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83574A - 감미조성물및이를함유하는식품 - Google Patents

감미조성물및이를함유하는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83574A
KR19990083574A KR1019990015284A KR19990015284A KR19990083574A KR 19990083574 A KR19990083574 A KR 19990083574A KR 1019990015284 A KR1019990015284 A KR 1019990015284A KR 19990015284 A KR19990015284 A KR 19990015284A KR 19990083574 A KR19990083574 A KR 19990083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m
composition
chewing
sorbitol
idit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5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기욤 리바도-뒤마
까뜨린느 푸마쉬
삐에릭 뒤플로
Original Assignee
로께뜨프레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께뜨프레르 filed Critical 로께뜨프레르
Publication of KR19990083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357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42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carbohydrates used, e.g.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46Finished or semi-finished products in the form of powders, paste or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3/38Sucrose-free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4/00Chewing gum
    • A23G4/06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4/10Chewing gum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carbohydrates used, e.g. 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23L27/34Sugar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2200/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 A23G2200/06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containing beet sugar or cane sugar if specifically mentioned or containing other carbohydrates, e.g. starches, gums, alcohol sugar, polysaccharides, dextrin or containing high or low amount of carbohyd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nfectionery (AREA)
  • Seasonings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품 및 특히 퐁당, 충진제, 젤을 바른 사탕, 껌, 결정화된 과일 및 츄잉-껌과 같은 제과 제품에 사용될 수 있는 감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는 전체 건조 물질에 대해 5 내지 100 중량%의 이디톨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식품, 특히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츄잉-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미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식품{Sweetening composition and food products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식품 및 특히 퐁당 (fondants), 충진제 (fillings), 젤을 바른 사탕, 껌, 결정화된 과일 및 츄잉 껌 (chewing gum)과 같은 제과 제품에 사용될 수 있는 감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사하게, 본 발명은 식품, 특히 상기 조성물을 함유하는 츄잉 껌에 관한 것이다.
슈크로오스 (sucrose) 및 글루코오스 (glucose) 시럽을 함유하는 통상적인 츄잉 껌 및 폴리올 (polyol)에 기초한 무-설탕 츄잉 껌은 필수적으로 다음 성분으로 이루어진다:
- 15 내지 30%의 베이스 (base) 껌,
- 50 내지 70%의 분말형 탄수화물,
- 상기 츄잉 껌의 액체 분획을 형성하는 0 내지 25%의 탄수화물 시럽,
- 1 내지 2%의 향료,
- 항산화제, 색소 (colouring), 강한 감미료, 벌킹제 (bulking agent) 및 에멀젼제 (emulsifiers)를 포함하는 0 내지 5%의 기타 성분,
여기서, 상기 탄수화물은 다음을 의미한다:
- 한편으로, 모노- (mono-), 디- (di-), 올리고- (oligo-) 및 폴리사카라이드 (polysaccharides)와 같은 탄수화물 및 녹말 가수분해물, 및
- 다른 한편으로, 수소화된 모노-, 디-, 올리고- 및 폴리사카라이드와 같은 폴리올 또는 슈가 알코올 (sugar alcohol) 및 이들의 혼합물, 특히 수소화된 녹말 가수분해물 또는 HAH.
녹말 가수분해물은 녹말 부유물 (starch milk)의 효소적 및/또는 산 가수분해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레이니 니켈 (Raney nickel)을 이용한 고압 및 고온에서의 촉매 수소화반응에 의한 이들 공정은 해당 수소화된 제품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
통상적인 츄잉 껌에서, 분말 형태의 탄수화물 및 탄수화물 시럽은 일반적으로 각각 슈크로오스 및 소위 "글루코오스" 시럽 또는 녹말 가수분해물인 반면, 폴리올에 기초한 "무-설탕" 츄잉 껌에서, 상기 분말형 탄수화물 및 상기 탄수화물 시럽은 일반적으로, 각각 말티톨 (maltitol), 크실리톨 (xylitol), 만니톨 (mannitol), 락티톨 (lactitol), 이소말트 (isomalt), 에리쓰리톨 (erythritol) 및/또는 전자를 위해서는 솔비톨 (sorbitol) 분말 및 후자를 위해서는 폴리올 시럽이다.
