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7481A -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481A
KR19990087481A KR1019980706909A KR19980706909A KR19990087481A KR 19990087481 A KR19990087481 A KR 19990087481A KR 1019980706909 A KR1019980706909 A KR 1019980706909A KR 19980706909 A KR19980706909 A KR 19980706909A KR 19990087481 A KR19990087481 A KR 19990087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pressure
alarm
brake system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9470B1 (ko
Inventor
보 칼슨
Original Assignee
프리싱거 앤더스
볼보 휠 로우더스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리싱거 앤더스, 볼보 휠 로우더스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프리싱거 앤더스
Publication of KR19990087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4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12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 B60T13/1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liquid using accumulators or reservoirs fed by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01/00Particular use of vehicle brake systems; Special systems using also the brakes; Special software modules within the brake system controller
    • B60T2201/08Lane monitoring; Lane Keeping Systems
    • B60T2201/082Lane monitoring; Lane Keeping Systems using alarm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6Pressur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1Brak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 특히 차륜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여기에서 브레이크회로내에서 과도하게 낮은 압력에 대해 발생된 알람은 유지되며, 경고유니트(34)는 브레이크밸브 유니트(28)의하류의 브레이크회로(18b,20b)와 연결된 압력센서(40,42)가 소정의 최소압력레벨를 초과한 회로에서의 압력을 기록한 후에 먼저 리셋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
건설기계(도1 참조)를 위한 상술된 타입의 종래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어큐뮬레이터 유니트용 압력센서(1)는 스타터 스위치가 온되면, 센서가 압력어큐뮬레이터 유니트내의 매우 낮은 압력을 감지하는한 신호를 경고유니트에 제공한다. 푸트작동식 브레이크밸브(6)의 하류에 있는 브레이크회로(5)에서 누출이 있으면 어큐뮬레이터(2)내의 압력은 브레이크페달상의 압력이 제거된 후에 브레이크밸브가 폐쇄될 때 에 알람이 작동되는 레벨에서 초과하는 레벨로 재 형성되며,즉, 알람은 브레이크회로(5)의 결함이 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비작동된다.
이러한 시스템에 있어서, 알람은 어큐뮬레이터내의 충분한 압력이 한번 다시 있으면 자동적으로 리셋(비작동)되며 그러므로, 결함을 수리하지 않고 표시된 알람을 잊어버릴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유압매체를 작동 가능한 브레이크밸브 유니트를 경유하여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회로로 선택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펌프이송식 유압어큐뮬레이터유니트, 및 압력어큐뮬레이터 유니트내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레벨아래에 있을 때 알람을 보내기 위하여 경고 유니트를 작동시키도록 배열된 제1압력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의 회로선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의 회로선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의 회로선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의 회로선도,
제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의 회로선도,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주목적은 이러한 브레이크시스템을 위한 결함모니터링장치의 기능 및 안전을 개량시키고 한번 발생된 알람이 계속 유지되며 브레이크 밸브의 하류의 브레이크회로내의 압력이 소정의 최소레벨위에서 유지된 후에 유지된 알람이 통상 먼저 리셋될 수 있는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을 달성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서두에 설명된 브레이크시스템은 발생된 알람을 유지하는 수단이 경고유니트와 연결되어 있으며, 최소 압력레벨이 브레이크밸브 유니트의 하류의 브레이크회로에서 초과될 때에 먼저 경고유니트를 먼저 리셋하기 위하여 작동되도록 배열된 제2압력센서가 브레이크밸브 유니트의 하류의 브레이크회로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생된 알람은 브레이크밸브 유니트의 하류의 브레이크회로내에서 압력이 충분하게 높다는 것을 제2센서가 나타낼 때까지 유지되며, 여기에서 제2센서는 경고유니트를 리셋하도록 되어있다. 경고 유니트의 임시차단은 필요하다면 차량의 스타터스위치에 전압을 끊음으로써 통상 실행될 수 있다.
