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5570A - 가연기용 원사보빈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가연기용 원사보빈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5570A
KR19990085570A KR1019980018061A KR19980018061A KR19990085570A KR 19990085570 A KR19990085570 A KR 19990085570A KR 1019980018061 A KR1019980018061 A KR 1019980018061A KR 19980018061 A KR19980018061 A KR 19980018061A KR 19990085570 A KR19990085570 A KR 19990085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guide
combustor
cylinder
bu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8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열
Original Assignee
김종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열 filed Critical 김종열
Priority to KR1019980018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85570A/ko
Publication of KR19990085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5570A/ko

Links

Landscapes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연기의 크릴에 원사를 권취한 보빈을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많은수의 보빈을 공급함으로서 작업지연 작업자의 피로도누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가연기용 원사보빈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수단(3)의 저면에 가지는 프레임(4)상에; 각변환하여 이복상태의 보빈을 직립상태로 변환시켜주는 파레트(11)와 파레트(11)에 의하여 직립상태로 된 보빈(2)을 엘리베이터(40)로 공급하는 공급가이드(12)로 구성되어 보빈(2)을 순차적으로 공급하여주는 공급부(10)와 상기 공급부(10)의 전방에서 세워지는 수직프레임(41)의 상,하단부에 설치되어 모터(45)에 의하여 구동하는 체인기어(42,43)와 체인(44)에 버킷(46,47)을 다수개 고정하여 가이드(25)로부터 보빈(2)을 공급받아 가연기의 크릴과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40) 및 상기 엘리베이터(40)의 버킷(46,47)후방에 세워지는 박스(81)선단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폴(82,83)에 높낮이 조절이 자류롭게 고정되는 브라켓(84)상에 고정되는 실린더(86)와 실린더(86)의 로드단부에 푸셔(88,89)를 구비하여 버킷(46,47)상의 보빈(2)을 가연기의 크릴방향으로 최종적으로 공급하여주는 피딩부(80)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가연기용 원사보빈 공급장치.
본 발명은 가연기용 원사보빈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가닥의 원사를 합연사하기 전공정에서 각 원사의 흐트러짐등이 방지되도록 원사를 가연사할 수 있도록 원사(스핀드로사)가 권취된 보빈을 가연기로 자동공급하기 위한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연사작업은 단종의 원사를 연사하는 경우와 이종(異種)의 원사를 여러가닥 합연사하는 경우가 있다.
단연사의 경우에는 한가닥의원사만을 연사하기 때문에 별반 문제점을 발견할 수 없으나, 이종(異種)의 원사를 여러가닥 합연사할 경우에는 절사나 미연사와 같은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이는 이종의 원사를 여러가닥 합연사를 행하게 되면 각 원사가 가지는 장력의 차이로 연사과정에서 과다한 벌룬이 형성되고, 이때에는 각 스핀들을 구획하고 있는 격판에 원사가 닿아 절사로 이어짐으로서 연사작업이 불가능하게 된다.
뿐만 아니라, 각 원사가 연사되는 과정에서 각 원사를 구성하는 미세한 섬유가닥이 풀어지는 현상이 일어나 미연사되는 등의 현상이 일어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여러가닥의 원사를 연사하고자 할 경우에는 본 연사 이전에 가연사를 행함으로서 각 원사의 장력을 균일하게하고 원사의 조직을 결속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가연을 행하기 위해서는 원사를 권취한 보빈을 가연기의 크릴상에 공급한 후 가연작업을 행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가연기의 크릴에 원사를 권취한 보빈을 공급하는 장치가 없기 때문에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많은수의 보빈을 공급하는 실정이다.
상기 보빈의 공급량은 가연기의 성능이 점차 좋아지면서 수량이 증대되고 보빈의 무게도 늘어나는 추세여서 하나의 가연기에 약 330여개의 보빈이 소요되고 보빈 하나의 무게는 약 20Kg에 이른다.
상기와 같이 중량의 보빈 330여개를 전량 공급하는데에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고 작업자의 피로도는 엄청나게 누적되는 것이다.
