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495B1 - 장식안경 - Google Patents

장식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495B1
KR0148495B1 KR1019920019523A KR920019523A KR0148495B1 KR 0148495 B1 KR0148495 B1 KR 0148495B1 KR 1019920019523 A KR1019920019523 A KR 1019920019523A KR 920019523 A KR920019523 A KR 920019523A KR 0148495 B1 KR0148495 B1 KR 01484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rative
wire
decoration
fixing member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9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3781A (ko
Inventor
마사루 무라이
다카유키 히라이
이사오 효이
요시미 마에다
세이이치 스스키
Original Assignee
마사루 무라이
무라이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1109469U external-priority patent/JP2574531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947091U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617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086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52814U/ja
Priority claimed from JP017195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69727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2040290U external-priority patent/JP2581266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2041161U external-priority patent/JP2579501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2041159U external-priority patent/JP2579500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2041868U external-priority patent/JP2579502Y2/ja
Priority claimed from JP4186992U external-priority patent/JP2564492Y2/ja
Application filed by 마사루 무라이, 무라이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마사루 무라이
Publication of KR930013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3781A/ko
Publication of KR01484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4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2Ornaments, e.g. exchange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4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partial rims, e.g. with partially-flexible rim for holding l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식안경에 관한 것으로, 렌즈를 잡아 고정하기 위한 나이론와이어같은 탄성렌즈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이 탄성렌즈고정부재에 장식이 부착되어 렌즈외주면에 고정되므로 안경이 디자인이 다양하면서 장식의 고정위치를 임의로 조절해 줄 수 있으며, 또한 장식을 다른 것으로 교체해 줄 수도 있다.

Description

장식안경
본 발명은 렌즈를 붙잡아 고정시키기 위한 나일론실이나 금속재질의 와이어로 된 가요성 렌즈고정부재를 갖춘 안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와 같은 형태의 안경에다 장식을 부착시켜 설치하도록 된 장식안경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장식이 설치되는 안경은, 렌즈의 상반부가 여러 형태의 금속림에 부착되는 한편, 나일론재질 와이어와 같은 가요성 렌즈고정부재가 렌즈의 하반부를 따라 배치되고서, 이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의 장력에 의해 렌즈가 금속림에 고정시켜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안경은 렌즈의 주위 모두가 견고한 금속림으로 에워싸이지 않아 구조가 단순하고, 무게가 가벼우며, 디자인도 단순해지는 특징이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는 안경의 외관을 장식하기 위해서는 금속림에다 스크류 같은 고정부재를 이용해서 장식부재를 부착하고 있지만, 이렇게 장식을 안경에다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장식의 고정위치가 금속림에 한정되기 때문에 장식의 디자인에 제한을 받는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렌즈를 고정시키기 위한 렌즈고정부재가 배치되게 되는 렌즈의 외주면을 따라 장식이 부착될 수 있게 됨으로써 안경의 디자인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음과 더불어, 장식을 임의의 위치에다 이동시켜 고정시킬 수도 있고, 장식을 쉽게 교체할 수도 있는 장식안경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 장식안경의 제1실시예의 정면도.
제2(a)도 내지 제2(c)도는 각각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본 와이어 끝부위에 형성된 고정부의 사시도.
제3(a)도는 제1도의 Ⅲ-Ⅲ선 횡단면도.
제3(b)도는 장식의 사시도.
제4(a)도 내지 제4(d)도는 장식을 장착시키는 방법에 관한 설명도.
제5도는 와이어로서 얇은 금속제와이어가 사용되었을 때 장식이 설치된 경우의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와이어의 끝부위 분해사시도.
제7(a)도 내지 제7(h)도는 제1도에 도시된 장식을 고정시키는 다양한 방법의 설명도.
제8도는 본 발명 장식안경의 제2실시예 정면도.
제9(a)도는 제8도에 도시된 안경의 수직방향단면도.
제9(b)도는 와이어의 끝부위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
제10(a)도 내지 제10(f)도는 제8도에 도시된 장식의 다양한 부착방법의 설명도.
제11(a)도 내지 제11(f)도는 제8도에 도시된 장식의 다른 변형예 도면.
제12도 내지 제14도는 제8도에 도시된 장식부의 또 다른 변형예 도면.
제15도는 본 발명 장식안경의 제3실시예 정면도.
제16도는 제14도의 XVI-XVI선 단면도.
제17도는 제14도에 도시된 와이어의 끝부위 고정부의 일부절개사시도.
제18도는 제14도에 도시된 장식과 선단보호부가 고정된 상태의 설명도.
제19도와 제20도는 각각 제14도에 도시된 장식과 선단보호부가 고정된 상태의 다른예 설명도.
제21도는 본 발명 장식안경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22도는 제21도에 도시된 장식의 다른 실시예 도면.
제23도는 와이어가 갈라지는 상태의 설명도.
제24(a)도 내지 제24(f)도는 제4실시에에 따른 장식이 고정되는 다양한 상태의 설명도.
제25도는 본 발명 장식안경의 제5실시예의 도면.
제26도는 제25도에서의 장식을 고정시키는 다른 방법의 설명도.
제27도는 본 발명 장식안경의 제6실시예 정면도.
제28도 내지 제30도는 제6실시예에서의 와이어의 다양한 실시예 도면.
제31도는 본 발명 장식안경의 제7실시예 정면도.
제32도 및 제33도는 제31도에서의 장식을 고정시키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제34도 내지 제38도는 제7실시예에서의 장식고정구조의 다양한 실시예시도.
제39도는 본 발명 안경의 제8실시예 예시도.
제39(a)도는 장식조립 부위의 사시도.
제39(b)도는 제39(a)도의 A-A선 단면도.
제39(c)도는 조립부의 절개사시도.
제39(d)도는 장식부착부재의 정면사이도.
제39(e)도는 장식부착부재의 측면도.
제39(f)도는 안경의 정면도.
제40(a)도는 제8실시예에서의 제2부착구조의 사시도.
제40(b)도는 제40(a)도의 B-B선 단면도.
제40(c)도는 장식부착부재의 정면사시도.
제40(d)도는 제40도의 측면도.
제40(e)도는 제8실시예의 제3부착구보의 사시도.
제41도 내지 제48도는 렌즈고정부재의 와이어 끝부위에 장식이 부착되도록 구성된 본 발명 제9실시예의 각종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202,302,402,503,602 : 렌즈
103,203,303,403,504,603,702,803 : 금속림
104,204,304,404,505,604,703,807 : 지지부재
105,205,704 : 보강부재
106,206,306,407,506,607,705,806 : 요홈부
107,207,307,408,507,609,706,805 : 와이어
108,208,308,709 : 고정부
109.209.312,409,508,709 : 결합부재
11,210,313 : 조립홈
111,316,615,622,627,711 : 고정부
112,212,315,410,502,610 : 장식
113,219,316 : 고정파이프 121 : 와이어
122 : 지지부재 123 : 보강부재
124 : 스크류 125,260 : 죠인트
126,263 : 고정부 130 : 고정구
211 : 결합돌기 213,214 : 고정구멍
215,217,220,240,250,620,624,707,808 : 장식
126 : 고정바아 218,222,242 : 보석
221 : 베이스 223 : 장식부재
224 : 고정구멍 225 : 요홈부
226 : 고정구멍 227 : 헤드부
241 : 프레임 243 : 축부
244 : 구멍 311,317 : 와셔
319 : 돌기 403 : 홈
405 : 다리연결부 509 : 고정부
605 : 힌지 606 : 안경다리
608,614,618,621,626 : 와이어부품 616,623,628 : 나일론실
620 : 볼부재 708 : 만입부
710,720 : 절결부 713,714,717,722 : 고정편
715,716 : 선단부 721 : 장식고정부재
723 : 끼움홈 724 : 끼움돌조
725 : 장식고정부재 726 : 절결부
727 : 고정편 728 : 힌지
809 : 베이스부 810 : 장식지지부
811 : 관통구 812 : 부착부재
813 : 절단부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1쌍의 렌즈와 안경테본체 및 이 안경테본체 내에다 렌즈를 붙잡아 고정시키기 위해 렌즈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가요성 렌즈고정부재로 구성되고서, 이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에 장식이 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특히 장식의 위치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고, 장식을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와 함께 교체하거나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와 별도로 교체할 수 잇도록 된 점에 특징이 있다.
