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8167A - 시(時)신호-발생장치를구비한편직기 - Google Patents

시(時)신호-발생장치를구비한편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8167A
KR19990088167A KR1019990016692A KR19990016692A KR19990088167A KR 19990088167 A KR19990088167 A KR 19990088167A KR 1019990016692 A KR1019990016692 A KR 1019990016692A KR 19990016692 A KR19990016692 A KR 19990016692A KR 19990088167 A KR19990088167 A KR 19990088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distance
time signal
selection
knitt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6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8616B1 (ko
Inventor
에른스트-디에테르 플라쓰
Original Assignee
피터 메이어
시프라 페턴트엔트위크렁스-운트 베테일리강스게젤샤프트 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터 메이어, 시프라 페턴트엔트위크렁스-운트 베테일리강스게젤샤프트 엠베하 filed Critical 피터 메이어
Publication of KR19990088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8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8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86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84Jacquard cards or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04B15/78Electrica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04B9/38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with stitch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편직기는, 바늘간 거리가 t인 편직 공구(9)를 위한 하나 이상의 편직 공구, 편직 캠 조립체(12,13), 전기로 제어가능한 선택 부재(44,52), 시(時)신호를 발생시키는 시신호-발생 장치(56,60) 및 제어부재(44,52)를 위한 전기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프로그램된 제어 장치(53)로 구성되는데, 상기 캐리어와 편직 캠 조립체는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으며 편직 캠 조립체는 운동 방향(v)로 앞뒤로 놓인 다수의 시스템(Ⅰ,Ⅱ)을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운동 방향(v)로 앞뒤로 위치한 제 1, 제 2 선택점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 1, 제 2 선택 부재(44 또는 52) 사이의 거리는 서로 동일하고 거리 t의 정수배수와 일치하도록 선택되지만, 제 1, 제 2 선택 부재(44,52) 사이의 거리는 모든 시스템(Ⅰ,Ⅱ)에서 동일하고 거리 t의 정수배수와 일치하기보다는 x/t 또는 y/t(t는 거리)만큼 커지거나 작아진다. 시신호-발생 장치(56,60)는 제 1, 제 2 시신호를 포함하는 제 1, 제 2 시신호 시퀀스를 발생시키도록 설정되는데 상기 신호는 거리 t에 해당하는 시간 간격이지만 x * t 또는 y * t에 해당하는 값만큼 서로에 대해 보상되며, 상기 시신호 시퀀스 중 하나는 제 1 선택 부재(44)에 부여되고 다른 시신호 시퀀스는 제 2 선택 부재(52)에 부여된다.

Description

시(時)신호-발생 장치를 구비한 편직기{Knitting machine with a timing signal-generator device}
본 발명은 편직기, 특히 도 1의 서두에 따른 환편기 및 바늘 사이의 거리가 다른 편직기를 포함하는 편직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무늬가 있는 편물을 생산하기 위한 편직기는 다수의 선택점을 구비하는데, 이 선택점에 다수의 선택 부재가 배치되고 이 선택 부재는 프로그램 제어장치에서 발생된 전기 신호로 통제된다. 상기 선택 부재는 패턴에 따라 다르게 편직 공구가 통과하도록 배치하므로 공구를 옮기는 편직 공구 캐리어와 이 캐리어에 포함된 편직 캠 조립체 사이의 상대 운동이 정상적으로 일어나는 동안, 상기 공구는 예를 들어 편직, 비편직 및 단(tuck)의 편직 종류에 따라 트랙을 향한다. 단지 각각의 선택 부재가 각각의 편직 시스템에 포함된다면 편직기의 각 게이지(gauge)와 일치하는 편직 공구에서 통과하는 속도 및 편직기의 작동 속도로 전기 신호는 선택 부재에 공급되는데, 상기 게이지는 인치당 바늘의 수로서 정의된다. 현재 환편기에서 작동 사이클의 지속시간은 약 1ms이다.
편직 공구를 신뢰성있게 제어하기 위해서 전자기 시스템의 제어 자석인 선택 부재는 시간으로 정확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만든다. 그렇지않으면, 잘못 제어했을 때 통제 시간을 상실할 수도 있다. 전기-제어 편직기는 대개 시신호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데 이 시신호 발생장치는 편직기의 작동속도에서 짧은 장방형파 또는 니이들(needle)파로 이루어진 연속 시신호를 발생시킨다. 이것은, 정확하게 설정되고 선택 부재에서 제시간에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신호가 발생하도록 프로그램 제어장치에 의해 발생된 더 긴 제어 신호보다 우세하다. 이런 종류의 시신호 발생장치는, 선택 부재에 대해 제어 신호가 발생되는 방법에 관계없이 여러 가지 실시예로 공지되어 있다(예. DE-AS 15 85 181, DE 21 29 851 C3, DE 20 26 584 B2, DE-OS 20 04 194).
