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6591A - 안경테에의 렌즈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안경테에의 렌즈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591A
KR19990076591A KR1019980704672A KR19980704672A KR19990076591A KR 19990076591 A KR19990076591 A KR 19990076591A KR 1019980704672 A KR1019980704672 A KR 1019980704672A KR 19980704672 A KR19980704672 A KR 19980704672A KR 19990076591 A KR19990076591 A KR 199900765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pectacle frame
flexible
fram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9185B1 (ko
Inventor
쟝-끌로드 뻬리
Original Assignee
쟝-끌로드 뻬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쟝-끌로드 뻬리 filed Critical 쟝-끌로드 뻬리
Publication of KR199900765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5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9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91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8Spectacles frames characterized by their material, material structure and materi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4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partial rims, e.g. with partially-flexible rim for holding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10Frame or frame portions made from wi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 Liquid Crystal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테에의 렌즈 고정수단에 관한 것으로, 렌즈의 일측부에서 안경테에 고정되고 홈을 따라 삽입되는 가요성의 테두리요소를 각각의 렌즈에 대하여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가요성의 테두리요소(20)는 안경테에 단순히 결합시킴으로써 해당 렌즈(V)의 일측에서 안경테(2)에 고정되는 2개의 단부 루프(23,24)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안경테에의 렌즈 고정장치
렌즈들 각각의 일부분 둘레에 일반적으로 나일론 실 가닥 또는 스틸 와이어의 가닥으로 된 가요성의 테두리요소를 사용하여 렌즈를 고정하는 기술은 약 50년전부터 알려져 왔다. 이러한 기술은, 이런 식으로 된 안경을 착용하는 사람에게 주어지는 경량 및 주위를 끌지 않는 효과 때문에 매력적이다.
그러나, 제조업자들은 그러한 가요성의 요소들이 안경테에의 고정을 보장하는 어려운 문제에 부딪혀 왔으며, 이에 대하여 여러 가지의 해결책이 제안되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들로서는 안경테에 구멍을 형성하여 (실 또는 와이어와 같은) 가요성의 필라멘트가 그 구멍을 통하여 삽입되게 하고, 필라멘트의 다른 부분보다 두껍게 하여 필라멘트의 단부가 고정되게 하거나(FR-A-2 504 694, FR-A-2 489 970, US-A-2 516 549, FR-A-1 156 468호 공보 참조), 또는 매듭에 의해 단부가 고정되게 하거나(US-A-2 516 549, FR-A-2 506 958, FR-A-2 701 573, EP-A-0 643 316호 공보 참조), 또는 필라멘트를 한번 절곡시키거나(GB-A-775 293호 공보 참조), 또는 2개의 홀을 이용하여 두 번 절곡하여(FR-A-1 094 381, FR-A-1 270 904, FR-A-2 509 058, FR-A-2 524 656, FR-A-2 530 038, EP-A-0 027 415호 공보 참조) 단부를 고정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FR-E-73 293호 공보는 그러한 다수의 해결책들을 결합하였다. EP-A-0 093 108호 공보에는 필라멘트의 각 단부가 안경테의 홈에 두꺼운 부분을 강제로 끼우는 것이 제안되어 있으며, 상기 안경테 홈에는 상기 두꺼운 부분을 스냅식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단부들 각각에 접촉부가 제공되어 있다.
렌즈들을 고정시키는 그러한 해결책들은 값이 비싸고 렌즈가 떨어지게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당한 정밀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이러한 요건을 충족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조정이 어렵고 지루한 작업이다.
또한, 예를들어 티타늄 와이어와 같은 금속 와이어로 된 안경테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와이어의 단부가 통과하는 채널을 가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재료가 충분하지 못하였다. 그것은 와이어 고정식의 안경테들은 클램핑에 의하거나(US-A-718 363호 공보와 US-A-2 588 505호 공보 참조) 보다 자주 나사를 조여야 하며, 그때 렌즈들에는 구멍이 제공되어야(US-A-943 085, US-A-962 549, US-A-5 073 202, EP-A-0 554 341) 힌다.
