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4364A -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4364A
KR19990084364A KR1019980016041A KR19980016041A KR19990084364A KR 19990084364 A KR19990084364 A KR 19990084364A KR 1019980016041 A KR1019980016041 A KR 1019980016041A KR 19980016041 A KR19980016041 A KR 19980016041A KR 19990084364 A KR19990084364 A KR 199900843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hair
seaweed
present
dr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0673B1 (ko
Inventor
조기원
Original Assignee
조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기원 filed Critical 조기원
Priority to KR1019980016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0673B1/ko
Publication of KR19990084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4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6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0Fish, e.g. seahorses; Fish eg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8Molluscs, e.g. fresh-water molluscs, oysters, clams, squids, octopus, cuttlefish, snails or s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2Juglandaceae (Walnut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5Perilla (beefsteak 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두분 1.5∼25 %, 대두분 15∼41 %, 흑미분 1∼15 %, 들깨분 2∼30 %, 참깨분 1.5∼30 %, 호두분 1.2∼20 %, 김분 1∼15 %, 홍합분 1.5∼30 %, 굴분 2∼25 %, 멸치분 1.5∼15 %, 미역분 1∼20 %, 다시마분 1.2∼30 %, 효모농축액 또는 이의 건조분 3∼30 %을 혼합하여 제조된 발모제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는 우수한 탈모방지 및/또는 발모촉진 효과 뿐만 아니라 비듬, 변비, 기미 및 숙변의 감소 또는 치유에도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천연 식품을 주 원료로 하여 한방적으로 제조된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신체의 원활한 신진 대사를 통해 두피에 많은 영양을 지원하여 국소를 자극하여 혈행을 촉진함으로써, 탈모의 억지는 물론 발모를 촉진하고, 변비, 기미, 비듬, 숙변, 숙취 등을 치료할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탈모는 과거 중,장년층에 주로 나타났지만, 현재는 과학문명의 발달과 함께 주로 과로, 환경, 식품 등에 의한 발명 원인으로 20 - 30 대의 젊은 층에서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탈모원인은 스트레스, 샴푸나 무스 사용, 파마나 염색 및 드라이에 의한 모발과 두피 손상, 비듬이나 피지 분비의 불균형, 유전적인 요인으로부터 탈모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그 중에 두피의 영양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탈모방지나 발모제로서, 국내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등 동양권의 한방에 근원을 두거나, 미국, 유럽 등 서구에서 양약에 근원을 둔 많은 종류의 발모제가 제안되었고, 이들은 경구적으로 복용하거나 또는 두피에 직접 바르거나 스프레이식으로 분무하는 형태를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제안된 발모제들은 두피의 혈행을 자극하여 탈모를 방지하거나 발모를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알려져 있으나, 많은 경우에 그 효과는 입증되지 못하거나, 효과가 없거나 극히 미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어떠한 부작용이 없이 우수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발모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한방학적으로 탈모방지효과 및 발모촉진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거나 추정되거나 연구를 통해 알아낸 천연물질에 대하여 그 가공 방법 및 혼합 비율을 중심으로 한방학적으로 많은 연구를 하였으며, 그 결과, 본 발명에 개시된 천연 식품들을 이들의 영양분이 손상되지 않게 가공하여 특정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물이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에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녹두분, 대두분, 흑미분, 들깨분, 참깨분, 호두분, 김분, 홍합분, 굴분, 멸치분, 미역분, 다시마분, 효모농축액 