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9302A - 벽체의 단열층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벽체의 단열층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9302A
KR19990079302A KR1019980011831A KR19980011831A KR19990079302A KR 19990079302 A KR19990079302 A KR 19990079302A KR 1019980011831 A KR1019980011831 A KR 1019980011831A KR 19980011831 A KR19980011831 A KR 19980011831A KR 19990079302 A KR19990079302 A KR 19990079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gypsum board
insulation layer
adjust cap
ancho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1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수
최대식
이우길
Original Assignee
김동수
주식회사 고인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수, 주식회사 고인돌 filed Critical 김동수
Priority to KR1019980011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9302A/ko
Publication of KR19990079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9302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에 단열층을 시공함에 있어 시공의 간편화와 더불어 단열재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하는 벽체의 단열층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는 콘크리트 벽체(10)의 내벽면에 일정 두께의 암면층(11)을 형성하는 단열재 부착공정과, 상기 암면층(11)을 통하여 다수개의 앵커보울트(12)를 콘크리트 벽체(10)에 등간격으로 고정설치토록 하는 앵커보울트 설치공정과, 상기 앵커보울트(12)의 나사부에 어저스트 캡(20)을 나사체결토록 하는 어저스트 캡 체결공정과, 상기 어저스트 캡(20)에 석고보드(30)를 부착고정토록 하는 석고보드체결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벽체의 단열층 시공방법
본 발명은 벽체의 단열층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벽체에 단열층을 시공함에 있어 시공의 간편화와 더불어 단열재의 고정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벽체의 단열층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로 타설되는 건물의 벽체 내부면에는 단열, 방음 등을 위한 단열층을 시공하게 되는데, 이러한 단열층은 주로 석고보드 등과 같이 판체로 이루어지는 단열판넬을 벽면체와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시공한 다음, 이들의 사이에 암면, 스치로폴 등과 같은 단열층을 충진함으로써 시공된다.
종래에도 벽체의 단열층을 시공하는 방법들이 여러 가지가 제안되어 실제로 널리 시공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가장 보편적으로 널리 시공되고 있는 종래 벽체의 단열층 시공방법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종래의 벽체 단열층의 시공방법은 첨부된 도면의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벽체(1)의 내부면에 사각봉형으로 이루어지는 목재재질의 지지대(2)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설치하고, 이들 사이의 공간에는 암면 또는 스치로폴 등으로 이루어지는 단열재(3)를 충진시킨 후, 상기 지지대(2)를 통하여 접착제(B) 또는 못 등으로서 석고보드(4)를 최종적으로 시공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단열층 시공방법에 있어서는 목재재질의 지지대(2)를 고정하기 위한 못 또는 스크류 등을 필연적으로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공사기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시공의 불편함이 야기되었던 것이었고, 장기간이 경과되고나면 못 등의 부식으로 인하여 그 고정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외에도 지지대(2)가 목재재질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건물의 냉,난방에 따른 온도변화와 습도 등으로 인하여 뒤틀림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고, 더욱이 석고보드(4)를 부착시공시 수직 및 수평을 조절하기가 어려워 각 석고보드(4)의 이음새에 단턱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는 것이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단열층 시공방법외에도 첨부된 도면의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판체형으로 이루어지는 스치로폴(5)의 단열재를 접착제(B)를 이용하여 벽체(1)에 직접 부착하고, 이의 스치로폴(5)의 표면에 석고보드(4)를 역시 접착제(B)로 부착시공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는 장기간이 경과되면 접착력의 약화와 더불어 스치로폴(5)의 변형 등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벽체(1)로 부터 스치로폴(5)이 쉽게 이형되어 결국 석고보드(4)도 