본 발명은 안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각의 렌즈에 대하여 홈을 따라 배치되고 렌즈의 일측부에서 안경테에 고정되는 가요성의 테두리요소를 포함하는 수단에 의해 안경테에 렌즈를 고정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2개의 렌즈가 고정된 안경테의 사시도.
도 2는 렌즈를 고정하도록 설치되기전의, 단부 루프를 구비한 가요성 테두리요소의 분해사시도로서, 상기 요소는 실모양의 밴드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은 가요성의 테두리요소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장착된 렌즈를 보여주는 부분정면도.
도 4는 도 3의 선 Ⅳ - Ⅳ에 의한 확대 단면도로서, 실모양의 밴드 루프들중 하나가 도시되어 있으며, 루프는 안경테 다리부의 후크에 결합되어 고정되며 도면에서 반원 형태로 만곡된 부분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반달 형상의 렌즈 장착용의 경우를 도시한 도 3과 유사한 정면도로서, 가요성의 테두리요소는 렌즈 상부 외주면상에 연장되고 단부 루프들이 제공된다.
도 6은 실모양의 밴드가 접혀진 상태로 된 가요성 테두리요소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중앙부에서 함께 접촉하여 고정된 가닥을 구비하고 있다.
도 7은 도 6의 가요성 테두리요소를 보여주는, 도 4와 유사한 단면도.
도 8은 접혀진 단부를 갖는 실모양의 밴드 형태로 된, 가요성 테두리요소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도 8의 가요성 테두리요소를 보여주는, 도 4와 유사한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테에 구멍의 형성을 피할 수 있는 한편, 렌즈의 착탈이 정확하고 간편한 가요성의 테두리요소를 갖는 고정수단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금속 와이어 구조의 프레임에 사용될 수 있는 렌즈 고정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경테에 렌즈를 고정하는 수단은 각각의 렌즈에 대하여 렌즈의 측부에 홈을 따라 연장되고 안경테에 고정되는 가요성의 테두리요소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각각의 가요성의 테두리요소는 해당 렌즈의 일측에서 프레임에 고정되는 2개의 단부 루프들을 구비하고 상기 안경테에 단순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고정수단은, 따라서 렌즈의 일측에 안경테위에 2개의 단부 루프를 결합함으로써 테두리요소를 제위치에 단지 밀어 넣고 렌즈의 홈에 상기 가요성의 테두리요소를 천천히 삽입함으로써 렌즈를 장착하면 된다.
안경테가 금속 와이어 구조로 된 경우에, 안경테가 렌즈의 홈을 따라 연장되어 렌즈의 일부분을 둘러싸고 브릿지 훅크(bridge hook)에 의해 그리고 가요성의 테두리요소의 2개의 단부들이 고정되는 안경다리 훅크에 의해 렌즈의 일측부에서 연장되는 만곡된 부분을 각각의 렌즈에 대하여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각각의 렌즈에 대하여 가요성의 테두리요소의 2개의 루프들은 안경테에 맞물려 결합되고 밴드에서는 각각의 훅크들에 안경테의 만곡된 부분을 연결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렌즈의 전체 외주면을 따라 하나의 홈을 형성하도록 가요성의 테두리요소를 수납하는 홈을 연장시켜 그 홈이 안경테의 만곡부를 수용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한 실시예에서, 가요성의 테두리요소는 해당 렌즈의 홈을 따라 연장된 2개의 중첩된 가닥들를 형성하도록 자체적으로 뒤로 접혀지는 실모양의 밴드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의 접히는 부분은 가요성의 테두리부분의 2개의 단부 루프들을 직접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2개의 중첩된 가닥들은 그들중 하나는 안경테의 정면에 그리고 다른 하나는 안경테의 뒤에서 제위치에 직접 삽입되어 2개의 폐쇄된 루프가 안경테에 자연적으로 결합되록 구성된다. 상기 테두리요소는 따라서 매우 신속하게 제위치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가요성의 테두리요소는 가닥들이 가요성의 테두리요소의 중앙부에서 서로 접촉하고, 가닥들이 접촉하지 않는 2개의 부분들은 2개의 단부 루프를 형성하며, 그 접촉라인을 따라 서로 고정된 밴드를 형성하도록 루프가 만들어진 실모양의 요소로 이루어진다. 변형예에서, 가요성의 테두리요소는 예를들어 클램핑에 의해 보지될 수 있는 2개의 단부 루프들을 형성하기에 충분히 멀리 떨어져 2개의 단부들이 접혀지는 실모양의 요소로 구성된다.