그리고, 가연기의 보빈 안치대가 4∼6단에 이르기 때문에 1∼2단까지는 한명의 작업자가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으나 높은 위치에 있는 3∼6단의 위치에는 사다리와 같은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야 하고, 한명의 작업자는 지상에서 보빈을 올려주고 다른 한명의 작업자는 사다리 위에서 보빈을 받아 크릴에 공급하는 형식이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서는 작업자의 피로도 누적으로 인한 보빈공급 작업성이 저하되고 많은 수의 작업자를 필요로 하는 등의 문제점들을 가진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여 적은 인력과 짧은 시간내에 보다 신속하게 보빈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간연전처리공정인 준비작업의 단축에 기여하고, 효율적인 준비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사보빈공급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부위를 발췌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C부위를 발췌한 일부생략 사시도.
도 5는 도 1의 D - D선을 따라서 취한 평단면도.
도 6은 도 1의 E부위를 발췌한 일부생략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공급부 11; 파레트
12; 공급가이드 25; 가이드
40; 엘리베이터 46,47; 버킷
53; 폴 54; 로울러
55; 브리지 80; 피딩부
82,83; 폴 88; 제1푸셔
92; 제2푸셔 100; 원사보빈 공급장치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사보빈공급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부위를 발췌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C부위를 발췌한 일부생략 사시도, 도 5는 도 1의 D - D선을 따라서 취한 평단면도, 도 6은 도 1의 E부위를 발췌한 일부생략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가연기용 원사보빈 공급장치(100)는 원사(1)가 권취된 보빈(2)을 순차적으로 공급하여주는 공급부(10)와 공급부(10)에 의하여 공급받은 보빈(2)을 가연기의 크릴과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40) 및 엘리베이터(40)상의 보빈(2)을 가연기의 크릴로 밀어서 안치시켜주는 피딩부(80)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 공급부(10)와 엘리베이터(40) 및 피딩부(80)는 캐스터나 구동력에 의하여 움직이는 바퀴등의 구동수단(3)을 저면에 가지는 프레임(4)상에 설치된다.
상기 공급부(10)는 90°방향으로 각변환하여 이복된 상태의 보빈을 안치하여 직립상태로 변환시켜주는 파레트(11)와 파레트(11)에 의하여 직립된 상태로 공급받아 엘리베이터(40)로 보빈(2)을 한 개씩 공급하여주는 경사진 공급가이드(12)로 구성된다.
파레트(11)는 프레임(4)의 상에 상부가 개방된 개략(∪)형상으로 세워지는 지지대(13)의 횡방향으로 베어링(14)으로 지지되는 회전축(15)상에 ㈁형상의 파레트판(16)을 고정한다.
상기 파레트판(16)의 저면에는 파레트판(16)을 회전축(15)을 중심으로 90°방향으로 각변환시킬 수 있는 실린더(17)를 고정하고, 파레트판(16)중 공급가이드(12)와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면은 공급가이드(12)와 동일한 경사면(16')을 가지도록 하여 보빈(2)이 자연스럽게 공급가이드(12)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파레트판(16)의 다른면 전방에 고정된 브라켓(18)에는 실린더(19)를 설치하고 이 실린더(19)의 로드단부에는 스토퍼(20)를 고정하여 파레트(11)상의 보빈(2)이 바로 공급가이드(12)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파레트(11)의 전방에 위치한 공급가이드(12)는 프레임(4)에 높이가 다르도록 세워지는 포스터(21,22)상간을 연결한 가이드바(23)에 직립된 보빈(2)이 자연스럽게 굴러서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24)를 가지는 가이드(25)를 결합한다.
상기 가이드(25)의 저면에는 실린더(26)를 설치하여 가이드(25)전체를 파레트(11)와 엘리베이터(40)방향으로 이동시켜 보빈(2)의 공급을 원할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25)의 일측방에 설치되는 브라켓(27)의 전방에는 가이드바(28)를 길이방향으로 설치하고 가이드바(28)에는 횡방향으로 스톱실린더(30)를 설치하여 보빈(2)이 엘리베이터(40)방향으로 자연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스톱실린더(30)는 브라켓(27)의 후방에 설치되는 로딩실린더(31)의 로드(32)와 연결하여 실린더(26)에 의하여 가이드(25)와 함께 움직이면서 스톱실린더(30)를 제어하여 한번에 많은 수의 보빈(2)이 엘리베이터(40)로 공급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공급부(10)로부터 직립상태로 보빈(2)을 공급받아 가연기의 크릴과 동일한 위치에 보빈(2)을 위치시키는 엘리베이터(40)는 가이드(25)의 전방에서 프레임(4)의 상방으로 세워지는 수직프레임(41)의 상,하단부에 체인기어(42,43)를 설치하여 체인(44)으로 연결하고 수직프레임(41)의 측방에 구비되는 모터(45)에 의하여 구동하도록 한다.
