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7331A - 도어 커플러와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커플러와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7331A
KR19990087331A KR1019980706740A KR19980706740A KR19990087331A KR 19990087331 A KR19990087331 A KR 19990087331A KR 1019980706740 A KR1019980706740 A KR 1019980706740A KR 19980706740 A KR19980706740 A KR 19980706740A KR 19990087331 A KR19990087331 A KR 19990087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movement
coupler
closed position
counter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6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8401B1 (ko
Inventor
프란츠 미터마이르
Original Assignee
홀로파이넨 펙카, 살로메키 유하
코네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54554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87331(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홀로파이넨 펙카, 살로메키 유하, 코네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홀로파이넨 펙카, 살로메키 유하
Publication of KR19990087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4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2Arrangements for effecting simultaneous opening or closing of cage and lan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07Mining-hoist operation method for modernisation of elevator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있어서, 도어 커플러(4)는 링크장치(2)에 의해 운동되며 랜딩도어 상의 대응부를 파지하도록 디자인된 파지요소(14,15)와, 그리고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를 가지는 잠금쇠(10)로 구성된다.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내로의 잠금쇠(10)의 해제운동은, 파지요소가 대응부에 대해 가압될 때, 허용된다.

Description

도어 커플러와 잠금장치
자동도어가 구비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카(car)도어와 랜딩도어 사이의 커플링은, 카도어상에 장착되며, 파지(把持)요소에 의해 랜딩도어상에 장착되는 대응부를 맞물리는 도어 커플러를 이용하여 실행된다. 도어 커플러와 그 대응부는 서로에 대해 끼워맞춤 되어서, 엘리베이터 카가 랜딩도어를 지나갈 때, 랜딩도어상의 대응부는 도어 커플러의 파지요소 사이를 통과한다. 이 카가 랜딩위치에 있고 카도어가 움직일 때, 도어 커플러는 대응부와 맞물림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카도어가 이 카도어에 연결된 동력수단으로 움직일 때, 랜딩도어는 이 카도어와 함께 움직인다. 때때로, 파지요소는 도어 커플러로부터 랜딩도어쪽으로 돌출하여 랜딩도어쪽으로 개방되는 일종의 수직 슬롯을 형성하는 금속 베인이다. 대응부는 랜딩도어상에 장착되어서 이 도어로부터 엘리베이터 샤프트쪽으로 돌출하는 롤러들로 종종 이루어지며, 이 롤러들의 축은 랜딩도어의 면에 수직한 위치에 장착된다. 도어 커플러 또는 카도어 자체와 결합하여, 카도어를 폐쇄하는 잠금장치가 존재하여서, 적어도 특별한 수단없이는, 엘리베이터 카가 랜딩위치에 인접할 때를 제외하고, 다시 말해 엘리베이터 카가 소위 도어 존(zone)내에 있을 때를 제외하고는 카도어가 개방될 수 없다. 엘리베이터 도어의 잠금시스템은 신뢰성 및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엘리베이터 도어의 잠금은 어떠한 교란소음도 발생시키지 말아야 한다.
엘리베이터 도어의 용도로 신뢰성 있고 적합한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도어를 잠그기 위한 다양한 장치들이 있다. 예를 들어, 전기기계식 개별 엑츄에이터에 의해 작동되는 잠금시스템은 엘리베이터가 개별 서브시스템 또는 도어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처리하는 도어 작동제어를 위한 유사한 시스템을 가지는 것을 필요로 한다. 전기기계식 개별 엑츄에이터를 이용하는 잠금시스템은 그 엑츄에이터의 가치에 상응하는 부가적인 비용을 항상 포함한다.