이 경우에, 2개의 루프들은 가요성의 테두리요소를 제위치에 배치시키도록 안경테에 차례로 결합되어야 한다. 상기 가요성의 테두리요소는 전술한 경우에서 제위치에 삽입되는 것보다 약간 더 길지만 제조가 용이하다.
가요성의 테두리요소는 플라스틱재료, 특히 나일론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또는 천연재료, 또는 변형예로 스틸, 티타늄 또는 금으로 된 와이어와 같은 금속 와이어로 된 실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과 장점들은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하기하는 설명으로부터 보다 분명히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2개의 렌즈(V)들이 구비된, 금속 와이어 구조의 안경테(2)로 된 안경(1)을 도시하고 있으며, 상기 안경은 가요성의 테두리요소(20)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고정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테두리요소는 2개의 단부 루프(23,24)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루프들은 프레임에 단순히 결합시킴으로써 해당 렌즈의 측부에서 프레임에 고정된다.
프레임(2)은 2개의 만곡된 (또는 반원형의) 부분(3)들과 브릿지 형태의 중앙부(4)를 포함하며, 각각의 만곡부는 각각의 렌즈(V)의 일부분 감싸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하나의 실모양의 테두리요소는 2개의 힌지(5)들에 의해 다리부(6)에 연결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각각의 부분(3)들은 그 일단부가 다리부 후크(7)까지, 그리고 타단부는 브릿지 후크(11)에 까지 연장되어 있다. 다리부 후크(7)는 뒤로 절곡되어 힌지(5)의 핀을 수용하는 루프부분(8)을 형성하고, 그 단부는 하향 연장되어 팁(9)을 형성하며 관련된 다리부를 위한 개구단부용 스토퍼로 되어 있다. 브릿지 후크(11)는 루프(12)까지 연장되며, 상기 루프(12)는 코 패드(14)를 수용 보지하는 작용을 하며 브릿지의 중앙부(4)에 연결된다.
프레임은 금속 와이어, 예를들어 티타늄 와이어로 만들어지며, 렌즈(V)들 각각의 상부에는 홈(15)이 형성되어 안경테의 만곡부(3)가 지나가도록 되어 있다.
각각의 렌즈(V)는, 관련된 홈을 따라 지나서 렌즈의 일측에 맞물리는 2개의 단부 루프로 안경테에 고착되는 가요성의 테두리요소에 의해 안경테에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요성의 테두리요소는 해당 렌즈(V)의 홈(25)을 따라 지나가는 2개의 중첩된 가닥(21,22)들을 형성하도록 겹쳐지는 실모양의 밴드(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테두리요소를 접어 2개의 단부 루프(23,24)를 형성하며, 상기 단부 루프들은 안경테(2)에 단지 결합시킴으로써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2개의 단부 루프(23,24)들은 안경테 다리부의 후크(7)와 브릿지 훅크(11)에 각각 맞물려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은 밴드(10,13)에서 이루어진다. 루프(23,24)들은 눈에 잘 띄지 않아 안경의 외관을 해치지 않게 된다.
