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9319Y1 - 텍스춰가공기내부로부터얀의보빈을자동인출시키며텍스춰가공기외부의운반부재상에보빈을적재시키는장치 - Google Patents

텍스춰가공기내부로부터얀의보빈을자동인출시키며텍스춰가공기외부의운반부재상에보빈을적재시키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9319Y1
KR200299319Y1 KR2019970010710U KR19970010710U KR200299319Y1 KR 200299319 Y1 KR200299319 Y1 KR 200299319Y1 KR 2019970010710 U KR2019970010710 U KR 2019970010710U KR 19970010710 U KR19970010710 U KR 19970010710U KR 200299319 Y1 KR200299319 Y1 KR 2002993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yarn
machine
texturing machine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071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2371U (ko
Inventor
산드로 살모라히
Original Assignee
살모라히 에스. 피. 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살모라히 에스. 피. 에이. filed Critical 살모라히 에스. 피. 에이.
Publication of KR9700623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23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93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93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6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using particular methods of stopping
    • D03D51/08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using particular methods of stopping stopping at definite point in weaving cycle, or moving to such point after sto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텍스춰 가공기(1 : texturing machine)의 측부(4)를 따라 위치된 해당 연장요소(33)를 갖고, 텍스춰 가공시킬 얀(Y)에 대한 얀 인출부(3)가 상기 측부로부터 이격되게 제공되어 있고, 상기 얀 인출부(3)와 텍스춰 가공된 얀의 보빈(5 : bobbin) 사이에 장치(9)가 이동하는 통로(6 : corridor)가 제공된, 상기 텍스춰 가공기(1) 내에 위치한 텍스춰 가공된 얀의 보빈(5)을 자동 인출시키는 장치; 이 장치는 텍스춰 가공기(1)의 측부(4)로부터 텍스춰 가공된 얀의 보빈(5)을 인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통로(6)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상부측 안내부(12)를 따라 움직이는 직선부(25)를 따라 이동가능한 인출수단(27)으로 구성되고, 상기 인출수단(27)은 텍스춰 가공기(1)로부터 제거된 상기 보빈(5)을 일시적으로 지지시키기 위하여 텍스춰 가공기 외부에 위치한 지지장치(10)까지 지지시켜준다.

Description

텍스춰 가공기 내부로부터 얀의 보빈을 자동 인출시키며 텍스춰 가공기 외부의 운반 부재상에 보빈을 적재시키는 장치 {DEVICE FOR AUTOMATICALLY WITHDRAWING TEXTURED YARN BOBBINS FROM WITHIN A TEXTURING MACHINE AND FOR LOADING THEM ONTO CONVEYOR MEMBERS EXTERNAL TO SAID MACHINE}
본 고안은 독립 청구항에 제시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얀(yarn) 가공용 섬유기계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바와 같이, 가능한 한 대규모로 얀을 적재시켰다 내리는데 포함되는 작업을 자동화시킬 필요가 오랫동안 고려되어 왔다.
텍스춰 가공기 및 드래프팅-텍스춰 가공기(drafting-texturing machine) 분야에 있어서, 가공시킬 얀이 감긴 보빈(bobbin)인지 아니면 이미 처리된 (텍스춰 가공된) 얀이 감긴 보빈인지에 따라, 얀의 보빈을 적재시키고 내리는데 포함되는 모든 작업을 자동화시킬 요구가 오랫동안 고려되어 왔다. 본 고안은 상기에서 후자의 작업을 자동화시킬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텍스춰 가공기 또는 드래프팅-텍스춰 가공기는, 얀 인출부(yarn withdrawal station)를 이루는 가공기의 양쪽을 따라 이격된, 통상적으로 '크릴(creel)'로 알려진, 적당한 지지체 또는 프레임에 의해 가공 후 보빈으로부터 운반되어지는 얀을 수용하는 가공기 본체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격시키는 것은 가공기에 얀을 정확하게 공급시키기 위하여 필요하다. 가공기 본체와 나란히, 상기 얀 인출부와 마주하는 측부상에서 텍스춰 가공된 얀의 보빈은 적당한 지지체에 의해 배치되고 지지된다. 따라서 지지체와 상기 얀 인출부 사이에는 통로 (corridor)가 존재하는데, 미리 얀이 감긴 보빈을 가공기로부터 내려놓기 위하여 또한 추가의 보빈을 만들 새 튜브를 상기 보빈을 갖는 지지체상에 부착시키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작업자(operator)는 상기 통로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텍스춰 가공된 얀의 보빈은 (예를들어 인출시킬 목적으로 제공된 인출 부재에 의해 인출되는 가공기의 단부까지 보빈을 운반하는, 연속 안내부상에서, 가공기의 측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적당한 수직 구조물상에 이들 보빈을 위치시킨 후) 텍스춰 가공기로부터 제거된다.