떨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는 첨부된 도면의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경질의 스치로폴을 각재로 재단한 스치로폴각재(6)를 벽체(1)의 내벽면에 일정간격으로 부착시공한 다음, 이들 사이에 암면(7)을 충진하고, 상기 스치로폴각재(6)에는 접착제(B)로서 석고보드(4)를 시공토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시공방법은 전술한 문제점을 어느정도는 해소할 수 있을지라도 마감처리되는 석고보드(4)와 암면층(7) 사이에는 접착층으로 인한 일정한 공간이 필연적으로 발생됨으로써 벽체의 두께가 그만큼 커지게 되어 실내공간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석고보드(4)가 완전히 밀착고정되지 않음으로써 각 석고보드(4)들의 연결부위에 단턱이 발생됨과 아울러 뒤틀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시공방법에서 첨부된 도면의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암면(7)이 충진되는 다수의 곳에 일정한 설치공간부를 형성하고, 이의 설치공간부에는 별도의 물품으로 이루어지는 어저스트 캡(8)을 접착제(B)로서 고정접착하여 석고보드(4)를 부착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시공방법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공방법은 석고보드(4)의 고정력은 향상될지라도 이역시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설치하는 구성임으로써 여전히 전술한 여러 가지 문제점은 남게 되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벽체에 단열층을 시공함에 있어 시공방법을 간소화하면서도 고정력을 향상시키고, 또한 단열층의 두께를 얇게함으로써 실내공간의 향상과 더불어 뒤틀림 없이 수직,수평을 정확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벽체의 단열층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개선된 벽체의 단열층 시공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즉, 콘크리트 벽체에 단열재인 암면층을 형성하고, 이의 암면층을 통하여 콘크리트 벽체에 다수개의 앵커보울트를 등간격으로 설치하며, 상기 앵커보울트에는 별도의 물품으로 이루어지는 어저스트 캡을 체결한 후, 상기 어저스트 캡을 이용하여 석고보드를 견고히 밀착시공토록 하는 것이 특징인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벽체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벽체의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또다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벽체의 구성도
도 4는 종래의 또다른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벽체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된 벽체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어저스트 캡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도5에서 요부를 보인 단면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벽체 11:암면층 12:앵커보울트
20:어저스트 캡 21:몸체 22:체결봉
23:보강리브 30:석고보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의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에 임의 두께의 암면층을 먼저 형성한 다음, 이의 암면층을 통하여 다수의 앵커보울트를 콘크리트 벽체에 체결고정하고, 상기 앵커보울트에 별도의 물품으로 이루어지는 어저스트 캡을 체결함과 동시에 전체적인 수직 및 수평을 조절하며, 상기 어저스트 캡을 통하여서는 석고보드를 고정설치함으로써 시공을 완료토록 하는 것으로 특정되어 질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벽체의 단열층 시공은 다음과 같은 공정들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제1공정
건물의 콘크리트 벽체(10) 내벽면에 설정되는 임의 두께의 암면층(11)을 형성한다. 상기 암면층(11)은 단열을 위한 주재료로서 일반적인 암면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암면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스치로폴 등의 단열재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제2공정
상기 암면층(11)의 다수의 곳에 타정총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앵커보울트(12)를 콘크리트 벽체(10)에 고정설치한다.
상기 앵커보울트(12)는 그 후면에 나사부를 갖추어 구성되는 것으로서, 이는 공기압력이나 화약을 터뜨려 앵커보울트(12)를 강한 힘으로 발사하여 콘크리트에 고정시키도록 하는 타정총을 사용하여 간단히 고정설치하게 되는 것이며, 다수개를 등간격으로 고정설치한다.
즉, 내장재에 따른 일정크기의 판체로 이루어지는 석고보드를 이어서 체결할 수 있는 간격으로 다수개를 고정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앵커보울트(12)는 콘크리트 벽체(10)에 드릴로서 구멍을 천공하여 일반적인 앵커보울트를 체결한 다음, 본 발명에서 요구되는 앵커보울트(12)를 체결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3공정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10)에 고정된 앵커보울트(12)들에는 별도의 물품으로 이루어지는 어저스트 캡(20)을 나사체결한다.
