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663B1 - 대류를 이용한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 - Google Patents

대류를 이용한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663B1
KR100554663B1 KR1020040020222A KR20040020222A KR100554663B1 KR 100554663 B1 KR100554663 B1 KR 100554663B1 KR 1020040020222 A KR1020040020222 A KR 1020040020222A KR 20040020222 A KR20040020222 A KR 20040020222A KR 100554663 B1 KR100554663 B1 KR 1005546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oled
bucket
meat
conv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5682A (ko
Inventor
황우천
Original Assignee
노공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공환 filed Critical 노공환
Priority to KR1020040020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4663B1/ko
Publication of KR20050095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5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대향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물통과, 상기 물통을 상호 연통시키는 다수의 순환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구이판과 상기 구이판이 안착되는 본체로 이루어진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통 바닥의 일부에는 물통과 상하로 격리되어 물이 간접적으로 가열되도록 하는 공기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류를 이용한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류, 수냉식, 고기구이장치, 순환

Description

대류를 이용한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WATER COOLED ROASTED MEET APPRATUS USING A CONVECTION CURRENT}
도 1은 종래 수냉식 고기구이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대류를 이용한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대류를 이용한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의 단면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대류를 이용한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의 대류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대류를 이용한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에서 발생된 증기의 배출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본체 105 : 기름받이통
110 : 숯수납부 115 : 가스분출부
120 : 걸림턱
200 : 구이판 205a,205b : 물통
210 : 순환파이프 215 : 공기실
220 : 연결파이프 225 : 손잡이
230 : 배출파이프 235 : 통기구멍
240 : 물주입구
본 발명은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장치내의 물을 원활하게 순환시킴으로써 음식점, 대형식당, 주점 등에서 고기판 위에 얹어진 고기를 태우지 않고 대량으로 구을 수 있도록 된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는 육류를 얹어 가열 조리할 경우 판의 가열로 고기가 타거나 늘어붙지 않도록 물이 저장된 물탱크 사이를 다수개의 순환관으로 연통시겨 육류가 얹어지는 순환관의 열을 수냉시킴으로서 육류가 타지 않고 익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이와 같은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는 가정에서나 음식점 등에서 고기를 손님이 소량으로 직접 구울 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냉식 고기구장치는 여러종류가 개발되어 있는데, 도 1과 도 2에 종래의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등록실용20-0317019)가 도시되어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이 천공된 물통(3)이 구비되고, 이 천공된 물통(3) 사이를 순환관(4)으로 연결하여 그 위에 고기를 얹어놓고 굽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는 소량의 고기를 구울 때는 유용하나 대형음식점과 같이 고기를 한꺼번에 대량으로 구울때는 순환관(4)에 충진된 물의 순환이 원활하지 못하여 장시간 구우면 물이 끓으면서 물통내부에 난류가 형성되며, 이로 인해 물통내의 증기를 배출하기 위해 형성된 배출구(1) 통하여 증기 뿐만 아니라 비산된 물도 함께 배출된다. 따라서 고기굽는 과정에서 수시로 물을 보충해 주어야 하며, 물을 보충할 때마다 물통내의 온도가 떨어져 순환파이프로 유입됨으로써 순환관(4)이 과냉각(고기가 익지 않은 정도의 온도)된다. 그러면 고기가 익을 정도의 온도로 높이기 위해서는 소정의 시간이 필요하게 되고, 그 결과로 고기 익는 속도도 늦어지며, 궁극적으로는 에너지 소비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물 보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냉각이 제대로 안되므로 고기가 타게되고,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물통을 크게 하면 장치를 제조하는 비용이 상승하고 실제 사용시에는 그 크기 때문에 다루기 불편한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 구이판을 구성하는 순환파이프내의 물을 원활하게 순환시킴으로써 물통내의 물이 난류로 발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따라서 배출장치를 통해서는 증기만 배출되도록 하여 소비되는 물을 감소시킴으로서 물 보충시간을 길게하고, 잦은 물보충으로 인해 석쇠로 이용되는 순환파이프가 과냉각 되지 않도록 하며, 고기를 일관성 있게 구우면서도 에너지가 절약되는 대류를 이용한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호 대향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물통과, 상기 물통을 상호 연통시키는 다수의 순환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구이판과 상기 구이판이 안착되는 본체로 이루어진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통 바닥의 일부에는 물통과 상하로 격리되어 물이 간접적으로 가열되도록 하는 공기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류를 이용한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냉식 고기구이장치는 화로 형태의 본체(100)와 원통형태의 구이판(200)으로 구성되고, 본체에는 숯수납부(110)와 가스분출부(115) 및 기름받이통(105)이 구비되며, 구이판(200)에는 물통(205)과 순환파이프(210) 및 물통을 고정하는 연결파이프(220)가 구비된다.