그러나, 상기 작업에는 상당한 규모의 공장과 작업 경비 (이 경우에는 주로 미리 처리된 얀을 적재시킨 보빈을 조작해야 하는 작업자 때문이다) 가 소요된다.
처리된 얀의 보빈을 자동으로 인출시키고 가공기의 외부 위치까지 상기 보빈을 지지하는 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제거된 보빈 대신에 빈 튜브가 적재된)장치는 텍스춰 가공기가 정지하는 표면을 따라 또 가공기의 반대 측부상 통로내에서 안내부 역할을 하면서 이동가능한 구조물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필요없는 이러한 장치는 그러나 전체 크기가 상당하고 (따라서 상기 가공기의 크기도 증대된다) 장기간의 작동시간이 소요된다. 상기 장치는 매우 복잡하고, 텍스춰 가공기에 속하는 작업을 또한 수행한다. 더욱이, 이러한 공지된 장치는 통상 다수개의 텍스춰 가공기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기계당 작업시간이 늘어나서 기계의 생산성이 저하된다.
본 고안의 목적은 텍스춰 가공기로부터 처리된 얀이 감긴 보빈을 자동으로 인출시키는 개선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구체적인 목적은 전체 크기가 작고, 텍스춰 가공기로부터 가득찬 보빈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게 하고, 저렴하며, 상기 형태의 섬유기계와 결합하여 단독으로 작동할 수 있는 상기한 형태의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장치가 장착된 텍스춰 가공기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2 는 도 1의 텍스춰 가공기의 정면도이다.
도 3 은 본 고안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 및 5 는 두개의 다른 활용 위치에서 본 도 3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6 은 도 3 의 6-6 라인상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고안 장치의 특정 활용 상태에서 도 1 의 텍스춰 가공기의 단부를 확대시킨 확대도이다.
업계의 숙련자들에게는 명백하다고 볼 수 있는 상기의 목적과 그 외 추가적인 목적은 첨부한 청구범위에 따른 장치로 달성된다.
본 고안은 비제한적인 예시로 제공된 첨부 도면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고하여, 텍스춰 가공기(texturing machine)는 도면부호 (1)로 나타내어지고 (공지된 형태의) "가공기 본체(2)" 텍스춰 가공된 얀을 인출시키는 얀 인출부(3) 및 처리된 (텍스춰 가공된) 얀이 미리 감긴 보빈(5)의 기둥이 배열되고 이러한 각 기둥의 다른 평면에 위치한 측부(4)로 구성된다. 얀 인출부(3)는 텍스춰 가공시킨 얀(Y)의 보빈(3B)을 지지하는 통상의 프레임(3A)으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얀(Y)은 얀 인출부(3)와 보빈(5)사이에 존재하는 측부(4)를 따라 존재하는 통로(6)의 상단을 따라 이동하여 가공기 본체(2)에 도달한다. 본 고안의 장치(9)는 이 통로 안쪽 (또는 더 정확히 말하면 텍스춰 가공기(1)의 반대 측부를 따라 존재하는 양 통로(6) 안쪽) 에서 이동하여 가공기 본체(2)로부터 보빈(5)을 자동으로 제거한 다음 텍스춰 가공기(1)로부터 최종적으로 인출시키기 전에 이들 보빈을 일시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장치(10)로 이송시킨다.
장치(9)는 각 통로(6)의 위쪽에 제공된 상부측 안내부(12 : over head giude)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텍스춰 가공기(1)의 한쪽 단부(13) 에서 만곡되는 기둥 또는 구조체(11)를 구비한다. 상부측 안내부(12)의 측부에는, 이동하는 장치(9)의 부분(9A)을 따라 추가 안내부(12A)가 제공되어 있다. 상단 단부에서 (도 3, 4, 5 를 참조), 구조체(11)는 상부측 안내부(12)를 따라 바로 활주가능한 운반 부재(14)를 구비한다. 이 상부측 안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것은 공지된 방식, 예를들어 운반 부재(14)와 결합된 자동 모터(15)에 의해 얻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실질적으로 기둥식 배치의) 구조체(11)는 보빈(5)의 여러 기둥에 위치될 수 있다.