또, 상기 장식을 미리 설정해놓은 위치에다 고정시킬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압압이나 용접 등으로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에다 부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와 함께 교체하거나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와 별도로 교체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장식을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에 조립하기 위한 조립장치가 갖춰지게 된다.
또한, 장식에 형성된 고정구멍에다 가요성 렌즈고정부재를 삽입해서 장식을 부착하거나, 가요성 렌즈고정부재를 장식에 갖춰진 고정파이프에다 삽입함으로써 부착할 수도 있고, 고정부품이나 바아를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와 맞물려지게 함으로서도 장식을 부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가요성 렌즈고정부재가 부분적으로 굽혀진 상태에서 고정시키도록 하는 장치가 갖춰지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는 상기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의 구부러진 부분이 접2촉하는 부분에 장식의 마찰력이 가해지면 장식의 마찰고정력이 커지기 때문이다. 또한, 가요성 렌즈고정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가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와 고정구멍 또는 고정파이프와 고정부품 사이에 구비될 수 있는 바, 바람직하기로는 렌즈고정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가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의 구부러진 부분과 접촉하는 부분에 위치하도록 하고서, 이 보호부재를 마찰계수가 큰 부드러운 재질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장식이 지지부재를 매개로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에 고정되게 된다는 점으로서, 이때에는 장식이 지지부재를 매개로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에 고정되면서 압착이나 접착, 용접, 꼬기 또는 매듭 등의 방식을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에 대해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게 된다. 이 경우, 장식은 조립이나 스크류결합 등으로 착탈될 수 있게 결합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요성 렌즈고정부재로서는 나일론실이나 금속와이어와 같은 것(이하 와이어라 함)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는, 장식이 안경테본체에 부착된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의 끝부위에 고정결합된다는 점과,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의 끝부위가 장식으로 가려진다는 점 및, 이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의 끝부위가 장식을 매개로 안경테본쳉 부착시켜지게 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는, 장식과 가요성 렌즈고정부재 자체도 장식성을 가진 와이어조립체가 될 수 있다는 점으로, 이 장식와이어조립체는 와이어로 형성된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에 돌출하거나 만입된 형상의 장식이 형성되도록 된 것으로, 이 경우 다양한 형태나 색상을 가진 장식을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에다 함께 조립해서 장식와이어조립체로 만들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가요성 렌즈고정부재를 여러줄의 와이어가 꼬아진 형태로 만들 수도 있고, 장식와이어조립체 역시 적어도 1줄 이상의 꼬아진 형태의 와이어로 만들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는, 장식이 땋아진 형상의 장식와이어조립체로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와이어가 땋아져 이루어진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에 장식으로서 보석이 삽입설치됨으로써 장식와이어조립체가 만들어지고서, 이 장식와이어조립체가 교체할 수 있도록 된 점에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장식와이어조립체로서 바람직스럽기는 와이어의 재질을 나일론실로 하는 것이 좋으나 금속재질와이어로 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는, 가요성 렌즈고정부재가 제1렌즈고정부재와 제2렌즈고정부재로 이루어지도록 하고서 그중 제2렌즈고정부재를 장식으로 이용하도록 된 점으로서, 제2렌즈고정부재를 교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도 또한 가요성 렌즈고정부재를 나일론실과 같은 실이나 금속와이어로 만들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 장식이 설치된 장식안경(101)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렌즈(102)의 상단외주면을 따라 설치된 금속림(103)이 지지부재(104)와 보강부재(15)에 의해 납땜으로 상호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제3도에 도시된 것과같이 각 렌즈(102)에 그 외주단면(外周端面)을 따라서는 요홈부(106)가 형성되어 이 요홈부(106)에 쉽게 휘어질 수 있게 가요성을 가진 와이어(107)로 이루어진 가요성 렌즈고정부재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 와이어(17)는 나일론 실이나 굵기가 가는 금속성 선재(線材)로 만들어져, 와이어(107)가 요홈부(106)내로 들어가 조립되면 밖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제3도는 와이어(107)가 확실하게 나타나도록 하기 위해 확대도시한 도면이다.
한편, 제2(a)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와이어(107)의 끝부위에 고정부(108)가 형성되어 금속림(103)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한편, 다른쪽 끝부위도 마찬가지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 렌즈(102)의 상단부가 결합부재(109)를 매개로 금속림(103)에 결합되어져 있다. 즉, 제3(a)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결합부재(109)가 금속림(103)에 형성된 조립홈(110) 속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로 되어 있는 한편, 이 결합부재(109)의 고정부(111)가 렌즈(102)의 요홈부(106) 내로 들어간 상태가 되어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109)의 내부에도 와이어가 관통하도록 할려면, 이 와이어가 렌즈고정용 와이어(107)의 양끝부위에서 연장되어 렌즈(102)를 고정시키기 위한 와이어(107)와 일체가 되도록 하면 된다.
제3(b)도에서의 참조번호 112는, 렌즈(102)를 붙잡아 고정시키는 와이어(107)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되는 하트형상의 장식을 나타낸 것으로, 이 장식(112)은 장식부(112a)와 설치부재인 고정파이프(113)로 구성된다. 상기 장식부(112a)는 장식(112)의 일부를 이루고서 조립수단으로 사용되는 고정파이프(113)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끼워지는 와이어(107)에 의해 지지되어 안경에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파이프(113)는, 그를 관통해서 삽입된 와이어(107)에 의해 렌즈(102)에 고정되어지는 방식으로 설치되는 바, 이 경우 고정파이프(113)가 와이어(107)와 함께 렌즈(102)의 외주단면에 형성된 요홈부(106) 내로 들어가 위치하게 된다.
즉, 장식(112)이 고정파이프(113)에 끼워진 와이어(107)가 렌즈(102)의 외주단면에 형성된 요홈부(106) 내로 들어가 위치하는 것과 같이 되어, 안경(101)에 설치된 다음 와이어(107)가 안경의 조립공정에서 조여지면 함께 조여지는 형식으로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107)를 뽑아내어 다른 장식으로 교체할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렌즈(102)의 고정은 예컨대 제4(a)도 내지 제4(c)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소정길이를 가진 와이어(107)의 양쪽 끝부위를 렌즈(102)의 고정에 앞서 금속림(103)에다 부착한 다음 렌즈(102)를 조립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렌즈의 고정은 예컨대 와이어(107)의 한쪽 부위는 단지 금속림(103)에다 부착시키기만 하면 되지만, 다른쪽 끝부위는 와이어(107)를 렌즈(102)의 외주단면을 따라 배치하고 나서 설정장력이 디도록 당긴 상태에서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부착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장식(112)을 요홈부를 가진 형태의 렌즈(102) 외주단면에다 고정시킬 수가 있게 됨으로써 외관이 미려해질 뿐만 아니라, 구조에 있어서도 와이어(107)가 고정파이프(113)를 관통하도록 되어 있어서 장식(112)이 분리되지 못하게 됨으로써 고가의 보석류라 하더라도 장식으로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장식(112)의 설치가 와이어(107)에 마찰력으로 고정되도록 된 구조로 말미암아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장식(112)에다 마찰고정력보다 더 큰 힘을 가하면 와이어(107)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되므로 바라는 어떤 위치에다 배치할 수도 있게 된다.