도 4의 측면도는 밀폐된 실모양 루프(20)의 중첩된 가닥(21,22)들이 홈(25)에 어떻게 배치되는지와, 루프(23)가 홈(15)에 삽입되는 만곡된 부분(3)과 연결된 다리부의 훅크(7)에 어떻게 배치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홈(15)은 홈(25)에 연장되어 렌즈(V)의 전체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단일의 홈으로 형성되며, 그러한 단일의 홈은 그것을 이루는 두 부분들 모두에서 균일한 깊이와 폭으로 될 필요는 없다. 실모양의 밴드(20)는 그것을 만드는 재료에 따라 0.1mm 정도의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는 한편, 안경테의 만곡부(3)에 제공되는 밴드의 직경은 1mm정도로 된다.
도 2의 분해도는 환형으로 된 가요성의 테두리요소(20)로 이루어지는 실모양의 밴드를 보여주고 있으며, 렌즈를 고정하도록 취해지는 위치에서 2개의 단부 루프(23,24)를 가지게 중첩되고 2개의 가닥(21,22)을 형성하도록 접혀진다. 실제로는 환형의 가요성 테두리요소(20)는 만곡된 부분(3) 위에 자유로운 상태로 가로질러 걸쳐 놓고 후크(7,11)에 대하여 마주접으면 자연적으로 단부 루프(23,24)들이 형성되고 가닥(21,22)들은 하나는 안경테(2)의 정면에 그리고 다른 하나는 그 뒤쪽에서 만곡된 부분 밑으로 매달린 상태로 된다. 그런 다음 렌즈(V)의 홈(15)에 만곡된 부분(3)을 배치한 다음 2개의 가닥(21,22)들을 2개의 루프들중 하나에 인접한 부분부터 시작하여 천천히 홈(25)에 당겨 넣음으로써 렌즈를 장착하게 된다. 필요한 경우에는 보조적으로 얇은 테이프를 사용하며, 이때 가요성있는 테두리요소의 2개의 가닥들과 렌즈의 모서리부분들 사이에 개재된다. 2개의 가닥(22,23)들이 렌즈의 홈(25)에 완전히 끼워지게 되면, 렌즈는 안경테에 적절하게 제위치에 보지된다.
렌즈의 제거는 2개의 가닥(21,22)들을 천천히 당겨 렌즈의 홈(25)으로 부터 벗겨냄으로써 간편하게 수행된다.
맨 처음 렌즈들을 안경테에 장착할 때 또는 일정기간 사용후 느슨하게 되는 경우에는 실모양의 밴드를 보다 직경이 작은 다른 밴드로 교체할 수 있다. 실제로, 안경사들은 직경이 1mm 또는 2mm인 서로 다른 직경의 밴드들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방식으로 고정되는, 다른 실시예로서 (동일부분에 대하여 동일 부호를 사용함) 반달 형상의 렌즈를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만곡된 부분(3)은 렌즈의 하측 모서리부분을 돌아 배치되며, 실모양의 밴드 형태로된 가요성의 테두리요소(20)가 렌즈의 상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기술은 전술한 것와 같으며,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이 렌즈를 고정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모양의 밴드(20)는 그 전체길이에 걸쳐 매끄럽게 되며 그 단부의 루프들은 소정위치에 접합되거나 또는 안경테 성형시 함께 성형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또는 실모양의 밴드의 단부는 매듭을 형성하거나 주름에 의해 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매듭 또는 주름은, 예를들어 매듭 또는 주름을 수용하도록 각 렌즈의 일측에 작은 노치를 형성하여 제위치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가능한한 눈에 띄지 않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변형예는 가요성의 테두리요소가 안경테에 맞물려 고정하는 2개의 단부 루프들을 갖는 기술사상을 이용한다. 그러나, 도 6과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가요성 테두리요소(20)는, 가닥들이 중앙부에서 서로 접촉하고 그 접촉라인을 따라 접합된 밴드를 형성하도록 된 실 모양의 테두리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더욱이, 가닥(21,22)들이 단속되어 부호 22.1과 22.2로 표시된 2개의 부분들을 포함하고, 도시된 예에서 단부대 단부로 맞대어져 지점 26에 배치됨을 볼 수 있다. 