더많은 시신호 발생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비용을 줄이기 위해서 동일한 시신호 발생장치에 의해 편직기의 모든 선택 부재를 동기화하는 것은 일반적인 관행이다. 그러므로 운동 방향으로 측정된, 모든 선택점의 거리가 서로 동일하고 바늘 거리의 정수 배수와 일치하도록 시신호가 발생할 때 편직 공구는 특정 시스템의 선택 부재에 대해 정확하게 동일한 위치에 모든 시스템을 배치한다. 이 경우에, 즉 환편기인 경우에 나머지없이 다수의 시스템에 의해 나누어질 수 있도록 바늘의 수는 선택된다(예.1440바늘, 72 시스템, 시스템의 간격 1440:72=20바늘)
삼방향 기술로 일컫어지는 방법에 의해 작동할 수 있고, 각 시스템의 편직, 턱, 비편직 사이에서 선택 가능한 환편기에서(예. DE 40 07 253 C2) 시스템의 한 섹션 내에 운동 방향으로 앞뒤로 배치된 두 개의 선택점이 형성되고, 제 1 선택점은 편직 공구가 비편직 위치 또는 턱 위치로 향하도록 하고 편직 공구가 턱 위치로 놓이도록 하며, 제 2 선택점에서 유지되거나 편직 위치로 옮겨진다. 대개 바늘 거리의 정수배와 일치하도록 모든 시스템의 제 1 선택점 사이의 간격을 선택할 수 있다. 각 시스템의 제 1, 제 2 선택점 사이의 간격에 대해 이 요구조건은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왜냐하면 이 간격은 예를 들어 캠 조립체 곡선 형태, 선택 부재의 구조 및 편직 방법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만일 모든 시스템의 제 1 선택점 사이와 각 시스템의 제 1, 제 2 선택점 사이의 바늘 수와 일치하도록 간격을 설정한다면 정상값과 불일치하는 게이지 E가 생성되도록(예. E=18인 정상값 대신에 E=15.8)등의 원주를 따라 전체가 설치된 바늘의 수와 특정 게이지에 대해 실현가능하다. 이 단점은 게이지에 따라 바뀌도록 제 1, 제 2 선택점 사이의 간격을 선택함으로써 일부 해소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특정 경우에 맞게 설정된 바늘 거리 또는 게이지에 맞도록 일체형으로 만들어진 전자기 시스템과 편직 캠 조립체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이것은 간단한, 경제적인 제작생산을 어렵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도록 서두에 기술한 종류의 편직기를 구성하고 비교적 간단한 수단에 의해 정상 게이지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모든 편직 시스템 상의 동일한 캠 조립체와 선택 시스템을 편직기가 구비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청구항 1항 내지 7항의 특징에 따라 이 목적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정상적으로 발생되는 시신호 이외에 각각 사용되는 게이지를 고려한 제 1 시신호로 상쇄되는 추가 시신호를 시신호 발생 장치가 발생시켜서 전술한 목적이 달성된다는 전제조건에서 비롯된다. 이것은, 특별한 경우에 맞게 선택된 게이지를 고려하면서 편직 공구 캐리어와 편직 캠 조립체 사이의 운동 방향으로 간격을 설정하고 구조하는 시신호 발생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고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선택 장치를 가지는 환편기의 방사상 종단면도;
도 2 는 도 1에 따른 환편기의 바늘 실린더쪽에서 본, 두 개의 이웃한 캠 조립체의 정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편직 바늘과 콘트롤 잭을 나타낸 도면;
도 4 는 도 2에 따른 캠 조립체의 이웃한 디프레싱(depressing) 캠 조립 부품의 평면도;
도 5 내지 7은 도 2의 Ⅴ-Ⅴ 내지 Ⅶ-Ⅶ선을 따라서 본 도 1과 유사한, 선택 장치를 향해 아래쪽으로 연장 구성된, 방사상 종단면도; 및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시신호 발생 장치와, 간략하게 나타낸, 도 2에 따른 두 캠 조립체의 정면도.
도 1은 기계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된 베어링 링(2)에 고정된 바늘 실린더(1)의 형태인 환편기의 편직 공구 캐리어를 나타내었다. 상기 베어링 링(2)은 치형 휠 기어(3a)를 통하여 구동 모터(3b)에 연결된 외부 치형 구동 링(3)을 구비하고 있다. 기계에 고정되어 장착된 캠 조립체 판(4)에 베어링 링(6)이 웨브(5)에 의해 장착되는데 상기 베어링 링 위에 각 편직 시스템에 포함된 캠 조립체 캐리어(7)가 장착되고, 캠 조립체 캐리어(7)의 안쪽 면은 캠 조립체 부품을 지탱하는데 이 캠 조립체 부품은 편직 바늘(8)이나 선택 잭, 싱커, 플레이트등과 같은 편직 공구 및 콘트롤 잭(9)의 바닥에서 작동하고, 바늘(8)과 콘트롤 잭(9)은 웨브 등에 의해 형성된 바늘 실린더(1)의 요홈(10)에 배치된다. 이 요홈(10)은 바늘 실린더(1)의 회전축(11)과 평행하게 장착된다. 콘트롤 잭(9)은 요홈(10) 내 바늘(8) 아래에 배치되고 회전축(11)과 평행을 이루며 움직일 수 있고 방사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도 2 내지 4에 나타낸 것처럼, 환편기는 시스템의 각 편직 섹션에 포함된 캠 조립체(12,13)와 편직 캠 조립체를 가지고, 이 중 두 개는 예로 도 2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캠 조립체(12)는 상부 영역에 섹션을 가지는데, 이 섹션에 의해 바늘(8)의 버트(butt)는 선택에 따라 통과 경로 또는 비편직 경로(15)로 안내될 수도 있고 도시되지 않은 실 안내부에서 실을 파지하기 위해서 상승 경로(16)를 따라 상승될 수도 있다.