제5도는 본 발명 제1실시예의 제1부착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렌즈(102)가 도시되지 않은 렌즈외주의 요홈부에 끼워진 와이어(121)에 둘러싸여 조여진 상태에서 지지부재(122)와 보강부재(123)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고정되도록 되어 잇다. 여기서, 참조부호 112는 장식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와 같이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인 와이어(121)에 설치되게 된다. 또, 상기 와이어(121)의 양쪽 끝부위에는 제6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환상의 고정부(126)가 갖춰져 이 환상의 고정부(126)가 스크류(124)로 각각 나사결합되어 다리연결부의 죠인트(125)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제7도는 장식(112)의 고정수단으로 사용되는 다른 고정부재(130)를 도시해 놓은 것으로서, 제7(a)도 내지 제7(c)도에 도시된 각 고정부재(130)는 모두 후크형상으로 형성되어 와이어(121)에 걸려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고정부재(130)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고정부재(130)가 와이어(121)와 독립적으로 고정되거나 또는 분리될 수가 있게 된다. 즉, 와이어(121)와 렌즈(102) 사이에다 후크부를 삽입한 후 와이어(121)를 조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재(130)를 후크형으로 만든 예이다.
한편, 상기 장식(112)은 용접이나 접착 또는 매듭과 같은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바, 제7(d)도는 장식(112)이 접착제로 와이어(107)에 부착시킨 것을 나타낸 것이고, 제7(e)도는 장식(112)이 와이어(107)에 직접 용접된 것을 나타낸 것이며, 제7(g)도와 제7(h)도는 각각 장식(112)이 와이어(107)에 묶여져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장식(112)을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용접으로 와이어 (107)에다 부착시키는 경우에는 바로 제 위치에 고정디지만, 와이어(107)에다 끼워 부착시키는 경우에는 고정되거나 또는 이동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장식이 하트 형상으로 된 것을 예로 들었지만 별모양이나 다이오몬드 또는 꽃모양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장식(112)이 안경테본체 위에다 렌즈를 붙잡ㅇ 고정시키는데 와이어(107,121)가 지지수단으로 이용되게 되면 장식(112)을 렌즈(102)의 외주단면에다 십게 고정시킬 수가 있게 되므로, 어떤 형태의 장식도 부착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8도 내지 제14도는 본 발명 장식안경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8도와 제9도에서의 참조부호 200은 안경테본체(201)와 렌즈(202)를 이 안경테본체(201)의 금속림(203)에다 고정설치하기 위한 가요성 렌즈고정부재로 사용되는 와이어(207)를 갖춘 안경테를 나타내는 바, 와이어(207)로서는 나일론실이나 금속와이어로 만들어져 렌즈(202) 주변에 감겨져 조여질 수 있게 가요성을 갖도록 된 것이다. 또, 각 렌즈(202)의 외주단면에는 내부에 와이어(207)가 수용될 수 있도록 요홈부(20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경테본체(201)는, 1쌍의 렌즈(202)의 각 상단부가 끼워맞춰지는 1쌍의 금속림(203)이 지지부재(204)와 보강부재(205)에 의해 상호 연결·결합되도록 구성되고서, 각 렌즈(202)의 상단부는 결합부재(209)를 매개로 금속림(203)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즉, 이 결합부재(209)가 금속림(203)에 형성된 조립용 요홈(210)내에 삽입되어 결합되게 된다. 또, 결합돌기(211)가 렌즈(202)의 상단부 단면에형성된 요홈부(206)에 들어가 수용되는 한편, 와이어(207)의 고정부(208)가 제9(b)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금속림(203)에 걸려져 결합되게 된다. 다른쪽 끝부위도 마찬가지로 걸려져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207)에 고정구멍(213)을 가진 장식부재(212a)로 이루어진 장식(212)이 설치되는데, 상기 장식부재(212a)는 수지나 금속 또는 모조칠보로 만들어지게 된다. 이러한 장식(212)은 제10(a)도 내지 제10(b)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렌즈(202)의 외주단면에 부착되는바, 이 장식(212)은 렌즈(202) 두께와 같은 두께를 갖고서 두께방향으로 형성된 2개의 고정구멍(213)을 갖고 있어서, 제10(a)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와이어(207)를 장식(212)의 뒷면으로부터 고정구멍(213) 속으로 삽입한 다음 장식(212) 표면을 지나 다시 다른 고정구멍(213) 속으로 삽입해서 뒤쪽으로 빠져나오도록 하면, 와이어(207)가 루프형상으로 구부러진 형태로 되어 장식(212)을 렌즈(202)의 가장자리에다 강고하게 고정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장식(212)이 렌즈(202)의 외주단면을 향해 강하게 당겨져 압착되는 형식으로 고정되게 되는바, 와이어(207)가 루우프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장식(212)에 의해 와이어가 구부러지는 부분과 접촉하는 부분에서 와이어(207)의 장력으로 작용하는 힘이 장식(212)을 렌즈(202)의 외주단면 쪽으로 당김으로써 마찰력을 증가시켜 장식(212)을 고정하는 힘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장식(212)에 손이나 기타 다른 물체의 접촉으로 인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장식이 이동하지 않게 하는 효과가 더불어, 가시영역이 가려지지 않게 되며, 장식(212)에다 마찰저항보다 큰 힘을 가함으로써 장식의 위치를 옮길 수가 있어서 장식(212)의 위치를 마음대로 변화시킬 수가 있게 된다.
제10(c)도 내지 제10(e)도는 제2실시예의 제2부착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장식부(212a)의 내부에 원호형상의 고정구멍(214)이 형성되어 이 고정구멍(214) 내로 와이어(207)가 끼워지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제2부착구조는 외관이 단순해지고 와이어(207)가 장식(212)의 바깥으로 보이지 않게 되어 제1부착구조에 비해 장식효과가 좋아지게 된다. 또, 고정구멍(213)내로 삽입되는 와이어(207)의 루프를 제10(f)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매듭지워지게 할 수도 잇어서, 이렇게 매듭을 지우게 되면 장식(212)의 바람직하지 않으 s이동이 보다 더 학실하게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제11(a)도와 제11(b)도는 제2실시예의 제3부착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는 장식(215)이 원호형상 장식부재(215a)와 설치부재로서의 고정바아(216)로 구성되어, 이 고정바아(216)를 와이어(207)가 관통함으로써 장식(215)을 고정시키도록 된 것이다. 이 경우, 루우프형상부위의 와이어(207)와 고정바아(216)의 개재로 말미암는 마찰력에 의해 장식(215)을 고정시키는 힘이 커지게 되어 제1부착구조에서와 같은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207)를 제11(f)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와이어(207)를 직접 매듭지우는 형태로 해서 고정바아(216)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제11(c)도 내지 제11(e)도는 제1실시예에서의 제4부착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는 장식(217)이 보석(218)이 박힌 표면을 한 원호형상의 장식부와 고정파이프(219)로 구성되고서, 이 고정파이프(219)내로 와이어(207)가 삽입되어 장식(217)을 고정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부착구조는, 제1부착구조에서와 같은 효과에 더해서 보석에 의한 보다 우수한 장식효과까지도 기대할 수 있고, 또 고정파이프(219)가 와이어(207)와 접촉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되므로 제3부착구조에 비해 고정시키는 힘이 더 커지게 되는 이점도 있게 된다.