본 변형예에서, 상기 단부들 사이에 틈새를 둘 수 있다. 가닥들은 접합 또는 접착과 같은 수단으로 함께 결합될 수 있다. 가닥들이 접촉하지 않는 2개의 부분들이 단부 루프(23,24)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가요성의 테두리요소(20)는 그 루프(23,24)들을 통해 안경테에 최종 위치까지 끼워 안경테에 결합되어야 하며, 그런다음 렌즈(V)가 그 외주면 모서리에 형성된 홈(25) 속에 이중 가닥을 끼움으로써 장착된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된 변형예에서, 가요성의 테두리요소(20)는 실모양의 테두리요소로 이루어지며, 그 단부들은 접혀져서 2개의 단부 루프를 형성한다. 상기 가요성 테두리요소는 매듭, 엮기, 접합 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은 클램핑테두리요소(27)로 폐쇄된 형태로 된 2개의 고정 루프(23,24)들을 형성하는 2개의 짧은 가닥부분(22.1, 22.2)과 렌즈(V)의 홈(25)을 따라 삽입되는 하나의 길다란 가닥(21)을 포함하며, 각각의 루프는 렌즈를 끼우기전에 안경테의 절곡된 부분에 삽입하여 결합하고 길다란 가닥(21)을 렌즈의 홈(25)에 끼워넣어 렌즈를 고정한다.
모든 경우에, 가요성 있는 테두리요소(20)는 나일론 또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르에틸렌 실과 같은 합성재료로 만들어진 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재료에 있어서는 0.1mm와 같이 작은 직경의 미세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들어 머리카락과 같은 자연재료나 강철, 티타늄, 또는 금과 같은 금속 와이어, 그밖에 섬유실 또는 고무재의 실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는 도시된 특정형태의 안경테에 제한되지 않는다. 가요성의 단부 루프를 걸도록 렌즈의 측부에 홈이 제공되면, 금속, 플라스틱 또는 천연재료, 탄소섬유 또는 유리섬유로 만들어진 안경테도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렌즈들은 강체의 안경테에 끼워질 수 있도록 홈이 없이 형성되고 렌즈들의 상부는 일반적으로 경사져 있으며, 홈은 오직 가요성의 테두리요소들의 중앙부를 수용하는 홈이다. 그러므로 종래와 달리 안경테에의 보링작업이 필요없게 된다.
또한, 안경테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바와같이, 렌즈 둘레의 여유부분을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렌즈를 가공하는 대신에 가요성 테두리요소의 중앙부를 수용하는 홈은 (변형예가 도시되지 않았지만) 렌즈의 여유부분에 형성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그와 균등한 수단을 사용하여 전술한 특징을 구현하는 다른 변형예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는 어느 경우에도 간편하고 신뢰성 있는 한편 값이 저렴한 고정 형태가 얻어지며, 렌즈 장착 또는 분해를 용이하고 신속히 할 수 있고 그로 부터 달성되는 정밀도는 만족스럽고, 또한 가요성 테두리요소가 전혀 보이지 않기 때문에 외관이 우수하다.

Claims (10)

  1. 각각의 렌즈(V)에 대하여 렌즈의 측부에 홈을 따라 연장되고 안경테에 고정되는 가요성의 테두리요소(20)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각각의 가요성의 테두리요소는 해당 렌즈의 일측에서 안경테(2)에 고정되는 2개의 단부 루프(23,24)들을 구비하고 상기 안경테에 단순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에 렌즈를 고정하는 수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는 금속 와이어 구조이며, 렌즈 고정수단은 안경테(2)가 렌즈(V)의 홈(15)을 따라 연장되어 렌즈의 일부분을 둘러싸고 브릿지 훅크(bridge hook:11)에 의해 그리고 가요성의 테두리요소의 2개의 단부(23,24)들이 고정되는 안경다리 훅크(7)에 의해 렌즈의 일측부에서 연장되는 만곡된 부분(3)을 각각의 렌즈에 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에의 렌즈 고정수단.