상기 체인(44)에는 등간격(보빈안치와 동일한 간격)으로 버킷(46,47)을 다수개 고정하여 가이드(25)로부터 보빈(2)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즉, 체인(44)의 링크(48)에 단면이 개략(역ㅕ)형상으로 된 브라켓(49)을 고정하고 이 브라켓(49)상에 보빈(2)을 안치하기에 용이한 형상을 한 버킷(46,47)의 상단부를 고정한다.
상기 브라켓(49)의 양측은 수직프레임(41)의 전방에 더 고정된 가이드(50)에 수용되어 상승시 유동등이 방지되도록 하고, 체인(44)의 중앙에는 가이드바(51)를 더 구비하여 버킷(46,47)이 보빈(2)의 중량에 의하여 처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수직프레임(41)의 후방에는 방향전환하는 버킷(46,47)의 노출방지를 위한 버킷커버(52)를 설치하고, 수직프레임(41)의 측방으로는 폴(53)을 세워 버킷(46,47)과 가연기의 크릴 상간의 공간부위를 커버하여 보빈(2)이 안전하게 크릴에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로울러(54)를 설치한 브리지(55)를 높낮이 조절이 자유롭게 구비한다.
상기 버킷(46,47)의 위치조절은 수직프레임(41)에 리미트스위치(도시하지않음)를 가변가능케 설치하여 버킷(46,47)이 리미트스위치를 터칭함으로서 위치결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리미트스위치의 위치를 가변함으로서 버킷(46,47)의 위치도 동시에 조절되도록 한다.
엘리베이터(40)의 버킷(46,47)에 직립 안치된 보빈(2)을 가연기의 크릴로 최종적으로 공급하여주는 피딩부(80)는 엘리베이터(40)의 버킷(46,47)후방에 세워지는 박스(81)내에 설치된다.
박스(81)선단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폴(82,83)에 높낮이 조절이 자류롭게 고정되는 브라켓(84)상에 실린더(86)를 고정한다.
상기 실린더(86)의 로드단부에는 상방에 가이드(87)를 가지는 제1푸셔(88)가 구비되는데, 제1푸셔(88)는 보빈(2)의 내경보다 약간작은 직경의 원통체로 구성하여 보빈(2)의 내경 깊숙히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1푸셔(88)의 상방으로는 브라켓(89)을 일체로 돌출시켜 그 상면에는 실린더(90)와 가이드(91)를 구비하고, 실린더(90)와 가이드(91)의 단부에는 제1푸셔(88)에 삽입된 제2푸셔(92)에 형성되는 브라켓(93)과 연결하여 제2푸셔(92)가 보빈(2)을 밀어주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작업자가 원사보빈 공급장치(100)를 작동시킨 후 보빈(2)이 수납된 박스를 개방하여 전용 클램프를 이용하여 보빈(2)을 공급부(10)의 파레트(11)상에 이복된 상태로 공급한다.
이때 파레트(11)는 파레트판(16)의 경사면(16')이 가이드(25)와 동일한 위치선상에 있는 정위치에서 파레트판(16)의 저면에 설치된 실린더(17)가 신장하게된다.
그러면 프레임(4)에 세워진 지지대(13)의 횡으로 설치되어 파레트판(16)을 고정한 회전축(15)을 중심으로 파레트판(16)이 90°각도로 변환한 상태에 있게되고, 파레트판(16)의 선단부에 위치한 실린더(19)역시 신장하여 이 실린더(19)의 로드단부에 고정된 스토퍼(20)가 파레트판(16)방향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빈(2)을 공급받은 파레트판(16)이 실린더(17)의 수축작용에 의하여 정위치하게되면 보빈(2)은 자연스럽게 직립된 상태로 변환되고, 파레트파(16)의 경사면(16')에 의하여 보빈(2)이 공급가이드(12)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스토퍼(20)에 의하여 차단된다.