제12(a)도 내지 제12(c)도는 제2실시예의 제5부착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는 장식(220)이 편평한 베이스부(221)와 보석(222)이 박혀진 헤드부(227)를 가진 장식부재(223)로 구성되고서, 베이스부(221)에 두께방향으로 형성된 고정구멍(224)과 이 고정구멍(224)의 가장자리에 마주보고 형성된 1쌍의 원호형상 요홈부(225)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장식부재(223)는 외부직경이 고정구멍(224)내로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원통형상을 하고서 그 하단부에 고정용 와이어(207)가 관통하는 고정용 관통구멍(226)을 갖고 있어서, 와이어(207)가 요홈부(225)중 하나를 거쳐 관통구멍을 통하고 난 다음 다른족 요홈부(225) 속으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 장식부재(223)의 원통형상부는 높이가 베이스부(221)의 두께와 같거나 조금 낮도록 되어 있는 한편, 헤드부(227)의 직경은 고정구멍(224)의 직경보다 크게 되어 있어서, 장식부재(223)가 고정구멍(223)안에 삽입된 다음 와이어(207)에 장력이 부과되면, 제12(c)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부(221)와 장식부재(223)가 렌즈(202)의 외주면과 일체가 되는 형태로 부착되게 된다. 이 경우, 헤드부(227)가 베이스부(221)와 접촉하게 되면 와이어(207)가 제12(b)도에서와 같이 루우프형상으로 휘어진 형태를 하게 되므로, 장식(220)을 붙잡아 고정하는 힘이 와이어(207)와 장식부재(223)에서 생성된 마찰력으로 강화되엊 장식(220)이 바람직스럽지 않게 이동하는 것이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2(d)도는 장식(220)이 갈라진 형태의 안경다리 연결부재(260)의 아암(261,262) 사이에 배치되도록 된 예를 나타낸 것인 바, 이 연결부재(260)의 하부아암(262)에 와이어(207)가 고정될 고정부(263)가 구비되게 된다.
제13(a)도와 제13(b)도는 제2실시예의 제6부착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장식(230)이 상기 제5부착구조에서와 같은 다수의 베이스(221)와 역시 제5부착구조에서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221)에 결합되는 다수의 장식부재(223)로 구성되어 제5부착구조와 같이 부착되도록 된 것이다. 이는 제5부착구조에서와 같이 설치되지만, 와이어(207) 자체에 형성된 루우프의 숫자가 많아져 전체적인 결합적이 증가됨과 더불어, 보석의 색상과 모양도 디자인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또, 와이어(207)를 제거한 후 장식부재(223)와 보석(222)을 개인적인 취향에 따라 선별해서 사용할 수가 있게 되므로, 장식면에서 월등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제13(c)도와 제13(d)도는 제2실시예의 제7부착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이 또한 앞의 부착구조에서와 같은 장식(240)이 베이스부(221)와 구부러진 형태의 프레임(241)에 부착되는 2개의 보석으로 이루어진 것인바, 이 프레임(241)에는 축부재(243)가 갖춰지면서 이 축부재(243)내에 구멍(244)이 형성되어 이 구멍에 의해 렌즈의 외주부위에 와이어(207)를 매개로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도 와이어(207)가 루우프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앞의 부착구조에서와 마찬가지로 마찰력이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보석(242) 중 하나가 렌즈(202)의 앞쪽면을 장식하게 되는 장점이 있게 된다.
제13(e)도는 제2실시예의 제8부착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상기 제7부착구조에서와 마찬가지로 배칟횐 베이스부에 다수의 장식부재(242)가 일체로 고정되어 이루어진 장식(240)을 와이어(207)가 관통하면서 루우프를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제7부착구조에서와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제14(a)도 내지 제14(c)도는 제2실시예의 제9부착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는 장식(250)이 베이스부(251)와 보석(222)이 박힌 장식부재(223)로 구성되고서, 이 장식부재(223)가 제12도에 도시된 제5부착구조에서와 마찬가지로 배치된 것이다. 즉, 베이스부(251)가 그 측면에 개구부가 갖춰지는 한편 상부면에는 다수의 관통구멍(224)이 갖춰져, 이 고정관통구멍(224)에 장식부재(223)가 끼워져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어(207)가 각 장식부재(223)의 고정구멍(2267) 속으로 끼워지면 와이어(207)의 장력으로 장식부재(223)가 렌즈(202)에 고정시켜지게 된다. 한편, 이 와이어(207)는 다수의 장식부재(223)의 고정구멍(223)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루우프형상을 이루게 되어 마찰력이 증가하게 되므로써 장식(250)의 외력에 의한 이동이 방지되게 디는 바, 이러한 구조는 상하부프레임과 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의 안경에도 적용할 수가 있다.
제15도 내지 제20도는 본 발명 장식안경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안경테(300)가 안경테본체(301)와 이 안경테본체(301)에 연결된 금속림(303) 및 이 금속림(303)에 렌즈(302)를 부착시키기 위한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인 와이어(307)로 이루어지는 바, 이 와이어(307)는 나일론제 실이나 금속와이어로 만들어져 렌즈(302)의 외주단면에 형성된 요홈부(306)에 들어간 상태로 렌즈(302)를 에워싸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안경테본체(301)는, 1쌍의 렌즈(302)의 각 상단부를 따라 배치된 1쌍의 금속림(303)이 지지부재(304)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일체로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이들 금속림(303)에 렌즈(302)의 상단부가 결합부재(312)를 매개로 부착되게 된다. 즉, 이 결합부재(312)는 금속림(303)에 형성된 조립용 요홈(313)내에 삽입됨과 더불어, 고정부재(314)가 렌즈(302)에 형성된 요홈부(306) 내에 들어가 끼워지는 상태로 조립되게 된다.
또한, 와이어(307)의 양쪽끝부위는 제17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금속림(303)에 걸려져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바, 이 와이어(307)가 장식부재(315a)에 갖춰진 설치부재인 고정파이프(316)에 형성된 구멍내로 삽입됨으로써 장식(315)을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기 고정파이프(316)와 접촉되는 부분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부재로서 T자형상의 와셔(317)가 사용되는데, 이 와셔(317)는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져 고정파이프(316)의 양쪽끝부분에 큰 마찰력이 생기도록 나일론이나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실리콘고무, 폴리우레탄이나 폴리에스텔과 같이 유연하고 탄성을 가진 가요성재질로 만들어지게 된다. 따라서, 와이어(307)가 T자형상 와셔(317)를 통해 고정파이프(316)내로 삽입되면 와셔(317)에 형성된 와이어관통구멍과의 접촉부위에서 마찰력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와이어(307)와 장식(315)이 T자형상 와셔(317)를 매개로 접촉하도록 배치됨으로써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장식(315)의 위치가 쉽게 변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와이어(307)의 양쪽끝부위에는 와이어의 보호부재로서도 사용되는 고정부재(308)가 설치되는바, 이 고정부재(308)는 길이방향으로 2개의 구멍(309)이 형성되고서 그 앞끝단면에는 원형을 이루면서 와이어(307)가 끼워지는 만입부(310)가 형성되어 있다. 또, 와이어(307)와 접촉하는 구멍(309)에는 유연재질로 만들어진 마찰력이 큰 I자형상 와셔(311)가 끼워지게 된다. 이 I자형상 와셔(311)는 와이어(307)를 보호하기 이한 돌출부재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재질이 상기 T자형상 와셔(317)와 같게 되어 있고, 상기 와이어(307)의 끝부위에 형성된 후크부가 이 I자형상 와셔(311)에 걸려진 상태로 금속림(303)에 부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이 제3실시에에 따른 장식안경에서는, 와이어(307)의 끝부위에 위치한 후크부와 금속림(303)을 상호 고정시키도록 하는 고정부재(308)가 상기 후크부와 유연재질로 만들어져 마찰력이 큰 I자형상 와셔(311)를 매개로 상호 접촉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어서, 와이어(307)의 미끄러짐이 방지됨과 더불어 바람직하지 못한 마모가 방지되어 와이어가 절단될 위험이 없어지게 된다.
