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9303A - 건물의 천정판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물의 천정판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9303A
KR19990079303A KR1019980011832A KR19980011832A KR19990079303A KR 19990079303 A KR19990079303 A KR 19990079303A KR 1019980011832 A KR1019980011832 A KR 1019980011832A KR 19980011832 A KR19980011832 A KR 19980011832A KR 19990079303 A KR19990079303 A KR 19990079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building
anchor bolt
cap
adj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1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최대식
이우길
Original Assignee
김동수
주식회사 고인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주식회사 고인돌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1019980011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9303A/ko
Publication of KR19990079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303A/ko

Link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내의 천정면에 내장재로 사용되는 천정판을 간단하고도 손쉬운 방법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천정판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건물의 천정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상기 천정면(10)에 타정총을 이용하여 앵커보울트(20)를 등간격으로 체결고정하고, 상기 앵커보울트(20)에 판체형 몸체(31)의 일측에 보강리브(33)에 의해 지지보강되는 체결봉(32)으로 이루어진 어저스트 캡(30)을 나사체결고정하며, 상기 어저스트 캡(30)을 이용하여 천정판넬(40)을 부착하는 공정들을 순차적으로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건물의 천정판 시공방법
본 발명은 건물의 천정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건물내의 천정면에 내장재로 사용되는 천정판을 간단하고도 손쉬운 방법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천정판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건물의 천정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건물의 천정면에는 내장재로서의 천정판넬을 시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천정판넬의 시공방법은 종래에도 여러 가지가 제안되어 시공되고 있다.
그 일예를 들어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시공되고 있는 종래의 천정판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천정의 슬라브(1)에 사각봉형으로 이루어지는 목재재질의 지지대(2)를 못 또는 스크류 등과 같은 고정부재로서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설치하고, 상기 지지대(2)를 통하여서는 석고보드 등과 같은 천정판넬(3)을 못 또는 스크류 등으로서 고정설치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천정판넬 시공방법에 있어서는 먼저, 목재재질의 지지대(2)를 슬라브의 천정면(1)에 고정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의 설치작업이 까다롭고 힘들어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을 뿐만 아니라 수평을 맞추기도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었고, 또한, 장기간이 경과하고 나면 못 등과 같은 고정부재들의 부식으로 인하여 천정판넬(3)의 고정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외에도 지지대(2)가 목재재질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건물의 냉,난방에 따른 온도변화와 습도 등으로 인하여 뒤틀림이 발생됨으로써 결국 천정판넬(3)의 고정력이 약화되어 쉽게 떨어지게 되거나 들뜨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보완하기 위하여 별도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어저스트 캡을 이용하여 천정판넬을 시공하는 방법도 제안되어 있다.
이는 첨부된 도면의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물의 천정면(1)에 고정되는 고정구(4a)와, 상기 고정구(4a)에 나사체결되는 받침구(4b)로 이루어지는 대략 "H"자형의 어저스트 캡(4)을 천정면(1)에 고정 부착한 후, 상기 어저스트 캡(4)을 이용하여 천정판넬(3)을 시공토록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어저스트 캡(4)의 고정구(4a)를 다수개의 못이나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천정면(1)에 일일이 고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공이 불편하고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어저스트 캡(4)을 천정면(1)상에 정확하고도 견고하게 밀착고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천정판넬(3)의 체결력도 현저히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는 것이었다.
그리고, 실용신안공보 공고번호 제96-6885호에서 제안된 바와 같은 구조도 제안된 바 있으며, 이는 슬라브를 형성할 때 너트형으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인서트를 매몰되게 설치하고, 상기 인서트에 천정판넬을 체결하도록 하는 고정구를 나사체결토록 하는 구성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인서트를 슬라브를 타설시 매몰되게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오히려 시공이 불편한 문제점과 더불어 정확한 위치에 설치고정하기가 쉽지 않는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건물의 천정면에 내장재로서의 천정면을 시공함에 있어서, 간단한 구성의 어저스트 캡을 이용하여 간단하고도 손쉬운 방법으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그 체결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건물의 천정판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개선된 천정판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즉, 콘크리트 슬라브로 이루어지는 천정면에 타정총을 이용하여 앵커보울트를 원터치식으로 체결고정하고, 상기 앵커보울트에 본 발명에 따른 어저스트 캡을 체결한 후, 상기 어저스트 캡을 이용하여 천정판넬을 부착시공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천정판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천정판의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도2의 요부구성을 확대하여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천정판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도3의 요부구성을 확대하여 보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어저스트 캡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천정면 20:앵커보울트
30:어저스트 캡 31:몸체
32:체결봉 33:보강리브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건물의 콘크리트 슬라브에 타정총을 이용하여 앵커보울트를 원터치식으로 체결고정하고 이의 앵커보울트에 별도의 물품으로 형성되면서도 그 설치간격을 임의로 조절가능토록 하는 어저스트 캡을 체결함과 동시에 전체적인 수평을 조절하며, 상기 어저스트 캡을 통하여서는 석고보드를 못 또는 스크류 등과 같은 고정수단 및 접착제를 사용하여서 시공 완료토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벽체의 단열층 시공은 다음과 같은 공정들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즉, 먼저 제1공정으로서, 건물의 콘크리트 슬라브로 이루어지는 천정면(10)상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앵커보울트(20)를 타정총 등의 전용공구를 이용하여 원터치식으로 체결고정한다.
이때, 상기 앵커보울트(20)는 일측면은 콘크리트 슬라브측으로 용이하게 체결되도록 못형태로 구성되면서도 타측면에는 나사부를 갖추어 형성되는 것이며, 이는 공기압력이나 화약의 폭발력으로 앵커보울트(20)를 강한 힘으로 발사하여 콘크리트에 체결고정토록 하는 타정총 등과 같은 공구에 의해서 원터치식으로 체결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앵커보울트(20)는 콘크리트 천정면(10)에 드릴로서 구멍을 천공하여 일반적인 앵커보울트의 너트를 체결한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앵커보울트(20)를 체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공정이 완료되면, 제2공정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어저스트 캡(30)의 체결봉(32)을 앵커보울트(20)에 나사체결한다.
상기 어저스트 캡(30)은 첨부된 도면의 도6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판체형으로 이루어지는 몸체(31)의 일측 중심부에 일정한 간격만큼 돌출되는 원통 관체형의 체결봉(32)이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이의 내부에는 앵커보울트(20)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를 갖추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체결봉(32)에는 다수개의 보강리브(33)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추고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어저스트 캡(30)은 앵커보울트(20)에 체결되는 간격으로서 전체적인 수평을 조절할 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천정판넬과 천정면(10)과의 간격을 조절할 수가 있게된다.
이와 같이 어저스트 캡(30)을 체결한 후에는 제3공정으로서, 상기 어저스트 캡(30)의 몸체(31)를 이용하여 석고보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천정판넬(40)을 스크류 또는 스탬플 등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천청판넬(40)은 별도의 스크류 등을 이용하여 고정설치할 수도 있지만, 접착제를 사용하여 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시공방법에 따른 공정들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건물의 천정면에 단열재 및 내장재로서의 천정판넬을 용이하고도 손쉽게 시공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건물의 천정면에 내장재로서의 천정판넬을 시공함에 있어, 앵커보울트를 타정총을 이용하여 간단히 원터치식을 체결고정함과 동시에 이의 앵커보울트에 간단한 구성의 어저스트 캡을 체결한 후, 상기 어저스트 캡을 이용하여 천정판넬을 시공토록 함으로써 시공의 간편화를 기할수 있으면서도 공사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된다.
특히, 천정판의 수평을 정확하고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천정판과의 간격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천정판넬들의 이음새를 깨끗하고도 정확히 맞출수가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천정판넬을 보다 견고하게 시공할 수가 있음으로써 장기간이 지나더라도 천정판넬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가 있는 등의 장점도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1)