  3. 제 2항에 있어서, 특히 각각의 렌즈(V)에 대하여 가요성의 테두리요소(20)의 2개의 루프(23,24)들은 안경테(2)에 맞물려 결합되고 밴드(10,13)에서는 각각의 훅크(7,11)들에 안경테의 만곡된 부분(3)을 연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에의 렌즈 고정수단.
  4.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각각의 렌즈(V)에 대하여 안경테(2)의 만곡된 부분(3)을 수용하는 홈(15)은 렌즈의 전체 외주면을 따라 하나의 홈을 형성하도록 가요성의 테두리요소(20)를 수납하는 홈(25)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에의 렌즈 고정수단.
  5. 제 1항 내지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요성의 테두리요소(20)는 해당 렌즈(V)의 홈(25)을 따라 연장된 2개의 중첩된 가닥(21,22)들를 형성하도록 뒤로 접혀지는 실모양의 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밴드의 접히는 부분은 가요성의 테두리부분(20)의 2개의 단부 루프(23,24)들을 직접 형성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에의 렌즈 고정수단.
  6. 제 1항 내지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요성의 테두리요소(20)는 가닥(21,22.1,22.2)들이 가요성의 테두리요소의 중앙부에서 서로 접촉하고, 가닥들이 접촉하지 않는 2개의 부분들은 2개의 단부 루프(23,24)를 형성하며, 그 접촉라인을 따라 서로 고정된 밴드를 형성하도록 루프가 만들어진 실모양의 요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에의 렌즈 고정수단.
  7. 제 1항 내지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의 테두리요소(20)는 2개의 단부가 2개의 단부 루프(23,24)들을 형성하기에 충분히 멀리 떨어져 접혀지는 실모양의 요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에의 렌즈 고정수단.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단부 루프(23,24)들은 클램핑수단(27)에 의해 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에의 렌즈 고정수단.
  9. 제 1항 내지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의 테두리요소(20)는 플라스틱재료, 특히 나일론 폴리테트라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또는 천연재료로 된 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에의 렌즈 고정수단.
  10. 제 1항 내지 8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의 테두리요소(20)는 스틸, 티타늄 또는 금 와이어와 같은 금속 와이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에의 렌즈 고정수단.
KR1019980704672A 1995-12-22 1996-10-22 안경테에 렌즈를 고정하는 장치 KR1002891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5/15386 1995-12-22
FR9515386A FR2742886B1 (fr) 1995-12-22 1995-12-22 Dispositif de fixation des verres sur une monture de lunettes
PCT/FR1996/001651 WO1997023802A1 (fr) 1995-12-22 1996-10-22 Dispositif de fixation des verres sur une monture de lunet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591A true KR19990076591A (ko) 1999-10-15
KR100289185B1 KR100289185B1 (ko) 2001-11-05

Family

ID=9485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672A KR100289185B1 (ko) 1995-12-22 1996-10-22 안경테에 렌즈를 고정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992995A (ko)
EP (1) EP0868676B1 (ko)
JP (1) JP3023181B2 (ko)
KR (1) KR100289185B1 (ko)
AT (1) ATE197740T1 (ko)
BR (1) BR9612218A (ko)
DE (1) DE69611045T2 (ko)
ES (1) ES2153598T3 (ko)
FR (1) FR2742886B1 (ko)
WO (1) WO199702380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6504A (ko) * 2021-01-22 2022-07-29 장용찬 반테안경
KR102500182B1 (ko) * 2022-01-04 2023-02-16 곽병문 무용접 안경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390442U (en) * 1997-07-28 2000-05-11 Opcom Inc Eyeglass frame having metal-and-string rims
EP0922987A1 (en) * 1997-12-12 1999-06-16 Sinthesys S.r.l. Wire-frame spectacles
IT1298968B1 (it) * 1998-03-30 2000-02-07 Enrico Vignelli Montatura per occhiali, idonea ad un uso prolungato.