결과적으로, 우리는 액체 상으로 솔비톨 수용액을 함유하는 무-설탕 츄잉 껌을 알고 있다. 이러한 타입의 츄잉 껌은 물을 잃고 건조되려는 특이한 경향이 있다. 이들은 결국 단단하고, 바삭바삭하며, 과립화되고, 이러한 이유로 실질적으로는 섭취에 부적절하다. 이러한 물 손실 현상은 초기에 용액 내에 존재하는 솔비톨의 결정화에 의해 설명되며, 이는 무수량 및 결과적으로 상기 츄잉 껌의 평형 대 습도 (Humidity Relative to Equilibrium, HRE) 값의 증가를 초래한다.
그러므로, 특히 EP-A-0 082 670 및 EP-A-0 325 090에 무-설탕 츄잉 껌 내에 가소제 (plasticizer) 및 결합 (binding) 성분으로써 글리세린 (glycerine)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결과적으로 제조된 시럽은 특히 흡수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결국 이들이 저장되는 대기에 존재하는 물을 흡수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결과로, 특정 시간 후에, 이들은 끈적거리고, 소비자에게 이들을 어필하게 하는 구조 및 조직의 특성을 손실한다. 이러한 현상은 밀봉되나 비싼 포장지 (wrapper)로 상기 츄잉 껌을 포장함으로써 부분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상기 무-설탕 츄잉 껌의 물을 흡수하려는 성질은 매우 낮은 값의 평형 대 습도 (HRE)와 관련한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수소화된 녹말 가수분해물 시럽의 사용은 글리세린 또는 솔비톨 시럽의 사용을 점차적으로 억제한다. HAH는 효과면에서 우수한 가소성, 결합성 및 반-결정성을 갖는다. 이들은 또한 상기 츄잉 껌의 HRE의 변화를 매우 제한하는 잇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HAH 베이스 시럽이 츄잉 껌에 사용될 때, 전혀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사실상, 이들 물 함량은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약 15 내지 20 중량%로 나타나기 때문에 간과할 만한 것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이들은 이들이 사용되는 츄잉 껌의 물 함량을 증가시킨다. 결과적으로 생성된 습기찬 환경은 L-아스파틸-L-페닐알라닌 (L-aspartyl-L-phenylalanine)의 메틸 에스테르로 구성된 디펩타이드 (dipeptide)인 아스파탐 (aspartame)과 같은 강한 합성 감미료의 사용에 대해 전체적으로 금기시된다.
사실상, 식품에서 아스파탐의 안정성은 HRE 값, 접촉 시간, 온도 및 pH 뿐만 아니라, 주변에 존재하는 물의 양과 관련함은 알려져 있다. 높은 HRE 환경에서, 아스파탐은 필연적으로 감미 효과의 손실을 초래하는 디케토피페라진 (diketopiperazine)으로 자발적으로 분해한다. 또한, 상기 분해 산물은 불유쾌한 쓴맛으로 유명하다.
물이 풍부한 HAH 시럽의 사용으로 발생하는 또 다른 결과는 매우 유연하며, 점성 조직을 갖는 츄잉 껌의 생성이며, 이는 상기 츄잉 껌이 모든 제조 장치에 부착하려는 경향 때문에 공정 및 성형이 어렵게 되어 제조시 문제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술한 바와 동일한 이유로, 이는 일반적으로 소비자에게 어필하지 않는다.
결국, 상기 츄잉 껌 내의 과량의 물은 특정 향료의 용해를 촉진시켜, 산화에 훨씬 더 민감하게 되고, 결국 더 쉽게 질을 저하시킨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결과적으로 상기 무설탕 츄잉 껌의 물 함량을 감소시켜야 하며, 이들의 가소 및 결합 액체 분획은 더 정확해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소 및 결합 액체 분획을 구성하는 HAH 시럽은 88% 수준의 건조 물질 함량 이상으로 농축되는데 어려움이 있다. 사실상, 상기 시럽 내의 물이 증발될 때, 이들은 매우 점성이 된다. 이러한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증발기는 적절하지 않다. 결과적으로, 더 정교하고, 매우 비싼 장비가 요구된다.