상기의 숯수납부(110)는 본체(100)의 상단에서 하부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원주를 따라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원주를 따라 가스분출부(115)가 형성된다. 즉 가스분출부(115)는 그 위에 형성된 숯수납부(110)를 가열하여 숯수납부(110)에 놓여진 숯을 가열한다.
본체(100)의 바닥에는 기름받이통(105)이 설치되어 상부에서 떨어지는 기름을 받을 수 있도록 되어있다.
구이판(200)을 구성하는 물통(205a,205b)은 소정의 이격거리를 상호 대향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물통(205a)과 물통(205b)사이에는 금속성의 순환파이프 (210)가 다수 설치되어 물통(205a)과 물통(205b)을 연통시키며, 또한 순환파이프 (210)는 하향되어 구부려져 형성되므로서 가스분출부(115)를 통해 올라오는 화염과 접촉하는 면적이 크도록 설계되어 있다. 물통(205a,b)의 상단에는 물통(205a)과 물통(205b) 사이를 구조적으로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파이프(220)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연결파이프(220)에는 손잡이(225)가 형성되어 있다.
그 단면이 반원형태를 갖는 일측의 물통(205a,205b)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대략 절반)에 공기실(215)이 형성되는데, 공기실(215)은 5 ~ 10Cmm 정도의 높이로 형성되어 물통(205a,205b)과는 격리되며, 그 내부에는 공기만 충진되어 있고, 공기실(215)에는 가열로 인한 압축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통기구멍 (235)이 형성되어 있다.
일측의 물통(205a)과 대향되는 다른 일측의 물통(205b)도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대략 절반)가 상기 일측의 물통(205a)과 상호 반대방향(상호간에 대각선 방향)에 공기실(215)이 형성된다. 다른 일측의 공기실(215)도 물통(205b)과는 격리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공기만 충진되어 있으며, 가열로 인한 압축공기가 빠 져나갈 수 있도록 통기구멍(235)이 형성되어 있다.
다수의 순환파이프(210)는 물통(205a)과 물통(205b)사이에 연통되어 그 위에 고기가 얹어지는 석쇠 기능을 하는 것으로써, 숯불에 직접 가열되므로 고열에도 견딜 수 있는 금속재의 파이프이며, 내부에는 물통(205a,205b)을 통해 유입된 물이 충진되어 있다. 여기서 순환파이프(210)내의 물은 숯불에 의하여 순환파이프(210)가 가열될 때 일정온도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도록 냉각시키는 기능을 하며, 이때 물통(205a,205b)은 가열된 물이 증발될 때 냉각수의 공급원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순환파이프(210)는 하방으로 쳐저 둥글게 형성되어 있어서 고기를 구울 때 발생되는 기름이 순환파이프(210)를 따라 내려가 중앙에 모여 그 하부에 설치된 기름받이통(105)에 떨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순환파이프(210)중의 하나(대략 중앙)는 양측단부가 연장되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통의 상단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는데, 그 상단이 물통(205a,205b)속에 물이 완전히 충진되었을 때 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있어서 물 밖으로 노출되고, 이렇게 노출된 순환파이프를 배출파이프(230)라 정의한다.
상기한 배출파이프(230)는 대략 중간에 통기구멍(235)가 형성되어 있어서, 물통(205a,205b)과 순환파이프(210)에서 가열된 물이 증발되어 물통(205a,205b)의 상부로 모이면 물 밖으로 노출된 배출파이프(230)를 통해 유입되어 흐르다가 배출파이프(230)의 대략 중간에 형성된 통기구멍(235)를 통해 외부로 방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즉 물통(205a,205b)의 압력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고열을 방출하는 기능도 갖는다.
상기한 연결파이프(220)는 물통(205a,205b)과 물통을 구조적으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물통(205a,205b)의 양측 상단을 상호간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한 쌍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사용의 편의성과 디자인을 고려하여 물통(205a,205b) 원주의 곡률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그 중간에 각각 손잡이(225)가 형성되어 있어서, 구이판 (200)을 손쉽게 들어올려 이동 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100)의 바닥에 기름받이통(105)을 안치시키고, 숯수납부(110)에는 숯을 올려놓은 후 본체(100)의 상단 걸림턱(120)에 구이판(200)을 올려 놓는다. 이 상태에서 가스분출구(115)에 불을 붙이면 그 화력으로 숯이 타게되고, 이때 발생되는 화력에 의하여 구이판(200)의 하부를 가열하게 된다.
점화된 숯에 의하여 구이판(200)을 이루는 한 쌍의 물통(205a,205b)과 순환파이프(210)는 가열되고, 순환파이프(210) 위에 얹어진 고기는 구워지며 지속적인 화력에 의하여 순환파이프(210)가 가열되면서 그 내부에 충진된 물의 온도가 상승된다. 이때 공기실(215)을 통하여 가열되는 물통(205a,205b) 부분은 공기실(215)에 충진된 공기층에 막혀 열전달이 잘 되지 않고 간접적으로 가열되므로 물통(205a, 205b)에 직접 전달되는 부분과는 온도차이가 발생하게 되고, 이런 결과로 공기실(215) 상부의 물과 그 대향측의 물의 온도는 서로 다르게 된다. 그래서 순환파이프(210)를 통해 연통된 대향측의 물은 상호간의 온도차이에 의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대류(온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현 상)가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순환파이프(210)에 충진된 물은 물통(205a)과 물통(205b)사이를 순환하게 된다. 즉 물통(205a,205b)의 물은 순환파이프(210)를 통해 지속적인 순환이 일어나므로 물통 (205a,205b)내 난류가 방지되어 끓는 물의 비산이 방지되며, 그 결과로 물통(205a, 205b)의 상단에는 증기만 모이게 되고, 이 증기는 배출파이프(230)로 유입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흐르다가 통기구멍(23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즉 배출파이프(230)를 통해서는 종래와 같이 증기와 물이 동시에 배출되지 않고 증기만 배출되므로 증발로 인한 물의 소비가 감소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가열되는 물통의 일부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격리판을 형성하여 물통으로 전달되는 열의 차이로 대향되는 물통과 순환파이프를 통한 대류가 발생되며, 이 대류로 물통내 물의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써 고기를 장시간 구워 물통이 끓더라도 난류가 방지되어 물이 비산되지 않고, 물통의 상부에는 증기만 모이며, 이 증기를 배출파이프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킨다. 따라서 기존과 같이 증기뿐만 아니라 비산되는 물 까지도 함께 배출되어 물손실량이 크던 것을 증기만 배출시켜 물손실량을 감소시켰으므로 물보충시간이 길어지고, 물 보충시마다 발생되는 순환파이프의 과냉각 상태가 방지되므로, 고기를 일관성 있게 구울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Claims (4)