캠 조립체(12)는 경로(15,16) 아래에 콘트롤 잭(9)의 제어가능한 상승 버트(21)를 위한 융기부(20)를 포함한다. 상승 버트(21)는 바늘 실린더(1)의 요홈(10)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뻗어있어서(도 1) 융기부(20)의 상승 가장자리(22)에 의해 파지되고 콘트롤 잭(9)의 상승 위치로 올려지거나 요홈(10)에서 방사상으로 낮추어지도록(도 5) 콘트롤 잭(9)은 요홈(10)에서 선회한 후 콘트롤 잭(9)의 횡단 위치나 가장자리로 상승되지 않으면서, 정면에서 융기부(20)를 통과하므로 바늘(8)이 관통 경로(15)에서 버트(14)와 함께 유지되어야 하는지 또는 상승 경로(16)로 진행되어야 하는지 선택할 수 있다. 선택하기 위해서, 콘트롤 잭(9)은 회전 버트(23)를 포함하고 캠 조립체(12)는 도 4에 잘 나타난 것처럼 제 1 디프레싱 캠 조립체(24)를 포함하는데 이 캠 조립체는 선택점으로 움직이기 전에 제 1 기선택된 위치로 콘트롤 잭(9)을 회전시키고 이 때 선택 부재(25), 공통 제어 자석의 제어 극은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선택 부재(25)는 선택점의 영역에 배치되고 선택점을 통과하는 콘트롤 잭(9)을 단단히 고정하고 풀어주는 역할을 하며, 이 경우에 스프링(26)의 작용하에 선택 부재(25)에서 떨어져 회전한다.
이런 종류의 편직기는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더 자세히 설명될 필요가 없다(예.DE 35 41 171 C2와 DE 37 12 673 C1의 내용은 반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서 참고로 본원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트롤 잭(9)은 두 개의 아암이 있는 레버로서 만들어지고 타원형 샤프트(27)를 구비하고, 중심 위치에 베어링(28)을 가지는데 상기 베어링은 뒷면에 놓인 지지표면을 포함하고 이 지지면에 의해 요홈(10)에 조립되어 배치될 때(도 1), 요홈(10)의 바닥에서 유지되므로 회전축(11)과 직교하는 축 둘레의 지지면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다. 도면에서 보면, 제 1 레버 아암(29)은 베어링(28)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어있고 제 2 레버 아암(30)은 위로 뻗어있다. 제 1 레버(29)는 정면에 고정면(31)을 가지는데 이것은 레버 아암(29)의 앞쪽 단부 표면의 대응하는 섹션과 제어가능한 상승 버트(21)로 구성되는데 이 상승 버트는 정면을 향해 튀어나와 있고 고정면(31)과 베어링(28) 사이에 배치된다. 한편 제 2 레버 아암(30)은 선회 버트(23)를 구비하는데 이 선회 버트는 콘트롤 잭(9)의 정면에 대해 바깥쪽으로 돌출해있다. 또, 스프링(26)은 제 2 레버 아암(30)의 배면에 배치되어서, 콘트롤 잭(9)이 바늘 실린더(1)의 대응하는 요홈(10) 속으로 삽입될 때(도 1), 상기 스프링은 제 2 레버 아암(30)과 선회 베이스(23)를 요홈(10) 밖으로 방사상으로 회전시키면서, 제어가능한 상승 버트(21)를 요홈(10)안으로 방사상으로 회전시킨다. 스프링(26)은 곡선형 섹션을 가지는데 이 곡선형 섹션은 배면으로 튀어나온 정점과 지지면(33)을 형성하고 이 지지면으로 스프링(26)은 요홈(10)의 바닥에서 유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도시된 대로 콘트롤 잭(9)은 베어링(28)의 영역과 정면에 추가 귀환 버트(34)를 구비하는데 이 버트는 원호의 형태로 정면에 형성된다. 캠 조립체(12)는 귀환 버트(34)의 위치와 대응하고 캠 조립체 부품(20)과 디프레싱 부품(24) 사이에 놓인 중심면에 추가 캠 조립체를 가지고, 이 추가 부분에 의해 콘트롤 잭(9)의 귀환 버트(34)는 분리 캠 조립체 부품에 의해 분리된 관통 경로(37) 및 상승 경로(39)로 안내될 수 있고, 경로(37,39)는 경로(15,16)와 대응한다(도 2).
캠 조립체(13)와 나머지 편직 시스템에 포함되고 도 2에 나타내지 않은 캠 조립체는 본원 실시예에 나타내었다.