또한, 비록 물 함량이 바람직하게 감소될 지라도, 상기 가수분해물 시럽의 계속적인 높은 점도는 이들이 고온에서만 공정될 수 있음을 암시한다. 결과적으로, 츄잉 껌의 제조에 삽입되어야 하는 핫 메스 (hot mass)로 작업할 때, 산업적 규모로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쉽게 상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농축된 시럽은 이들의 고체화 온도 이상에서 영구적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반면, 이들은 재활용을 위해 재-용융하기 어려운 단단하고 내성 덩어리로 유리화할 것이다. 열로 인한 손상을 피하기 위해, 유동액 상태로 유지되는 상기 시럽은 인위적으로 빠르게 사용되어야 한다.
결국, 상기 시럽을 츄잉 껌의 제조시 가열에 민감한 제품과 접촉시키는 것은 아스파탐의 경우와 같이, 상기 제품의 유해성 또는 향료를 처리할 때의 이들의 휘발성화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한은 최종 제품의 경제적 적합성 및 질의 산업적 요건을 충족시킬 수 없음은 분명하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US-A- 4 671 967, EP-A-0 196 640 및 EP-A-0 323 442에서는 츄잉 껌과 같은 식품의 제조를 위해,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및 녹말 가수분해물 시럽에 기초하여 개발된 가소 및 결합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였다.
사실상,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은 녹말 가수분해물 시럽의 점도를 낮추며, 심지어 통상적인 증발기가 사용될 때조차도, 이들이 함유하고 있는 물의 증발을 촉진시킨다.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글리콜을 함유한 혼합물 및 탄수화물 시럽의 레올로지성 (rheological behaviour)은 상대적으로 만족 할만 하며, 결과적으로 제조된 농축된 가소 조성물은 실온에서조차 공정화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HRE를 갖는 단점이 존재하며, 그러므로, 이들이 삽입되는 츄잉 껌의 물의 흡수 현상을 전도한다. 상기 저 HRE 값은 부분적으로 물의 제거와 관련한다. 상기 시럽에 첨가되는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은 이러한 물의 손실을 보상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반대로 이들은 더 낮은 HRE 값을 발생시킨다.
또한, 섭취시, 글리세린은 통상적으로 "가열 효과"로 표현되는 열 방출 효과를 나타내며, 이는 전체적으로 소비자를 불유쾌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의 조성물의 한계 및/또는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며, 다음과 같이, 실용화의 다양한 요건에 대해 이미 존재하는 것 보다 더 잘 반응하는 감미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 가소성, 결합성 및 반결정화 특성을 가지며,
- 식품, 특히 츄잉 껌, 및 특히 무-설탕 츄잉 껌에 사용될 수 있고,
- 첨가된 식품에 단지 적은 양의 물을 함유시키며,
- 심지어 실온에서도 간단히 공정화될 수 있는 레올로지 특성을 가지며,
- 제조가 용이하고,
- 내부적으로 안정하며, 상기 제품의 질을 악화시키는 물의 흡수와 관계하고, 특히, 상기 제품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결정화 현상과 관련하여, 삽입되고자 하는 식품, 특히 무-설탕 츄잉 껌에 보존하기에 충분한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 "가열 효과" 없이, 상당한 감미력을 발휘하여 강한 합성 감미료의 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인은 심도있는 연구 끝에, 이디톨을 포함하는 식품을 위한 감미 조성물로서 상기 목적이 성취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디톨은 솔보오스 (sorbose)의 수소화반응에 의해 산업적으로 제조된 폴리올이다. 이는 슈크로오스보다 화학적으로 더 안정한 반면, 설탕과 매우 유사한 감미 능력이 있는 장점을 갖기 때문에 상당히 중요한 물질이다. 또한, 이디톨은 충치를 발생하지 않는 독특한 특성을 가져서, 산업, 특히 식품 및 약학 산업에서 많은 분야에 적용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식품을 위한 감미 조성물은 전체 건조 물질에 대하여 5 내지 100 중량%의 이디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감미 조성물을 함유한다는 사실에 특성이 있다.