또는 이의 건조분을 혼합하고, 경우에 따라 물 등의 용매를 첨가하여 성형하고, 결과된 혼합물을 -30 내지 90 ℃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것으로 구성된 발모제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발모제의 제조 방법은, 중량%로 표현하여, 녹두분 1.5∼25 %, 대두분 15∼41 %, 흑미분 1∼15 %, 들깨분 2∼30 %, 참깨분 1.5∼30 %, 호두분 1.2∼20 %, 김분 1∼15 %, 홍합분 1.5∼30 %, 굴분 2∼25 %, 멸치분 1.5∼15 %, 미역분 1∼20 %, 다시마분 1.2∼30 %, 효모농축액 또는 이의 건조분 3∼30 %을 혼합하고, 경우에 따라 물 등의 용매를 첨가하여 성형하고, 결과된 혼합물을 -30 내지 90 ℃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혼합 분말 또는 성형된 조성물은 5% 이하의 물을 함유할 때까지 -30 내지 90 ℃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 방법에서, 용매는 물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 음용가능한 알콜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녹두분, 대두분, 흑미분, 들깨분, 참깨분, 호두분, 김분, 홍합분, 굴분, 멸치분, 미역분, 다시마분, 효모농축액 또는 이의 건조분으로 구성된 발모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는, 중량%로 표현하여, 녹두분 1.5∼25 %, 대두분 15∼41 %, 흑미분 1∼15 %, 들깨분 2∼30 %, 참깨분 1.5∼30 %, 호두분 1.2∼20 %, 김분 1∼15 %, 홍합분 1.5∼30 %, 굴분 2∼25 %, 멸치분 1.5∼15 %, 미역분 1∼20 %, 다시마분 1.2∼30 %, 효모농축액 또는 이의 건조분 3∼30 %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발모제는 정제, 환 또는 미소과립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분말 또는 미소과립을 캡슐에 충전하여 제조된 캡슐제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는, 인체에 어떠한 부작용을 주지 않는 천연 원료를 사용하여 한방학적으로 제조되었으므로 인체의 어떠한 부작용이 없을 뿐만 아니라, 본원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또는 발모촉진은, 복용 1-2개월 후에 탈모가 현저하게 감소 또는 저지되었고 복용 3-5개월부터 발모가 시작됨으로써, 상당히 짧은 기간 내에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다. 전술한 발모 개시기간은 대부분의 경우에는 복용 3-5개월 후이지만, 탈모량이나 탈모되었던 기간에 따라 차이가 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본원발명에 따른 발모제는 상술한 탈모방지 및/또는 발모촉진 효과 뿐만 아니라, 전술한 기간과 거의 유사한 시기에 복용자들이 가지고 있을 수도 있는 변비, 비듬, 가려움증도 또한 현저하게 감소시키거나 치료한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본원발명의 발모제의 복용 6-10 개월 경에는, 정상적인 모주기에 의해 노화된 머리가 빠지고 그 모공에서 새로운 머리가 성장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탈모율이 60% 수준 이상이고 탈모기간이 10여년이 경과한 경우, 모발에 영양을 공급해주는 혈관이 퇴화되고 모유두 (母乳頭, papilla)와 모모세포(毛母細胞, Germinative cell)가 대부분 퇴화되어 있는 수가 많으므로 길게는 복용 시작후 20여개월 이상이 경과되어 발모가 시작되는 경우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어류와 패류, 해조류 등 수산물은 일반적인 산물을 이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양식이 아닌 천연채취 제품으로 오염되지 않은 양질의 것을 선별, 저온건조하여 사용하한다. 이때 이들의 건조온도는 -30 ℃ 내지 85 ℃에서 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그 이상의 온도에서는 각종 영양소가 파괴되어 식품 본래의 특정 성분을 잃어버려 그 효과는 반감되거나 소실된다.
곡류 및 서류도 일반적인 산물을 이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잔류 농약이 없는 국내산만을 선별, 세척하여 85 ℃ 이하에서 건조하여 분말화한다.
이들의 가공방법은 크게 차이는 나지 않지만, 원료에 따라 바람직한 가공방법은 다음과 같다.
해조류 중 다시마는 요오드, 칼슘, 비타민 A 와 B1 등이 풍부하고, 미역과 김은 단백질, 지질탄수화물, 비타민 A, B1, B12, 나이아신이 풍부하며, 특히 김에는 철분 등 영양과 미네랄이 풍부하고 미역은 출산 후 부인들이 혈액 정화제로서 많이 식용하고 있다. 이들의 가공방법으로는 먼저 불순물을 제거하고 60 ℃ 이하의 온도에서 수분이 5% 이하가 될 때까지 충분히 건조한 다음 입자의 크기가 60 mesh 이하가 되도록 곱게 분쇄한다.
어패류 중에서 굴은 바다의 우유로 칭할 정도로 각종 영양소가 골고루 함유되어 있는데 이를 고온에서 건조할 경우 영양소가 파괴되어 본래의 가치를 손산받게 되므로 냉동건조나 50 ℃ 이하의 열풍 또는 진공 건조한다. 홍합은 자연건조품을, 생홍합의 경우는 굴과 동일한 방법으로 건조한 것을 해조류와 동일하게 분쇄한다. 어류인 멸치는 자숙하여 건조된 중멸치와 대멸치를 혼합비율 2:8 내지 7:3의 비율로 혼합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이를 70 내지 95 ℃의 온도에서 5% 이하의 수분이 함유하도록 건조한 후 분쇄한다.
