하판(80)을 뜨겁게 달궈주는데 이때 상, 하판(70)(80)이 용접 결합되며 생긴 공간부(90)내의 물이 끓어오르게 되면서 상호순환되고, 상판(70)상의 육류를 태울 수 있는 적정온도까지 가열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적정온도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면 내부의 물의 수증기가 안전밸브(30')의 환기공을 통해 배출되고, 이를 확인하면 냉수주입구(20')로 물을 부어 끓는 물의 온도를 내려가게 하여 육류가 심하게 타지 않고 정상적인 육류구이 조리를 할 수 있도록 된 고안인 것이다.
또한, 도 7 은 안전밸브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외주연 파이프(10) 상단 일측으로 역 U 자형의 에어배출구(30")를 안전밸브(30) 대신 결합시켜 사용하면 되는 것으로, 각 파이프(10)(50)내의 물이 끓어오르면 상기 에어배출구(30")로 수증기가 배출되도록 한 고안인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 구이판(1)은 육류를 구울 때 타지 않고 정상적으로 조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화로(200) 상단에 손잡이(40)를 잡고 안착시키되, 냉수주입구(20)와 안전밸브(30)가 설치된 외주연 파이프(10)를 안착시켜주면, 화기가 소형파이프(50)를 달궈줌과 동시에 내부의 물이 끓어 오르면서 상측의 육류가 타지 않고 알맞게 구워지게 되고, 더 이상 온도가 올라가며 물이 끓어오르면 각 파이프 내부의 물이 상호 순환하게 됨과 동시에, 수증기가 안전밸브(30)를 통해 배출되게 되므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이를 확인하면 냉수주입구(20)를 열고 부구(21)로 확인하면서 물을 부어주므로서 내부에 물을 보충시켜 계속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도 5 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서, 상,하측으로 다수개의 장공(72)들이 형성된 상, 하판(70)(80)을 용접시켜 결합된 구이판(1')의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육류가 타지 않고 알맞게 구워짐은 물론, 물의 온도가 높아지면 안전밸브(30')로 수증기가 자동배출되고, 이를 확인하면 냉수주입구(20')로 물을 부어 충진시켜주면 되는 것으로 장시간 사용에도 안전한 효과가 았는 것이다.
또한, 도 7 과 같이 안전밸브(30)의 구조를 역 U 자형의 에어배출구(30")를 결합하여 간단하게 설치하므로서 간편하면서도 수증기 배출이 용이하며 안전하게 사용할 수도 있는 고안인 것으로 육류를 타지 않고 적당하게 구워 시식함은 물론, 장시간 사용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고, 또, 냉수주입구(20) 상단의 통공(400)을 형성하여 공기가 통하게 해주므로서 물의 순환이 원만하게 해주어 사용이 편리하도록 된 고안인 것이다.
또한, 소형파이프(50)와 상, 하판(70)(80)의 중앙부가 약간 만곡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화로(200) 하단중앙으로 기름받이(미도시)를 설치하여 구우면서 발생되는 육류의 기름을 받을 수 있도록 된 편리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3)

  1. 상단부 양측에 각각 손잡이(40)가 형성되고, 상단 일측으로 내부에 부구(21)가 삽설된 냉수주입구(20)와 타측상단으로 내측에 스프링(31)과 작동편(32) 및 환기공(33)이 설치된 안전밸브(30)가 형성된 외주연 파이프(10)와, 상기 외주연 파이프(10)의 내측으로 소형파이프(50)를 일정간격으로 연속되게 배열시켜 연결하되, 상기 소형파이프(50) 하측단과 외주연 파이프(10) 내측단에 각각 다수개의 연결봉(60)을 고정시켜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판(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단 양측에 손잡이(40')와 타측상단에 각각 냉수주입구(20')와 안전밸브(30')가 설치되며 내측으로 함입부(71)가 형성되고, 상기 함입부 상부면에 다수개의 장공(72)이 형성된 상판(70)과, 상기 상판(70) 하측으로 외주연과 바닥부로 공간부(90)가 형성되도록 다수개의 장공이 형성된 하판(80)을 용접시켜 결합된 것을 포함하는 구이판(1').
  3. 제 1 항에 있어서, 외주연 파이프(10) 상단 일측으로 수증기 배출을 위한 역 U 자형의 에어배출구(30")를 설치하여서 된 것을 포함하는 구이판.
KR2019980009841U 1998-06-10 1998-06-10 구이판 KR2000000040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841U KR20000000405U (ko) 1998-06-10 1998-06-10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9841U KR20000000405U (ko) 1998-06-10 1998-06-10 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0405U true KR20000000405U (ko) 2000-01-15

Family

ID=69516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9841U KR20000000405U (ko) 1998-06-10 1998-06-10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0040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170A (ko) * 2001-02-15 2002-08-22 최진순 눌어 붙지않은 석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7170A (ko) * 2001-02-15 2002-08-22 최진순 눌어 붙지않은 석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52400B1 (en) Cooking grate and cooking apparatus
US5189945A (en) Water cooled barbecue grill
US11678766B2 (en) Firebox for a grill
KR20000000405U (ko) 구이판
JP3656063B2 (ja) 卓上用炭火コンロ
KR100610323B1 (ko) 조리구이판
KR200443515Y1 (ko) 양면조리를 할 수 있는 가스기기의 그릴용 생선 구이판
JP3244610U (ja) 無煙機能を有する木炭式ポータブルコンロ
KR100554663B1 (ko) 대류를 이용한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
KR100368455B1 (ko) 가열통이 내장된 남비
KR950003503Y1 (ko) 로스구이기
KR100330622B1 (ko) 직화 구이팬
KR200353931Y1 (ko) 대류를 이용한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
KR101938531B1 (ko) 구이판
KR200355889Y1 (ko) 고기 구이용 불판
KR200365200Y1 (ko)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
KR200380141Y1 (ko) 고기 구이판
KR200239790Y1 (ko) 직화 구이판
KR200245632Y1 (ko) 불판 겸용 냄비
JPH0513658B2 (ko)
JP3010660U (ja) 加熱調理器
KR200306128Y1 (ko) 석쇠
KR200395745Y1 (ko) 구이판
KR200428742Y1 (ko) 가열실이 형성된 구이판
KR19980056070U (ko) 가스곤로용훈제구이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