츄잉 껌뿐만 아니라, 퐁당, 충진용 지방 또는 껌, 젤을 바른 물질 또는 동등물이 상기 식품 중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감미 조성물은 저장시 특히 안정하며, 식품 조성물에서 감미제 및/또는 벌킹제로서 사용되는 탄수화물에 대하여 바람직한 반-결정화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들은 조성물이 삽입되는 식품의 강도를 안정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식품이 츄잉 껌일 때 특히 유리하다.
츄잉 껌의 적용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의 가소성 및 결합성도 또한 바람직한데, 이는 많은 성분들이 이들의 제조시 균일하게 혼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벌킹제로 사용되는 분말 또는 액체형의 비싼 제품의 일부의 대체를 가능하게 한다.
어떤 경우에 있어서, 이는 실용적으로 분말형의 탄수화물 또는 탄수화물 시럽에 기초한 공지의 조성물을 대체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특히, 상대 습도에 대하여 심각한 저장 조건하에서 조차도, 상기 츄잉 껌에 지속적인 질을 부여하는 안정화 및 반결정화 효과도 또한 강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감미 조성물은 전체 건조 물질에 대하여 5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7 내지 60 중량% 및 특히 10 내지 40 중량%의 이디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이디톨 이외에도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 또는 폴리올들은 쓰레이톨 (threitol), 에리쓰리톨, 크실리톨, 아라비톨 (arabitol), 리비톨 (ribitol), 솔비톨, 만니톨, 말티톨, 말토트리톨 (maltotritol), 말토테트레이톨 (maltotetraitol), 락티톨, 수소화된 이소말툴로오스 (isomaltulose), 글리세린, 수소화된 녹말 가수분해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솔비톨이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상기 수소화된 녹말 가수분해물 중에서, 본 출원인에 의해 상품명 LYCASINR하에 시판된 물질이 인용될 수 있으며, 이는 실시예를 통하여, FR-A-2 654 308 및 FR-A-2 459 002에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은 아스파탐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강한 합성 감미료 또는 동등물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결과적으로 제조된 상기 조성물은 분말 또는 시럽형을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분말형의 탄수화물이 분말형의 이디톨과 혼합될 수 있다. 분말형 또는 용액형 탄수화물은 각각 용액 또는 분말형의 이디톨과 혼합될 수 있고, 그 후, 제조된 상기 혼합물에 함유된 물은 결국 물의 함량이 상기 최종 혼합물이 실온에서조차도 공정가능하며, 통상적인 장치를 사용하는 증발 공정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점성을 가질 때까지 증발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술된 조성물을 포함하는 식품에 관한 것이다.
특정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식품은 전체 건조 물질에 대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0.5 내지 85 중량%를 포함하는 무-설탕 츄잉 껌으로 이루어진다.
특히, 본 발명은 하기 성분을 포함하는 츄잉 껌에 관한 것이다:
a) 15 내지 60%의 베이스 껌,
b) 0.5 내지 80%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
c) 0 내지 10%의 말티톨 시럽,
d)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0 내지 10%의 가소제,
여기서, 상기 폴리올의 0.5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5%는 이디톨이다.
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츄잉 껌의 폴리올은 솔비톨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성 및 장점은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나, 본 발명의 범주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무설탕 츄잉 껌
하기 성분을 포함하는 100g의 츄잉 껌이 제조되었다:
- DREYFUS사의 DREYCO BASE 베이스 껌: 25.0g,
- ROQUETTE FRERES사의 솔비톨 분말: 58.5g,
- ROQUETTE FRERES사의 만니톨 60: 5.0g,
- DOW CHEMICAL사의 글리세린: 10.0g,
- 민트 (mint) 향료: 1.5g.