도 1 내지 4를 참고로 지금까지 기술한 환편기의 작동 모드는 다음과 같다:
회전 바늘 실린더(1)와 고정 캠 조립체에서, 편직 바늘(8)과 콘트롤 잭(9)은 도 2의 화살표 v 방향으로 움직인다. 예를 들어 캠 조립체(12)의 앞에서 운동 방향으로 전술한 캠에서 상승되는, 바늘(8)의 버트(14)와 콘트롤 잭(9)의 귀환 버트는, 캠 조립체 안으로 들어갈 때 관통 경로(15.37) 위에 배치된다. 왜냐하면 전술한 캠 조립체(12)에서 이것은 오목부(41) 또는 오목 가장자리(42)에 의해 안으로 끌어넣어지기 때문이다. 종래의 캠 조립체에서 상승되지 않는 바늘 및 콘트롤 잭(9)의 버트(14,34)는 관통 경로(15,37)에 위치한다. 이와는 별개로, 종래 캠 조립체의 단부 영역에서 모든 콘트롤 잭(9)의 선회 버트(23)는 디프레싱 캠 조립 부품(24)의 작동 영역으로 움직이고, 상기 디프레싱 캠 조립 부품은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솟아있는 디프레싱 표면(43)(도 4)을 포함하고 모든 선회 버트(23)는 스프링(26)의 탄성력에 대해 바늘 실린더(1)의 요홈(10) 안으로 방사상 선회한다. 따라서, 요홈(10)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장착된 콘트롤 잭(9)은 상승 위치를 향해 베어링(28) 둘레에서 회전하므로 고정 면(31)은 선택 부재(25)에 대해 연속적으로 배치되고 제어자석(44)(도 2)으로부터 패턴에 따라 유지되거나 거부된다.
거부된 고정면(31)과 관련된 콘트롤 잭(9)(도 5)은, 작동 버트(21)가 요홈 내로 완전히 들어가서 캠 조립 부품(20)의 상승 가장자리(22)에 의해 파지할 수 없을 때까지 관통 위치로 베어링(28) 둘레에서 스프링(26)에 의해 회전하게 된다. 이것은 도 5에 잘 나타나 있고 디프레싱 캠 조립 부품(24)은 이 영역에 요홈(10)으로부터 선회 버트(23)를 제거시킬 수 있는 틈(45)(도 4) 또는 리세스를 가진다. 도 5 내지 7은, 캠 조립체(12)의 영역 대신에 캠 조립체(13)의 영역에서 도 2의 Ⅴ-Ⅴ 내지 Ⅶ-Ⅶ 분할선을 따라서 본 도면이다. 작동 버트(21)는 상승하지 않으면서 캠 조립 부품(20)의 정면으로 운동하므로 귀환 버트(34)와 바늘(8)의 버트(14)는 상관 관통 경로(37,15)로 진행한다.
한편, 제어 자석(44)에 의해 거부되지 않은 고정면(31)은 제어 자석(4) 뒤에 배치된 자석(46)(도 2)을 유지함으로써 단단히 고정되므로 제어판(9)은 분할선 Ⅴ-Ⅴ을 따라서,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은 상승 위치에서 유지되고 도 6에 나타낸 것처럼 상승 버트(21)를 가지는 캠 조립체(20)의 상승 가장자리(22)로 움직인다. 그러므로 상기 콘트롤 잭(9)은 상승 가장자리(22)를 따라 더 높여진다. 결과적으로, 선회 버트(23)의 상부 작동 가장자리(47)(도 3)는 바늘(8)이나 다른 편직 공구의 하부 가장자리에 배치되어서(도 6) 이것은 상승하게 된다. 바늘(8)의 귀환 버트(34)와 버트(14)는 상승 경로(39,16)로 먼저 안내되고 이 경로에서, 상승이 종료되었을 때 오목 가장자리(42)나 오목 부품(41)에 의해 관통 경로(37,15) 안으로 끌어넣어진다.
바늘 실린더(1)의 회전 방향으로 제 1 선택점 뒤에 배치된 제 2 선택점은 본원의 실시예에서 분할선 Ⅵ-Ⅵ을 따라서 본 도 6에 나타나 있다. 상기 제 2 선택점은 점(51)에서 상승 가장자리(22)의 중심부에 위치하고(도 2) 상승 가장자리(22)에서 움직이는 상승 버트(21)는 선택 부재(25)의 활용가능한 제 2 제어 자석(52)에 의해 제 2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배치된다. 이것은 디프레싱 곡선(24)에 해당하는 제 2 디프레싱 곡선없이 가능하고 시스템의 너비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동일 레버 아암(29)이나 동일 부분에서 상승 버트(21)처럼 놓인, 고정면(31)은 회전 위치에 배치되고 이 위치는 위치(51)에 도달했을 때 제어 자석(52)과 접촉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상승 버트(21)는 패턴에 따라 상승 가장자리(22)에서 유지되고 도 7에 나타낸 것처럼 최고점으로 상승되거나 회전할 수 있는 버트와 다르게 구조된 선택 장치를 가지는 바늘에 대해 유사한 방식으로 공지된 것처럼(DE 40 07 253 A1) 제거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콘트롤 잭(9)은 다수, 예를 들어 60,64,72 편직 시스템을 가지는 신속 작동하는 환편기에 적합하고 전술한 콘트롤 잭(9)이 대응하는 선택 장치를 가지는 다른 모든 편직기에 알맞을지라도 세 가지로 작동하는 기술, 즉 비편직, 단(가장자리) 및 편직에 알맞게 선택하여 실현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편직"을 선택하면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은 완전히 상승한 높이로 올려지고 "단"을 선택하며 도 6에 따른 위치(51)의 상승 높이로 올려지며 여기에서 제어판(9)은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낸 캠 조립체(12,13)를 도시하고 있는데, 동일 부품은 동일한 부호 번호로 나타내었다. 특히, 비편직 경로(15), 배출경로(16), 디프레싱 캠 조립체(24)와 선택 부재(25)가 감지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시신호 발생 장치와 프로그램 제어 장치(53)가 나타나 있다.