상기 어저스트 캡(20)은 첨부된 도면의 도6 및 도7 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낸 바와 같이 판체형으로 이루어지는 몸체(21)의 일측 중심부에 일정한 간격만큼 돌출되는 원통 관체형의 체결봉(22)이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이의 내부에는 앵커보울트(12)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를 갖추어 구성되고, 또한 상기 체결봉(22)에는 다수개의 보강리브(23)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추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어저스트 캡(20)을 앵커보울트(12)에 나사체결하게 되면, 상기 어저스트 캡(20)의 판체형 몸체(21)는 암면층(11)을 콘크리트 벽체(10)에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어저스트 캡(20)을 앵커보울트(12)에 체결하는 간격으로 전체적인 수직 및 수평을 조절할 수가 있게된다.
제4공정
상기와 같은 제3공정이 이루어지고나면, 상기 어저스트 캡(20)의 몸체(21)를 이용하여 석고보드(30)를 스크류 또는 스탬플로 부착고정시킴으로써 시공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석고보드(30)를 타정총과 같은 공구를 사용하여서 스크류나 고정핀 등으로 고정설치할 수도 있지만, 접착제를 사용하여서 부착 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공정들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콘크리트 벽체내에 단열층을 손쉽고도 간단하게 시공할 수가 있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건물 벽체의 내벽면에 단열층을 시공함에 있어, 종래의 접착방법에 비해 간단한 구성의 어저스트 캡을 이용함으로써 시공을 간편화하면서도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된다.
특히, 석고보드를 시공시 수직, 수평을 정확하고도 효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석고보드의 연결에 따른 이음새를 깨끗하고도 정확히 맞출수가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단열층내의 단열재를 면밀하게 충진할 수가 있음으로써 단열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석고보드를 단열재와 견고하게 밀착시공할 수가 있음으로써 단열층을 종래 단열층에 비해 보다 얇게 형성할 수가 있어 실내공간을 그만큼 증대시키게 되는 효과와 더불어 장기간이 지나더라도 석고보드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가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콘크리트 벽체의 내벽면에 단열층을 시공하는 것에 있어서,
    콘크리트 벽체(10)의 내벽면에 일정 두께의 암면층(11)을 형성하는 단열재 부착공정과, 상기 암면층(11)을 통하여 다수개의 앵커보울트(12)를 콘크리트 벽체(10)에 등간격으로 고정설치토록 하는 앵커보울트 설치공정과, 상기 앵커보울트(12)의 나사부에 어저스트 캡(20)을 나사체결토록 하는 어저스트 캡 체결공정과, 상기 어저스트 캡(20)에 석고보드(30)를 부착고정토록 하는 석고보드체결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의 단열층 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저스트 캡(20)은 판체형으로 이루어지는 몸체(21)와, 상기 몸체(21)의 일측 중심부에 일정한 간격만큼 돌출되게 구비되고 내부에는 앵커보울트(12)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부를 갖는 원통 관체형의 체결봉(22)과, 상기 체결봉(22)과 몸체(21)사이에는 다수개의 보강리브(23)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체의 단열층 시공방법.