상기 츄잉 껌의 제조 공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 50℃에서 상기 베이스 껌을 연화시키는 단계,
- 50℃에서 물이 순환하며, KUSTNER FRERES사의 Z 유형의 일반 형의 믹싱 샤프트 (mixing shaft)를 장착한 이중-벽 믹서 (double-walled mixer)에 상기 베이스 껌을 놓는 단계,
- 상기 솔비톨 분말의 1/3을 삽입시키는 단계,
- 2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
- 상기 솔비톨 분말의 1/3과 글리세린 1/2를 삽입시키는 단계,
- 2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
- 잔존 솔비톨 분말 및 상기 글리세린의 나머지 반을 삽입시키는 단계,
- 2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
- 상기 민트 향료를 삽입시키는 단계,
- 추가 1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
- 5mm 두께의 막대를 제조하는 것과 같은 방법으로 롤링 (rolling)시켜 상기 츄잉 껌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주어진 조건에 따라, 상기 인용된 화합물을 이용하여, 다섯 개의 츄잉 껌이 제조되었다:
·상품명 NEOSORBRP60W 하에 본 출원인에 의해 시판된 솔비톨 분말 (솔비톨 A) (츄잉 껌 1),
및 상기 인용된 화합물에서 솔비톨 분말 성분을 하기 조성물로 대치시킴:
·98%의 솔비톨 A + 2%의 이디톨 (본 발명에 따른 츄잉 껌 2),
·98%의 솔비톨 A + 2%의 크실리톨 (츄잉 껌 3),
·80%의 솔비톨 A + 20%의 이디톨 (본 발명에 따른 츄잉 껌 4)
·80%의 솔비톨 A + 20%의 크실리톨 (츄잉 껌 5).
그 후, INSTRON 타입 4502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츄잉 껌의 강도 (뉴톤 단위, N)를 평가하였다.
한편으로는 세 개의 연속적인 온도 (45℃, 35℃ 및 20℃)로 이들을 냉각하는 과정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66%의 상대 습도의 환경에서 20℃ 저장시 세 개의 다른 시간 (즉, 저장 1일 후, 8일 후 및 15일 후)에서 5mm 두께의 츄잉 껌 막대에 대하여 강도 측정이 수행되었다.
결과는 하기 표와 같다:
츄잉 껌 냉각시 강도 (N) 저장시 강도 (N)
45℃ 35℃ 20℃ 1일 8일 15일
1 4.70 9.40 30.85 49.30 70.00 57.00
2 4.00 8.00 23.90 40.40 47.50 48.60
3 4.80 11.00 37.70 54.30 63.80 64.67
4 1.21 4.14 9.81 26.00 34.00 33.00
5 2.12 4.27 16.77 32.00 41.20 43.20
이디톨은 크실리톨보다 더 강한 반-결정성을 갖는다.
상기 솔비톨 분말의 이디톨의 낮은 함량의 삽입은 제조 및 저장시 상기 츄잉 껌의 강도를 상당히 감소시킨다.
실시예 2
하기 화합물에 따라 200g의 츄잉-껌이 제조되었다:
- CAFOSA Gum S/A사 (바르셀로나, 스페인)의 발렌시아 (Valencia) T - PL 베이스 껌: 30.0%,
- Roquette Freres 사의 솔비톨 분말: 48.8%,
- Roquette Freres 사의 만니톨 60: 5.0%,
- Roquette Freres 사의 85% 고형을 함유한 LYCASINR말티톨 시럽 80/55: 13.0%,
- Dow Chemical사의 글리세린: 1%,
- Silesia사의 액체형 민트 천연 향료: 1.8%,
- Silesia사의 분말형 민트 천연 향료: 0.4%.
