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3107A - 갯벌의 점액성분을 함유하는 발모제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갯벌의 점액성분을 함유하는 발모제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3107A
KR20010103107A KR1020010061944A KR20010061944A KR20010103107A KR 20010103107 A KR20010103107 A KR 20010103107A KR 1020010061944 A KR1020010061944 A KR 1020010061944A KR 20010061944 A KR20010061944 A KR 20010061944A KR 20010103107 A KR20010103107 A KR 20010103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mucus
extract
present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1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복
Original Assignee
이혜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복 filed Critical 이혜복
Priority to KR1020010061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103107A/ko
Publication of KR20010103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310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주성분으로서 갯벌의 점액성분과 보조성분으로서 미나리 추출액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발모제는 두피에 도포시 피지의 제거와 모발이 쉽게 탈락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머리전체의 모양, 머리감을 때 탈락정도, 머리카락 굵기 변화, 비듬의 감소, 머리카락 윤기 등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는 장기 사용에 따른 부작용이나 피부 자극은 전혀 없다.
본 발명은 또한 갯벌의 점액성분과 미나리 추출액을 적절히 혼합하여 제조되는 발모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갯벌의 점액성분을 함유하는 발모제 및 그의 제조방법 {Agent for hair growth and restoration containing mucous ingredients from tideland as a main component}
본 발명은 발모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탈모를 감소·예방하고 발모를 촉진하기 위해 주성분으로서 갯벌의 점액성분 및 보조성분으로서 미나리 추출액을 포함하는 발모제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주성분이 케라틴이라는 단백질과 수분, 비타민, 무기질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색을 결정하는 멜라닌 색소를 함유하고 있다. 모주기는 남성은 2∼5년, 여성은 4∼6년의 주기를 갖는데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를 갖고 있으며, 머리카락은 한달에 1∼1.5cm 자라고, 그 숫자는 대개 10∼12만개이며, 하루 50∼100 가닥 빠지는게 정상이다. 이러한 모주기가 짧아지거나 모발이 평균 이상으로 빠지는 것을 '탈모증'이라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후천성 탈모증의 원인은 대개 지루설(脂漏設), 발모 억제 인자설, 혈액 부전설 등의 3가지가 있는데 이들 중 지루설이 가장 설득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모발은 대별하여 혈관을 통해 영양을 공급받는 모유두(毛乳頭)를 갖는 모전세포(毛田細胞) 부분의 모구(毛球)와 상기 모전세포를 연속해서 잇는 부분측의 주위에 피지선(皮脂腺)을 갖는 모근(毛根)과 피부의 표피 부분인 모간(毛幹)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모근에는 피지(皮脂)를 분비하는 피지선이 있는데 이 피지선에 이상이 생겨 머리카락이 빠지는 것이 지루설이며, 원래 피지는 모발을 윤택하게 하는 역할을 하지만 분비량이 많아지면 출구가 막히게 된다. 그에 따라서 출구를 잃은 피지는 그대로 산화되어서 과산화지질로 변해 모발 생산의 중추역할을 하는 모전세포의 활동을 둔화시키게 된다. 이 때문에 피지는 왁스형태의 유리지방산으로 굳어져 모전세포의 대사 작용을 저하시킴으로써 새로운 머리카락의 생성을 막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머리에 기름기가 생기고 비듬이 생겨 가려워지게 됨에 따라 결국에는 머리카락이 빠지게 된다. 이와 같은 현상은 일반적으로 20대부터 서서히 나타나고 있다.
이외에도, 탈모증은 정신적 스트레스, 호르몬분비 불균형, 화학요법, 고열을 동반한 질병, 물리적 압박 및 노화등을 포함한 인자에 의해 유발되기도 한다. 이러한 탈모증은 생명을 위협하는 질병은 아니지만 외모를 중시하고 영상문화가 발달된 사회적 환경에서는 개인의 사기저하를 유발하고, 정신건강을 저해하므로 탈모증 치료제 및 치료방법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있어왔다.
탈모증 치료를 위한 종래의 발모제로서는 한약제를 배합하여 만들거나 동물의 피부에서 추출된 다당체를 주원료로 하는 제품, 고혈압 치료제인 미녹시딜을 주성분으로 하여 만들어진 제품, 황토, 다시마, 쑥, 솔잎, 검은콩 등 천연원료를 이용한 제품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제품들은 탈모를 일시적으로 치료하는 효과가 있지만, 탈모가 재발되는 등 만족할 만한 효과를 발휘하지는 못하는 상태이다. 또한 거의 또는 완전히 탈모된 사람에게는 거의 효과가 없다.