도어를 잠그기 위한 작동력이 엘리베이터 카 또는 카도어의 운동으로부터 취해지는 기계적인 잠금시스템이 또한 존재한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각각의 랜딩위치에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구비되어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 개별 슬라이드 또는 다른 표시에 의해 랜딩 존이 나타내지고 그리고/또는 잠금의 작동이 제어된다. 각각의 랜딩위치에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이러한 슬라이드 또는 표시를 장착하는 것은 많은 설치시간을 필요로 한다. 긴 설치시간은 높은 노동비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정의된 도어 커플러와 청구항 6의 전제부에 정의된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엘리베이터 카가 랜딩 존 외부에 있을 때, 본 발명을 잠금시스템과 함께 적용한 도어 커플러를 도시하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엘리베이터 카가 랜딩 존 내부에 있을 때, 본 발명을 잠금시스템과 함께 적용한 도어 커플러를 도시하는 도면.
때때로 잠금장치는 큰 공간을 점유하게 되어서, 잠금장치의 배치가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 또는 도어 서스펜션의 디자인을 다소 좌우하게 된다.
현대의 엘리베이터 환경과 현대의 엘리베이터 기술에서 사용에 적합하며, 그리고 제조비용이 저렴하고, 그리고 공간이용의 관점에서 유리하며 설치가 용이하고 작동중에 소음이 없으며, 그리고 도어 커플러와 일체로 되는, 엘리베이터 카의 도어를 위한, 단순하면서 기계적으로 작동되는 장금장치를 얻기 위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새로운 형식의 도어 커플러와 새로운 형식의 잠금시스템이 본 발명으로서 설명된다. 본 발명의 도어 커플러는 청구항 1의 특징부에 설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본 발명의 잠금장치는 청구항 6의 특징부에 설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른 청구항에 설명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얻어지는 이점은 다음과 같다.
- 잠금장치는 제조비용이 저렴하다.
- 도어 커플러와 일체로 되어있기 때문에, 잠금장치는 더욱 단순한 도어의 개념을 적용할 수 있다. 도어 커플러를 잠금시스템과 일체로 하므로써 설치를 단순화한다.
- 도어 커플러의 작동에 의해, 다시 말해 도어 커플러의 파지요소의 도달 범위 내에서 랜딩도어에 부착되는 대응부의 존재 또는 부존재에 의해, 잠금이 제어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샤프트는 도어 존을 나타내는 개별 제어장치 또는 표시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 잠금장치는 많은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구조로, 좁은 구조일지라도 잠금장치를 수용하는 것이 어렵지 않다.
- 잠금장치는 도어와 결합하여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며, 기계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전기적인 구동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 도어는 랜딩 존 외부에 있을 때에는 잠긴 상태로 있으며, 이 잠금은 엘리베이터의 전기적 시스템에서의 가능한 방해로 인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 동력이 고장나는 경우 엘리베이터가 층 사이에 정지된다면, 도어는 엘리베이터가 랜딩위치에 수동으로 이동된 후에 개방될 수 있다.
- 엘리베이터가 운전중이거나, 카도어가 잠금 또는 잠금해제될 때, 이 장치는 어떠한 추가적인 소음도 발생시키지 않는다.
- 엘리베이터에 있는 카도어의 잠금 및 잠금해제는 기계적으로 그리고 시간의 관점에서 모두 이 도어의 개방 및 폐쇄에 따른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로써 상세히 설명된다.
본 설명에 있어서, 부분들은 좌측, 우측, 상부, 하부 등과 같은 용어를 사용하여 설명된다. 이들 용어는 도면에 상응하는 방향을 참조하며,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 이라는 용어 역시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을 적용하는 잠금장치를 갖춘 도어 커플러(4)와 그 작동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 및 도 2는 엘리베이터 카가 랜딩 존 외부에 있어서, 도어 커플러 베인(14,15)이 랜딩도어 상의 대응부를 구성하는 롤러와 마주칠 수 없는 상황을 나타낸다. 도 3 및 도 4는 엘리베이터 카가 랜딩 존 내부에 있어서, 도어가 개방시 베인(14,15)이 랜딩도어 상의 롤러(17,18)를 맞물리는 상황을 나타낸다. 도어 커플러(4)는 카도어 서스펜션 판(1)상에 장착된다. 카도어 서스펜션 판(1)은 지지롤러와 통상적으로 또한 대향 롤러로 구비되며, 이들 롤러는 엘리베이터 카에 고정되는 오버헤드 지지빔상의 가이드 레일 또는 다른 적절한 가이드 면을 따라 움직인다. 따라서, 이 도어가 서스펜션 판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오버헤드 지지빔으로부터 현수된다.