제19도는 제3실시예의 제2부착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제1부착구조에서의 와셔(311,317)와 같이 작용하도록 금속림(303)에 설치된 고정부(308)의 와이어(307)와 접촉하는 부분에 보호부(318)가 돌출형성시킨 예인바, 이러한 구조에서는 장식(315)의 원통형상 고정부재(316)가 와셔(311,317)와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고서, 보호부재로 작용하는 보호부(318)가 와이어(307)와 접촉하는 부분에 덧대어지는 형태로 되는 것 외의 구조와 작용은 제1부착구조에서와 같기 때문에, 같은 부재에는 참조번호를 부여하고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0도는 제3실시예의 제3부착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도 상기 제1부착구조에서의 와셔(311,317)와 같은 재질로 된 다수의 돌기(319)가 장식부재(315)의 배면에 형성된 장식(315)이 고정파이프(316)를 매개로 와이어(307)에 끼워져 설치되도록 된 구조인 바, 기타의 작용은 상기 제3실시에의 제1부착구조와 같으므로 같은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이 제3부착구조에서도 돌기(319)가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지고, 와이어와 접촉하는 부위도 마찰력이 커지도록 되어 있어서 장식(315)과 와이어 사이에 바람직하지 못한 위치이동이 일어나지 않아 마모로 인한 고정부재의 절단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제21도 내지 제24도는 본 발명 안경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그중 제21도는 제4실시예의 제1부착구조를 나타낸 것인 바, 렌즈(402)의 상단부를 따라 배치된 1쌍의 금속림(403)이 지지부재(404)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결합됨과 더불어, 안경다리(406)가 상기 금속림(403)의 바깥쪽 끝부분에 각각 설치된 다리연결부(405)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도 렌즈(402)의 외주단면(402a)을 따라 요홈부(407)가 형성되어 이 요홈부(407)에 나일론실이나 금속으로 만들어진 와이어(408)가 들어가 조여지게 되는 바, 이 와이어(408)가 교체가능한 가요성 렌즈고정부재로써 사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408)는 제21(c)도에서와 같이 2줄의 와이어(제1,2와이어; 408a,408b)로 이루어지고서 제1와이어(408a)의 끝부위와 제2와이어(408b)의 끝부위가 금속림(403)에 각각 별도로 부착되는 한편, 이들이 모아진쪽 와이어(408)의 끝부위는 결합부재(409)를 매개로 금속림(403)에 부착되어 렌즈(402)를 붙잡아 고정하도록 되어 잇다. 따라서, 이 렌즈(402)의 외주단면(402a)의 설정위치(402b)에서 떨어져 위치한 연결부(405) 사이의 소정영역(C)에는 제2와이어(408b)만 상기 연결부(405)와 외주단면 사이에 대치되어져 장력이 걸린 상태로 렌즈(402)의 외주단면(402a)과 떨어져 배치되게 된다. 즉, 이상 설명한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는 제2와이어(408b)도 제1와이어(408a)와 함께 렌즈(402) 외주단면에 형성된 요홈부(407)에 들어가 감김과 더불어, 설정위치(402b)에서부터는 제1와이어(408a)와 제2와이어(408b)가 소정영역(C)에서 결별되어, 그중 제2와이어(408b)의 소정영역(C)에 장식(410)으로서의 장식부재(411)가 설치되게 된다. 따랏, 2줄의 와이어(408a,408b)중 1줄의 와이어(408b)가 렌즈(402a)의 외주단면(402a)의 설정위치(402b)로부터 갈라진 상태로 연결부(405)까지 사이에 위치되어, 이 와이어(408b)가 장식부재(411)용 홀더로 사용됨으로써 와이어(408b)에 장식부재(411)가 설치되어 장식효과가 높아질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소정영역(C)에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는 제2와이어(40b)가 그 자체의 형상에 의해서도 장식효과를 발휘하게 되므로 장식성이 향상됨과 더불어,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는 제2와이어(408b)가 렌즈(402)의 고정력을 보다 더 강화하게 된다. 제4실시예의 기타 구성에 대한 아래의 설명에서는, 제1부착구조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붙이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제22(a)도는 제2와이어(408b)의 소정영역(C)에 장력이 걸려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는 장식(410)이 설치되는 소정영역(C)이 늘어질 수 있으므로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하게 되는 바, 즉 크기가 큰 장식을 고정시켜 설치할 수도 있고, 장식의 수를 늘려 설치할 수도 있게 된다.
제22(b)도는 제22(a)도에 도시된 상태보다도 더 와이어(408b)가 늘어져 마치 늘어져 매달린 형태를 한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이 경우에는 제2와이어(408b)의 늘어진 부위를 흔들리게 해서 장식효과가 높아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또, 장식이 매어 매달리는 형태를 한 된 부분이 고정되도록 한다면 더 우수한 장식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제22(c)도 및 제22(d)도에서와 같이 제2와이어(408b)가 단지 렌즈(402a)의 외주단면과 연결부(405) 사이에 배치되기만 하더라도 장식효과가 있음은 물론이다.
제23(a)도 내지 제23(d)도는 모두 상기 제22도에서의 가요성 렌즈고정부재로 사용되는 와이어(408)에서의 제1와이어(408a)와 제2와이어(408b)의 상호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별도의 장식없이도 이들 제1 및 제2와이어(408a,408b)가 꼬이거나 땋아져 결합된 상태자체가 장식효과를 나타낼 수 있게 된다.
제24(a)도는 장식부재(411)의 홀더로 사용되는 제2와이어(408b)가 좌·우(402)의 각 고정와이어(408a)와 분리되어 소정영역(C)에 다수의 장식(410)이 설치되도록 된 것을, 이 경우 장식부재의 구성요소인 제2와이어(408b)가 렌즈고정용 제1와이어(408a)에 걸쳐지는 형태로 연결되게 된다.