이외에도, 치료방법으로서 침술을 이용하여 경락혈을 자극하거나 직접 두피에 모발을 심는 등의 방식이 적용되어 왔으나 큰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발모제는 장기 사용함에 따른 부작용이나 피부 자극과 같은 안전성이 높을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발모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탈모의 현상과 원인에 대하여 지루설의 입장에서 과산화지질로 변한 피지를 제거하고 모발이 쉽게 탈락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가장 좋은 최선책으로 판단하여 과산화지질로 변한 피지의 제거를 갯벌의 미소저서 조류인 규조류를 이용하여 분해시키고, 미나리 추출액에 함유되어 있는 금속(아연, 철, 칼슘 등) 성분을 모세혈관에 흡수시켜 모발이 쉽게 탈락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발모제를 제조하고, 본 발명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갯벌의 점액성분과 미나리 추출액을 함유하는 발모제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발모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모제는 주성분으로서 갯벌의 점액성분을 총 중량기준으로 10∼90중량% 및 보조성분으로서 미나리 추출액 5∼50중량%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발모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오이, 호박, 콩나물 추출액이나 각종 비타민류, 미네랄, 아미노산류 등, 또는 기타 피부보호를 위해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영양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갯벌은 그 가치와 중요성이 각종 매체를 통해 일반 대중에게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갯벌에는 다양한 생물군, 예를 들면 저서생물, 간극생물, 갯벌식물 등이 서식하는데, 갯벌식물로는 염생식물, 해조류, 미소저서 조류 등이 있다. 미소저서 조류는 갯벌 조간대에 남조류, 규조류, 편모조류가 같이 나타나거나 대치되기도 하는데 규조류 중에서도 파랄리아(paralia), 나비쿨라(navicula), 니치아(nitzschia), 암포라(amphora), 코코네이스(cocconeis)를 비롯하여 많은 속(屬)이 알려져 있다.
부착성 미소규조류는 갯벌 퇴적물의 표면을 생활기반으로 하는 현미경적인 크기의 1차 생산자이다. 규조류는 식물이지만 운동성이 높아 퇴적물 알갱이 사이의 빈틈을 통한 이동이 가능하다. 조수가 밀려올 때는 펄속으로 잠입하고 조수가 빠지면 표면으로 모여든다. 갯벌의 표면은 그들이 가지고 있는 색소의 종류에 따라 갈색이나 녹색, 녹갈색 등을 띠게 된다. 갯벌의 표면에 사는 규조류는 생산자이면서분해자이기도 하다. 환경정화 능력은 익히 알려져 있으며, 그 주된 역할을 하는 것이 규조류이다. 이러한 갯벌의 정화능력을 이용하는 의약품, 화장품 등 기능성 물질 개발 연구가 활발한 실정이다.
규조류는 황조식물의 1강(岡)으로 분류하기도 하고 규조식물문으로 독립시키기도 한다. 규조류는 껍질표면 무늬에 따라 중심규조목, 우상규조목으로 나누며, 몸속에는 많은 세포액이 있으며, 색소체로는 엽록소와 규조소가 있고 동화산물은 녹말이 아니고 지방과 볼루틴(volutin)이라는 다당류이다.
생체고분자는 생물이 생산하는 고분자물질로서 주로 수용성이나 불용성인 다당류가 주된 구성물질이다. 특히 다당류(polysaccharides) 및 그 유도체는 이미 알려진 식물이나 해조류에서 유래된 천연 다당류 또는 합성 고분자와는 달리 독특한 물성을 지니며 독성이 낮으며, 생분해성이 있어 환경에 적합하며 학문적 연구 및 산업적 응용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미세조류가 생산하는 다당류는 세포에서의 기능에 따라 3가지 형태로 분류되는데 폴리-β-히드로부틸레이트(PHB) 및 글리코겐과 같이 탄소원 및 에너지원의 저장물질로 이용되는 세포내 다당류, 균류가 생산하는 글루칸(glucan)과 같이 세포벽의 구성성분으로 세포구조를 이루는 구조 다당류, 그외 세포벽의 일부로서 다당류가 세포외로 분비되어 그 주위에 협막을 형성하거나 점질물질로서 세포주위나 배지로 분비되는 세포외 다당류(EPS) 등이 있다.