도어 커플러가 랜딩도어를 맞물림할 때, 랜딩도어에 부착되는 (도 4에 도시된) 롤러(17,18)가 도어 커플러 베인(14,15)사이에서 움직이며, 이 도어 커플러 베인(14,15)은 카도어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링크장치 시스템(2)에 부착된다. 링크장치(2)에 연결된 것은 또한 카도어를 잠그는 잠금쇠(10)이다. 잠금쇠는 예를 들어, 도어를 지지하는 오버헤드 빔상에 또는 될 수 있는 한 대향 방향으로 움직이는 도어패널상에 장착되는, 도어에 대해 고정된 멈춤쇠를 맞물림한다. 카도어 엑츄에이터는 카도어를 개폐시킨다. 카도어 엑츄에이터는 도어 커플러에 의해 카도어와 커플링되는 랜딩도어를 또한 개폐시킨다. 카도어 엑츄에이터는 예를 들어, 도어의 개폐운동 방향으로 작용하며, 도어 커플러(4)에 부착되는 로프 구동장치이다. 로프 구동장치 대신에, 이 도어 엑츄에이터는 카도어운동 방향으로 작용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유압 실린더와 같은 몇몇 다른 형식의 구동수단일 수 있다. 이들 도어는 도어 커플러에 의해 실질적으로 움직인다. 로프 구동장치는 작동레버(5)상의 연결점(3)에 의해 링크장치(2)에 연결된다. 로프 구동장치로 인하여, 작동레버(5)는, 도어 커플러(5)에 대해 (그리고 도어 커플러를 지지하는 서스펜션 판(1)에 대해) 고정된 피벗(6)에 대하여 로프를 끌어당기는 방향으로, 작동레버의 운동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경향이 있다. 작동레버(5)는 피벗(6)에 의해 서스펜션 판(1)에 연결되어서, 회전운동을 허용한다. 피벗(6)에 대한 작동레버(5)의 운동은 링크장치(2)에 의해 잠금쇠(10)와 베인(14,15) 모두의 적절한 운동을 발생시킨다.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의 운동은 엘리베이터가 도어 존 내부에 있는지 또는 없는지에 따라 좌우된다. 엘리베이터가 도어 존 내부에 있는지에 대한 정보는 베인(14,15) 사이의 갭에 랜딩도어 롤러의 존재에 기초하여 얻어진다. 따라서, 베인(14,15) 사이의 갭의 높이는 도어 존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해야 한다.
도 1은 연결점(3)으로부터 시작하는 폐쇄 및 개방 화살표를 도시한다. 폐쇄 화살표는 도어가 폐쇄시 로프 구동장치가 도어를 끌어당기는 (도면에서 좌측으로) 방향을 나타내는 반면에, 개방 화살표는 도어가 개방시 로프 구동장치가 도어를 끌어당기는 (도면에서 우측으로) 방향을 나타낸다. 폐쇄 화살표는 도어의 폐쇄운동 방향을 또한 나타내며, 개방 화살표는 도어의 개방운동 방향을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로프 구동장치가 도어를 개방하려고 할 때, 작동레버(5)가 피벗(6)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각도는 피벗(6)에 도시된 부채꼴(6a)에 의해 나타내진다. 링크장치에서 작동레버(5)의 회전에 의해 야기되는 몇몇 다른 부분들(7,8,9)의 회전운동은 적절한 부분상에 도시된 부채꼴(7a,8a,9a)에 의해 나타내진다. 이 링크장치의 부분들(7,8,9)은 도어 커플러에 대해 고정된 피벗(7b,8b,9b)에 대하여 회전한다. 도어 커플러에 대해 고정된, 이들 피벗(7b,8b,9b)은 도면에서 채워진 (검은) 원으로 나타내진다. 도어 커플러에 대해 고정된 다른 모든 피벗과 연결점들은 채워진 원으로 또한 나타내진다. 링크장치의 부분들과 함께 움직이는 피벗과 연결점들은 빈 (하얀) 원으로 나타내진다. 도 2는 작동레버의 운동으로 야기되는 링크장치(2)의 작동의 결과로서 이루어지는, 링크장치의 부분들, 도어 커플러 베인(14,15) 그리고 잠금쇠의 위치를 도시한다.