2개의 브레이크회로를 구비한 브레이크시스템에 본 발명에 따른 원리 즉 소정의 최소압력레벨이 초과될 때에 경고유니트를 리셋하기 위하여 브레이크밸브 유니트의 하류의 브레이크회로부분내의 제2압력센서가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회로와 바람직하게는 2개의 브레이크회로 모두와 연결되는 원리를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제2알람리셋팅 압력센서는 일련으로 또는 서로 평행하게 연결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 브레이크밸브 유니트의 하류에 위치된 브레이크회로부분의 결함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가능하다.
발생된 알람을 유지하는 수단은 시각 및/ 또는 음향알람을 포함할 수 있고 텍스트(text)정보를 운전자디스플레이에 제공가능한 경고유니트를 순차로 제어하는 제어 컴퓨터에 집적될 수 있거나 또는 릴레이를 포함하고 있다.
알람리셋팅 압력센서는 브레이크밸브 유니트의 하류의 브레이크회로내의 소정의 압력에서 전기회로를 단절 또는 접속하도록 배치된 압력모니터일 수 있다. 알람리셋팅 압력센서는 아날로그센서이면 브레이크밸브 유니트의 하류의 브레이크회로사이의 소정의 최대압력차이의 여부를 판단한 후 전류브레이크회로 압력값에 대응하는 신호를 경고유니트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배열된 제어컴퓨터에 연속적으로 이송되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압력센서는 압력차이의 값이 소정의 최대값보다 작음에 따라 각각의 브레이크회로내의 압력이 동시에 소정의 값을 초과할 때 제어컴퓨터를 경유하여 알람을 리셋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수반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압브레이크 시스템의 제1실시예는 제1압력어큐뮬레이터(12)와 2개의 제2압력어큐뮬레이터(14,16)을 가지는 유압어큐뮬레이터(10)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제2압력어큐뮬레이터는 개개의 브레이크회로(18,20)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어큐뮬레이터(12,14,16)에는 피더라인(22)을 통하여 펌프(도시안됨)로부터 압력오일이 이송되고 충전된다. 압력모니터(24)는 어큐뮬레이터(12)내의 압력이 소정의 레벨 예컨대 120bar 아래로 떨어졌을때 오일펌프를 작동시키고 예컨대 150bar의 부하에 도달할 때에 펌프를 차단시키는 종래의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압력어큐뮬레이터(14)는 예컨대 그 자체로서 잘알려진 이중-슬라이드 설계의 푸트페달 작동식 브레이크밸브 유니트(28)를 통하여 차량의 전방휠 액슬(26)에서 휠의 브레이크 실린더로 압력유체를 이송시키며, 한편 압력어큐뮬레이터(16)는 브레이크밸브 유니트(28)를 경유하여 차량의 후방휠 액슬(30)에서 압력유체를 휠의 브레이크 실린더로 이송시킨다. 어큐뮬레이터(12)내의 압력이 소정의 값 예컨대 90bar 아래로 떨어지면 작동되도록 즉 예컨대 유지릴레이(36)를 경유하여 경고유니트(34)에 이르는 전기회로를 접속(또는 단절)시키도록 배열된 압력모니터(32)가 어큐뮬레이터(10)와 연결되어 있다. 경고유니트(34)는 운전자디스플레이상의 테스트정보와 조합가능하게 시각 및/ 또는 음향알람수단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38은 전기공급수단 예컨대 스타터스위치를 나타낸다. 브레이크회로(18,20)는 브레이크밸브 유니트(28)의 상류에 각각 위치된 각각의 회로부분(18a,20a)과 브레이크밸브 유니트(28)의 하류에 위치된 회로부분(18b,20b)을 각각 가지고 있다. 각각의 브레이크회로의 각각의 하류부분(18b,20b)은 예컨대 45bar의 소정의 최소압력레벨를 브레이크회로(18,20)의 각각의 하류부분(18b,20b)에서 감지하여 작동시키기 위하여 연결부(44,46)각각을 경유하여 배열된 개개의 압력모니터(40,42) 예컨대 아날로그 압력센서를 각각 가지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압력모니터(40,42)는 서로 일련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스타터스위치(38)를 경유하여 전류가 공급된다. 압력모니터(42)는 라인(48)을 경유하여 릴레이(36)에 연결된다.