특히 EPS는 규조류 중 총 지방산의 35% 이상으로 구성되었음이 보고되고 있으며(Veloso, V., A. Reis, L. Gouveia, H. L. Fernandes, J.A. Empis, and J. M.Novais.「Lipid production by Phaeodactylum tricornutum. bioresourse Technol」, 1991), 미세 조류를 항체독성물질인 중금속 등으로부터 보호막의 역할을 한다. EPS는 거대유기분자로 유사하거나 특이적인 빌딩 블럭(buiding block)의 다중결합에 의하여 형성된다. EPS는 황산염과 같은 무기염류 및 아세틸, 숙시닐 등의 유기물을 함유하며, 다당류는 단백질의 경우 올리고당(oligosaccharide)과 함께 글리코실화(glycosylation)되어 글리코 단백질(glycoprotein)을 형성하거나 지방산과 결합하여 리포 단백질(lipoprotein)을 형성한다.
해양으로부터 유래되는 EPS에 대한 연구는 1942년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가 생성하는 다당류인 덱스트란(dextran)이 혈장증량제로 개발된 이래 크산탄검(xanthan gum), 풀룰란(pullulan) 등을 비롯한 여러 가지 다당류에 대해 기초 및 응용 연구되어 왔고, 이러한 EPS는 조건에 따라 식품산업(셀러스, 소스, 치이즈, 푸딩 등) 외에 연마제, 접착제, 분무제, 세라믹제, 화장품, 잉크, 중금속흡착, 항종양활성, 인공관절, 피부피복제로서의 용도가 보고되었으며, 최근 세균, 남조류, 미세조류 등에서 유사한 다당류가 생산되고 있다.
미국 에너지성(SERI)은 규조류를 대상으로 지질의 생합성 경로를 밝혔는데 지질의 축적은 광합성으로 고정된 탄소와 비지질성의 화합물이 지질로 전환되어 일어난다. 지질의 축적과 동시에 지방산 생합성률을 조절하는 효소로 알려진 아세틸-CoA 카보실라아제의 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Barclay, W., C. Wyman, R. A. Lewin, and D. Cheng, 「Development of microalgal systems for the production of liquid fuels」, pp55-64, 1988 In stadler(eds.), AlgalBiotechnology.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
본 발명에서는 탈모의 원인이 되는 비듬을 제거하고 점착능 수분함유 등을 통한 가느다란 모발의 성장을 돕기 위해, 규조류의 점액성분을 이용하는데 이러한 규조류의 점액성분은 EPS이다.
특히 규조류에서는 손상된 세포의 재생에 필수적인 실리콘을 세포막으로 수송하는 단백질 조절유전자가 있으며, 이 단백질 조절유전자는 탈모에 의한 모발재생을 위한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규조류가 분비하는 점액성분은 오염물질과 섞여 그들을 분해하는 역할을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갯벌의 점액성분을 이용하여 모발 피지를 분해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규조류 원액을 함유하는 갯벌의 점액성분은 과잉 분비된 피지가 산화되어 모구를 막는 피지를 녹여서 모구가 막히지 않도록 하여 탈모를 예방하고, 모발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첨가된다. 이러한 점액성분은 해수에서는 약전해질의 전기적 성질을 통해서 약하게 결합되고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의 보조성분으로 첨가되는 재료인 미나리는 습지나 물가에서 자라며 영양번식을 하는 다년초로서, 중금속을 흡수 제거하는 기능이 있어 생활폐수가 유입되는 곳에서도 생육에 저해를 받지 않고 잘 자란다. 실제로 미나리를 사진 인화폐액으로부터 은을 회수하는데 이용한 바도 있으며, 소규모 생활폐수의 정화시설에 사용하였다는 보고도 있었다. 중금속은 식물에서 효소의 보조인자로 사용되는 등 필수 원소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세포내에 일정한 농도 이상으로 존재하면 식물의 생리대사를 저해한다. 카드뮴, 수은, 납, 구리와 같은 중금속 이온들은 뿌리를 통해 식물에 흡수되고 줄기나 잎으로 이동하여 효소나 구조단백질에 결합함으로써 식물의 물질 대사를 방해한다. 그러므로 식물은 이들 중금속의 흡수를 저해하거나 흡수된 중금속을 세포 소기관에 격리 저장하거나, 중금속 결합 물질에 결합시켜 세포 내의 중금속의 농도를 일정한 수준 이하로 유지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기능 중 가장 대표적인 중금속 결합 단백질은 파이토켈라틴 (phytochelatin)으로 카드뮴과 같은 중금속들에 의해 합성이 유도되며 중금속과 높은 친화력을 갖고 있다. 파이토켈라틴은 고등식물과 조류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중금속 결합 단백질 중에서도 카드뮴 결합 단백질이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다.