다음은 부채꼴(6a)만큼 회전하는 작동레버(5)로부터 기인하는 동적 효과가 어떻게 링크장치(2)에 전달되는 지를 설명한다. 작동레버(5)는 3개의 이동가능 피벗(5x,5y,5z)에 의해 링크장치에 연결된다. 작동레버 아래에, 고정된 피벗(21a)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이동가능 피벗(21x,21y)을 가지는 지지레버(21)가 존재한다. 피벗(21a,21x)사이 그리고 피벗(6,5x)사이 레버아암 각각은 길이가 동일하다. 유사하게, 피벗(21a,21y)사이 그리고 피벗(6,5y)사이 레버아암 각각은 길이가 동일하다. 좌측베인(14)은 피벗(5x,21x)에 의해 작동레버(5)와 지지레버(21)에 연결된다. 작동레버(5)와 지지레버(21)에 연결된 것은 피벗(5x,21x,5y,21y)이 장사방형(rhomboid)의 코너점을 구성하는 방식으로 피벗(5y,21y)에 의한 동기(synchronizing) 바아(16)이어서, 좌측 베인(14)과 동기 바아(16)는 서로 평행하며, 피벗(21a,21x)사이 및 피벗(6,5x) 사이의 레버아암은 서로 평행하며, 그리고 피벗(21a,21y)사이 및 피벗(6,5y) 사이의 레버아암은 서로 평행하다. 실제로, 동기 바아의 운동에 관한 한, 동기 바아(16)는 베인(15)에 상응하는 통상의 도어 커플러의 베인에 상응하며, 잠금을 작동하는 미끄럼 베인으로서 작용하는 이 베인(15)은, 동기 바아(16)의 바로 근처로부터 출발할 때 잠금쇠(10)가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동기 바아(16)의 분리된 면구조이다. 피벗(5z)에서 작동레버(5)에 연결된 것은 상부 삼각레버(7)에 작동레버(5)를 연결하는 제 1 로드(22)의 좌측 끝부이다. 이 로드는 그 끝부 사이에서 로드의 굽힘을 허용하는 조인트(22a)를 가진다. 상부 삼각레버(7)는 고정된 피벗(7b)에 의해 유지된다. 이 피벗(7b) 주위에서, 상부 삼각레버는 피벗(7x,7z)과 이 삼각레버와 함께 움직이는 끌어당김 스프링(23)을 위한 연결점을 가진다. 최상부 피벗(7z)에 연결된 것은 로드(22)의 우측 끝부이다. 작동레버(5)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로드(22)가 우측으로 움직일 때, 삼각레버(7)는 시계방향으로 또한 회전한다. 이 시계방향 회전운동은 우측상의 연결점(7y)에서 끌어당김을 적용하여, 서스펜션 판상에서 끌어당김 스프링의 연결점(23a)쪽으로 하향 방향으로 작용하는 끌어당김 스프링(23)에 의해 도움을 받는다. 끌어당김 스프링(23)은 로드가 조인트(22a)를 가지지 않는다면 필요하지 않다. 제 1 삼각레버의 시계 방향 회전은 삼각레버(7)상의 좌측 피벗(7x)이 상향으로 운동하게 하여, 제 2 삼각레버(8)의 우측 이동가능 피벗(8y)을 제 2 로드(24)에 의해 상방향으로 끌어당겨서, 삼각레버(8)가 피벗(8b)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하여서, 결과적으로 좌측 피벗(8x)이 우측으로 운동한다. 제 2 로드(24)의 제 1 끝부는 피벗(7x)에 연결되며, 제 2 끝부는 피벗(8y)에 연결된다. 삼각레버(8)의 피벗(8b,8x,8y)은 삼각레버(8)의 코너 근처에 위치된다.