프로그램 제어 장치(53)는 다수의 출력부를 가지는데 이 출력부는 도 8의 좌측부에 나타낸 것처럼 AND 기소(54,55)를 통하여 전자기 시스템으로 만들어진 선택 부재(25)의 제어 자석(44,52)과 연결된다. 대체적으로, 프로그램 제어 장치(53)의 출력부와 대응하는 AND 기소(54,55)는 각각의 제어 자석(44,52)에 포함된다. 도 8에 나타낸 하부 영역에서, 바늘 실린더(1)에서 서로 이웃해 배치된 콘트롤 잭(9)은 직사각형 상자로 나타내었고 도 8의 중심부에서 디프레싱 캠 조립부품(24)에 의해 회전할 수 있는 콘트롤 잭(9)의 선회 버트(23)는 대응하는 상자로 나타내었다.
편직기의 작동 사이클 및 회전 운동으로 프로그램 제어 장치(53)에 의해 발생된 제어 신호를 일치시키도록 시신호 발생장치는 제 1 시신호 발생기(56)를 가지는데 이 발생기는 캠 조립체 판(4)에 고정되고(도 1) 공지된 대로, 발생기(56)를 통하여 움직이는 콘트롤 잭(9)을 조사하며 제 1 시신호의 시퀀스를 발생시키는데 이것의 위치는 콘트롤 잭(9)의 통과와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하며 도 8의 우측 하단에 나타낸 활용가능한 바늘 거리 t와 일치하는 시간 간격을 가진다. 본원의 실시예에서 제 1 시신호는 펄스 형성자(57)를 통해 AND 유닛(54)의 제 2 입력부로 공급된다. 결과적으로, 프로그램 제어 장치(53)의 출력 리지스터에서 활용할 수 있고 "0" 또는 "1"의 형태인 정보는, 제 1 시신호가 발생할 때 AND 기소(54)에 연결된 제어 부재나 제어 자석(44)으로 전송된다.
프로그램 제어장치(53)와 전술한 종류의 시신호 발생 장치(56)는 전문가에게 공지되어 있으므로(예. DE-AS 15 85 181, DE-PS 21 29 851, DE 29 28 076 B2) 더 자세히 설명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시신호 발생기(56)는 광전자 스캐닝 성분을 포함하고 제 1 시신호는 편직 공구(8,9) 대신에 요홈(10)을 형성하는 바늘 실린더 웨브를 스캐닝하거나 바늘 실린더(1)와 함께 회전하는 코드 디스크로 스캐닝함으로써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개별적인 시신호 발생기(56)의 사용 전제조건에 의하면 제 1 시신호 중 하나가 나타날 때, 제어 자석(44)의 영역에 위치한 모든 콘트롤 잭(9)은 화살표 V 방향으로 보았을 때 동일한 위치에 놓인다. 시신호가 발생할 때, 제어 자석(44) 내에서 도 8로 점선(58)으로 나타내었고 전자기 선택 과정에 대해 최적 부위 바로 뒤 또는 바로 앞에 콘트롤 잭(9)이 배치된다면, 제어 시간이 상실되어서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도 8에서, 캠 조립체(12,13)와 선택 부재(25또는44,52)는 편직 시스템 Ⅰ 및 Ⅱ로 각각 나타내었다. 화살표 V 방향으로 편직 시스템 Ⅰ, Ⅱ의 너비 s는 활용 가능한 편직 시스템의 전체 수에 따라 달라진다. 만일 2393.89mm의 원주 또는 30"의 직경을 가지는 바늘 실린더의 원주에 전체 72개의 동일한 편직 시스템 Ⅰ, Ⅱ가 배치된다면 그 너비 s는 각각 33.25mm이다.
제 1 시신호중 하나가 발생할 때 활용가능한 모든 제어 자석(44)과 대향하여 정확한 위치에 콘트롤 잭(9)이 배치되도록 보장한다면, 모든 시스템 Ⅰ, Ⅱ에서 시스템 너비 s는 동일해야 하고 시스템 너비가 33.25mm일 때 정수의 콘트롤 잭(9) 또는 바늘(8)을 포함해야 한다. 즉 시스템 너비 s는 거리 t의 정수 배수와 일치해야 한다. 만일 시스템 Ⅰ,Ⅱ에 대해 예를 들어 24개의 바늘(8)이 수용된다면, 거리 t가 1.39mm이고 거리 t로 나누어진 게이지 E(1인치 또는 25.4mm)는 18.3이 된다. 한편 이것은, 모든 시스템 Ⅰ,Ⅱ에서 각각의 시신호 발생기(56)로 최적 제어 시간을 이용함으로써 동기화가 바람직하게 이루어지도록 보장하고, 동시에 대응하는 이상 게이지(E=18)와 근사값인 실제 게이지(약 18.3)가 생성되도록 시스템 당 바늘의 수가 선택될 수 있다. 만일 각 시스템 당 바늘의 수가 37이라면 바늘간 거리는 약 0.9mm이고 실제 게이지는 약 28.2인데, 이상 게이지 E-28이다.