상기 츄잉-껌 제조 공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 50℃에서 상기 베이스 껌을 연화시키는 단계,
- 50℃에서 물이 순환하며, Ika사에 의해 시판된 타입의 블레이트 (blade)로 피트 (fitted)된 두 개의 믹싱 샤프트를 장착한 이중-벽 믹서에 상기 베이스 껌을 놓는 단계,
- 상기 믹서에 1/2의 상기 솔비톨 분말을 첨가하는 단계,
- 2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
- 50℃로 예열된, 상기 LYCASINR80/55의 반을 첨가하는 단계,
- 3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
- 상기 만니톨 60을 첨가하는 단계,
- 2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
- 상기 솔비톨 분말의 반과 글리세린을 첨가하는 단계,
- 5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
- 50℃에서 상기 LYCASINR80/55의 반을 첨가하는 단계,
- 2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
- 상기 분말형 민트 향료를 첨가하는 단계,
- 2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
- 상기 액체형 민트 향료를 첨가하는 단계,
- 2분 동안 혼합하는 단계,
- 상기 믹서를 방전시키는 단게,
- 5mm 두께의 타블렛 (tablet)으로 롤링시켜 츄잉-껌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주어진 화합물을 사용하여 상기 조건하에서 다섯 개의 츄잉-껌이 제조되었다:
- NEOSORBRP60W의 상품명 하에 본 출원인에 의해 시판된 솔비톨 분말 (츄잉-껌 1),
및 상기 특정 화합물에서 분말형 솔비톨 분획을 하기 조성물로 대치시킴:
- 95% NEOSORBRP60W + 5% 이디톨 (본 발명에 따른 츄잉-껌 2),
- 95% NEOSORBRP60W + 5% 크실리톨 (츄잉-껌 3),
- 90% NEOSORBRP60W + 10% 이디톨 (본 발명에 따른 츄잉-껌 4),
- 90% NEOSORBRP60W + 10% 크실리톨 (츄잉-껌 5).
그 후, 상기 츄잉-껌의 강도는 Instron 타입 4502 장치에 의해 (뉴톤, N 단위로) 측정되었다.
5mm 두께 츄잉-껌 타블렛의 강도는 세 개의 연속적인 온도 (45℃, 35℃ 및 20℃)에서 냉각시 및 50% 상대 습도의 공기 하에서 20℃의 저장시 세 개의 다른 시간 (즉, 1일 후, 8일 후 및 15일 후)에서 측정되었다.
결과는 하기 표와 같다:
츄잉 껌 냉각시 강도 (N) 저장시 강도 (N)
45℃ 35℃ 20℃ 1일 8일 15일
1 2.8 4.8 14.7 15.4 15.5 16.5
2 2.4 4.0 11.3 12.6 12.7 13.0
3 2.8 5.6 17.9 16.9 17.1 17.5
4 0.7 2.1 4.7 8.1 8.3 8.3
5 1.2 2.5 8.0 10.0 11.8 12.5
이디톨은 크실리톨보다 더 큰 반결정화 작용을 한다.
상기 분말형 솔비톨 (츄잉-껌 2 및 4)에 작은 양의 이디톨을 첨가하면 제조 및 저장시 상기 츄잉-껌의 강도를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다.
실시예 3
단단한 무설탕 껌
크실리톨 또는 솔비톨 (조절 시험) 베이스 및 이디톨 베이스의 몇몇 단단한 무설탕 껌이 하기 표에 주어진 처방을 이용하여 제조되었다.
사용된 조성 (중량)
크실리톨 솔비톨 이디톨
LycasinR80/55(75% 건조 물질) 260.7 260.7 260.7
크실리톨 124.4 - -
솔비톨 - 124.4 -
이디톨 - - 124.4
아라빅 껌 용액52% (건조 물질) 614.9 614.9 614.9
향료-색소 qs* qs* qs*
*qs: 충분량
LYCASINR80/55는 본 출원인 회사에 의해 시판된 말티톨 시럽이다.
사용된 크실리톨은 예를 들면, 상품명 XYLISORBR700하에 본 출원인 회사에 의해 시판된 물질이다.
사용된 솔비톨은 예를 들면, 상품명 NEOSORBRP60W하에 본 출원인 회사에 의해 시판된 물질이다.
상기 단단한 무설탕 껌을 제조하는 방법은 연속적으로 다음으로 구성된다:
- LYCASINR90/55-이디톨, LYCASINR80/55-크실리톨 및 LYCASINR80/55-솔비톨의 혼합물을 대기 압력하에서 150℃에서 가열시키는 단계;
- 110℃로 냉각시키는 단계;
- 상기 아라빅 껌 용액, 상기 색소 및 향료를 첨가하는 단계;
- 스타치 몰드 (starch mould)로 주조하는 단계;
- 89의 최종 브릭스 (brix)가 얻어질 때까지 35℃에서 2일간 구운 후, 40℃에서 약 6일간 굽는 단계.