제24(b)도는 장식부재용 홀더로서의 렌즈고정용 제1와이어(408a)와 각각 분리된 소정영역(C) 다수의 장식(410)이 설치되는 한편 이 소정영역(C) 이외에서는 제2와이어(408b)가 제1와이어(408a)와 결합되도록 된 것이고, 제24(c)도는 장식부재고정용 홀더인 제2와이어(408b)가 제1와이어(408a)와 분리되어 아래로 짧게 내려져 매어달린 형태를 하고서 여기에 장식(410)이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제24(d)도는 렌즈고정용 제1와이어(408a)와 장식설치용 제2와이어(408b)가 별개로 나뉘어져 나란히 배치된 형상을 하면서 양끝에서 결합되도록 된 것이고, 제24(e)도는 와이어(408)가 단지 렌즈(402)의 하단부만을 받쳐주는 형태로 렌즈(402)를 고정시키면서 양끝이 연결붸405)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인 바, 이 경우에는 단일의 와이어(408)가 소정영역(C)에 해당하는 제2와이어(408b)와 렌즈고정용 제1와이어(408a)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제24(f)도는 단일의 와이어(408)가 렌즈(402)의 외주단면상을 여러번 둘러 에워싸고 나서 양끝부위가 다리연결부(405)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나타낸 것으로, 이는 와이어가 렌즈(402)를 여러번 에워싸도록 된 점을 제외하면 제24(e)도에서와 같고, 또 제21(e)도에 도시된 제1부착구조와도 동일한 효가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제24도의 구조에서는 2줄의 와이어가 쌍을 이루는 형식으로 배치되지는 않지만, 제24(a)도에서와 같이 와이어(408a,408b)가 설정영역(C)에서는 렌즈(402)와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배치되어 사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이렇게 결하보디지 않은 와이어중 일부는 렌즈(402)의 외주단면(402a)을 따라 배치되지만, 나머지 와이어는 렌즈(402)의 외주단면(402a)의 설정위치에서 다리연결부(405)까지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 2줄의 와이어(408a,408b)가 사용되더라도 복수의 와이어가 사용되기만 하면 되므로, 예컨대 제23(c)도에서처럼 배치할 수도 있다. 또, 3줄의 와이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렌즈고정력이 커지게 되는 한편, 2줄의 와이어(408a,408b)가 소정영역(C)에 배치되어 장식(410)을 이들 2줄의 와이어(408a,408b)에다 고정시킬 수 있게 되므로 다양한 디자인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 이 실시에에 있어서는 제2와이어(408b)가 렌즈(402) 외주단면(402a)의 설정위치(402b)에서부터 분리되어 그 끝부위가 렌즈(402)의 상단부에서 렌즈(402)의 측면쪽으로 약간 돌출된 금속림(403)의 다리연결부(405)에 대응하도록 렌즈(402)의 외주단면(402a)으로부터 떨어져 다리연결부(405)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바, 이 경우 제2와이어(408b) 중 렌즈외주단면(402a)과 다리연결부(405) 사이에 배치되는 소정영역(C)이 필연적으로 렌즈(402)의 외주단면(402a)에서 떨어져 배치되게 된다. 또한, 장식(410)을 이루는 장식부재로서는 여러 가지 재질의 구슬이나 진주 또는 보석 등으로 다양한 형태나 색상을 연출할 수 있게 되므로 귀거리나 목걸이와 세트로 제작할 수가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4실시에에서는 장식(410)이 렌즈고정부재와 떨어져 배치되무로 장식효과가 보다 더 향상될 수가 있게 디고, 소정영역(C)에 복수의 와이어가 배치됨으로써 장식(410)이 렌즈고정부재와 떨어져 배치될 경우에는 장식(410)과 고정부재와의 결합이 보다 더 확실해질 수가 있게 되어 장식효과가 더 나아지게 된다. 이 경우, 복수의 와이어 중 하나는 헨즈외주단면의 설정위치로부터 다리연결부까지 배치되게 됨으로써 배열된 렌즈고정부재 그 자체도 장식효과를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식(410)이 장식부재로 사용되는 제2와이어(408b)에 설치되면 장식효과가 보다 더 향상될 수가 있다. 즉, 렌즈의 외주단면(402a)에서 장력이 인가된 상태로 이격배치되는 1줄 또는 2줄 이상의 와이어가 렌즈 외주단면(402a)의 설정위치와 다리연결부 사이에 배치되어 조여진 제2와이어(408b)의 형태에 장식(410)이 부가되어 장식효과를 발휘하게 되므로 장식성이 더 향상되게 된다.
제24도 및 제26도는 본 발명 장식안경의 제5실시에를 도시한 것으로, 안경테(500)가 안경테본체(501)와 이 안경테본체(501)의 금속림(504)에다 렌즈(503)를 고정시키기 위한 렌즈고정부재로 사용되는 와이어(507)로 구성되는 바, 이 와이어(507)는 나일론과 같은 섬유질이나 금속와이어로 만들어져 렌즈(503)의 외주단면에 형성됨 홈(506)에 끼워지는 상태로 렌즈(503)를 에워싸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안경테본체(501)는 렌즈의 상단부를 따라 배치되고서 지지부재(505)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는 1쌍의 금속림(504)으로 이루어지는 바, 즉 렌즈(503)의 상단부가 결합부재(508)를 매개로 금속림(504)에 부착되는 한편, 이 결합부재(508)가 금속림(504)에 형성된 요홈(506) 내에 삽입되며, 와이어(507)의 양끝부위가 제2(a)도와 제9(a)도 및 제17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금속림(504)에 부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제5실시에는 비교적 큰 크기를 갖는 2개 이상의 고정부를 갖춘 장식(502)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여기서의 장식(502)은 와이어(507)의 상하길이방향(E)으로 형성된 장식부재(502A)를 갖추면서 이 장식부재(502A)의 양쪽끝부위(502a,502b)에 각각 뒷면(D)에서부터 장식표면(C)에 걸쳐 형성된 고정부(509)가 형성되어, 와이어(507)를 이들 고정부(509b) 뒷면(D)에서부터 삽입해서 장식표면(C)으로 나오게 한 다음 다시 뒷면(D)에 이르게 하는 과정을 되풀이함으로써 장식부재(502A)를 장식고정부재에다 고정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상기 장식부재(502A)의 양쪽부위(502a,502b)가 각각 고정부(509)를 매개로 와이어(507)에 고정됨으로써 장식(502)이 설치되게 된다.
이 제5실시예에 의하면, 와이어(507)가 고정부(509)의 구멍으로 끼워져 그 마찰력이 와이어(507)와 장식부재(502A) 사이에 가해짐으로써 장식부재(502A)가 와이어에 고정되어 장식부재(502A)가 와이어(507)에 의해 쉽게 이동되지 못하게 된다. 또, 장식부재(502A)의 종류가 다양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자인도 다양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장식(502)을 고정시킬 때 와이어(507)가 고정부의 양쪽구멍(509a,509a') 사이에서 장식부재(502A)의 표면에 노출되게 되는 바, 이렇게 되면 와이어(507) 자체도 장식효과를 발휘하게 됨으로 안경의 디자인이 더 다양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장식부재(502A)에의 고정부(509) 위치는 이 장식부재(502A)의 양끝부위(502a,502b)에만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3지점 또는 그 이상의 지점에서 고정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에는 제5실시예의 다른 부착구조에 대해 설명하는 바, 설명에 있어 제1부착구조에서와 같은 부재에 대해서는 같은 번호를 붙이면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제25(a)도와 제25(b)도는 제5실시예의 제2부착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의 장식부재(502A)도 와이어(507)가 장식부재(502A)의 고정부(509)에서 절단되도록 어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부착구조와 같게 되어 있다. 즉, 이 제2부착구조도 제1부착구조와 마찬가지로 와이어(507)의 끝부위(507a)가 장식부재(502A)의 양쪽 끝부위에 형성된 고정구멍(509a,509b)내에 끼워지는 방식으로 설치되게 된다.