브레이크유압이 브레이크회로중의 어느하나에서 너무 낮을 때에 알람기능을 가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기능한다.
정상작동중에 브레이크회로부분(18a,18b, 및 20a,20b)가 접촉되지 않을 때 유체펌프(도시안됨)를 제어하는 압력모니터(24)에 의해서 모니터되는 동안에 예컨대 120-150bar의 상술된 압력내에서 작동된다. 알람기능용 압력모니터(32)는 따라서 작동되지않는다. 즉 경고유니트(34)와 릴레이(36)에 이르는 전기회로를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단절된다. 누출이 브레이크회로(18 또는 20)의 어느하나에서 예컨대 브레이크밸브 유니트(28)의 상류의 브레이크회로부분(20a)내에서 발생되면, 어큐뮬레이터유니트(10)내의 작동압력이 압력모니터(32)에 대해 90bar의 상기최소값아래로 떨어져서 압력모니터가 작동되고 경고유니트(34)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유지된다. 압력모니터(32)에 의해서 발생된 알람은 누출이 수리될 때까지 유지되며 대체로 2개의 브레이크회로내의 압력은 90bar를 초과한 레벨로 회복되지만, 알람은 스타터스위치(38)를 경유한 전압을 단절시킴으로써 이 주기동안에 동시에 차단될 수 있다. 차량이 이러한 누출을 수리하지않고 시발되더라도 알람은 다시 작동된다. 브레이크회로부분(20a)내의 누출이 해결되면, 알람은 브레이크밸브 유니트(28)의 하류의 2개의 브레이크회로부분(18a,20b)용 압력모니터(40,42)가 밸브 유니트(28)내의 2개의 슬라이드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브레이크페달(P)을 완화시킴으로써 체크될 수 있는 이들 브레이크회로부분내의 충분한 최소압력(예컨대, 적어도 45bar)의 여부를 판단할 때까지 유지된다. 이에 따라 압력이 충분하면, 이들 모니터(40,42)는 접속되고 리셋신호를 릴레이(36)로 보낸다. 또한 압력모니터(32)가 어큐뮬레이터유니트(10)에서 충분한 최소압력을 감지하면, 릴레이(36)과 경고유니트(34)는 리셋된다.
브레이크밸브 유니트(28)의 하류의브레이크회로부분(18b,20b)중의 하나에서 누출이 발생하면, 어큐뮬레이터(12)내의 압력은 브레이크밸브 유니트(28)가 개방될 때에 90bar의 최소압력 아래로 떨어지며 이에따라, 압력모니터(32)는 릴레이(36)를 작동시키고 경고유니트(34)를 작동시킨다.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상의 압력을 해제하자마자 압력은 압력모니터(32)가 릴레이(36)에 대한 전기회로를 단절시키도록 하는 레벨로 다시 증가시키며, 브레이크회로부분(20b)내의 압력이 45bar의 최소값을 다시 초과할 수 있도록 누출이 수리되기 전에 압력모니터(20b)로부터의 알람리셋팅신호가 얻어지지 않으므로 알람은 어떠한 경우에도 유지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압력모니터(42)( 및 압력모니터(40))는 릴레이(36)에 대한 전기회로를 접속시켜 전기회로를 복구시키고 경고유니트(34)로부터 알람을 작동해제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구성된 알람리셋팅 브레이크시스템에 의해서 이미 발생된 누출알람 또는 새로운 누출로써 운전자가 재시발된 차량을 무심코 몰수 없다. 시발후 브레이크페달(P)을 가압하는 운전자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는 브레이크회로내의 압력이 충분하다는 것을 먼저 첵크하여야 하며 이에따라, 압력모니터(32,40,42)가 브레이크회로(18,20)내의 필요한 최소압력인지를 기록한다. 바람직하게 알람유니트는 각각의 차량의 매시발마다 자동적으로 작동되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이것은 운전자가 경고를 제거하기 위하여 즉 충분한 압력이 브레이크실린더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는 압력모니터를 경유하여 확인을 수용하여 차량의 필요로하는 지연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상 브레이크페달을 밟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필수의 브레이크테스트는 이물질이 브레이크페달의 완화를 방해하더라도 모든타입의 브레이크결함의 표시를 제공할 수 있게 매 시발마다 이루어 져야한다. 