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8204A - 건설기계의캡용벽면패널소재및건설기계시리즈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캡용벽면패널소재및건설기계시리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8204A
KR19990088204A KR1019990016879A KR19990016879A KR19990088204A KR 19990088204 A KR19990088204 A KR 19990088204A KR 1019990016879 A KR1019990016879 A KR 1019990016879A KR 19990016879 A KR19990016879 A KR 19990016879A KR 19990088204 A KR19990088204 A KR 19990088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plate
window
cap
skylight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6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2763B1 (ko
Inventor
노다시게토모
나무라아키히데
타이라켄지
Original Assignee
안자키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자키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안자키 사토루
Publication of KR19990088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8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2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27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4Vertically-sliding wings
    • E06B3/4407Single-hung, i.e. having a single vertical sliding pane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형상이 서로 다른 천창을 보유하는 다른 기종의 캡의 제작비를 보다 값싸게 얻을 수 있는 캡용 벽면패널소재를 제공한다.
가장자리 둘레에 단차부를 설치하여 오목형상의 창플레이트 부착부(9)를 이 창플레이트부착부(9)내에 서로 형상이 다른 천창(7A)·(7B)을 각각 형성할 수 있도록 이 천창(7A)·(7B)의 전체를 포함한 형상으로 형성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의 캡용 벽면패널소재 및 건설기계 시리즈{MATERIAL OF WALL PANEL FOR CAB OF CONSTRUCTION MACHINE AND A SET OF CONSTRUCTION MACHINES}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유압셔블등 건설기계의 캡용 벽면패널소재 및 건설기계시리즈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건설기계로서 유압셔블에 있어서는 붐 및 암과 암의 선단에 부착된 예를 들어 버킷등으로 이루어진 작업기를 구비하고, 이 작업기는 그 동작을 조작자가 캡 내에서 관측하면서 조작된다. 특히, 작업기 선단측의 버킷은 캡의 천정면보다도 상방까지 이동되는 것에서 캡에는 앞창이나 측면창에 부가하여 더욱이 천정패널에 천창(天窓)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캡의 구체예가 일본국 실개평5-47057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공보기재의 캡은 도9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듯이 작업기(31)선단의 버킷(32)이 캡(33)의 전면보다 상부 후방의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는 기종을 전제로서 이 최후퇴위치에 위치한 버킷(32)을 캡(33)내에서 조작자가 관측할 수 있도록 도10에 나타내듯이 캡(33)의 천정패널(34)에 그 전단측에서 캡(33)의 전후방향 중간위치를 초과하는 넓이의 천창(3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천창은 예를 들어 본발명의 설명도인 도2(d)에 나타내듯이 통상 천정패널(6A)에 오목형상의 창플레이트부착부(9)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창플레이트부착부(9)에 천창형상에 대응하는 창용개구(10A)를 설치하고, 이 창용개구(10A)를 덮도록 아크릴판등의 투명한 창플레이트(11A)를 창플레이트부착부(9)에 끼워 넣어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창플레이트부착부(9)를 오목형상으로 하고 천정패널(6A)과 창플레이트(11A)와의 각 외표면을 거의 동일면으로 하는 것으로 외관이 좋게 되고 또한 창플레이트부착부(9) 둘레가장자리를 단차상으로 하는 것으로 이 창플레이트부착부(9)에 소망 강도가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 공보는 작업기(31)선단측 버킷(32)을 캡(33)의 전면보다 상부후방의 위치까지 이동할 수 있는 기종(이하, 제1기종이라 한다)을 전제로 하고 있지만 이외에 작업기의 조작범위가 캡의 전면보다도 전방의 범위에 규제된 기종(제2기종이라 한다)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도10에 나타내는 천창(35)은 넓이가 과대하게 되고, 캡(33)내에서 상부전방의 시계(視界)는 확보될 것, 천창(35)을 통하여 일사량이 많게 되고, 캡내의 온도가 높게 되어 캡(33)내에서 조작자의 작업환경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한 아크릴판등으로 이루어진 창플레이트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이 창플레이트의 두께를 두껍게 할 필요가 발생하게 된다.