시스템 너비 s가 정수 개수의 바늘에서 벗어나거나 동일한 기계 내에 다른 시스템 너비 s가 제공된다면, 각각의 시스템 Ⅰ,Ⅱ은 각각의 시신호 발생기를 각각의 시스템에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도 8에서, 거리 t와 시스템간 거리 s가 나타나 있는데 이것은 본 발명에 따른 편직기일 때 모든 곳에서 동일하며 거리 t의 정수 배수와 일치한다. 시스템은 디프레싱 캠 조립 부품(24)의 뒤쪽 가장자리에서 시작하고 비록 다른 모든 점이 시스템의 시작 부분 또는 끝부분으로 정의될지라도 다음의 디프레싱 캠 조립 부품(24)의 뒤쪽 가장자리에서 끝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디프레싱 캠 조립 부품(24)의 뒤쪽 가장자리는 도 8에서 58로 나타낸, 제어 자석(44)의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되는데 여기에서 콘트롤 잭(9)은 제 1 시신호가 발생할 때 두 선(58) 사이의 간격에 의해 시스템 너비 s가 주어지도록 배치되어야 한다. 또, 본원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시신호 발생기(56)는 도 8의 전술한 지점에 정확하게 배치되어서 제 1 시신호가 발생되어야 하는 지점을 나타낸다.
만일 제 1 시신호 시퀀스가 제 2 선택 부재나 제어 자석(52)에 공급되는 프로그램 제어 신호를 제어하기에 적합하다면, 제 1, 제 2 선택점이나 제 1, 제 2 제어 자석(44,52) 사이의 간격 a(도 8)는 바늘간 거리 t의 정수 배수와 일치해야 한다. 그러나, 전술한 여러 가지 이유 때문에 이것은 달성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든 시스템 Ⅰ,Ⅱ에서 간격 a는 0 ≤x ≤1인 거리 t의 정수배수와 일치하기 보다는 x*t와 동일하거나 약간 크다(x=0 또는 x=1이라는 것은 간격 a가 t의 정수 배수와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8에 나타난 것처럼, 제어 자석(52)에 대해 콘트롤 잭(9)의 최적 위치를 제공하는, 선(58)과 선(59) 사이의 거리 a는 t를 10배한 것보다 크다. 따라서, 제어자석(44)(선 58)에 대해 콘트롤 잭(9)이 최적 위치에 배치될 때마다, 다른 콘트롤 잭(9)은 제 1 시신호가 발생할 때 항상 선(59) 바로 앞이나 뒤에 배치되므로, 프로그램 제어 펄스나 시신호의 지속 시간에 의해 부여된 콘트롤 잭(9)을 위한 제어 시간은 유효하다. 이것은, 두 연속 제 2 선택점, 즉 두 선(59) 사이의 간격이 본 발명에 따른 환편기에서 서로 동일하거나 시스템 너비 s와 일치할 때에도 적용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시신호 발생장치는 제 2 시신호 발생기(60)를 포함하는데 이 제 2 시신호 발생기는 제 2 시신호를 발생시키고 제 2 펄스 형성자(61)를 통하여 제어 자석(52)에 연결된 AND 요소(55)의 제 2 입력부에 연결된다. 간격 s나 a가 바뀌지 않거나 바늘 거리 또는 게이지가 설정되지 않을 때에도 제어 자석(52)을 위한 바람직한 동기화가 유지되도록 시신호 트랜스미터(56,60)는 화살표 v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서 제 1, 제 2 시신호 시퀀스는 x*t와 일치하는 값으로 정확하게 서로에 대해 오프셋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시스템 Ⅰ로 나타낸 잭(9a)은 값 x*t와 일치하는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어하기 위한 최적 위치 또는 선(59)에 도달하는데 시스템 Ⅰ로 나타낸 콘트롤 잭(9b)은 제어 자석(44)에 대해 최적 위치를 취하고, 본원의 실시예에서 제 2 시신호는 x*t로 나타낼 수 있다. 왜냐하면 콘트롤 잭(9a)도 최적 위치에 놓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간격 a=14.7mm이다. 이것은, 전술한 대로 거리 t=1.39mm일 때, x=0.6이고 10.6인 바늘의 수와 일치하는 반면에, 거리 t=0.9mm일 때, 간격 a는 x=0.3인 16.3 바늘이다. 그러므로, 바늘 거리 t에 따르면, 두 개의 시신호 발생기(56,60)는 콘트롤 잭(9), 바늘(8), 바늘 실린더 웨브 등에 대해 조절되어서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 1, 제 2 시신호는 x=0.6 또는 x=0.3의 값을 가질 때 시간 간격만큼 서로 오프셋된다. 이것은, 시신호 발생기(56,60)의 간격이 x=0.3바늘(x*t=0.83mm) 또는 0.6바늘(x*t=0.27mm) +/- 바늘의 정수 개수로 조절된다. 다른 거리 t를 사용할 때, 이 값은 대응하여 계산되어야 하고 시신호 조절기(56,60)는 조절된다. 시신호 및 시신호 시퀀스의 발생은 도시된 것과 다른 장치에 의해 발생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특히, 각각의 시신호 트랜스미터를 사용함으로써 전자 장치에 의해 값 x*t로 오프셋되는 동안 두 개의 오프셋 시신호 트랜스미터가 작동한다.