미나리의 중금속 흡수에 대한 연구로서 "박영일·김희근·김유영·김인수., 「미나리의 중금속 흡수량 측정 및 중금속 결합단백질의 동정」 한국농화학회지 제39권 제6호, 1996"에는 미나리의 탁월한 중금속 결합능력과 함께 환경정화에 이용할 수 있음이 개시되어 있다.
중금속 흡수 외에도, 미나리는 청혈, 해독, 신경통, 류머티스, 혈압강화, 암예방(면역세포증가) 효과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나리는 또한 하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종 철, 나트륨, 카로틴, 비타민 등 다양한 영양을 함유하고 있다:
(가식부 100g 당) (농촌진흥청 발췌자료)
영 양 함 량 영 양 함 량
생 것 데친것
생 것 데친것
에너지 (Kcal)에너지 (KJ)단백질 (g)지질 (g)당질 (g)섬유질 (g)칼슘 (mg)인 (mg) 17711.90.12.50.83350 20842.30.12.71.14143 철 (mg)나트륨 (mg)칼륨 (mg)카로틴 (mg)비타민 A (IU)비타민 B (mg)B2 (mg)니아신 (mg)비타민 C (mg) 1.6184001.3007200.040.131.219 1.492101.7009400.020.060.66
모발의 주성분은 케라틴이라는 단백질과 수분, 비타민, 무기질이 주성분으로, 본 발명에서는 모발의 탈락을 막을 수 있도록 미나리 내 중금속 결합 단백질을 이용, 탈모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아연, 철, 구리, 칼슘을 흡수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금속 성분들은 하기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각(굴 등 조개 껍질) 속에 상당량 함유되어 있어, 본 발명에서는 미나리의 금속성분을 함유할 수 있도록 굴껍질 분말을 비료로 시비하여 미나리를 재배하고 채취하여 흐르는 수돗물에 3분간 세척하고 생의 상태로 녹즙기를 이용하여 원액을 추출하여 사용한다.
다량요소 탄산칼슘 질소 오산화인 산화칼륨 산화마그네슘 미량요소 망간 붕소 아연 구리
( % ) 8.6 0.3 0.3 0.2 0.7 ( ppm ) 300 224 90 343 16
상기 성분 중 아연(Zn)은 글루타민산탈수소효소, 젖산탈수소효소, 알카리포스파타제 등 많은 효소에 함유되어 있어서 생체내 대사에 관여하고 있고 아연의 결핍은 미각장애, 설염, 구내염, 피부염, 탈모를 일으키게 된다. 아연의 탈모에 대한 기작은 알려진 바 없으나 모발의 주성분을 이루고 있어, 딱딱해진 피지에 대해서 모발이 탈락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철(Fe)은 적혈구의 헤모글로빈이나 근육의 미오글로빈의 구성성분이며 이들 철단백질은 산소의 체내수송의 관여한다. 철(Fe)의 대사는 체내에서 유용하게 이용되는 관계로 체외로의 손실은 비교적 적다. 철(Fe)의 흡수는 헴(heme) 상태로 흡수된 후 헴이 파괴되어 철(Fe)이 유리되고 세포 내에서 페리틴(ferritin) 형태로 저장되는데 결핍시 빈혈을 일으킨다.