운반 부재(14)는 상기 보빈에 대한 인출 부재(21)의 보빈(5)쪽으로 이동시키는 안내부로 작용하는 하나이상의 직선형 안내부 요소(20) (도 3, 4, 5, 및 7 에서 두개) 를 지지하고, 상기 인출 부재(21)는 이와 결합된 전기 모터(22)에 의해 상부측 안내부(12)를 따라 구조체(11)의 이동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구동된다. 도면에서 나타난 바와 같은 안내부 요소(20)는 또한 상기 장치에 대한 전기 회로 (또는 다른 기계 부재) 를 포함하는 장치(9)의 부분(9A)에 의해 지지된다.
인출 부재는 구체적으로 직선부(25)와 결합된 안내부(26A)를 따라 작동기(26 : actuator)에 의해 이동하는 암(28 : arm)을 갖는 인출수단(27 : withdrawal means)을 따라 직선부(25)를 구비한다. 도면에 나타낸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서, 상기 암에 수직하여 돌출된 암의 단부(29)로부터 한 쌍의 지지체(30)는 가공기 본체(2)의 측부(4)를 따라 존재하는 보빈의 기둥의 자유 단부에 위치한 보빈(5)과 같이 작동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들 (텍스춰 가공된 얀이 감긴 튜브(5A)로 이루어진) 보빈은 특히 각각의 연장요소(33 : elongate element)로 텍스춰 가공기(1)상에서 지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장치(9)는 텍스춰 가공기(1)의 (상부측 안내부(12)에 포함되지 않은) 자유 단부(40) 에 위치된 일시적 보빈의 지지장치(10)와 함께 작동한다. 지지장치(10)는 안내부(42) 상에서 이동가능하고 텍스춰 가공기(1)가 놓인 표면(P)상에 제공된 (상부측 안내부(12)에 수직인) 프레임(41)을 구비한다. 이는 지지장치(10)의 하단(45 : lower part)과 결합되고 프레임(41)을 지지하는 공지된 모터 수단(44)으로 구성된다. 이 프레임(41)은 텍스춰 가공기(1)와 마주하고 보빈(5)을 끼울 수 있도록 배열된 복수개의 지지요소 또는 걸이(46 : peg)를 구비한다. 보빈(5)을 완전히 적재할 경우 얀 인출부(3)가 놓여있는 평면(K) (다른 작업 위치) (또는 좀더 정확히 말하면 이들 얀 인출부를 통과하는 중심 평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장치(10)는 두개의 제한된 작업 위치 (이들중 하나는 도 1 및 7 에 도시) 사이에 한정된 범위까지 안내부(42)의 바닥면 높이를 따라 전후로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얀 인출부의 구동 수단 (도시않음)이 상부측 라인을 따라 완전히 적재된 지지장치(10)를 이동시켜 텍스춰 가공기(1)를 포함하는 공장의 다른 부분까지 전달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지지장치가 공장의 다른 부분에 보빈(5)을 내려놓으면 이 보빈은 생산 라인을 따라 처리된다. 이때 상기 구동 수단은 안내부(42)를 따라 빈 지지장치(10)를 되돌아가게 한다.
전술한 장치(9)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예를들어 기계의 단부(40)에 인접한 측부의 단부에 놓여있는 텍스춰 가공기(1)의 측부(4)상의 보빈의 기둥에 완전히 텍스춰 가공된 얀으로 감긴 보빈이 장착된 경우 상기 가공기가 설치된 공장에서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 (operator) 또는 자동 조절 시스템 (예를들어 마이크로프로세스 형태) 에 의해 상기 장치는 상기 기둥과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 위치에 도달하면, 작업자 또는 상기한 시스템에 연결된 인접한 센서 수단 (또는 그 위치에 도달한 것을 감지하는 등가의 수단)은 자동 모터(15)가 전진하는 것을 중지시켜서 상기 장치(9)를 정지시킨다. 연속하여, 작업자 또는 상기 조절 시스템은 모터(22)를 구동시키고 그다음에는 작동기(26)를 구동시켜 가공기로부터 내려놓게 될 보빈(5)의 튜브(5A)에 상응하는 인출수단(27)과 결합된 암(28)을 이동시킨다. 따라서 지지체(30) 쌍은 튜브(5A) 전방에 위치한다. 이들 지지체는 상기 튜브의 축에 평행한 장축을 갖는다. 자동 모터(15)는 또한 작동하여 장치(9)의 구조체(11)를 이동시켜 튜브(5A) 안으로 지지체(30)가 삽입되도록 한다. 자동 모터는 다시 정지한다. 그다음 작동기(26 : actuator)가 작동하여 인출수단(27)을 구조체(11)의 직선부(25)를 따라 이동시켜 상부측 안내부(12)에 도달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 지지체는 구조체(11)를 따라 올라가 연장요소(33)로부터 보빈(5)을 들어올리게 된다.