결과적으로 얻어진 상기 무설탕 껌 조성물은 하기 표에 나타나 있다:
조성 (%)
크실리톨 솔비톨 이디톨
LycasinR80/55(75% 건조 물질) 27.2 27.2 27.2
크실리톨 17.3 - -
솔비톨 - 17.3 -
이디톨 - - 17.3
아라빅 껌 용액52% (건조 물질) 44.5 44.5 44.5
향료-색소 qs* qs* qs*
잔류 물 11.0 11.0 11.0
*qs: 충분량.
60% 상대 습도 및 20℃에서 10일 동안 상기 단단한 무설탕 껌을 마이크로클리메이트 (microclimate)에 둠으로써 안정성 시험이 수행되었다. 상기 기간 말기에, 상기 단단한 무설탕 껌은 이들의 안정성, 감미향, 및 강도에 따라 시험되고 평가되었다. 평가 정도는 하기와 같다:
+: 낮음
++: 높음.
+++: 매우 높음.
상기 단단한 무설탕 껌에 대해 얻어진 상기 안정성 시험의 결과는 하기 표에 나타나 있다:
안정도 감미향 강도
이디톨을 함유한 껌 +++ +++ +++
크실리톨을 함유한 껌 ++ +++ ++
솔비톨을 함유한 껌 +++ ++ +++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감미 조성물은 안정성, 감미향 및 강도가 우수하며, 실온에서는 제조가 용이하여 상업적으로 유용하다.

Claims (10)

  1. 전체 건조 물질에 대해 5 내지 100 중량%의 이디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미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이디톨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은 쓰레이톨, 에리쓰리톨, 크실리톨, 아라비톨, 리비톨, 솔비톨, 만니톨, 말티톨, 말트로트리톨, 말토테트레이톨, 락티톨, 수소화된 이소말툴로오스, 글리세린, 수소화된 녹말 가수분해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바람직하게는 솔비톨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분말 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시럽 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이 전체 건조 물질에 대해 5 내지 85 중량%의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을 포함하는 무설탕 츄잉-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8. a) 15 내지 60% 베이스 껌,
    b) 0.5 내지 80%의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
    c) 0 내지 10%의 말티톨 시럽,
    d)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0 내지 10%의 가소제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올의 0.5 내지 30%가 이디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껌.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이 솔비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껌.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의 2 내지 25%가 이디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츄잉-껌.
KR1019990015284A 1998-04-29 1999-04-28 감미조성물및이를함유하는식품 KR199900835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FR9805390 1998-04-29
FR9805390A FR2778066B1 (fr) 1998-04-29 1998-04-29 Composition edulcorante et produits alimentaires la conten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3574A true KR19990083574A (ko) 1999-11-25

Family

ID=9525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5284A KR19990083574A (ko) 1998-04-29 1999-04-28 감미조성물및이를함유하는식품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0953295A1 (ko)
JP (1) JPH11341964A (ko)
KR (1) KR19990083574A (ko)
CN (1) CN1233405A (ko)
AU (1) AU2395699A (ko)
CA (1) CA2270080A1 (ko)
FR (1) FR2778066B1 (ko)
HU (1) HUP0002450A3 (ko)
PL (1) PL337715A1 (ko)
SK (1) SK175099A3 (ko)
WO (1) WO19990551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392B1 (ko) * 2000-08-24 2003-05-22 주식회사 보락 에리스리톨 분말과립상 조성물을 센터에 충진한 츄잉껌 및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71225A1 (en) * 2008-05-02 2011-01-12 Cadbury Adams USA LLC Sugar free polyol confectionery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2012515554A (ja) 2009-01-22 2012-07-12 クラフト・フーズ・グローバル・ブランズ・エルエルシー 菓子加工
JP5547291B2 (ja) 2009-10-08 2014-07-09 インターコンチネンタル グレート ブランズ エルエルシー 共押出しされた層状キャンディーおよびガムの装置および方法
US9247761B2 (en) 2009-10-30 2016-02-02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Sugar free confectionery; methods of making same; and use in preparing multilayered confectionery
WO2013085963A1 (en) * 2011-12-08 2013-06-13 The Hershey Company Rapidly dissolving comestible solid
BR112015008616A2 (pt) * 2012-10-18 2017-07-04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produto de goma de mascar e método para a formação do mesmo