실제로, 링크장치의 다양한 부분들의 운동에 대한 상기 설명은 랜딩 존의 내부 및 외부 모두를 적용하며, 이 운동은 도어 제어기준, 다시 말해 도어 구동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끌어당김이 폐쇄방향에서 개방방향으로 변화할 때, 부채꼴(6a)에 상응하는 각도만큼 회전하는 구동레버를 결과적으로 발생시킨다.
그런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카가 랜딩 존 외부에 있는 상황이 설명되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카가 랜딩 존 내부에 있는 상황이 설명된다.
제 1 끝부에 의해 삼각레버(8)상의 피벗(8x)에 연결된 것은 제 3 로드(25)이다. 제 3 로드의 끝부들 사이의 피벗(25a)에 의해, 제 3 로드(25)는 L 형상의 잠금레버(11)의 우측 끝부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다. 잠금레버(11)는 정지된 상태에 있게 되며, 이것은 잠금레버의 좌측 끝부에 상방향 압력을 작용하여서, 잠금위치 쪽으로 잠금쇠를 가압하는 압축스프링(12)에 의해 보장된다. 도면은 도 1에서만 스프링(12,23)을 도시한다. 삼각레버(8)가 피벗(8x)에 연결되는 로드(25)의 제 1 끝부를 우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로드(25)는 피벗(25a)에 대해 회전하여서, 결과적으로 이 로드(25)의 제 2 끝부가 좌측으로 움직이고, 제 4 로드(26)에 의해, 베인(15)의 제 1 서스펜션 레버(27)의 끝부사이의 피벗(27a)에 힘을 작용하여서, 상기 레버(27)가 좌측으로 회전하게 한다. 제 4 로드(26)의 제 1 끝부가 피벗(25x)에 의해 제 3 로드(25)의 제 2 끝부에 연결됨과 동시에, 제 4 로드(26)의 제 2 끝부는 피벗(27a)에 의해 제 1 서스펜션 레버(27)에 연결된다. 베인(15)은 두 서스펜션 레버(27,28)에 의해 도어 커플러에 연결된다. 제 1 서스펜션 레버(27)와 제 2 서스펜션 레버(28)는 도어 커플러에 대해 고정된, 이들의 제 1 끝부에서 피벗(27x,28x)에 의해 도어 커플러를 지지하는 서스펜션 판(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서스펜션 레버(27,28)의 제 2 끝부는 피벗(27y,28y)에 의해 베인(15)에 연결된다. 이 두 서스펜션 레버(27,28)는 길이가 동일하다. 피벗(27y,28y,27x,28x)은 서로에 대해 그리고 서스펜션 판(1)에 대해 관련되게 배치되어서, 서스펜션 레버(27,28)가 회전할 때, 베인(15)이 수직방향으로 정렬되게 된다. 따라서, 링크장치의 운동은 카가 랜딩 존 외부에 있을 때, 잠금을 해제하지 않고, 단지 베인(15)을 좌측으로 이동시킬 뿐이다. 압축스프링(12)은 베인이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장한다. 압축스프링에 의해 잠금레버(11)에 작용되는 힘에 기인하여, 피벗(25a)은 피벗(25x)이 운동하는 동안 정지된 상태로 있는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카가 랜딩 존내에 있어서, 카도어의 잠금이 해제되는 상황이 설명된다.