이렇게 와이어(507)의 한쪽 끝부위(507a)가 장식부재(502A)의 한쪽 끝부위(502a)에 부착되는 한편 와이어(507)의 다른쪽 끝부위(507b)가 장식부재(502A)의 다른쪽 끝부위(502b)에 부착되게 됨으로써, 장식부재(502A)가 제1부착구조에서와 마찬가지로 와이어(507)의 2곳의 위치에서 고정되어져 장식부재(502)의 결합력이 증가되게 되므로 비교적 크기가 큰 장식도 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결과적으로 장식부재의 디자인의 다양화를 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2곳의 고정위치에만 한정하지 않고 그 이상의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면, 장식부재(502A)의 고정력이 증가되어 장식부재(502A)의 와이어에 대한 바람직하지 못한 이동이 방지되므로 고정력 또한 증가하게 된다. 여기서도 장식부재(502A)의 고정이 와이어(507)가 장식부재(502A)의 표면에 노출되는 형식으로 이루어지게 됨으로 디자인 또한 보다 더 다양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와이어(507)의 한쪽 끝부위(507a)가 장식부재(502A)의 한쪽 끝부위(502a)에 고정되고 와이어(507)의 다른쪽 끝부위(507b)가 장식부재(502A)의 다른쪽 끝부위(502b)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와이어(507)에 렌즈(503)가 붙잡혀 고정됨과 동시에 장식부재(502A)도 와이어(507)에 설치되게 된다. 즉, 장식부재(502A) 역시 렌즈(503) 고정부재로서 작용하게 되므로, 장식부재(502A)가 고정설치된 렌즈(503)의 외주단면이 장식(502)으로 말미암아 파손될 염려가 없게 된다.
제26(c)도와 제26(d)도는 제5실시예의 제3부착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이 제3부착구조가 제2부착구조와 다른 점은 장식부재(502)의 양쪽 끝부위에 형성된 고정부(509)가 2곳의 고정구멍(509a,509b)으로 이루어지면서 와이어(507)의 끝부위(507a,507b)에 고정구멍보다 더 큰 직경을 가진 고정구(507a',207b')가 설치된다는 점으로, 상기 고정구멍(509a,509b)내로 끼워진 와이어(507)의 각 끝부위(509a,509b)에 위치한 고정구(509a',509b')가 장식부재(502A)의 장식부 표면상에 위치하면서 장식부재(502A)를 와이어(507)에 대해 2지점에서 고정시키게 되어 제2부착구조에서와 같은 효과를 거둘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장식부재(502A)를 다른 방법으로 와이어(507)에다 고정시킬 수도 있는 바, 즉 접착제로 장식부재(502A)를 와이어(507)에다 접착시키거나 와이어(507)가 고정부(509) 구멍속으로 삽입된 부분을 용접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와이어(507)를 장식부재(502A)에다 와이어(507)를 따라 E방향으로 형성된 관통구멍에다 삽입해서 부착할 수도 있고, 장식부재(502A)를 와이어(507)에다 묶거나 또는 와이어(507)의 끝부위를 갈고리형상으로 만들어 장식부재(502A)를 걸어 고정시키는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부착시킬 수도 있다.
또, 렌즈(503)의 외주면에 와이어(507)를 에워사는 방법으로서는 렌즈(503)의 외주단면에다 요홈부를 형성시켜 와이어(507)를 배치하는 방법에만 한정되지 않고, 렌즈에다 요홈부를 형성시키는 대신 와이어에다 렌즈(503)의 외주단면이 수용되는 요홈을 형성시키는 방법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하면, 장식(502)이 2곳 이상의 지점에서 고정되어져 장식의 고정력이 증가될 수 있기 때문에, 비교적 큰 장식을 부착시킬 수가 있어서 디자인의 다양성을 기할 수가 있고, 특히 2곳 이상의 지점에서 고정되는 경우 장식고정력이 커져 바람직하지 못한 장식의 이동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이 렌즈고정부재가 장식(502)의 표면에 드러나는 상태로 이루어지게 되면 렌즈고정부재 자체도 장식성을 갖게 되어 디자인도 더욱 다양해질 수 있고, 고정부재의 한쪽 끝부위가 장식의 한쪽 끝부위에 고정되면서 렌즈고정부재의 다른쪽 끝부위가 장식의 다른쪽 끝부위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장식이 렌즈를 붙잡아 고정시키는 역할까지 하게 됨으로, 결국 장식이 바람직하지 못한 외력으로 말미암아 고정지점에서 렌즈의 외주단면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제27도 내지 제30도는 본 발명 안경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 제6실시예는 교환할 수 있는 장식성 와이어부품이 장식과 가요성 렌즈고정부재로 구성된 구조로 된 것이다.
제27도는 제6실시예의 제1부착구조를 나타낸 것인 바, 제27(a)도에서는 안경테본체(601)가 렌즈(602)의 상단부를 따라 각각 배치된 아치형상 금속림(603)이 지지부재(604)에 의해 상호 일체로 결합되고, 이들 금속림(603)의 각 외측단부에 힌지(605)에 의해 다리(606)가 절첩될 수 있게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제27(b)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렌즈(602)의 외주단면에는 요홈부(607)가 형성되어 여기에 가요성을 가진 장식성 와이어부펌(608)이 수용되어 렌즈(602)를 붙잡아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장식성 와이어부품(608)은 렌즈(602)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는 원형횡단면을 가진 와이어로 이루어진 가요성 렌즈고정부재로 역할하게 된다. 또, 이 렌즈고정부재(609)의 양쪽부위는 금속림(603)의 각 양쪽 끝부위에 형성된 구멍(도시되지 않음) 속으로 끼워져 고정되게 되는 바, 이 경우 렌즈고정부재(609)에는 설정된 장력이 가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다수의 장식(610)이 렌즈고정부재(609)의 표면에 갖춰지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렌즈고정부재(609)의 표면에 우묵하게 파이거나 돌출된 상태로 렌즈고정부재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 장식부재를 렌즈고정부재(609)에다 접착시켜 만들 수도 있고, 상기 렌즈고정부재(609) 속에 형성된 구멍(도시되지 않음) 속에다 고정시킬 수도, 렌즈고정부재의 표면에 라인을 긋고서 그 라인의 형상과 색상을 장식(610)처럼 활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장식(610)의 수와 형태는 임의로 정할 수 있어서 장식(610)의 디자인이 다양해질 수 있는 바, 이때 렌즈고정부재(609)가 렌즈의 외주단면에 형성된 요홈부에 수용될 때 장식(610)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식성 와이어부품(608)을 이루는 렌즈의 외주단면이 수용되는 요홈을 가진 렌즈고정부재(609) 자체가 또한 장식성을 띨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장식(610)이 렌즈고정부재에 형성됨으로써, 장식성 와이어부품(608)과 일체가 되도록 안경테본체(601)가 조립된 후에는, 이 장식성 와이어부품(608)에 외력이 가해져도 장식(610)의 와이어(608)에 대한 위치가 변하거나 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우수한 장식효과가 장기간 지속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부품(608)을 나일론이나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스틸렌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도 좋고 금속와이어로 만들어도 된다.
제28(a)도는 제6실시예의 제2부착구조에 따른 장식성 와이어부품을 나타낸 것으로, 이 장식성 와이어부품으로 사용되는 가요성 렌즈고정부재(615)는 복수의 실이 땋아져 형성되는 바, 즉 3줄의 나일론실(616)이 장식용 실(617)과 함께 다시 꼬여 땋아지는 방식으로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장식용 실(617)은 나일론실(616)과 같은 것이기는 하지만 이 나일론실과는 달리 색상을 갖는 플라스틱이나 금속을 만든 것을 써도 된다.
제28(b)도는 제6실시에의 제3부착구조를 도시한 것을, 이 제3부착구조는 장식(619)을 제외하면 상기 제2부착구조와 같게 되어 있다. 즉, 장식(619)이 설정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볼부재(620)가 장식성 와이어부품(618)의 표면에 나타나도록 배치될 수 있게 나일론실(616)과 꼬여 땋아져 있다. 여기서도 상기 장식(619)을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 수 있다.