  1. 콘크리트 슬라브의 천정면에 내장재의 천정판넬을 부착시공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천정면(10)에 타정총을 이용하여 앵커보울트(20)를 등간격으로 체결고정하는 공정과, 상기 앵커보울트(20)에 판체형 몸체(31)의 일측에 보강리브(33)에 의해 지지보강되는 체결봉(32)으로 이루어진 어저스트 캡(30)을 나사체결고정토록 하는 공정과, 상기 어저스트 캡(30)을 이용하여 천정판넬(40)을 부착시공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의 천정판 시공방법.
KR1019980011832A 1998-04-03 1998-04-03 건물의 천정판 시공방법 KR199900793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1832A KR19990079303A (ko) 1998-04-03 1998-04-03 건물의 천정판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1832A KR19990079303A (ko) 1998-04-03 1998-04-03 건물의 천정판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303A true KR19990079303A (ko) 1999-11-05

Family

ID=65860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832A KR19990079303A (ko) 1998-04-03 1998-04-03 건물의 천정판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93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9302A (ko) 벽체의 단열층 시공방법
JPH10280576A (ja) 建築物外壁の断熱材と防火材の取付け構造
JP4131000B2 (ja) 外断熱用パネル部材
KR19990079303A (ko) 건물의 천정판 시공방법
JPH08135137A (ja) 建築物壁体に対するタイル装着法
JPH0586671A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
KR100373628B1 (ko) 고정바를 이용한 천정판넬의 시공구조
JPH0157219B2 (ko)
KR200349706Y1 (ko) 건축 내외벽 냉온방 방음장치 부착판과 팽이너트
CN212582966U (zh) 一种方便固定安装板材的墙面钢骨架材料
JPH04189966A (ja) 建築用板材の留付工法
KR200238701Y1 (ko) 건축용 단열재 고정장치
KR100303528B1 (ko) 건물의 천정판 시공방법 및 그 물품
KR200203658Y1 (ko) 건물의 천장판 시공 장치
JP3004639U (ja) 壁材取付け下地構造
JPH01318654A (ja) 壁体の断熱施工法およびその断熱壁構造体
JPH046441Y2 (ko)
KR100899537B1 (ko) 옹벽용 알루미늄 폼의 복합단열재 고정구 및 이를 옹벽용 알루미늄 폼에 설치하는 방법
JPS5837470B2 (ja) 板状の建築材の取付構造
JPH0113688Y2 (ko)
JPH0113131Y2 (ko)
KR200331280Y1 (ko) 레벨 브라켓
JP2529813Y2 (ja) 建築物の外壁用板材
KR20050029087A (ko) 건축 내외벽 냉온방 방음장치 부착판과 팽이너트
JP3027210B2 (ja) 外壁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