도 3은 작동레버(5)가 잠금을 해제하도록 반시계 방향으로 먼저 회전하는 각도를 나타내는 부채꼴(6a)과 도어 커플러가 랜딩도어상에서 롤러(17,18)를 맞물도록 작동레버(5)가 다음으로 회전하는 각도를 나타내는 다른 부채꼴(6A)을 도시한다.
상기 설명된 방식으로, 링크장치의 작용은 삼각레버(7,8)의 상부에 도시되는 부채꼴(7a,8a)에 의해 나타내지는 바에 따라, 다른 장치들 사이에서 상기 레버(7,8)의 회전운동을 발생시킨다. 엘리베이터 카가 랜딩 존 내부에 있을 때, 우측 베인(15)이 우측 롤러(18)에 대해 가압되기 때문에, 링크장치의 몇몇 다양한 부분들은 이 카가 랜딩 존 외부에 있을 때보다 다른 방식으로 운동한다. 상기 설명된 바에 따라, 롤러(18)는 이를 테면, 고정 롤러인데, 다시 말해 도어 커플러 베인이 가압될 때 랜딩도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고정된 상태로 되어있는 롤러중의 하나이다. 반면에, 롤러(17)는 랜딩도어에 대해 약간의 거리만큼 움직일 수 있어서, 도어 커플러 베인(14)에 의해 이 롤러에 작용되는 압력으로 발생되는 운동은 랜딩도어의 잠금을 해제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베인(15)이 롤러(18)에 대해 가압됨에 따라, 롤러는 베인이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한 작동의 관점에서의 중요한 운동은 삼각레버(8)의 반시계 방향 회전의 결과로서 발생하는 부채꼴(25A)에 의해 나타내지는 각도만큼 피벗(25x)에 대한 제 3 로드(25)의 시계 방향 회전운동이다.
도 4는 부채꼴(6a)에 상응하는 각도만큼 운동하는 작동레버에 의해 발생되는, 링크장치의 작용의 결과로서 이루어지는 링크장치(2)의 부분들, 도어 커플러 베인(14,15) 및 잠금쇠(10)의 위치를 도시한다. 삼각레버(8)상의 피벗(8x)에 연결된 것은 로드(25)의 제 1 끝부이며, 이 로드의 하부 끝부는 제 4 로드에 연결되며, 로드의 상부 끝부가 삼각레버에 의해 우측으로 이동될 때, 하부 끝부에서의 피벗(25x)은 그 회전운동의 지레받침으로서 작용한다. 우측베인(15)의 운동과 그로 인한 서스펜션 레버(27)의 운동이 또한 방지되기 때문에, 제 4 로드의 우측 끝부에서의 피벗(25x)은 제 3 로드의 회전운동에 대해 고정된 지레받침으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레버(11)상의 압축스프링(12)의 효과보다 피벗(25x)에 의해 간접적으로 수납되는 지지력이 더 크다. 결과적으로, L 형상의 잠금레버(11)가 연결되는, 제 3 로드의 끝부 사이의 피벗은 우측으로 약간의 거리만큼 끌어 당겨진다. 잠금레버(11)의 운동으로 야기되는 끌어당김은 잠금쇠(10)를 해제하여, 카도어의 개방운동이 시작되도록 한다. 동시에, 잠금쇠(10)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안전 스위치(13)가 개방된다. 안전 스위치로부터, 카도어가 잠겼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전기신호가 안전회로에, 필요하다면 엘리베이터의 제어시스템에 공급된다. 잠금이 해제된 후에, 작동레버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6A)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더 회전한다. 이러한 작동레버의 운동으로 우측 도어 커플러 베인(14)은 랜딩도어상의 우측 롤러(17)와 접촉하여 움직이며, 따라서, 도어 커플러 롤러(17,18)가 도어 커플러 베인(14,15)들 사이에서 가압되어서, 랜딩도어와 카도어 사이에서 완전한 커플링을 이룬다. 작동레버는 레버(22)가 로드의 굽힘을 허용하는 조인트(22a)로 구비되기 때문에, 부채꼴(6A)만큼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어서, 잠금 해제후의 삼각레버(7)쪽으로의 운동이 로드(22)의 굽힘에 의해 완전히 수납되어 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Claims (8)

  1. 엘리베이터의 카도어와 결합하며, 링크장치(2)에 의해 움직이며 랜딩도어 상에 구비되는 적어도 하나의 대응부(17,18)를 파지하도록 설계된 파지요소(14,15)로 구성되며, 그리고 카도어의 운동을 방지하는 폐쇄위치와 카도어의 운동을 허용하는 개방위치를 가지는 잠금쇠(10)에 연결되는 도어 커플러에 있어서,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의 잠금쇠(10)의 해제운동은, 파지요소가 대응부에 대해 가압될 때,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커플러(4).