여기에서 종래에는 상기 제1기종에 있어서 천창에 있어서도 캡의 폭방향 치수를 좁게 하고, 캡의 전후방향에 세로로 긴 길이의 형상으로서 천창의 넓이를 상당히 작게 하는 한편 제2기종에 있어서 천창은 캡의 앞가장자리에만 설치하고 따라서 폭 방향에 긴 가로방향으로 형성하여 각각 작업기 조작범위에 따른 형상의 천창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 천정패널의 제작에 있어서는 우선 프레스에 의한 드로잉가공에 의해 상기한 오목형상의 창플레이트부착부가 각 천창형상에 맞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어서, 이 창플레이트부착부의 둘레가장자리측을 남겨서 창용개구가 예를 들어 레이저절단가공에 의해 실시되고 이 창플레이트부착부에 창플레이트가 끼워맞추어지고 각 기종 작업기의 조작범위에 따라 천창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제1기종과 제2기종 같은 천창형상이 상호 다른 경우 종래는 창플레이트부착부의 형상이 각 천창형상에 맞추어 각각 설정되어 있고 이 때문에 창플레이트부착부를 형성하는 프레스가공에 있어서는 각각에 프레스형이 필요하게 되어 전체적인 제작비가 높게되는 문제점을 발생하고 있다.
본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에 감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예를 들어 천창등의 창형상이 서로 상이한 다른 기종의 캡을 제작하는 경우라도 전체 제작비를 보다 값싸게 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캡용 벽면패널소재 및 건설기계시리즈를 제공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청구항1의 건설기계의 캡용 벽면패널소재는 둘레가장자리를 단차상으로 하여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으로 한 창플레이트부착부(9)를 구비하고, 이 창플레이트부착부(9)에 창용개구(10A)·(10B)를 설치하는 동시에 창용개구(10A)·(10B)를 덮는 창플레이트(11A)·(11B)를 창플레이트부착부(9)에 부착한 창(7A)·(7B)이 형성된 건설기계의 캡용 백면패널소재에 있어서, 상호 중복하는 부분과 비중복부분을 갖는 적어도 2종류 형상의 창(7A)·(7B)을 상기 창플레이트부착부(9)내에 각각 형성할 수 있도록 이들 각 창(7A)·(7B)의 중복영역과 비중복영역과의 전체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상기 창플레이트부착부(9)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2의 건설기계시리즈는 각 캡(3A)·(3B)에 있어서 상호 대응하는 영역에 서로 형상이 다른 창(7A)·(7B)을 갖는 제1기종의 건설기계(A)와 제2기종의 건설기계(B)로 이루어진 건설기계 시리즈에 있어서 각 캡(3A)·(3B)에서 상기 창(7A)·(7B)를 형성하는 벽면패널(6A)·(6B)에 각각 청구항 1의 벽면패널소재(6)를 사용하여 이들 벽면패널소재(6)의 각 창플레이트부착부(9)에 제1기종과 제2기종에서 서로 형상이 다른 창용개구(10A)·(10B)를 설치하여 이들 창용개구(10A)·(10B)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의 창(7A)·(7B)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청구항1의 벽면패널소재는 창플레이트부착부(9)가 서로 형상이 다른 창(7A)·(7B)을 이 창플레이트부착부(9)내에 형성할 수 있는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이용하여 청구항2와 같이 창 형상이 서로 다른 제1기종의 건설기계(A)와 제2기종의 건설기계(B)의 각 캡(3A)·(3B)을 각각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창 형상이 다른 기종의 캡도 창플레이트부착부(9)의 성형공정은 서로 동일 플레스형을 이용하여 제작한 벽면패널소재(6)를 각각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제작비를 보다 싸게할 수 있다.
청구항3의 건설기계 시리즈는 작업기(5)선단측이 캡(3A)의 전면보다 상부후방까지 이동 가능한 제1기종의 건설기계(A)와 작업기(5)선단측의 이동이 상기 제1기종의 건설기계(A)보다도 전방 범위에 규제된 제2기종의 건설기계(B)의 각 캡(3A)·(3B)의 천정패널(6A)·(6B)에 상기 벽면패널소재(6)를 사용하여 제1기종은 캡(3A)의 전후방향으로 세로로 긴 형상의 천창(7A)을 또한 제2기종은 캡(3B)의 폭방향으로 가로로 긴 형상의 천창(7B)을 각각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창플레이트부착부(9)의 형상이 동일 벽면패널소재(6)를 이용하여 전체적인 제작비가 보다 싸게되는 동시에 제1·제2기종의 각 건설기계(A)·(B)의 작업기 각각의 조작범위에 따른 형상으로 천창(7A)·(7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 기능상 필요한 시계가 확보되는 한편 각 천창(7A)·(7B)의 넓이를 각각 필요최소로 할 수 있어서 캡(3A)·(3B)내로 일사량이 제한되고 캡(3A)·(3B)내에서의 양호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도1은 본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천정패널소재를 나타내는 것으로 (a) 는 평면도, (b)는 단면도이다.