다음으로, 농산물 중 두류인 녹두와 대두는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등 각종 영양소가 풍부하여, 밭의 소고기로 알려져 있으며, 한방에서는 열을 다스리고 독을 풀며 장과 위를 탄튼하게 하고, 껍질에도 많은 효능이 있어 가공시 껍질을 제거하지 안고 원두 그대로 사용하는데, 물로 세척하여 불순물과 잡석을 제거하고 40 내지 60 ℃의 열풍건조기에서 충분히 건조하여 80 mesh 이하로 분쇄한다.
흑미로서는 현미를 사용하는데, 이를 세척하고 건조한 다음, 120 mesh 이하로 분쇄한다.
호두는 각질만 제거하고 그대로 사용하며, 들깨, 참깨 (검정깨)는 물로 세척하며 먼지와 돌, 잡물을 제거하고 60 ℃ 이하의 저온에서 수분을 제거하고 80 mesh 이하로 분쇄한다. 호두와 깨는 지방과 단백질 등 풍부한 필수 영양분 외에도 비타민 E, 세사몰린, 시스틴, 단백질 속의 글로불린, 지방속의 올레인산, 리놀렌산, 아라키돈산 등 인체에 필요한 각종 영양소가 가득 들어 있으며, 한방에서도 백발 방지용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효모는, 생효모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효능 증대를 위하여 산, 알칼리 또는 효소로 분해하여 정제한 것을 사용하고, 제빵용 효모 및 고미 성분과 불순물을 제거한 맥주효모도 사용할 수 있다. 효모는 이스트균을 발효법으로 증식하여 만든 것으로 단백질과 각종 아미노산 등이 정제(분해) 과정에서 생성, 고기능을 지닌 영양이 매우 우수한 제품이다.
효모는 액상을 농축하거나 건조하여 분말을 사용한다.
본원발명의 발모제를 구성하는 성분들은 분말의 혼합을 위해 사용되는 전통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또는 함께 혼합할 수 있으며 종래의 혼합기, 반죽기, 혼련기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결과된 혼합물은 적당한 형태로 성형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물을 첨가하여 혼련한 후 성형할 수 있다. 이때 음용가능한 용매, 예를들면 알콜을 물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성형은 종래의 성형 기법에 따라 정제, 환 또는 미소과립의 형태로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는 기존에 공지된 모든 형태로 성형될 수 있으며, 상기 언급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발모제는 한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성분 및 양약학적으로 이용되는 살균제, 항생제, 부패방지제, 산화방지제 등을, 본발명의 발모제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는 경구로 투여되며, 하루에 1 내지 5회, 1회에 100 내지 5000 mg,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000 mg 을 투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처럼, 본 발명의 발모제는 천연 산물을 원료로 이용하였기 때문에, 하루 또는 1회의 투여량 및/또는 투여기간에 대해서는 특정한 제한이 없음은 물론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녹두분 3%, 흑미분 3% (이하 w/w 기준), 들깨분 5%, 참깨분 12%, 대두분말 4%, 호두분 6% 을 혼합한 후, 김분말 7%, 홍합과 굴분말 각각 10%, 다시마분 9%, 미역분 2%를 가하고, 여기에 액상의 효모 눙축액을 20%의 양으로 첨가해서 반죽하여 과립기를 통해 과립화한 후, 이를 초기 90℃에서 약 30분 동안 건조시키고, 다시 이를 80 ℃로 두시간 동안 건조하여 수분 5% 이하의 과립형 완제품을 얻었고, 또 이를 500 mg 의 캡슐에 충진하여 캡슐 제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참깨분 15%, 들깨분 3%, 호두분 3%, 다시마분 30%, 녹두분 2%, 대두분말 2%, 홍합분 3%, 굴분말 3%, 김과 미역분 각각 1%, 멸치분 15%, 흑미분 3%, 효모분 7% 를 혼합하고, 여기에 소량의 물을 가하여 반죽하여 정제를 제조하고, 이를 80 ℃에서 건조하여 정제 제품을 얻는다.
실시예 3
맥주 효모를 정제하여 제조한 효모눙축액 30% (고형분 함량 55%)에 멸치, 홍합, 굴분만 각각 5%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김분 3%, 녹두와 대두분 5%, 들깨와 참깨 각각 3%, 호두분 22%, 미역 5%, 다시마분 2%, 흑미분 7%를 혼합한 후 과립화하여 건조해서 과립제품을 얻었다.