  2. 제 1 항에 있어서, 파지요소(2)가 대응부(17,18)를 파지하는데 필요한 작동력은 도어를 움직이는 구동장치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커플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도어 커플러는 잠금쇠(10)를 해제하여서 대응부(17,18)를 파지하도록 파지요소(14,15)를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력을 외부 소스로부터 수납하는 작동레버(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커플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쇠(10)를 해제하여 대응부(17,18)를 맞물리기 위한 작동레버(5)의 운동은 2 단계로 이루어져서, 제 1 단계(6a)동안, 파지요소(14,15)의 도달 범위내에서 대응부(17,18)의 존재가 파지요소(14,15)중의 하나에 의해 인지되며, 이 파지요소가 대응부를 만날 때, 잠금쇠가 해제되어 제 2 단계가 수행가능하게 되며, 그리고 제 2 단계동안, 대응부(17,18)가 파지요소(14,15)에 의해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커플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지요소(14,15)는 상부 및 하부 끝부 쪽으로 그리고 랜딩도어 쪽으로 적어도 개방되는 갭을 사이에 가지며, 이 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부 및 하부 끝부에서 구부러지는 2 개의 수직베인이며, 대응부(17,18)는 랜딩도어로부터 엘리베이터 샤프트쪽으로 돌출하여, 상기 베인들 사이의 갭에 정렬되는 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커플러.
  6. 도어 커플러(4)와 결합하여 배치되며, 카도어의 운동을 방지하는 폐쇄위치와 카도어의 운동을 허용하는 개방위치를 가지는 잠금쇠(10), 및 작동력에 의해 작동되며, 이 작동력에 의해 발생되는 운동이 잠금쇠(10)를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그리고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움직이도록 하는 링크장치(2)로 구성되는, 엘리베이터의 카도어를 잠그기 위한 잠금장치에 있어서, 잠금쇠(10)가 폐쇄위치에 있으며 도어 커플러의 파지요소(15)가 대응부(18)에 대해 가압될 때, 개방방향(개방)으로 작용하는 작동력은 잠금쇠(10)가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움직이게 하며, 파지요소(15)가 어떠한 대응부도 만나지 않을 때, 작동력은 파지요소(15)의 운동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링크장치(2)는 잠금쇠(10)를 개방위치에서 폐쇄위치로 그리고 폐쇄위치에서 개방위치로 움직이기 위한 잠금레버(11)로 구성되며, 상기 잠금레버(11)는 잠금쇠(10)를 그의 폐쇄위치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에 의해 하중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우측 베인(15)이 우측 롤러(18)에 대해 동시에 가압될 때, 작동레버(5)가 개방방향(개방)으로 회전함에 따라, 스프링(12)에 의해 링크장치(2)에 있는 피벗(25a)에서 발생된, 그리고 상기 피벗을 제위치에 유지시키려 하는 힘이 링크장치(2)의 운동에 의해 발생되는 대향력보다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금장치.