상기 공급가이드(12)의 가이드(25)상에 보빈(2)이 충만된 상태일 경우에는 파레트판(16)상의 보빈(2)은 스토퍼(20)에 의하여 제지되어 이동이 중지되고, 가이드(25)상에 보빈(2)이 들어갈 여유공간이 있을 경우에는 스토퍼(20)을 가지는 실린더(19)를 수축시키면 보빈(2)은 경사면(16')에 의하여 자연스럽게 가이드(25)로 공급된다.
공급가이드(12)의 가이드(25)상에 위치한 보빈(2)중 최선단에 위치한 보빈(2)은 가이드(25)의 측방에 더 설치되는 브라켓(27)의 선측 가이드바(28)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톱실린더(30)에 의하여 이동이 정지된 상태에 있게되므로 보빈(2)이 엘리베이터(40)의 최하단에 위치한 버킷(46,47)로 자연낙하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가이드(25)는 저면에 설치된 실린더(26)에 의하여 가이드바(23)의 전,후방향으로 소폭 이동하면서 보빈(2)이 버킷(46,47)으로의 공급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게된다.
이 과정에서 가이드(25)의 측방에 설치되는 스톱실린더(30) 및 로딩실린더(31)도 가이드(25)와 함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수축과 신장작동하여 보빈(2)의 낙하를 제어하게 된다.
즉, 로딩실린더(31)에 의하여 스톱실린더(30)가 가이드바(28)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신장과 수축함으로서 스톱실린더(30)의 로드가 가이드(25)의 횡방향으로 출입하여 보빈(2)의 내경에 삽입과 이탈작용을 반복함으로서 보빈(2)의 낙하상태를 제어하는 것이다.
가이드(25)로부터 직립상태로 보빈(2)을 공급받는 엘리베이터(40)의 버켓(46,47)은 모터(45)에 의하여 회전하는 체인기어(42,43)상간에 연결된 체인(44)에 고정되어 있음으로서 회전에 의하여 버킷(46,47)이 수직프레임(41)의 최하단에 위치하여 버킷(46,47)이 보빈(2)을 안치할 수 있는 위치에 다달았을 때 보빈(2)은 가이드(25)로부터 인출되어 공급된다.
가이드(25)로부터 자연낙하되어 보빈(2)을 공급받은 버킷(46,47)은 회전하는 체인(44)에 의하여 계속하여 수직프레임(41)의 상측으로 이동하게되고, 이동중 버킷(46,47)이 수직프레임(41)의 측방에 구비된 리미트스위치를 터칭하게되면 보닙(2)은 공급받은 하측의 버킷(46,47)이 보빈(2)을 공급받을동안 움직임이 정지되고, 다음의 버킷(46,47)역시 상기와 같은 동작의 연속으로 보빈(2)을 공급받게된다.
이렇게하여 버킷(46,47)이 가연기의 크릴과 동일한 수의 보빈(2)을 공급받았을 경우에는 버킷(46,47)의 회전작동은 정지되고 이때의 버킷(46,47)과 가연기의 크릴은 동일한 위치에 있게된다.
이때, 수직프레임(41)의 후방에 위치한 피딩부(80)의 실린더(86)가 신장하고 이 실린더(86)의 로드에 가이드(87)를 가지는 제1푸셔(88)가 신장하여 버킷(46,47)상의 보빈(2)내경에 깊숙히 삽입되어 제1푸셔(88)의 선단부가 보빈(2)의 외방으로 돌출된 상태에 있게된다.
이때에는 제1푸셔(88)에 삽입된 제2푸셔(92)는 보빈(2)과 연접된 상태에 있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푸셔(88)의 상방에 설치되는 실린더(90)가 가이드(91)와 협조하여 제2푸셔(92)를 가연기방향으로 밀어주게됨으로서 보빈(2)은 버킷(46,47)에서 벗어나 버킷(46,47)의 전방에 위치한 브리지(55)의 로울러(55)위를 통하여 가연기의 크릴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동작의 연속으로 보빈(2)을 간단하게 가연기의 크릴로 공급할 수 있으며, 크릴의 높이와 보빈을 안치하기 위한 단의 수에따라 버킷(46,47), 브리지(54,55) 및 버킷(46,47)상의 보빈(2)을 밀어주기 위한 실린더(86)의 높낮이를 적절한 상태로 조절하면 된다.