모발을 구성하는 성분 중 구리(Cu)는 금속효소의 성분이고 두피, 골 형성에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미량원소들이 굴껍질에 함유하고 있어서 굴껍질로 부터 추출하여 모근에 공급함으로서 딱딱해진 피지에 견딜수 있도록 함으로써 피지의 활동을 재개시킴과 동시에 쉽게 탈락되는 것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미나리 내 미량원소인 아연, 철, 칼슘 성분이 모세혈관에 흡수되어 모발생성을 유발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i) 갯벌의 점액성분의 추출
서해안 보령지역의 갯벌에서 채취한 갯벌원액을 저농도의 증류수와 혼합하고, 25∼30℃로 온도를 높여주어 점액을 분비하도록 하였다. 다시 세포의 활성을 억제하기 위해 10∼15℃로 온도를 낮추었다. 동일한 방법으로 3회 실시한 후, 초음파기로 충격을 준 후 원심 분리기를 통해 점액질 외의 세포를 모두 제거하여 규조류가 다량 함유된 점액성분을 추출하였다.
ii) 미나리 추출액의 제조
굴껍질 분말을 시비하여 재배된 미나리를 깨끗이 세척한 후, 녹즙기를 이용하여 추출하여 미나리 추출액을 얻었다.
ⅲ) 발모제의 제조
상기 i) 및 ii)에서 얻어진 갯벌의 점액성분과 미나리 추출액을 중량비 7:3으로 혼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시험대상 및 방법
머리카락이 탈모되었거나 진행이 되어 원형탈모로 가고 있는 30명을 대상으로 3회에 걸쳐 발모 실험을 하였다. 각 1회에 8주간으로 하였으며, 1회는 실시예 i)에서 얻어진 갯벌의 점액성분으로만 시험하고(비교예 1), 2회는 실시예 ii)에서 얻어진 미나리 추출액으로만(비교예 2), 3회는 실시예 ⅲ)에서 얻은 갯벌의 점액성분과 미나리 추출액을 혼합(실시예 1)하여 시험하였다.
각 회마다 30명의 피시험자를 두피 전면에 균일하게 젖도록 충분히 도포하는 방식으로 일정한 시간을 정하여 도포하는 유형(유형 1 및 2), 매일 자유로운 시간을 선택하는 유형(유형 3 및 4), 1주일에 2∼4회 자유로운 시간 선택(유형 5)으로 구분하고, 다시 일정한 시간을 정하여 두피에 도포하는 유형 중 1일 2회 이상(유형 1)과 1일 1회(유형 2)로 나누고, 자유로운 시간을 선택하는 유형도 각각 1일 2회이상(유형 3)과 1일 1회(유형 4)로 나누어 모두 5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시험하였다.
시각적 측정을 통해 머리전체의 모양, 머리감을 때 탈락정도, 머리카락 굵기 변화, 비듬의 감소, 머리카락 윤기의 5가지 외형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러한 외형적 변화 관찰은 1주일 단위로 하였다.
시험결과 측정은 상기 5가지 외형적 변화 중 3가지 이상 효과가 있을 시 '○', 2가지 효과는 '△', 1가지 이하일 경우 '×'으로 표시하였다.
평가결과
이하, 각 유형을 설명하고, 유형별 발모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유형 1: 일정한 시간을 정하여 1일 2회 이상 두피에 도포한 유형
사람그룹 1 2 3 4 5 6
비교예 1 × ×
비교예 2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의 사용자 중 4명이 '○'에 해당하였고, 특히 7-8주째에는 상기 5가지 효과가 모두 나타났다.
② 유형 2: 일정한 시간을 정하여 1일 1회 이상 도포한 유형
사람그룹 1 2 3 4 5 6
비교예 1 × × ×
비교예 2 × × × ×
실시예 3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의 사용자 중 3명이 '○'에 해당하였고, 탈락 억제 효과 및 재생, 비듬의 감소, 머리카락 굵기 변화가 있었다. '△'인 경우에는 머리카락 탈락의 감소, 비듬감소의 효과가 있었다.
③ 유형 3: 자유로운 시간을 선택하여 1일 2회 이상 도포한 유형
사람그룹 1 2 3 4 5 6
비교예 1
비교예 2 ×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의 사용자 중 5명이 '○'에 해당하였고, 5가지 효과 모두가 나타났으며, '△'인 경우 머리카락 탈락의 감소, 비듬의 감소가 있었다.
④ 유형 4: 자유로운 시간을 선택하여 1일 1회 이상 도포한 유형
사람그룹 1 2 3 4 5 6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사용자 중 4명이 '○'에 해당하였고, 탈모의 감소, 비듬의 감소, 머리카락 굵기 변화가 있었으며, '△'인 경우 탈락의 감소, 비듬의 감소가 있었다.