압력모니터(32,40,42)의 작동원리는 물론 역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즉 압력모니터는 충분하게 높은 압력이 감지될 때 전기회로를 접속시킬수 있으며 전류공급시 전기회로에 결함이 있을 때 이 회로를 단절할 수 있으며, 이것은 어떤 경우에는 이점이 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실시예와 다른 본 발명에 따른 차량브레이크 시스템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릴레이(36)의 유지기능은 필요할 때 설정조건에 따라 경고유니트(여기에서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았음)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압력모니터(32,40,42)로부터의 신호를 진행시키게 프로그램된 제어컴퓨터(50)에 집적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브레이크 시스템의 부가적인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상이하고 이 실시예에서는 브레이크밸브 유니트(28)의 하류의 하나의 브레이크회로부분(20b)이 압력모니터(42)를 구비하고 있다. 즉, 브레이크회로부분(18b)용 압력모니터(40)는 제거된다. 이것에도 불구하고 압력모니터(40,42)를 조합하여 압력모니터없이 브레이크회로부분내의 누출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가능하다. 압력모니터(42)가 브레이크페달의 완화에 따라 작동되면 즉 브레이크회로부분내의 압력이 충분이 있어 리셋신호를 릴레이(36)에 제공하면, 브레이크회로(18a, 18b)내의 압력이 누출로 인해 너무 낮으므로 압력모니터(32)는 여전히 알람을 유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브레이크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되시하고 있으며, 이 실시예에서는 모든 본질적인 요소가 도 2의 요소와 대응하지만 브레이크밸브 유니트(28)의 하류의 브레이크회로부분(18b,20b)용 압력모니터(40,42)는 대신에 서로 평행하게 연결되어 브레이크회로부분(18b,20b)의 결함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압력모니터가 일련으로 연결되면 불가능 하다(도 2). 충분하게 높은 압력이 압력모니터(40,42)에 의해서 기록되면, 압력모니터는 순차로 경고유니트(34)로부터 알람을 해제시키는 릴레이(36)로 리셋신호를 보내기 위하여 작동된다. 이러한 경우에 후자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컴퓨터는 브레이크부분의 결함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운전자와 정비사에게 알려준다.
마지막으로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과 유사한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평행하게 연결된 압력모니터(40,42)는 2개의 아날로그센서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따라 감지된 압력레벨은 압력레벨사이의 차이가 일정값을 초과하면 알람을 작동시키도록 배치된 제어컴퓨터(50)에 의해서 판독될 수 있다. 알람(경고유니트)을 리셋시키는 것은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즉 압력차이의 값이 소정의 최대허용값보다 작음에 따라 각각의 브레이크회로내의 압력레벨이 동시에 소정의 레벨을 초과하면 실행된다.