그리고, 보빈(2)을 공급받는 버킷(46,47)의 경우에는 체인(44)의 링크(48)와 고정되어 버킷(46,47)을 고정하는 브라켓(49)이 수직프레임(41)의 전방에 고정되는 가이드(50)에 양단부가 삽입된 상태에 있고 체인(44)과 체인(44)의 중앙에서 세로방향으로 더 설치되는 가이드바(5)에 의하여 버킷(46,47)이 보빈(2)의 무게로 처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상당한 중량의 보빈을 인력에 의존하지 않고 기계적으로 공급함으로서 보빈공급효율과 능률이 배가되고 잉여인력을 재투자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6)

  1. 구동수단(3)의 저면에 가지는 프레임(4)상에;
    각변환하여 이복상태의 보빈을 직립상태로 변환시켜주는 파레트(11)와 파레트(11)에 의하여 직립상태로 된 보빈(2)을 엘리베이터(40)로 공급하는 공급가이드(12)로 구성되어 보빈(2)을 순차적으로 공급하여주는 공급부(10);
    상기 공급부(10)의 전방에서 세워지는 수직프레임(41)의 상,하단부에 설치되어 모터(45)에 의하여 구동하는 체인기어(42,43)와 체인(44)에 버킷(46,47)을 다수개 고정하여 가이드(25)로부터 보빈(2)을 공급받아 가연기의 크릴과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40);
    상기 엘리베이터(40)의 버킷(46,47)후방에 세워지는 박스(81)선단부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폴(82,83)에 높낮이 조절이 자류롭게 고정되는 브라켓(84)상에 고정되는 실린더(86)와;
    버킷(46,47)상의 보빈(2)을 가연기의 크릴방향으로 최종적으로 공급하여줄수 있도록 제1푸셔(88)와 제2푸셔(92)를 실린더(86)의 로드단부에 구비하는 피딩부(80)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기용 원사보빈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11)는 프레임(4)에 세워지는 지지대(13)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회전축(15)상에 고정되는 파레트판(16)과 파레트판(16)의 저면에 설치되어 파레트판(16)을 각변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실린더(17);
    상기 파레트판(16)의 전방에 설치되어 보빈(2)이 바로 공급가이드(12)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스토퍼(20)를 가지는 실린더(19)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기용 원사보빈 공급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가이드(12)는 프레임(4)에 세워지는 포스터(21,22)상간에 연결되는 가이드바(23)에 결합되어 보빈(2)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통로(24)를 가지고 저면의 실린더(26)에 의하여 왕복운동하는 가이드(25)와;
    가이드(25)의 측방에 구비되는 브라켓(27)에 설치되어 보빈(2)의 자연낙하를 방지하는 스톱실린더(30)와 스톱실린더(30)를 제어하는 로딩실린더(31)를 더 구비하고;
    상기 스톱실린더(30)는 브라켓(27)에 구비되는 가이드바(28)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기용 원사보빈 공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46,47)은 체인(44)의 링크(48)와 고정되고 양단부가 가이드(50)에 삽입되는 브라켓(49)에 고정하고;
    상기 체인(44)의 중앙에는 버킷(46,47)이 보빈(2)의 중량에 의하여 처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비하는 가이드바(51);
    상기 수직프레임(41)의 측방에는 폴(53)을 세워 버킷(46,47)과 가연기의 크릴 상간의 공간부위를 커버할 수 있도록 로울러(54)를 가지는 브리지(5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기용 원사보빈 공급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41)에 리미트스위치를 가변가능케 설치하여 버킷(46,47)이 리미트스위치를 터칭함으로서 위치결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기용 원사보빈 공급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푸셔(88)는 상방에 가이드(87)를 가지고 보빈(2)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체로 구성하여 보빈(2)의 내경깊이 삽입되도록 하고;
    제2푸셔(92)는 제1푸셔(88)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브라켓(89)상에 실린더(90)와 가이드(91)를 구비하고;
    상기 실린더(90)와 가이드(91)는 제1푸셔(88)에 삽입된 제2푸셔(92)에 형성되는 브라켓(93)과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기용 원사보빈 공급장치.