JP2000249987A (ja) * 1999-02-26 2000-09-14 Isao Heii ナイロールフレーム
JP4792153B2 (ja) * 2000-02-28 2011-10-12 伊佐男 兵井 ナイロールフレームの高張力糸の止着構造
ITPD20120023A1 (it) * 2012-01-30 2013-07-31 Safilo Spa Montatura per occhiali
DE102014113046A1 (de) 2014-09-10 2016-03-10 Temming Holding Gmbh Brille und Befestigungsverfahren eines Brillenglases
KR101941402B1 (ko) * 2018-03-16 2019-01-22 박희조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DE102019203035B3 (de) 2019-03-06 2020-08-27 ViSi Management GmbH Brill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16549A (en) * 1947-10-20 1950-07-25 Norman W Chappell Semirimless spectacle mounting having flexible lens retainers
US3068751A (en) * 1959-06-29 1962-12-18 Parmelee Plastics Co Spectacle assembly
JPS5751918U (ko) * 1980-09-08 1982-03-25
FR2509058A1 (fr) * 1981-07-02 1983-01-07 Essilor Int Monture de lunettes a liens souples
AT381177B (de) * 1982-04-27 1986-09-10 Schmied Silhouette Brillen Fassung fuer brillenglaeser
US5073020A (en) * 1988-12-19 1991-12-17 Paul Jorn Lindberg Eyeglasses having oblong receiving means
FR2701573B1 (fr) * 1993-02-15 1995-05-12 Essilor Int Monture de lunett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6504A (ko) * 2021-01-22 2022-07-29 장용찬 반테안경
KR102500182B1 (ko) * 2022-01-04 2023-02-16 곽병문 무용접 안경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23181B2 (ja) 2000-03-21
EP0868676A1 (fr) 1998-10-07
WO1997023802A1 (fr) 1997-07-03
EP0868676B1 (fr) 2000-11-22
DE69611045D1 (de) 2000-12-28
DE69611045T2 (de) 2001-06-13
ATE197740T1 (de) 2000-12-15
ES2153598T3 (es) 2001-03-01
FR2742886A1 (fr) 1997-06-27
KR100289185B1 (ko) 2001-11-05
BR9612218A (pt) 1999-07-13
US5992995A (en) 1999-11-30
JPH11502039A (ja) 1999-02-16
FR2742886B1 (fr) 199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76468A (en) Nosepiece for rocking connection to ophthalmic mounting
JP5330403B2 (ja) ワイヤ組み立て部品を備える関節式眼鏡フレーム
US6092897A (en) Adjustable retainer for eyeglasses
KR0148495B1 (ko) 장식안경
US5975691A (en) Structure of detachable auxiliary lenses with magnets
KR19990076591A (ko) 안경테에의 렌즈 고정장치
US20220244574A1 (en) Interchangeable eyewear system
EP0455791A1 (en) IMPROVED EYEGLASSES.
TW200903070A (en) Clip-on sunglasse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H0774864B2 (ja) 眼 鏡
US5096284A (en) Spectacles having rearward securing members
CA1339052C (en) Eyeglasses
US6053612A (en) Multi-purpose eyeglass retainer
US5135296A (en) Eyeglasses having single wire frames
US6015212A (en) Eyeglass frame made of wire with an elastic element
DE59405441D1 (de) Vorhänger für brillen
JP4054060B2 (ja) 眼鏡用クリップ留め式シールド
US5694192A (en) Clip on lens assemblies for eyeglasses
JPH04261513A (ja) 眼鏡のつるの挾持装置
US6877855B2 (en) Spectacles with peripheral lens support
JPH08227057A (ja) 眼鏡のレンズ保持機構一体式スクリューレス蝶番
US7040752B2 (en) Spectacles, particularly rimless drilled-lens spectables
EP1031061A1 (en) Device for containing and releasing the spectacle cord on the arms of the frame
US20020133914A1 (en) Eyeglass retainer with an improved end fastener
US2968076A (en) Holder means for specta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