Claims (10)

  1. 유압매체를 작동가능한 브레이크밸브 유니트(28)를 경유하여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회로로 선택적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펌프이송식 유압어큐뮬레이터 유니트(10), 및 펌프이송식 어큐뮬레이터 유니트(10)내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레벨아래에 있을 때 알람을 보내기 위하여 경고유니트(34)를 작동시키도록 배열된 제1압력센서(32)로 이루어진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발생된 알람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36,50)은 경고유니트(34)와 연결되어 있으며, 최소압력레벨이 브레이크밸브 유니트(28)의 하류의 브레이크회로에서 초과될 때 먼저 경고유니트(34)를 리셋하기 위하여 작동되도록 배열된 제2압력센서(40,42)는 브레이크밸브 유니트(28)의 하류의 브레이크회로(18b,20b)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시스템은 2개의 브레이크회로(18,20)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2압력센서(40,42)는 브레이크밸브 유니트의 하류의 브레이크회로내의 압력이 최소의 압력레벨를 초과하면 먼저 경고유니트(334)를 리셋시키기 위하여 작동되도록 각각의 브레이크밸브유니트(28)의 하류의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회로(18b,20b)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제2알람리셋팅 압력센서(40,42)는 브레이크밸브 유니트의 하류의 각각의 브레이크회로(18b,20b)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제2알람리셋팅 압력센서(40,42)는 서로 일련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제2알람리셋팅 압력센서(40,42)는 서로 평행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발생된 알람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은 릴레이(36)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
  7.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발생된 알람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은 제어컴퓨터(50)에 집적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브레이크밸브 유니트(28)의 하류의 브레이크회로(18b,20b)사이의 소정의 최대압력차이의 확인 후에 경고유니트(34)를 작동시키도록 된 제어컴퓨터(50)로 전류브레이크회로의 압력차이에 대응하는 신호를 연속적으로 보내기 위하여 배열된 아날로그 압력센서이며, 압력센서(40,42)는 압력차이의 값이 소정의 최대값보다 작아짐에 따라 각각의 브레이크회로내의 압력레벨이 동시에 소정의 값을 초과할 때 제어컴퓨터(50)를 경유하여 알람을 리셋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2알람리셋팅 압력센서(40,42)는 브레이크회로 유니트(28)의 하류의 브레이크회로(18b,20b)내의 소정의 압력에서 전기회로를 단절 또는 접속시키도록 배열된 압력모니터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경고유니트(34)는 차량의 매 시발마다 작동되도록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
KR10-1998-0706909A 1996-03-04 1997-03-04 차량용유압브레이크시스템 KR1004894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600839A SE507414C2 (sv) 1996-03-04 1996-03-04 Hydrauliskt fordonsbromssystem
SE9600839-6 1996-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481A true KR19990087481A (ko) 1999-12-27
KR100489470B1 KR100489470B1 (ko) 2005-09-09

Family

ID=20401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909A KR100489470B1 (ko) 1996-03-04 1997-03-04 차량용유압브레이크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142582A (ko)
EP (1) EP0883539B1 (ko)
JP (1) JP4022259B2 (ko)
KR (1) KR100489470B1 (ko)
CN (1) CN1081143C (ko)
AU (1) AU718302B2 (ko)
BR (1) BR9707902A (ko)
DE (1) DE69709544T2 (ko)
NO (1) NO313452B1 (ko)
SE (1) SE507414C2 (ko)
WO (1) WO19970327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09431B1 (en) 2000-09-29 2003-08-26 Xellogy, Inc. Flow measuring device based on predetermine class of liquid
US6431661B1 (en) * 2000-10-24 2002-08-13 Deere & Company Force feedback and pressure equalization brake system
US6856251B1 (en) 2001-04-26 2005-02-15 Xsi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nsing pressure
US6992590B1 (en) 2001-04-27 2006-01-31 Xsilogy,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ensing a fluid supply status
DE10134153C2 (de) 2001-07-13 2003-05-28 Knorr Bremse System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etektieren von Restdruck in einem Bremssystem, insbesondere in einem Bremszylinder
JP2005280516A (ja) * 2004-03-30 2005-10-13 Nabtesco Corp 鉄道車両用ブレーキ制御装置の保守時期検知機構
US7452038B2 (en) * 2006-01-20 2008-11-18 Towhau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releasing a parking brake on a disabled vehicle
US20080077076A1 (en) * 2006-08-29 2008-03-27 Transcutaneous Technologies Inc. Iontophoresis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on with a usb (universal serial bus) power source
US7878053B2 (en) * 2006-12-22 2011-02-0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Engine off brake booster leak diagnostic systems and methods