그다음 자동 모터(15)가 작동하여 텍스춰 가공기(1)로부터 구조체(11)를 인출시키고 텍스춰 가공기(1)의 단부에서 지지장치(10)를 이동시킨다.
연장요소(33)로부터 보빈을 제거하는 방식에 대하여 기술한 바와 같은 유사한 방식으로, 이들 보빈을 지지장치(10)의 프레임(41)의 걸이에 올려놓는다. 해당 튜브(5A) 내에서 상기 지지체(30)는 해당 지지 요소 또는 걸이(46)가 위치한 것 보다 더 낮은 주위 높이에 도달할 수 있다. 이는 보빈(5)이 정확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빈 튜브(5A)에 텍스춰 가공된 얀이 쉽게 도입되어 각 연장요소(33) 상에 올려질 수 있게 한다. 또한 몇몇의 보빈은 각 걸이와 결합할 수 있다. 이것은 장치(9)에 추진 요소를 장착할 필요없이 단지 상기 걸이에 이미 올려진 보빈을 그 위에 장착된 두번째 보빈 (도 3 참조)으로 밀어줌으로써 수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동시킴으로써, 장치(9)는 또한 새로 처리된 얀을 감기 위하여, 튜브(5A)를 텍스춰 가공된 얀으로 감긴 보빈(5)을 내려놓은 연장요소(33)상에 장착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텍스춰 가공기(1)로부터 보빈(5)을 내려놓는 것에 관한 것으로, 이는 연속적으로 가공기 단부(40)에 인접하게 존재하는 기둥으로부터 상기 보빈을 제거하거나, 상부측 안내부(12)를 따라 장치(9)의 전진 방향의 기둥 단부쪽으로 보빈의 기둥을 제거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는 암(28) 및 지지체(30)가 독립적으로 이동할 수는 없고 인출수단(27)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단지 상기 지지체를 이동시키고 전체 구조체(11)를 상부측 안내부(12)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보빈은 텍스춰 가공기(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그러나, 암(28)에 지지체(30)가 장착되지 않을 경우 대신 이들 암을 인출수단(27)에 힌지시킴으로써 이들은 통상적인 전기 기계적 작동기를 이용하여 인출수단(27)에 힌지된 축에 대하여 90°또는 180°회전할 수 있고, 텍스춰 가공기(1) 상에 위치한 보빈(5)을 "무작위로" (기둥내에서 또는 독자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장치(9)가 구성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영역내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상기 구조의 본 고안에 의할 경우 처리된 얀으로 감긴 보빈을 적재하고 내리는데 포함되는 모든 작업이 자동화 될 수 있다. 또한 전체 크기가 작고 텍스춰 가공기로부터 보빈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작업 공정상 단가를 낮출 수 있다.

Claims (10)

  1. 텍스춰 가공기(1)의 측부(4)를 따라 위치된 해당 연장요소(33)를 갖고, 텍스춰 가공된 얀(Y)에 대한 얀 인출부(3)가 상기 측부로부터 이격되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얀 인출부(3)와 텍스춰 가공된 얀의 보빈(5) 사이에 장치(9)가 이동하는 통로(6)가 제공된, 상기 텍스춰 가공기(1) 내에 위치한 텍스춰 가공된 얀의 보빈(5)을 자동 인출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텍스춰 가공기(1)의 측부(4)로부터 텍스춰 가공된 얀의 보빈(5)을 인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통로(6) 내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상부측 안내부(12)를 따라 움직이는 직선부(25)를 따라 이동가능한 인출수단(27)을 포함하고, 상기 인출수단 (27)은 텍스춰 가공기(1)로부터 제거된 상기 보빈(5)을 일시적으로 지지시키기 위하여 텍스춰 가공기 외부에 위치한 지지장치(10)까지 지지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인출수단은 텍스춰 가공된 얀의 보빈(5)과 같이 작동할 수 있도록 배열된 돌출된 암(28)을 지지하는 인출수단(27)이고, 상기 인출수단은 상부측 안내부를 따라 이동가능한 직선부(25)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된 안내부(26A)를 따라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암(28)은 인출수단(27)에 고정되어 있고 보빈(5)과 함께작동하도록 설치된 고정된 지지체(30)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암(28)은 인출수단(27)에 힌지되어 있고 텍스춰 가공기 (1)로부터 제거될 보빈(5)과 같이 작동할 수 있도록 힌지에 대하여 90°내지 180° 로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인출수단(27)을 지지하는 직선부(25)는 기둥형 구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인출수단(27)을 지지하는 직선부(25)는 텍스춰 가공기(1)의 통로(6)내에 제공된 상부측 안내부(12)와 같이 작동하는 모터가 달린 운반 부재(14)와 활주가능하게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운반 부재(14)는 보빈(5)에 대한 인출수단(27)을 운반하는 직선부(25)를 이동시키는 하나이상의 안내부 요소(20)를 지지하고, 상기 이동은 상부측 안내부(12)를 따라 운반 부재(14)에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일시적인 지지장치(10)는 텍스춰 가공기가 놓여있는 표면(P) 상에 위치한 하나이상의 안내부(42)를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지지장치는 상기 텍스춰 가공기의 단부(40)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일시적인 지지장치(10)는 상부측 