도2는 상기 천정패널소재를 이용하여 형성된 제1기종 천정패널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천정패널의 평면도,(b)는 창플레이트의 평면도, (c)는 창플레이트를 부착한 천정패널의 평면도, (d)는 창플레이트의 둘레가장자리측의 단면도이다.
도3은 제1기종의 유압셔블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4는 도3에 나타내는 유압셔블의 평면도이다.
도5는 제2기종의 유압셔블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6은 도5에 나타내는 유압셔블의 평면도이다.
도7은 제2기종의 천정패널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천정패널의 평면도,(b)는 창플레이트의 평면도,(c)는 창플레이트를 부착한 천정패널의 평면도이다.
도8은 본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창플레이트와 천정패널과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a)는 천정패널의 볼록형상의 창플레이트부착부에 상방에서 창플레이트를 부착한 구조의 단면도, (b)는 볼록형상의 창플레이트부착부에 하방에서 창플레이트를 부착한 구조의 단면도, (c)는 오목형상의 창플레이트부착부에 하방에서 창플레이트를 부착한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9는 종래 유압셔블에서 캡과 작업기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0은 종래 캡의 사시도이다.
- 부호의 간단한 설명 -
A····· 제1기종의 유압셔블(건설기계), 3A····· 캡
B····· 제2기종의 유압셔블(건설기계) 3B····· 캡
5····· 작업기 7A····· 천창
7B····· 천창 6····· 천정패널소재(벽면패널소재)
6A····· 천정패널(벽면패널) 6B····· 천정패널(벽면패널)
9····· 창플레이트부착부 10A·····창용개구
10B·····창용개구 11A·····창플레이트
11B·····창플레이트
다음에 본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에 본실시형태에 관한 제1기종의 유압셔블(A)을 나타내고 있다. 이 유압셔블(A)은 주행장치(1) 상에 선회대(2)를 구비하고 이 선회대(2) 상에 캡(3A) 및 엔진룸(4)이 설치되는 동시에 더욱이 선회대(2)에 작업기(5)가 부착되어 있다. 이 작업기(5)는 선회대(2)에 일단이 피봇된 붐(5a)과 이 붐(5a)의 선단부에 피봇된 암(5b)과 암(5b)의 선단에 피봇된 작업기 어태치먼트, 예를 들어 버킷(5c)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선회대(2)로 붐(5a)기단부의 피봇점은 선회대(2)의 중앙부 즉, 캡(3A)에 있어서 전면보다도 후방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이 작업기(5)에 있어서는 도에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듯이 붐(5a)을 상기 피봇점 주위로 회전운동시켜서 기립시키고, 또한 암(5b)을 붐(5a)측에 접은 상태로 한 때의 버킷(5c) 선단부의 위치가 캡(3A) 전면보다도 상부후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버킷(5c)이 상기한 최후퇴위치에 위치할 때에도 이것을 조작자가 캡(3A)내에서 눈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캡(3A)의 천청패널(벽면패널)(6A)에 도4에 나타내는 형상의 천창(7A)이 설치되어 있다. 즉, 이 천창(7A)은 천정패널(6A)에서 폭방향(도의 상하방향)의 중심보다도 작업기(5)측에 편심되어 설치되는 한편, 캡(3A)의 전면근방위치에서 전후방향(도의 좌우방향)의 중심을 약간 넘는 위치까지의 길이를 갖는 대략 단형의 세로로 긴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형상의 천창(7A)을 보유하는 천정패널(6A)의 제작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천정패널(6A)은 도1(a)(b)에 나타내는 천정패널소재(벽면패널소재)(6)를 이용하여 제작되어 있다. 