  1. 상호 대향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물통과, 상기 물통을 상호 연통시키는 다수의 순환파이프로 이루어지는 구이판과 상기 구이판이 안착되는 본체로 이루어진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물통 바닥의 일부에는 물통과 상하로 격리되어 물이 간접적으로 가열되도록 하는 공기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류를 이용한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물통에 형성되는 공기실은 상호 교호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류를 이용한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에는 공기가 충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류를 이용한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에는 압력조절을 위해 통기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류를 이용한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
KR1020040020222A 2004-03-25 2004-03-25 대류를 이용한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 KR100554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222A KR100554663B1 (ko) 2004-03-25 2004-03-25 대류를 이용한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222A KR100554663B1 (ko) 2004-03-25 2004-03-25 대류를 이용한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8246U Division KR200353931Y1 (ko) 2004-03-25 2004-03-25 대류를 이용한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682A KR20050095682A (ko) 2005-09-30
KR100554663B1 true KR100554663B1 (ko) 2006-02-22

Family

ID=37276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222A KR100554663B1 (ko) 2004-03-25 2004-03-25 대류를 이용한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46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5682A (ko) 200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52400B1 (en) Cooking grate and cooking apparatus
EP2849618B1 (en) Flame resistant cooking grate and cooking apparatus
WO2017195777A1 (ja) 加熱調理器
KR200454315Y1 (ko) 열보존매체를 가진 고효율 가스튀김기
KR100554663B1 (ko) 대류를 이용한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
KR200353931Y1 (ko) 대류를 이용한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
KR101423187B1 (ko) 버너의 폐열회수장치
KR102257044B1 (ko) 유조 하부영역의 식용유 냉각 기능을 갖는 전기 튀김기
EP0159750B1 (en) Deep-frying device
KR200365200Y1 (ko) 수냉식 고기구이 장치
KR101288617B1 (ko) 열전도체가 구비된 수냉식 불판
JP5396194B2 (ja) 加熱調理器
KR20000000405U (ko) 구이판
US20100236421A1 (en) Fuel saving food cooker and water heater arrangement
KR101542240B1 (ko) 튀김장치
CN213344127U (zh) 油炸炉
KR200312267Y1 (ko) 구이용 수냉 석쇠
KR100717079B1 (ko) 가스버너가 내장된 테이블 및 이에 사용되는 구이판
KR200353917Y1 (ko) 수냉식 석쇠
JP4030380B2 (ja) グリル
KR20060108310A (ko) 음식물을 조리에 사용되는 수냉식 구이판
KR200306128Y1 (ko) 석쇠
JP6596322B2 (ja) 液体加熱装置
KR200378543Y1 (ko) 구이용 그릴
KR19990033005U (ko) 음식물의 구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