FR3023128B1 (fr) 2014-07-01 2017-11-10 Roquette Freres Nouvelle composition edulcorante
JP6810608B2 (ja) * 2014-11-14 2021-01-06 三菱商事ライフサイエンス株式会社 糖漬け植物性食品、それに用いる浸漬液及び該食品の製造方法
CN107027945A (zh) * 2016-02-04 2017-08-11 刘宗启 一种煮制糖液以及包含该糖液的保健果脯的制备方法
CN111329031A (zh) * 2020-01-13 2020-06-26 江苏周春祥生物科技有限公司 适用于糖尿病人的食品添加剂组合物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95138A5 (en) * 1971-06-16 1972-02-04 Quaker Oats Co Protein rich foodstuff
US4671967A (en) * 1984-05-18 1987-06-09 Wm. Wrigley Jr. Company Carbohydrate syrups and methods of preparation
FR2732343B1 (fr) * 1995-03-29 1997-06-13 Roquette Freres Composition de maltitol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4392B1 (ko) * 2000-08-24 2003-05-22 주식회사 보락 에리스리톨 분말과립상 조성물을 센터에 충진한 츄잉껌 및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55173A1 (fr) 1999-11-04
HUP0002450A3 (en) 2000-12-28
JPH11341964A (ja) 1999-12-14
SK175099A3 (en) 2000-06-12
CN1233405A (zh) 1999-11-03
EP0953295A1 (fr) 1999-11-03
CA2270080A1 (fr) 1999-10-29
FR2778066B1 (fr) 2000-07-07
AU2395699A (en) 1999-11-11
PL337715A1 (en) 2000-08-28
HUP0002450A2 (hu) 2000-11-28
FR2778066A1 (fr) 199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41542B1 (en) Chewing gum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ation
EP0241543B1 (en) Carbohydrate syrups and methods of preparation
US4466983A (en) Substantially non-aqueous semi-liquid center-fill
US4382963A (en) Low-calorie, sugar-free chewing gum containing polydextrose
US5270061A (en) Dual composition hard coated gum with improved shelf life
RU2174319C2 (ru) Жевательная резинка (варианты), пластификатор (варианты), агент, улучшающий структуру жевательной резинки (варианты), агент, улучшающий высвобождение ароматических и/или активных ингредиентов (варианты)
RU2200421C2 (ru) Жевательная резинка, глазированная с солью, плохо поддающейся растворению в воде; способ глазирования такой жевательной резинки;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качества внешнего вида глазированной жевательной резинки 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эффективной концентрации плохо поддающейся растворению в воде соли, вводимой для повышения качества внешнего вида глазури жевательной резинки
EP0664673B1 (en) Hard coated gum with improved shelf life
KR100982594B1 (ko) 액체 말티톨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용도
EP1587373B1 (en) Sugarless syrups and their use in chewing gum and other confections
US4780324A (en) Chewing gum with long lasting softness
IE67881B1 (en) Sugar-free "hard candy"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KR19990067222A (ko) 경질 코팅에 의해 얻어지는 무가당 코팅 및 이의 제조방법
CA2170497C (en) Hard coated chewing gum with improved shelf life, with mixed polyol coatings
KR19990083574A (ko) 감미조성물및이를함유하는식품
AU642177B2 (en) Concentrated sweetening composition to be used in foodstuffs
KR100559644B1 (ko) 감미 조성물 및 이의 사용 방법
AU703326B2 (en) Sugar-free boiled sweet and process for its manufacture
GB2211719A (en) Premixture for chewing gum
EP0123742B1 (en) Low-calorie, sugar-free chewing gum containing polydextrose
MXPA99004009A (en) Sweetening composition and food products containing same
AU700384B2 (en) Syrups for use in chewing gum containing sorbitol, a plasticising agent and an anticrystallisation agent
EP0323442A1 (en) A cooked composition of glycerine and hydrogenated starch hydrolysate and the use thereof as a stabilizer for L-aspartic acid sweetening agent in comestibles
AU772430B2 (en) Comestible coated with a poorly water-soluble salt and process for making
CZ467499A3 (cs) Sladící kompozice a potravinářské výrobky, které ji obsahuj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