실시예 4
녹두분 25%, 홍합분 30%, 참깨분 15%, 미역, 다시마, 멸치, 대두, 굴, 김 및 들깨분 각각 1.5%, 효모분 3%, 녹두분 10%를 혼합하고 이를 50℃의 열풍건조기에서 건조하여 분말제품을 얻었으며, 이를 하드캡슐에 충진하여 복용이 용이하도록 캡슐 제품을 얻었다.
실시예 6
액상의 효모농축액과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을 7:3 으로 균일하게 장시간 혼합한 후, -30 ℃ 이하의 냉동건조기에서 건조한 것을 12%, 김분 15%, 대두분 41%, 참깨 9%, 들깨분 5%, 멸치 및 홍합분 각각 3.5%, 녹두 1.5%, 호두와 미역 및 다시마분 각각 1.2%, 굴분 2%, 흑미분 3.9%를 균일하게 혼합한 후 여기에 약간의 수분을 첨가하여 수분 3% 이하의 완제품을 얻었다.
시험예 1
탈모율이 60% 이하인 지원자 30명을 5명씩 6군으로 나누어, 상기 실시예들에서 제조한 발모제를 복용시켰다. 복용기간에 따라 탈모가 방지되고 발모가 개시되는 것이 관찰되는 인원의 수를 하기 표 1에 기재한다.
기간(개월) 2 4 6 8 10 12 14 16 18 20 22 24
실시예 1 - 1 3 - - 1
실시예 2 1 - - - 1 - 3
실시예 3 1 1 1 - - 1 - 1
실시예 4 - 2 - - 3
실시예 5 - - 2 - 1 - - 1 - - 1
실시예 6 - - - 2 1 1 - - - 1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본원발명의 발모제를 복용한 지원자 30 명 전원이 발모기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정상인과 동일하게 탈모방지 후 모발이 생성 성장함으로써, 본원발명의 발모제가 우수한 탈모방지 및 발모효과가 있음을 알수 있다. 여기서 지원자들의 발모 개시 기간의 차이는 탈모율과 탈모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시험예 2
비듬, 변비, 기미, 숙변이 있는 지원자들에게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본원발명의 발모제를 복용시켜, 비듬, 변비, 기미, 숙변의 감소 또는 치료 효과를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기재한다.
복용기간/군별 A군 B군 C군 D군
1개월 8 28 3 12
2개월 6 2 7 6
3개월 3 8 3
4개월 2 - 1
5개월 - - -
표 2에서, A, B, C 및 D 군들은 각각 다음과 같다:
A군: 비듬이 심한 남성 및 여성 패널 20명
B군: 변비가 심한 여성 패널 30 명
C군: 기미가 심한 여성 패널 20 명
D군: 숙변 및 비만이 심한 남성 패널 25명
상기 표 2의 실험 결과로부터, 비듬에 대해서는 지원자의 95% 이상이 효과를 보였으며, 변비에 대해서는 복용 1 개월 내에 지원자들 거의 모두가 치유 효과를 보였으며, 특히 대부분이 1 내지 2 주일 이내에 변비 해소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기미에 대해서는, 지원자들의 체질에 따라 효과가 나타나는 시기에서 차이가 있었지만, 지원자들의 90% 이상이 3개월 이내에 효과를 보였다.
숙변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지원자가 복용후 일시적으로 체중이 3 kg 이상 급격히 감소하였고 대변량이 급격히 증가하였는데, 변의 색상과 양을 기록하여 측정하였을 때 지원자의 88% 이상이 숙변 치유에 탁월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본 발명은 천연 산물로부터 제조되어 어떠한 부작용없이 우수한 탈모방지 및/또는 발모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발모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모제는 상술한 우수한 효과외에도 비듬, 변비, 기미 및/또는 숙변의 감소 또는 치유 효과도 우수하다.