이 패널소재(6)는 예를 들어 두께1.6mm정도의 강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천정패널(6A)의 외주형상에 따라서 제단한 후, 프레스가공에 의해 전체가 소정의 만곡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도(b)에 나타내듯이 전단측(도의 좌단측)에서 전후방향의 중심을 약간 후방으로 넘는 위치까지 영역이 오목형상으로 드로잉 가공되고 가장자리 둘레가 단차부(8)로 둘러쌓인 창플레이트부착부(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창플레이트부착부(9)의 가장자리둘레형상은 동(同) 도(a)에 나타내듯이 이 천정패널소재(6)의 전단측에서 이 소재(6)의 거의 전체 폭에 걸쳐서 늘이는 앞가장자리부(9a)와 이 앞가장자리부(9a)의 도에 있어서 하측 단부에서 후방으로 늘이는 좌측가장자리부(9b)와 이 좌측가장자리부(9b)의 후단에서 경사진 방향으로 늘이는 경사가장자리부(9c)와 이 경사가장자리부(9c)의 후단에서 상측 폭방향으로 늘이는 후방가장자리부(9d)와 이 후방가장자리부(9d)와 앞가장자리부(9a)와의 도에 있어서 상측 각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우측가장자리부(9e)로 둘러 쌓인 대략 5각형의 형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동 도에는 상기 천창(7A)의 형상을 일점쇄선으로 또한, 후술하는 제2기종의 유압셔블(B)에 있어서 천창(7B)의 형상을 이점쇄선으로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천창(7B)은 천정패널소재(6)의 전단측에서 폭방향으로 가로로 긴 형상이고 따라서, 이들 천창(7A)·(7B)은 서로 중복하는 부분(전단측 도에 있어서 상측반분의 영역)과 비중복부분을 보유하고 있다.
상기 창플레이트부착부(9)는 이들 양 천창(7A)·(7B) 중복부분과 비중복부분과의 전체를 포함하듯이 앞가장자리부(9a) 및 후방가장자리부(9d)가 세로길이의 천창(7A)을 전후방향으로 끼우는 위치에 각각 설정되고, 좌우가장자리부(9b)·(9e)가 가로길이의 천창(7B)을 폭방향으로 끼우는 위치에 각각 설정되어 있다.
상기 하듯이 창플레이트부착부(9)가 형성된 천정패널소재(6)에 대해서 예를 들어 레이저에 의한 절단가공에 의해 도2(a)에 나타내듯이 상기 천창(7A)과 거의 동일형상의 창용개구(10A)가 설치되고 천정패널(6A)이 형성된다.
한편, 동 도(b)에 나타내듯이 예를 들어 투명한 아크릴판을 상기 창플레이트부착부(9)와 거의 동일형상으로 한 창플레이트(11A)가 제작된다. 이 창플레이트(11A)는 도 중 그물형상으로 나타내는 영역의 후면에 예를 들어 크로셀등의 흑색도료를 도금도장하는 것에 의해 이 영역이 불투명화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이 창플레이트(11A)에도 도장을 실시하지 않은 투명부(12A)가 상기 천창(7A)에 대응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창플레이트(11A)를 동 도(c)에 나타내듯이 천정패널(6A)의 창플레이트부착부(9)에 끼워 넣어 접착하여 천창(7A)을 보유하는 천정패널(6A)이 형성된다. 또한 이때에 동 도(d)에 나타내듯이 창플레이트(11A)와 창플레이트부착부(9)의 사이에 시일재(13)가 끼워 지고 또한 천정패널(6A)에 천창(7A)을 제외한 영역에는 하측에서 천정내장재(14)를 부착하여 상기 도4에 나타낸 캡(3A)의 천정패널(6A)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창플레이트(11A)에는 투명부(12A)를 제외한 영역에 상기한 크로셀등이 도금도장되어 있는 것으로 접착제에 의해 접착력이 강화되고 또한 일사(日射)에 의한 접착제의 열화가 방지되어 그 내후성이 향상하게 된다.