KR1019980011831A 1998-04-03 1998-04-03 벽체의 단열층 시공방법 KR199900793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1831A KR19990079302A (ko) 1998-04-03 1998-04-03 벽체의 단열층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1831A KR19990079302A (ko) 1998-04-03 1998-04-03 벽체의 단열층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9302A true KR19990079302A (ko) 1999-11-05

Family

ID=6586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1831A KR19990079302A (ko) 1998-04-03 1998-04-03 벽체의 단열층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930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649A (ko) * 2000-01-27 2001-08-16 장한백 단열 내벽체용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단열 내벽체 설치공법
KR20010094190A (ko) * 2000-04-04 2001-10-31 조민호 단열재의 시공방법
KR20020080131A (ko) * 2001-04-11 2002-10-23 주식회사 벽산 지지핀 캡을 이용한 압출발포폴리스티렌의 단열벽체 공법
KR100614839B1 (ko) * 2006-02-28 2006-08-22 강선중 알루미늄거푸집에 설치되는 단열재 또는 건설자재 고정장치
KR100673829B1 (ko) * 2005-10-07 2007-01-24 조남신 인테리어패널 고정구
KR100907442B1 (ko) * 2008-04-08 2009-07-10 주식회사 인트켐 고강도 콘크리트 부재의 폭렬방지구조
KR20160005842A (ko) * 2014-07-07 2016-01-18 신용판 석고보드를 단열재에 용이하게 고정하는 방법
KR102560365B1 (ko) 2022-07-11 2023-07-28 조항용 건축물 벽체 마감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649A (ko) * 2000-01-27 2001-08-16 장한백 단열 내벽체용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단열 내벽체 설치공법
KR20010094190A (ko) * 2000-04-04 2001-10-31 조민호 단열재의 시공방법
KR20020080131A (ko) * 2001-04-11 2002-10-23 주식회사 벽산 지지핀 캡을 이용한 압출발포폴리스티렌의 단열벽체 공법
KR100673829B1 (ko) * 2005-10-07 2007-01-24 조남신 인테리어패널 고정구
KR100614839B1 (ko) * 2006-02-28 2006-08-22 강선중 알루미늄거푸집에 설치되는 단열재 또는 건설자재 고정장치
KR100907442B1 (ko) * 2008-04-08 2009-07-10 주식회사 인트켐 고강도 콘크리트 부재의 폭렬방지구조
KR20160005842A (ko) * 2014-07-07 2016-01-18 신용판 석고보드를 단열재에 용이하게 고정하는 방법
KR102560365B1 (ko) 2022-07-11 2023-07-28 조항용 건축물 벽체 마감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9302A (ko) 벽체의 단열층 시공방법
JP2010242500A (ja) 建築物の外断熱工法における支持ボルトの補強工法及び補強金具
JPH11172820A (ja) 発泡合成樹脂板打ち込み壁を構築する型枠工法及び器具
JPH10280576A (ja) 建築物外壁の断熱材と防火材の取付け構造
CN212582966U (zh) 一种方便固定安装板材的墙面钢骨架材料
RU2106459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облицовочных плит
JP2007016471A (ja) 断熱コンクリート壁及び断熱コンクリート壁の構築方法
KR19990079303A (ko) 건물의 천정판 시공방법
JP2006070558A (ja) 鉄筋コンクリート壁の外断熱用断熱材及びこの外断熱用断熱材を用いた鉄筋コンクリート壁の外断熱施工方法
JPH04189966A (ja) 建築用板材の留付工法
CN219825960U (zh) 一种轻质混凝土墙板与结构墙、柱拉结结构
CN219137986U (zh) 混凝土梁柱预埋件的施工构造
KR100899537B1 (ko) 옹벽용 알루미늄 폼의 복합단열재 고정구 및 이를 옹벽용 알루미늄 폼에 설치하는 방법
KR20180080598A (ko) 에이 빔을 이용한 친환경 벽체구조와 그 시공방법
KR200186282Y1 (ko) 단열벽체
KR200200951Y1 (ko) 콘크리트 거푸집 간격 유지 타이
FI13460Y1 (fi) Kiinnitysjärjestely
JP3181774B2 (ja) 断熱壁パネル
JP2002121892A (ja) コンクリート型枠固定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型枠固定構造
JPH026164Y2 (ko)
JPS637605Y2 (ko)
JP3027210B2 (ja) 外壁パネル
JPH09302673A (ja) 建築物の土台の固定機構
KR20150105684A (ko) 콘크리트 벽체 마감 장치 및 콘크리트 벽체 마감 방법
JPH1046675A (ja) 化粧板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