Claims (7)

  1. 녹두분 1.5∼25 %, 대두분 15∼41 %, 흑미분 1∼15 %, 들깨분 2∼30 %, 참깨분 1.5∼30 %, 호두분 1.2∼20 %, 김분 1∼15 %, 홍합분 1.5∼30 %, 굴분 2∼25 %, 멸치분 1.5∼15 %, 미역분 1∼20 %, 다시마분 1.2∼30 %, 효모농축액 또는 이의 건조분 3∼30 %을 혼합하고, 물 등의 용매를 첨가하여 성형할 수 있으며, 혼합물을 -30 내지 90 ℃의 온도에서 건조시키는 것으로 구성된, 발모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정제, 환, 또는 미소과립 형태로 성형되거나 분말 또는 미소과립을 캡슐에 충진하여 캡슐제의 형태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용매가 물 또는 물과 알콜의 혼합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5% 이하의 물을 함유하도록 건조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녹두분 1.5∼25 %, 대두분 15∼41 %, 흑미분 1∼15 %, 들깨분 2∼30 %, 참깨분 1.5∼30 %, 호두분 1.2∼20 %, 김분 1∼15 %, 홍합분 1.5∼30 %, 굴분 2∼25 %, 멸치분 1.5∼15 %, 미역분 1∼20 %, 다시마분 1.2∼30 %, 효모농축액 또는 이의 건조분 3∼30 %를 혼합하여 제조된 발모제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정제, 환, 미소과립, 또는 분말 또는 미소과립을 캡슐에 충전하여 제조된 캡슐제의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비듬, 변비, 기미 및 숙변 중의 하나 이상을 치유하기 위한, 제4항에 따른 조성물.
KR1019980016041A 1998-05-06 1998-05-06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60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041A KR100260673B1 (ko) 1998-05-06 1998-05-06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041A KR100260673B1 (ko) 1998-05-06 1998-05-06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364A true KR19990084364A (ko) 1999-12-06
KR100260673B1 KR100260673B1 (ko) 2000-07-01

Family

ID=19537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041A KR100260673B1 (ko) 1998-05-06 1998-05-06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06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3107A (ko) * 2001-10-08 2001-11-23 이혜복 갯벌의 점액성분을 함유하는 발모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0025358A (ko) * 2000-09-28 2002-04-04 이 행 우 발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20095855A (ko) * 2001-06-16 2002-12-28 표점덕 한약재를 원료로 한 백발 치유 보조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5332A (ko) * 2000-07-10 2002-01-17 정상훈 탈모증 치료용 키트
KR20020059906A (ko) * 2001-01-09 2002-07-16 황성연 흑모용 건강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78595B1 (ko) 2008-11-28 2011-11-01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녹두 발효-효소 처리액을 함유하는 비듬증 개선, 탈모 방지및 육모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2250513B1 (ko) * 2019-05-06 2021-05-11 서길원 탈모 및 발모를 개선하는 건강보조식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358A (ko) * 2000-09-28 2002-04-04 이 행 우 발모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020095855A (ko) * 2001-06-16 2002-12-28 표점덕 한약재를 원료로 한 백발 치유 보조제
KR20010103107A (ko) * 2001-10-08 2001-11-23 이혜복 갯벌의 점액성분을 함유하는 발모제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0673B1 (ko) 200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71046A (zh) 关节炎的预防或治疗剂
CN101190012A (zh) 彩色营养香米的制备方法
CN109744410A (zh) 一种保肝护肠的金鲳鱼育肥饲料及其制备方法
CN103976202B (zh) 一种可食用胶原蛋白果冻及其制备方法
KR100260673B1 (ko)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348365A (zh) 一种新型纳豆多肽保健食品
KR100568604B1 (ko) 수산물 통조림 및 그 가공방법
CN1498544A (zh) 保健生物工程奶及其配套方法和产品
KR20080110129A (ko) 영양성분과 성장촉진성분의 균형을 취한 성장촉진용식품조성물
CN107865267A (zh) 一种南美白对虾饲料添加剂的制备方法
KR100802196B1 (ko) 꿀과립의 제조방법 및 식품 첨가용 꿀과립
KR101895282B1 (ko) 프로폴리스를 이용하는 청국장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청국장
US20080193597A1 (en) Food supplement comprising spirulina and a plant-based product of the aloe genus, and the cosmetic use thereof
KR101834638B1 (ko) 대추를 주원료로 하는 기능성 다식 제조방법
CN104397695B (zh) 一种海参番茄红素茶多酚片及其制备方法
KR20040045146A (ko) 숙취 제거 및 피로회복을 위한 생약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건강보조식품
CN102333529A (zh) 含有辅酶q10的口服摄取用组合物
KR20090038222A (ko)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9480110A (zh) 一种用于育肥猪保健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223077A (zh) 增智菇茶及其制备方法
KR100798046B1 (ko) 건강 식품 및 그 제조 방법
CN109275791A (zh) 人参饲料添加剂
CN111280452A (zh) 一种新型纳豆多肽保健食品
CN114404515B (zh) 一种甲鱼胶囊
KR102404381B1 (ko) 유효성분 강화 농산물 재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1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