도5에는 본실시형태에 관한 제2기종의 유압셔블(B)을 나타내고 있다. 이 유압셔블(B)의 각 구성부재도 상기 유압셔블(A)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상술한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 부재와 동일 기능을 보유하는 부재에 동일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유압셔블(B)에 있어서 작업기(5)는 그 붐(5a)의 기단측이 선회대(2)의 전단부에 피봇되고 도에서 2점쇄선으로 나타내듯이 버킷(5c)을 최후퇴위치에 위치시킨 때에도 이 버킷(5c)은 캡(3B)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붐(5a)의 기단측은 수평회전으로 회전운동 가능하게 피봇된 회전대(15)를 매개로 하여 선회대(2)에 부착되고 또한 상기 선회대(15)에는 도6에 나타내듯이 이 선회대(15)를 회전운동시키는 유압실린더(16)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유압실린더(16)를 작동하여 작업기(5)를 캡(3B)에 대해서 좌우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는 작업범위를 넓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유압셔블(B)에 있어서 캡(3B)의 천정패널(6B)에 상기한 가로로 긴 천창(7B)이 설치되어 있다. 이 천창(7B)을 통해서도 상기하듯이 캡(3B)의 전방에서 좌우방향으로 넓은 작업범위를 보유하는 작업기(5)를 조작자가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천창(7B)이 형성된 천정패널(6B)도 상기한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 천정패널소재(6)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즉, 상기하듯이 프레스가공에 의해 창플레이트부착부(9)를 형성할때까지는 제1기종의 천정패널(6A)과 같이 성형가공을 거쳐서 제작되고, 그 후, 도7(a)에 나타내듯이 상기한 가로로 긴 천창(7B)에 대응한 창용개구(10B)가 레이저절단에 의해 설치되어 제2기종용 천정패널(6B)이 제작된다.
또한, 동 도(b)에는 이 제2기종용 창플레이트(11B)를 나타내고 있다. 그 외주형상은 상기 창플레이트부착부(9)에 대응하고 따라서 상기 제1기종용 창플레이트(11A)와 동일하다. 여기에서 상기 같은 형태의 크로셀등의 도색도장에 의해 한정된 투명부(12B)가 상기 가로로 긴 천창(7B)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창플레이트(11B)를 창플레이트부착부(9)에 상기와 같은 모양으로 끼워 넣고 동 도(c)에 나타내듯이 가로로 긴 천창(7B)을 보유하는 천정패널(6B)이 제작되고 이것을 이용하여 상기 도6에 나타낸 캡(3B)이 구성되어 있다.
이상 설명하듯이 본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천정패널소재(6)에 오목형상의 창플레이트부착부(9)를 형성할 때에 이 창플레이트부착부(9)의 형상을 제1·제2기종의 각 유압셔블(A)·(B)에 있어서 각 천창(7A)·(7B)의 쌍방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창플레이트부착부(9)는 제1기종용과 제2기종용에서 동일 프레스금형을 공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제작비를 보다 싸게할 수 있다.
또한 제1기종의 캡(3A)에 있어서는 세로로 긴 형상의 천창(7A)을 통하여 또한 제2기종의 캡(3B)에 있어서는 가로로 긴 형상의 천창(7B)을 통하여 각각 각 작업기(5)의 조작범위에 따라서 충분한 시계가 확보된다. 게다가 이 천창(7A)·(7B)의 넓이는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되어 있기 때문에 캡(3A)·(3B)내로의 일사량이 제한되고, 이로 인하여 캡(3A)·(3B)내의 온도상승이 억제되어 조작자의 작업환경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또한, 창플레이트부착부(9)와 거의 동일형상의 창플레이트(11A)·(11B)는 각 천창(7A)·(7B)보다도 면적이 크게 되지만 이들 창플레이트(11A)·(11B)에 있어서 각 투명부(12A)·(12B) 즉, 천창(7A)·(7B)에 대응한 영역이외의 영역은 창플레이트부착부(9)의 면판부에 의해 보강된 지지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하듯이 면적이 크게 되어도 이 창플레이트(11A)·(11B)자체의 두께를 과대하게 하지 않아도 소요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발명은 상기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각종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오목형상의 창플레이트부착부(9)를 형성하고 이 창플레이트부착부(9)에 창플레이트(11A)·(11B)를 상방에서 끼워 맞추어 창플레이트(11A)·(11B)와 천정패널(6A)·(6B)의 각 외표면이 거의 동일면으로 되는 구조(도2(d)참조)를 예시하지만 예를 들어 도8(a)에 나타내듯이 창플레이트부착부(9)를 볼록형상으로 형성하고 외측에서 창플레이트(11A)·(11B)를 부착하는 구조나, 동 도(b)에 나타내듯이 창플레이트부착부(9)를 볼록형상으로 형성하고 여기에 내측에서 창플레이트(11A)·(11B)를 부착하는 구조, 동 도(c)에 나타내듯이 창플레이트부착부(9)를 