본원의 실시예에서 시신호 발생기(56)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이 발생기는 부착 나사(62)에 의해 캠 조립판(4)에 연결된 호울더(63)에 고정된다(도 1과 8). 콘트롤 잭(9)의 운동 방향(도 8의 화살표 v)으로 측정된, 호울더(63)로부터 시신호 발생기(56)의 간격은 필요에 따라 둘 사이에 배치된 중간 시임(shim)(64)의 보조로 조절할 수 있다. 제 2 시신호 발생기(60)도 이처럼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실제로 상이한 바늘간 거리 t를 가지고 동일한 캠 조립체로 모두 장착될 수 있는 둘 이상의 편직기, 선택 부재(전자기 시스템 44,52) 및 시신호 발생 장치, 이용하는데 필요한 시신호를 시간 오프셋하기 위한 장치로 구성된, 활용가능한 편직기를 만드는데 적합하다. 특별한 경우에 맞게 선택되고, 저장부분에서 유지되어야 하는 거리 t에 관계없이 일체 구성된 전자기 시스템뿐만 아니라 캠 조립체는 예비-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바꿀 수 있다. 특히, 나타낸 것과 다른 장치는, 특별한 경우에 사용되는 콘트롤 잭, 캠 조립 구조와 제어 부재 및 프로그램 제어 장치와 시신호 발생기에 적용할 수 있는 3가지로 작용하는 기술을 실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바늘 실린더가 완전히 회전하였을 때 제로-신호를 발생시키는, 추가 시신호 발생기(65)(도 8)와 시신호 발생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원 실시예에서 양(+)의 값으로 정의된 값 x*t는 음(-)의 값으로 정의될 수도 있고, 간격 a는 거리 t의 정수 배수와 일치하기 보다는 값 y*t만큼 작은 크기로 간주된다. 이것은 동일한 결과를 이끌어낸다. 왜냐하면 이 경우에 x + y =1이고 계산된 y로부터 x에 대해 대응하는 값은 일정하기 때문이다. 이와는 별개로, 틈이 너비 s를 가진다면 시스템 Ⅰ,Ⅱ중 하나는 완전히 생략될 수 있고 값 a와 s가 바뀌지 않는다면 하나 또는 다수의 시스템에서 제 2 선택점은 생략되거나 사용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른 편직기구, 예를 들어 다이얼을 구비한 환편기, 고정 편직 공구 캐리어와 순환 캠 조립체를 가지는 환편기 또는 제 2 선택점이 루우프를 옮기는데 이용될 수 있는 횡편기에서 이용될 수도 있다. 결론적으로, 도면에 나타내고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한 것을 결합하여 다양한 특징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8)

  1. 바늘간 거리 t를 가지는 움직일 수 있게 장착된 편직 공구(8,9)가 배치된 하나 이상의 편직 공구 캐리어(1), 편직 공구(8,9)를 안내하기 위해 캐리어(1)에 포함된 편직 캠 조립체를 포함하는데, 이 캐리어(1)와 편직 캠 조립체는 서로에 대해 움직일 수 있고 편직 캠 조립체는 운동 방향(v)로 앞뒤로 놓인 다수의 시스템(Ⅰ,Ⅱ)을 가지고 이 시스템은 운동 방향(v)로 앞뒤로 위치한, 제 1, 제 2 선택점을 각각 가지며; 제어가능한 선택 부재(44,52)를 포함하고; 거리 t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에서 시신호를 발생시키는 시신호 발생 장치 및 제어 부재(44,52)를 위해 전자 제어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시신호-발생 장치와 결합된 프로그램 제어 장치(53)를 포함하는 편직기에 있어서,
    제 1 선택점 사이의 간격 및 제 2 선택점 사이의 간격은 서로 일치하고 거리 t의 정수 배수와 일치하는 값 s를 가지며; 제 1, 제 2 선택점 사이의 거리 a는 모든 시스템(Ⅰ,Ⅱ)에서 동일하고 거리 t의 정수 배수와 일치하기 보다는 거리 t에 대해 x 또는 y 분율만큼 크거나 작아지며 여기에서 0 ≤x,y ≤1이고; 시신호 발생 장치는 거리 t에 대응하는 기간을 가지지만 x*t 또는 y*t와 일치하는 값만큼 서로에 대해 일시적으로 오프셋되는 시신호를 포함하는 제 1, 제 2 시신호 시퀀스를 발생시키도록 설정되고, 제 1 시신호 시퀀스는 제 1 선택점의 선택 부재(44)에 포함되고 다른 시신호 시퀀스는 제 2 선택점의 선택 부재(52)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제 2 시신호의 임시 오프셋은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시신호-발생 장치는 두 시신호 중 한 가지를 각각 발생시키는 두 개의 시신호 발생기(56,60)를 포함하고; 시신호 발생기(56,60)는 운동 방향(v)를 따라 조절할 수 있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4. 제 1항 내지 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이한 바늘간 거리 t를 가지는 둘 이상의 교환 가능한 편직 공구 캐리어는 편직기에 포함되고; 모든 편직 공구 캐리어에 대해 동일한 캠 조립체, 동일한 선택 부재 및 동일한 시신호-발생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5.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의 거리 t에 대해 동일한 값 a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6. 제 1항 내지 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이 편직기는 환편기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7. 제 1항 내지 6항 중 한 항에 따른, 상이한 바늘간 거리 t를 가지고, 둘 이상의 편직기를 포함하는 편직기에 있어서, 모든 편직기는 동일한 캠 조립체(12,13), 선택 부재(25) 및 시신호-전달 장치(56,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8. 제 7 항에 있어서, 각각의 거리 t에 대해 동일한 a 값이 부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기.