⑤ 유형 5: 1주일에 2∼4회 자유로운 시간을 선택하여 도포한 유형
사람그룹 1 2 3 4 5 6
비교예 1 × ×
비교예 2 × ×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사용자 중 4명이 '○'에 해당하였고, 5가지 효과 모두 나타났으며, '△'인 경우 비듬의 감소, 머리카락 굵기의 변화가 있었다.
상기 시험결과로부터 갯벌의 점액성분과 미나리 추출액의 혼합액(실시예 1)에서 가장 효과가 있었고,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도포 초기에는 비듬의 감소, 머리카락 윤기의 효과가 나타나고, 4∼5주 정도가 되면 머리카락이 굵어지고 탈락이 줄어들면서, 7∼8주쯤 되면 머리전체에서 탈락된 부분이 재생되어 형태가 변하는 현상이 있었다.
대개 주기적으로 도포하는 것 뿐 아니라, 1일 수차례 자유로운 시간을 선택하여 도포하는 것도 효과가 있었다.
효과가 다소 낮은 경우에도 비듬의 감소나 머리카락의 굵기 정도가 나타났고, 그 중 거의 대부분 비듬의 감소가 있는데, 이는 굳은 피지의 용해현상으로 인식된다. 비듬은 피지가 굳어지는 결과로 나타나게 되므로 비듬감소는 발모의 간접적 효과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시험 결과로부터, 예상할 수 있는 발모의 메카니즘과 발모제의 역할은 먼저 미나리 함유 성분 중 아연, 철, 칼슘 성분이 모세혈관에 흡수되어 발모될 수 있는 젤라틴 단백질 생성을 유도하고, 각종 비타민, 무기질을 통해서 성장을 도우며, 쉽게 탈락하지 않도록 필수 금속성분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며, 갯벌의 점액성분 중에 함유된 성분은 굳어진 피지의 제거와 피지의 원활한 활동을 도와 머릿결을 부드럽게 만든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는 시험 도중 또는 장기 사용에 따른 부종(부스럼)의 형성, 자극과 같은 부작용은 전혀 없었다.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는 두피에 도포시 피지의 제거 및 모발이 쉽게 탈락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머리전체의 모양, 머리감을 때 탈락정도, 머리카락 굵기 변화, 비듬의 감소, 머리카락 윤기 등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탈모의 재발에 있어서 만족할 만한 효과를 발휘하며, 거의 또는 완전히 탈모된 사람에게도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의 원료는 주변에 산재되어 있는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어 저렴하게 공급가능하며, 장기 사용에 따른 부작용이나 피부 자극은 전혀 없었다.

Claims (5)

  1. 전체 중량기준으로 갯벌의 점액성분 10∼90중량% 및 미나리 추출액 5∼50중량%를 포함하는 발모제.
  2. 제 1항에 있어서, 오이, 호박, 콩나물 추출액, 비타민류, 미네랄 또는 아미노산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갯벌의 점액성분이 규조류의 점액성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나리가 굴껍질 분말을 비료로 시비하여 재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제.
  5. a) 갯벌원액을 증류수와 혼합하고 원심분리하여 점액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b) 굴껍질 분말을 시비하여 재배된 미나리로부터 추출액을 얻는 단계; 및
    c) 전체 중량기준으로 상기 a)에서 추출한 갯벌의 점액성분 10∼90중량% 및 상기 b)에서 얻어진 미나리 추출액 5∼50중량%를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1항에 따른 발모제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010061944A 2001-10-08 2001-10-08 갯벌의 점액성분을 함유하는 발모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01031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944A KR20010103107A (ko) 2001-10-08 2001-10-08 갯벌의 점액성분을 함유하는 발모제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1944A KR20010103107A (ko) 2001-10-08 2001-10-08 갯벌의 점액성분을 함유하는 발모제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3107A true KR20010103107A (ko) 2001-11-23

Family

ID=45789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1944A KR20010103107A (ko) 2001-10-08 2001-10-08 갯벌의 점액성분을 함유하는 발모제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10310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683A (ko) * 2002-06-28 2004-01-07 김용규 천연발모제의 제조 방법
KR100503196B1 (ko) * 2002-10-08 2005-07-25 사재관 비듬치료제 제조방법
KR101243059B1 (ko) * 2010-04-14 2013-03-13 김종완 발모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모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3833A (ja) * 1984-10-25 1986-05-22 Kao Corp 外用皮膚血行促進剤