오목형상으로 형성하고 여기에 내측에서 창플레이트(11A)·(11B)를 부착하는 구조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형태는 가로로 긴 천창(7B)을 보유하는 제2기종의 유압셔블(B)로 하여 작업기(5)선단측의 버킷(5c) 조작범위가 캡(3B)의 전면보다도 전방의 범위에 규제된 것을 나타내지만 예를 들어 버킷(5c)을 캡(3B)의 전면보다도 후방까지 이동할 수 있는 것에서도 그 최후퇴위치가 제1기종의 유압셔블(B)보다도 전방으로 규제되고 따라서 천창을 세로로 긴 형상으로 할 필요가 없는 것이면 이것을 제2기종의 유압셔블로서 여기에 제1기종의 천창(7A)과는 형상이 다른 가로로 긴 천창(7B)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형태는 천정패널소재(6)에 서로 같은 창플레이트부착부(9)를 형성한 후, 제1기종용의 세로로 긴 창용개구(10A)와 제2기종용의 가로로 긴 창용개구(10B)를 개별로 설치하여 각 천정패널(6A)·(6B)을 형성한 예를 설명했지만 청구항1의 범위에 있어서는 창플레이트부착부(9)를 형성한 후 도1(a)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제1기종용의 천창(7A)과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제2기종용의 천창(7B)과의 양자를 합친 형상으로 대응하는 대략 L 자형상의 창용개구를 천정패널소재(6)에 설치해 놓은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상기한 세로로 긴 투명부(12A)를 보유하는 창플레이트(11A)를 이 천정패널소재(6)에 부착하고 또한 세로로 긴 천창(7A)의 형상에 따른 개구를 보유하는 천정내장재(14)를 하측에서 부착하는 것으로 제1기종용의 세로로 긴 천창(7A)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같은 형태로 제2기종용 천창(7B)에 대해서도 상기한 창용개구의 여분 영역을 창플레이트(11B)의 불투명영역과 천정내장재(14)로 덮은 구성으로 하는 것으로 상기한 가로로 긴 형상의 천창(7B)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형태는 각 창플레이트(11A)·(11B)의 후면에 흑색도장을 도색도장하여 천창(7A)·(7B)에 대응하는 투명부(12A)·(12B)를 형성하고 이로 인하여 투명부(12A)·(12B)이외의 영역을 창플레이트부착부(9)에 접착고정할 때의 접착제에 의한 접착력이나 내후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예를 들어 창플레이트(11A)·(11B)의 고정을 접착 이외의 수단으로 실시하는 경우에는 상기하듯이 불투명화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 전체가 투명한 창플레이트를 이용하는 것으로도 가능하고 이와 같이하면 양 기종에 있어서 공통의 창플레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태는 창플레이트부착부(9)가 2종류의 천창(7A)·(7B)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설정된 천정패널소재(6)를 예로 들었지만 많은 종류의 창형상을 포함하듯이 창플레이트부착부(9)의 형상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형태는 천창(7A)·(7B)이 설치된 천정패널(6A)·(6B)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측면창이나 후면창이 설치된 측벽이나 후벽등의 다른 벽면패널에도 본발명을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상기하듯이 건설기계로서 유압셔블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그 외의 건설기계에도 본발명을 적용하여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창 형상이 다른 기종의 캡도 창플레이트부착부(9)의 성형공정은 서로 동일 플레스형을 이용하여 제작한 벽면패널소재(6)를 각각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제작비를 보다 싸게할 수 있다.
창플레이트부착부(9)의 형상이 동일 벽면패널소재(6)를 이용하여 전체적인 제작비가 보다 싸게되는 동시에 제1·제2기종의 각 건설기계(A)·(B)의 작업기 각각의 조작범위에 따른 형상으로 천창(7A)·(7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 기능상 필요한 시계가 확보되는 한편 각 천창(7A)·(7B)의 넓이를 각각 필요최소로 할 수 있어서 캡(3A)·(3B)내로 일사량이 제한되고 캡(3A)·(3B)내에서의 양호한 작업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Claims (3)

  1. 둘레가장자리를 단차형상으로 하여 오목형상 또는 볼록형상으로 한 창플레이트부착부(9)를 구비하고, 이 창플레이트부착부(9)에 창용개구(10A)(10B)를 설치하는 동시에 창용개구(10A)(10B)를 덮는 창플레이트(11A)(11B)를 창플레이트부착부(9)에 부착하여 창(7A)(7B)이 형성된 건설기계의 캡용 벽면패널소재에 있어서,
    상호 중복하는 부분과 비중복부분을 보유하는 2종류 형상의 창(7A)(7B)을 상기 창플레이트부착부(9)내에 각각 형성할 수 있도록 이들 각 창(7A)(7B)의 중복영역과 비중복영역과의 전체를 포함하는 형상으로 상기 창플레이트부착부(9)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캡용 벽면패널소재.