안내부(12)를 따라 장치(9)의 이동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두개의 작동 위치사이로 이리저리 이동하고 상기 위치들 중 하나는 텍스춰 가공될 얀(Y)에 대한 얀 인출부(3)가 놓여있는 평면(K)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일시적 지지장치(10)는 텍스춰 가공된 얀이 감긴 보빈(5)을 끼울 수 있는 걸이(46)를 갖는 프레임(41)을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41)은 안내부(42)를 따라 바로 이동가능한 하단(45 : lower part)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2019970010710U 1996-05-16 1997-05-15 텍스춰가공기내부로부터얀의보빈을자동인출시키며텍스춰가공기외부의운반부재상에보빈을적재시키는장치 KR200299319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MI96U000366 1996-05-16
IT1996MI000366U IT240663Y1 (it) 1996-05-16 1996-05-16 Dispositivo per il prelievo automatico di bobine di filo testurizzatoall'interno di una macchina testurizzatrice e per il loro caricament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371U KR970062371U (ko) 1997-12-10
KR200299319Y1 true KR200299319Y1 (ko) 2003-02-25

Family

ID=11373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0710U KR200299319Y1 (ko) 1996-05-16 1997-05-15 텍스춰가공기내부로부터얀의보빈을자동인출시키며텍스춰가공기외부의운반부재상에보빈을적재시키는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043447U (ko)
KR (1) KR200299319Y1 (ko)
IT (1) IT24066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570A (ko) * 1998-05-12 1999-12-06 김종열 가연기용 원사보빈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7256Y2 (ja) * 1991-09-12 1997-12-10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ファスナー付袋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5570A (ko) * 1998-05-12 1999-12-06 김종열 가연기용 원사보빈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371U (ko) 1997-12-10
JP3043447U (ja) 1997-11-18
ITMI960366U1 (it) 1997-11-16
IT240663Y1 (it) 200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73856A (en) Apparatus for logistical operations with textile machinery
US4932201A (en) Method to engage and insert sliver into free fiber spinning units and device which employs the method
KR20070005478A (ko) 물품 수납 설비
US4721262A (en) Textile machine for producing cross-wound bobbins
US5715669A (en) Bobbin transporting system for roving and spinning machines with apparatus to exchange bobbins of differing pitches
KR960014816B1 (ko) 패키지 교환용 도퍼
US5147026A (en) Device to transfer roving packages with the roving pre-positioned
EP0361306B1 (en) Automatic sliver piecing in textile machine
KR200299319Y1 (ko) 텍스춰가공기내부로부터얀의보빈을자동인출시키며텍스춰가공기외부의운반부재상에보빈을적재시키는장치
EP0276569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articles
EP0276651A1 (en) Programmable robot of the wireguided or radio-controlled type, for loading and unloading automatically empty spools and filled spools into and from wire winding machines
US3067567A (en) Automatic bobbin transfer device
CN102583113B (zh) 纱盘转运设备
KR100344014B1 (ko) 실패제거장치
GB2300866A (en) A device for transporting bobbins in a textile machine
JPH04352824A (ja) 粗紡機における玉揚装置
JPH0726260B2 (ja) 長繊維及び短繊維用スピンドル台上のボビンを自動的に除去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KR940011301B1 (ko) 멀티스테이션 섬유기계에서 권사장치를 자동적으로 운전하는 방법
US6283400B1 (en) Cheese-producing textile machine
JPH06211431A (ja) 紡糸巻取機のパッケージ排出装置
JP2725007B2 (ja) 粗糸ボビン搬送装置
US5127788A (en) System for transporting bobbins between spinning machines
EP4361074A1 (en) Yarn processing system and work robot
KR101770060B1 (ko) 무인운반차
JPS63176270A (ja) ボビンの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