KR1019980018061A 1998-05-12 1998-05-12 가연기용 원사보빈 공급장치. KR19990085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061A KR19990085570A (ko) 1998-05-12 1998-05-12 가연기용 원사보빈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8061A KR19990085570A (ko) 1998-05-12 1998-05-12 가연기용 원사보빈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5570A true KR19990085570A (ko) 1999-12-06

Family

ID=65892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8061A KR19990085570A (ko) 1998-05-12 1998-05-12 가연기용 원사보빈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8557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678B1 (ko) * 2007-06-21 2008-03-18 매일기계 주식회사 보빈와인더용 보빈공급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7992A (en) * 1987-08-29 1990-02-06 Howa Machiner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roving bobbins in a spinning factory
JPH06158454A (ja) * 1992-11-12 1994-06-07 Jun Inoue ボビン移送装置
KR950018800U (ko) * 1993-12-08 1995-07-24 정방기의 보빈 공급장치
KR0133870B1 (ko) * 1987-10-02 1998-04-24 비안치 마르졸리 삐에로 보빈프레임에서 보빈을 분리하고 분리된 보빈을 빈튜브로 교체하기 위한 장치
KR200299319Y1 (ko) * 1996-05-16 2003-02-25 살모라히 에스. 피. 에이. 텍스춰가공기내부로부터얀의보빈을자동인출시키며텍스춰가공기외부의운반부재상에보빈을적재시키는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97992A (en) * 1987-08-29 1990-02-06 Howa Machinery,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roving bobbins in a spinning factory
KR0133870B1 (ko) * 1987-10-02 1998-04-24 비안치 마르졸리 삐에로 보빈프레임에서 보빈을 분리하고 분리된 보빈을 빈튜브로 교체하기 위한 장치
JPH06158454A (ja) * 1992-11-12 1994-06-07 Jun Inoue ボビン移送装置
KR950018800U (ko) * 1993-12-08 1995-07-24 정방기의 보빈 공급장치
KR200299319Y1 (ko) * 1996-05-16 2003-02-25 살모라히 에스. 피. 에이. 텍스춰가공기내부로부터얀의보빈을자동인출시키며텍스춰가공기외부의운반부재상에보빈을적재시키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678B1 (ko) * 2007-06-21 2008-03-18 매일기계 주식회사 보빈와인더용 보빈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08548B1 (en) Automatic steel cord winder
KR101300366B1 (ko) 결속선 다발 자동 묶음장치
KR101463854B1 (ko) 필라멘트 와인딩 장치
CN102601668A (zh) 一种圆锯机的自动上料装置
EP1364726B1 (en) Reinforcement cage making apparatus
DE3518906A1 (de) Kopstransportvorrichtung
JP2000265666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の鉄筋籠組立法
KR19990085570A (ko) 가연기용 원사보빈 공급장치.
DE3329066A1 (de) Spulenabnahmevorrichtung fuer eine automatische wickelmaschine
DE602004007452T2 (de) Ein entlang einer Offenen-Spinnmaschine verfahrbarer Bedienungsautomat
KR102087725B1 (ko) 철근 구조물 자동 용접 장치
KR200163244Y1 (ko) 전선의가선장치(架線裝置)
KR101620712B1 (ko) 철근 공급장치
CN211570034U (zh) 工件浸涂用工件安装架
US3128521A (en) Apparatus for molding pre-stressed concrete members
CN202540025U (zh) 一种圆锯机的自动上料装置
DE19509809A1 (de) Vorrichtung zum Erstellen von Wandungsabschnitten aus Mauerwerk
KR101121846B1 (ko) 자동 철근 절곡 시스템
DE4205215C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wechselweisen Speisung des Doffermotors einer Ringspinnmaschine
EP0047838B1 (de) Hülsenauswechselvorrichtung an einer Ringspinn- oder Ringzwirnmaschine
CN110980599B (zh) 一种工件浸涂用工件安装架
DE4404910A1 (de) Spulenwechselsystem und -verfahren
CN111013933B (zh) 一种工件浸涂装置
JP3174841B2 (ja) 建築物基礎部コンクリート構造体用鉄筋金網の縦鉄筋分配供給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19822773U (zh) 一种用于编笼的筋材输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