US9932721B2 (en) * 2007-11-21 2018-04-03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System, working machine comprising the system, and method of springing an implement of a working machine during transport
CN101786450A (zh) * 2010-02-26 2010-07-28 吉林大学 一种车辆制动管路压力监测预警系统
CN102050098B (zh) * 2010-12-20 2012-11-21 中国一拖集团有限公司 拖拉机用液压式动力制动操纵系统
CN102874246B (zh) * 2011-07-15 2014-10-29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用制动气泵气压监测系统及方法
WO2013155178A1 (en) * 2012-04-11 2013-10-17 Clark Equipment Company Lift arm suspension system for a power machine
CN112776780B (zh) * 2019-11-08 2022-07-15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辆制动系统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55272C3 (de) * 1966-07-21 1974-01-03 Teves Gmbh Alfred Elektrische Warneinrichtung zur Anzeige eines Druckabfalles in einem der beiden Druckmittelkreise einer Zweikreis-Bremsanlage für Fahrzeuge,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DE2829203A1 (de) * 1978-07-03 1980-01-17 Teves Gmbh Alfred Hydraulische bremsanlage fuer kraftfahrzeuge
DE3511975A1 (de) * 1985-04-02 1986-10-09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Hydraulischer bremskraftverstaerker
JPH0717612Y2 (ja) * 1989-02-04 1995-04-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液圧ブレーキ装置
GB2245038B (en) * 1990-06-07 1994-03-23 Toyota Motor Co Ltd Device for detecting accumulator fluid leakage through control valve and restoring proper valve seating
US5547264A (en) * 1992-11-04 1996-08-20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Braking force distribution control system
JP3914581B2 (ja) * 1994-12-08 2007-05-16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車両用液圧回路の制御装置
JP3620108B2 (ja) * 1995-08-29 2005-02-1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蓄圧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984056D0 (no) 1998-09-03
WO1997032769A1 (en) 1997-09-12
JP2000506805A (ja) 2000-06-06
SE9600839D0 (sv) 1996-03-04
DE69709544T2 (de) 2002-08-22
BR9707902A (pt) 1999-07-27
KR100489470B1 (ko) 2005-09-09
US6142582A (en) 2000-11-07
NO313452B1 (no) 2002-10-07
EP0883539B1 (en) 2002-01-09
NO984056L (no) 1998-10-30
CN1212661A (zh) 1999-03-31
AU718302B2 (en) 2000-04-13
AU1949997A (en) 1997-09-22
JP4022259B2 (ja) 2007-12-12
CN1081143C (zh) 2002-03-20
SE507414C2 (sv) 1998-05-25
SE9600839L (sv) 1997-09-05
DE69709544D1 (de) 2002-02-14
EP0883539A1 (en) 1998-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7481A (ko) 차량용 유압브레이크 시스템
US4667176A (en) Failure-monitor system for an automotive digital control system
US5176429A (en) Failure detection circuit for anti-skid braking system
KR20230053638A (ko) 전자 슬립 제어형 파워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유압 폴백 레벨의 가용성을 검사하는 방법, 전자 슬립 제어형 파워 브레이크 시스템용 전자 제어 장치 및 전자 제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슬립 제어형 파워 브레이크 시스템
US5638247A (en) Circuit configuration for monitoring a plurality of coils
US4753492A (en) Monitoring arrangement for anti-skid automotive brake system
KR20060125459A (ko) 리타더의 브레이크 토크 변경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방법
US6515376B1 (en) Device for supplying current and/or voltage to a vehicle trailer for the supply of brake components
US4841158A (en) Safety relay circuit for switching on electric systems of automotive vehicles
US6729363B2 (en) Motor vehicle air spring system having a tire-fill connection
JP2000194403A (ja) 車両用負荷診断装置
JP3050065B2 (ja) 電源故障検出装置
US6369581B1 (en) Methods of calling and turning off failure codes
JP3276251B2 (ja) アンチスキッド装置の故障検出方法
KR20220163638A (ko) 차량용 제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4006448A (en) Centralized monitor system for motor vehicles
JP3480518B2 (ja) アンチスキッド装置の故障検出方法
KR20220159461A (ko) 브레이크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JPH06239221A (ja) 液圧供給装置
JPS6367665B2 (ko)
KR0167973B1 (ko) 자동차의 브레이트 이상시 출발 방지 장치
JPH08127307A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の故障表示器
JPH1127858A (ja) 電子回路
KR20020053342A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스탠바이 전력의 오류 진단장치 및 그방법
GB2289450A (en) Warning circuit for levelling control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