  2. 각 캡(3A)(3B)에서 상호 대응하는 영역에 서로 형상이 다른 창(7A)(7B)을 보유하는 제1기종의 건설기계(A)와 제2기종의 건설기계(B)로 이루어진 건설기계 시리즈에 있어서, 각 캡(3A)(3B)에서의 상기 창(7A)(7B)을 형성하는 벽면패널(6A)(6B)에 각각 청구항1의 벽면패널소재(6)를 사용하여 이들 벽면패널소재(6)의 각 창플레이트부착부(9)에 제1기종과 제2기종에서 서로 형상이 다른 창용개구(10A)(10B)를 설치하여 이들 창용개구(10A)(10B)에 각각 대응하는 형상의 창(7A)(7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시리즈.
  3. 제2항에 있어서, 작업기(5)선단측이 캡(3A)의 전면보다도 상부후방까지 이동가능한 제1기종의 건설기계(A)와 작업기(5)선단측의 이동이 상기 제1기종의 건설기계(A)보다도 전방의 범위에 규제된 제2기종의 건설기계(B)의 각 캡(3A)(3B)의 천정패널(6A)(6B)에 상기한 벽면패널소재(6)를 사용하여 제1기종은 캡(3A)의 전후방향으로 세로로 긴 형상의 천창(7A)을 또한 제2기종은 캡(3B)의 폭방향으로 가로로 긴 형상의 천창(7B)을 각각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 시리즈.
KR1019990016879A 1998-05-15 1999-05-12 건설기계의 캡용 벽면패널소재 및 건설기계 시리즈 KR100612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8-152171 1998-05-15
JP15217198A JP3734070B2 (ja) 1998-05-15 1998-05-15 建設機械のキャブ用天井パネル素材及びキャブ用天井パネル素材の使用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8204A true KR19990088204A (ko) 1999-12-27
KR100612763B1 KR100612763B1 (ko) 2006-08-18

Family

ID=15534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6879A KR100612763B1 (ko) 1998-05-15 1999-05-12 건설기계의 캡용 벽면패널소재 및 건설기계 시리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734070B2 (ko)
KR (1) KR1006127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986B1 (ko) * 2000-08-28 2007-08-22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건설기계 운전실의 천창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221973A (ja) * 2014-05-22 2015-12-10 キャタピラー エス エー アール エル 建設機械のキャブ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0986B1 (ko) * 2000-08-28 2007-08-22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건설기계 운전실의 천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34070B2 (ja) 2006-01-11
KR100612763B1 (ko) 2006-08-18
JPH11324017A (ja) 199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974B1 (ko) 카운터웨이트
AU764085B2 (en) Cab for construction machines
CN103370478B (zh) 工程机械
CN101282850B (zh) 车门的窗户开口结构
KR20020076264A (ko) 백호의 캐빈
CN101903600B (zh) 门板
KR100612763B1 (ko) 건설기계의 캡용 벽면패널소재 및 건설기계 시리즈
CN204781067U (zh) 建筑机械的驾驶室
EP1394019B1 (en) Cab structure for work vehicle
JP6974000B2 (ja) ショベル
CN102203350B (zh) 门板
JP3588858B2 (ja) キャブの前窓構造
JP3487455B2 (ja) ブレーカ内蔵式アーム付油圧ショベル
JP2004306797A (ja) スライドドアのシール構造
JP2003261064A (ja) 建設機械のキャビン構造
JP3180325B2 (ja) 建設機械の運転室
JP2007291670A (ja) 作業機械における作業腕
JPH0514253U (ja) 建設機械の運転室
JP2004090833A (ja) 建設機械用キャブ
JP3459353B2 (ja) 旋回作業機の旋回フレームとその製造方法
JP3827451B2 (ja) 建設機械のキャブ
JPH08246501A (ja) 旋回作業機の上部構造
JPS5826677A (ja) 2ドア型自動車のリヤフエンダ部の構造
KR20210079925A (ko) 차량용 패널의 엣지부 프레스 헤밍 성형 장치
JP2004155356A (ja) 建設機械用キャ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