JPH03135907A (ja) * 1989-10-20 1991-06-10 Kao Corp 育毛剤
KR910016311A (ko) * 1990-03-12 1991-11-05 강준영 자연식물을 원료로한 발모제
WO1997022348A1 (en) * 1995-12-18 1997-06-26 Olim Industries Of Israel, North America, Ltd. Method and material for hair therapy
JPH09175955A (ja) * 1995-12-28 1997-07-08 Kose Corp 毛髪化粧料
KR970032802A (ko) * 1995-12-05 1997-07-22 양병일 발모촉진제 조성물
KR0154348B1 (ko) * 1994-12-20 1998-11-16 성재갑 두발화장품 조성물
KR19990084364A (ko) * 1998-05-06 1999-12-06 조기원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3833A (ja) * 1984-10-25 1986-05-22 Kao Corp 外用皮膚血行促進剤
JPH03135907A (ja) * 1989-10-20 1991-06-10 Kao Corp 育毛剤
KR910016311A (ko) * 1990-03-12 1991-11-05 강준영 자연식물을 원료로한 발모제
KR0154348B1 (ko) * 1994-12-20 1998-11-16 성재갑 두발화장품 조성물
KR970032802A (ko) * 1995-12-05 1997-07-22 양병일 발모촉진제 조성물
WO1997022348A1 (en) * 1995-12-18 1997-06-26 Olim Industries Of Israel, North America, Ltd. Method and material for hair therapy
JPH09175955A (ja) * 1995-12-28 1997-07-08 Kose Corp 毛髪化粧料
KR19990084364A (ko) * 1998-05-06 1999-12-06 조기원 발모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1683A (ko) * 2002-06-28 2004-01-07 김용규 천연발모제의 제조 방법
KR100503196B1 (ko) * 2002-10-08 2005-07-25 사재관 비듬치료제 제조방법
KR101243059B1 (ko) * 2010-04-14 2013-03-13 김종완 발모제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모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1930B1 (ko) 해양식물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세라마이드 생합성촉진 및 피부장벽강화 화장료 조성물
CN110200884A (zh) 一种具有控油和修复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在化妆品中的应用
JP6007188B2 (ja) ホンダワラ抽出物、ミル抽出物及びワカメ抽出物を含む化粧料組成物
CN108836919B (zh) 保湿化妆品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7854326A (zh) 一种水蛭素润颜保湿修护精华液
JP3573941B2 (ja) ヒアルロニダーゼ阻害活性を有する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含有する化粧料
KR100894628B1 (ko) 인삼추출물 및 해양심층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RU235524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ищевого препарата хондропротекторного действия
CN109998937A (zh) 含有甘油葡糖苷(αGG)的系列化妆品及其制备方法
CN108815072A (zh) 一种植物组合物发酵原浆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08120761A (ja) フカヒレ抽出物、卵黄レシチン及び発酵熟成コラーゲン(lcp)から成る美容・健康食品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465385A (zh) 含有羽衣甘蓝海水提取物、豆瓣菜海水提取物以及甜菜根海水提取物的混合物的用于改善皮肤状态的化妆料组合物
KR20070023315A (ko) 유황 사료 첨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9528536A (zh) 一种含有胆碱鞣花酸盐的护肤品及其制备方法
KR20010103107A (ko) 갯벌의 점액성분을 함유하는 발모제 및 그의 제조방법
CN108078827B (zh) 一种止脱生发洗发水及其制备方法
KR20070089367A (ko) 해양 심층수와 복숭아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미네랄 화장료 조성물
KR102448963B1 (ko) 하이퍼미네랄 이온수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하이퍼미네랄 이온수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세포 관련 화장료 조성물
CN103877002A (zh) 酵素酶蛋白排毒祛斑霜
KR102137752B1 (ko) 순지트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CN101120801A (zh) 水溶性海藻营养素及其用途
KR102374056B1 (ko) 건강 개선을 위한 천연성의 조성물과 이를 포함한 기능성 샴푸제 및 화장제
JP2020138958A (ja) 水溶性ケイ素を含有する美容健康用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水溶性イオン化ケイ素の調整方法
KR100810958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생장 촉진 조성물
KR20150062625A (ko) 넓패, 꼬물꼬시래기, 참가죽그물바탕말 및 괭생이모자반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