KR10-1998-0706740A 1996-02-28 1997-02-28 도어커플러와잠금장치 KR1004284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960916A FI102673B (fi) 1996-02-28 1996-02-28 Mukaanottaja ja lukituslaite
FI960916 1996-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331A true KR19990087331A (ko) 1999-12-27
KR100428401B1 KR100428401B1 (ko) 2004-09-18

Family

ID=8545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6740A KR100428401B1 (ko) 1996-02-28 1997-02-28 도어커플러와잠금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0896565B1 (ko)
JP (1) JP4142101B2 (ko)
KR (1) KR100428401B1 (ko)
CN (1) CN1077865C (ko)
AU (1) AU1882897A (ko)
DE (1) DE69731288T2 (ko)
ES (1) ES2225952T3 (ko)
FI (1) FI102673B (ko)
HK (1) HK1017331A1 (ko)
IN (1) IN190528B (ko)
WO (1) WO19970318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3260B (fi) 2001-03-02 2004-03-31 Kone Corp Mukaanottaja ja lukituslaite
ZA200406978B (en) * 2003-09-17 2005-06-20 Inventio Ag Device for connecting a cage door with a shaft door and for locking and unlocking the doors, a device for emergency unlocking of a cage door and a method for emergency unlocking of a cage door.
JP2005119878A (ja) * 2003-10-14 2005-05-12 Inventio Ag エレベータかごのかご扉を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階床扉に結合させるためのクラッチ
JP4879477B2 (ja) * 2003-12-08 2012-02-22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エレベータドア駆動装置
JP4708005B2 (ja) * 2003-12-08 2011-06-22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ケージドアリーフを昇降路ドアリーフに一時的に連結し、かつケージドアロック解除手段を作動させるための、エレベータケージにおける装置
CN112758794A (zh) * 2019-11-05 2021-05-07 奥的斯电梯公司 用于电梯厢门和厅门之间的联动装置和电梯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674A (en) * 1893-02-28 William k
EP0332841B1 (de) * 1988-03-18 1992-04-29 Inventio Ag Türantriebsvorrichtung mit Verriegelungsmechanismus für Aufzüge
US4926975A (en) * 1989-02-13 1990-05-22 Inventio Ag Elevator car with improved door lock
US4926974A (en) * 1989-02-13 1990-05-22 Inventio Ag Elevator car with improved car door clu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N190528B (ko) 2003-08-09
DE69731288T2 (de) 2005-03-24
JP4142101B2 (ja) 2008-08-27
HK1017331A1 (en) 1999-11-19
WO1997031853A1 (en) 1997-09-04
EP0896565B1 (en) 2004-10-20
AU1882897A (en) 1997-09-16
DE69731288D1 (de) 2004-11-25
EP0896565A1 (en) 1999-02-17
FI102673B1 (fi) 1999-01-29
CN1212666A (zh) 1999-03-31
FI102673B (fi) 1999-01-29
JP2000505407A (ja) 2000-05-09
KR100428401B1 (ko) 2004-09-18
FI960916A0 (fi) 1996-02-28
CN1077865C (zh) 2002-01-16
FI960916A (fi) 1997-08-29
ES2225952T3 (es) 200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9995C (zh) 闭锁电梯厢门的装置及开闭厢门的方法
US11795033B2 (en) Elevator car door interlock
US4934488A (en) Door lock for an elevator car
JP5383677B2 (ja) エレベータのカゴドアロック装置
JPH09110346A (ja) エレベータの階ドアの開閉方法およびドア連結装置
KR20070115779A (ko) 카 도어 록
US6173815B1 (en) Door coupler and locking device
KR100860260B1 (ko) 문의 연결기 및 잠금장치
JP2635529B2 (ja) エレベーターの連動装置
JPH07285763A (ja) エレベーターの連動装置
JP3895383B2 (ja) 自動エレベータドア開閉装置およびドアカプラ
US6189658B1 (en) Procedure for moving the landing door of an elevator, and a door coupler
KR19990087331A (ko) 도어 커플러와 잠금장치
JP2005251726A (ja) 安全位置スイッチ
EP0484170B1 (en) Door coupling device
JP2784582B2 (ja) 軌道車両システムにおける乗降扉装置
CN110467098A (zh) 电梯轿厢门联接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