KR1019990016692A 1998-05-11 1999-05-11 시(時)신호-발생 장치를 구비한 편직기 KR1005486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21043.4 1998-05-11
DE19821043A DE19821043B4 (de) 1998-05-11 1998-05-11 Strickmaschine mit einer Taktsignalgeber-Einricht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8167A true KR19990088167A (ko) 1999-12-27
KR100548616B1 KR100548616B1 (ko) 2006-02-01

Family

ID=7867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6692A KR100548616B1 (ko) 1998-05-11 1999-05-11 시(時)신호-발생 장치를 구비한 편직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19492A (ko)
JP (1) JP2000008255A (ko)
KR (1) KR100548616B1 (ko)
DE (1) DE19821043B4 (ko)
ES (1) ES2156726B1 (ko)
GB (1) GB2337275B (ko)
IT (1) IT1312399B1 (ko)
TW (1) TW4679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8404A (ja) * 1999-05-17 2000-11-28 Precision Fukuhara Works Ltd 電子柄丸編機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IT1314651B1 (it) * 2000-02-29 2002-12-31 Sangiacomo Spa Metodo di selezione degli aghi in macchine circolari da calzetteria emaglieria e macchina per l'attuazione del metodo
CN103034138B (zh) * 2012-12-04 2015-07-08 浙江恒强科技股份有限公司 电磁铁选针器继电时间的可配置装置及可配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585181B1 (de) * 1963-10-21 1970-02-19 Morat Gmbh Franz Rundstrickmaschine mit einer Programmsteuereinrichtung
FR2032354B1 (ko) * 1969-02-24 1973-11-16 Dubied & Cie Sa E
DE2026584A1 (de) * 1970-05-30 1971-12-09 Morat Gmbh Franz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lektronischen Steuerung von Maschinen. Atmv.Franz MoratGmbH, 7000 Stuttgart-Vaihingen
DE2129851C3 (de) * 1971-06-16 1980-06-26 Sulzer Morat Gmbh, 7024 Filderstadt Programmsteuereinrichtung fur die Arbeitsorgane einer Maschine
GB1372045A (en) * 1971-10-10 1974-10-30 Vyzk Vyvojovy Ustav Vseobe Arrangement for separate controlling of knitting means or its ferromagnetic parts using electric and magnetic means
DE3707174A1 (de) * 1986-09-10 1988-03-24 Stoll & Co H Einrichtung zur ansteuerung einer flachstrickmaschine
IT1202457B (it) * 1987-02-02 1989-02-09 Orizio Paolo Spa Macchina circolare da maglieria universale a due cilindri e piu' cadute
JP2816700B2 (ja) * 1989-04-25 1998-10-27 株式会社福原精機製作所 丸編機における電磁選針装置
DE4007253A1 (de) * 1990-03-08 1991-09-12 Sipra Patent Beteiligung Strick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008255A (ja) 2000-01-11
KR100548616B1 (ko) 2006-02-01
ES2156726A1 (es) 2001-07-01
GB2337275A (en) 1999-11-17
GB9910926D0 (en) 1999-07-07
GB2337275B (en) 2002-02-27
DE19821043A1 (de) 1999-11-18
TW467981B (en) 2001-12-11
ITMI990983A1 (it) 2000-11-06
IT1312399B1 (it) 2002-04-17
DE19821043B4 (de) 2011-07-14
US6119492A (en) 2000-09-19
ES2156726B1 (es) 2002-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88699B2 (ja) 円形緯編機
KR100548616B1 (ko) 시(時)신호-발생 장치를 구비한 편직기
TW344382U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jacquard pattern control mechanism for cylinder needles, sinkers or dial needles
GB2085035A (e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producing a single-surface plush fabric
US4708002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incorporating a device for setting to work knitting cams, in particular for hose knitting
EP0348779B1 (en) Knitting machine with a device for adjusting the stitch density and for offsetting the stitch cam with respect to adjacent knitting cams
US4574596A (en) Stitch-forming machine
CN1089385C (zh) 针织机
EP0235068B1 (en) Mechanism for selecting and controlling the raising of needles in circular and flat bed knitting machines, having a plurality of adjacent needles, with electronic programming control
JP2011058159A (ja) 水平縞模様付き編み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編み機
GB2156866A (en) Control device of stitch length and yarn guide mean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TW336661U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jacquard pattern control mechanism
EP0974692A3 (en) Needle selecting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IL33748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KR100527230B1 (ko) 환편기와 캠 시스템 부품을 위한 세팅 장치
US4800739A (en) Patterning mechanism for knitting machines
US4570460A (en) Warp feeding device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AU2836589A (en) Electromagnetic actuator device, in particular for the selection of the needles on a knitting machine
GB2058848A (en) Multi-station circular knitting machine
EP3956508B1 (e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and a method for making terry stitches i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AU737945B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knitting machines
US6164090A (en) Needle actuation device for knitting machines
EP0310845A3 (en) Device for inserting knitting cams during operation in circular knitting machines for stockings, knitwear and the like
TW350439U (en) Sinker needle control for computer-aid pile jacquard knitting machine
SG82588A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shut-down positioning and needle, feeder position control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