이렇게 제6실시예의 부착구조나 제3부착구조에 따른 장식성 와이어부품(614,618)이 제1부착구조에서와 마찬가지로 렌즈의 외주단면에 형성된 요홈부에 수용되면서 이 장식성 와이어부품의 양쪽 끝부위(617,620)가 금속림(603)에 결합되게 되므로, 결국 제1,2,3부착구조로부터 모두 마찬가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2,3부착구조가 모두 장식(617,620)이 꼬아진 나일론실에 포함되는 형식으로 되어 있어서, 나일론실과 장식(617,620)이 어우러져 독특한 장식성을 나타내게 된다. 즉, 제2,3부착구조에서는 나일론실과 함께 금속와이어가 꼬아져 렌즈고정부재를 형성하면서 나일론장식이 렌즈고정부재에 포함되는 구조가 된다.
제29(a)도는 제6실시예의 제4부착구조에 따른 장식성 와이어부품(621)을 도시한 것으로, 이 장식성 와이어부품(621)은 3중의 나일론실(623)을 땋아 만든 와이어(622)로 된 렌즈고정부재가 장식(624)을 갖도록 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장식(624)은 플라스틱이나 금속 또는 유리로 만들어지고서 바닥에 역 T자형상의 고정부(625)가 갖춰져, 이 고정부(625)가 나일론실(623) 사이에 걸여잡혀 고정됨으로써 장식(624)이 와이어(622)에 부착되게 된다. 즉, 장식성 와이어부품(621)이 제29(c)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렌즈(602)의 외주단면에 형성된 요홈부에 수용되고서 양쪽 끝부위가 금속림(603)에 결합됨으로써 제1부착구조에서와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또, 나일론실이 땋아져 형성된 렌즈고정부재에 장식이 박혀진 모양의 뛰어난 장식효과도 있게 된다. 이 제4부착구조에서도 나일론실과 함께 금속와이어를 섞어 땋아 렌즈고정부재를 형성시켜도 된다.
제30(a)도는 제6실시예의 제6부착구조에 따른 장식성 와이어부품(626)을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는 렌즈고정부재(627)가 3가닥의 나일론실(628)로 땋아져 형성된 것으로, 이 부착구조는 나일론실(628)의 땋아진 자체의 모양이 장식(629)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장식성 와이어부품(626)은 제30(b)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렌즈(602)의 요홈부에 들어가 결합되고서 제1부착구조에서와 같이 금속림(603)의 양쪽 끝에 연결되게 된다. 이때 나일론실의 색상이 각기 다르다면 더 우수한 장식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 제5부착구조에서 복수의 나일론실을 땋아 렌즈고정부재를 만들게 되면 렌즈고정부재의 신축성이 증가하게 되므로, 진동과 같은 외력이 금속림에 가해져도 이를 흡수하거나 완충시키게 되고, 또 나일론실 자체의 신축성으로 말미암아 마찰력이 커져 뛰어난 렌즈보호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렌즈고정부재가 복수의 나일론실이 땋아진 것으로 형성되는 경우, 나일론실의 양끝부위를 가열이나 용접으로 결합시키면 이 끝부위가 분리되는 등의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 제6실시예는 금속림이 없는 무테안경에다 적용할 수도 있는 바, 이 경우에는 장식성 와이어부품이 렌즈(602)의 외주단면 전체를 에워싸는 렌즈고정부재(626)로 되어 안경테 역할을 하도록 하고서, 지지부재(604)가 상기 장식성 와이어부품에 직접 결합되도록 하는 한편, 안경다리가 연결되기 위한 힌지 역시 장식성 와이어부품(609)에 설치되게 되도록 한다. 즉, 여기서는 장식성 와이어부품(609)이 다리연결부의 힌지와 지지부재(604) 내에 형성된 구멍내로 삽입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상의 설명과 같이 장식성 와이어부품과 장식이 일체로 형성되게 됨으로써, 장식을 고정하는 공정이 필요하지 않게 됨과 더불어 장식의 이동과 분리가 방지됨으로 우수한 장식효과의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31도 내지 제38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그중 제31(a)도는 제7실시예의 제1부착구조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인바, 이는 아치형상의 금속림(702)이 렌즈의 상단부에 배치되고서 지지부재(704)와 보강부재(703)에 의해 상호결합되도록 된 것이다. 상기 렌즈(701)에는 그 외주단면에 요홈부(705)가 형성되어 이 요홈부(705)에 금속와이어나 나일론실과 같은 것으로 만들어져 렌즈고정부재 역할을 하는 와이어(706)가 수용되고서, 이 와이어(706)의 양쪽끝부위가 금속림(702)에 부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장식(707)에는 와이어(706)에 고정되는 장식부재(707a)의 뒷면에 제31(c)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만입부(708)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만입부(708)에 의해 결합부재(709)를 매개로 와이어(706)에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 장식부재(707a)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또는 칠보로 만들더라도 결합부재(709)만은 금속으로 만드는 것이 강성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이 고정부재(709)는 일부에 절결부(710)를 가진 원통형상으로 만들어져, 이 절결부(710)를 통해 와이어(706)가 끼워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절결부(710)의 중심선(도시되지 않음)은 와이어(706)의 중심선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면서 평행하게 뻗도록 되어 있다(제31(b)도).
이상과 같이 구성된 제1부착구조에서는 장식부재(707a)가 다음과 같이 와이어(706)에 고정되게 된다. 즉, 고정부재(709)를 제31(c)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장식부재(707a)의 배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설치하고 나서, 장식부재(707a)를 렌즈(701)의 표면쪽으로 누르면 와이어(706)가 고정부재(709) 내로 들어가게 된다. 그런 다음 장식부재(707a)를 와이어(706) 방향으로 위치시키고서 고정부재(709)에서와 같은 압력을 가하게 되면 고정부재(709)가 변형되어 장식(707)을 와이어(706)에 대해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에는 장식(707)의 절결부(710)의 중심선이 와이어(706) 중심선과 일치하도록 두었다가 고정부재(709)의 뒤틀림 탄발력으로 상기 와이어(706)가 고정부재(709) 내로 들어간 다음 반시계방향으로 뒤틀려지게 됨으로써, 와이어(706)에 대해 장식(707)을 고정시켜지게 된다.
따라서, 고정부재(709)의 고정편(711)이 와이어(706)와 렌즈(701) 사이에 들어가 잡혀져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함과 더불어, 절결부(710)와 와이어(706)의 중심선이 평행하지 않게 위치하게 됨으로써, 제32(a)도에서처럼 장식부재(707a)가 바깥쪽으로 당겨지더라도 결합부재(709)가 와이어(706)에 걸려져 잡혀있게 되므로 와이어(706)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된다.
또, 제31(b)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렌즈(701)로부터 장식부재(707a)를 당기기 전에 이 장식부재(707a)를 시계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와이어(706)와 절결부(710)의 중심선이 일치되어져 안경으로부터 장식(707)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바, 즉 와이어(706)가 결합부재(709)의 절결부(710)를 통해 빠져나오게 되므로, 렌즈고정부재(706)에 렌즈(701)가 조여져 있는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장식(707)을 와이어(706)로부터 착탈시켜 교체할 수가 있게 된다.
제33(a)도와 제33(b)도는 고정부재(711)를 가압해서 장식(707)을 와이어(706)에다 부착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는 렌즈(701)의 외주단면에 형성된 홈(705) 내로 결합부재(709)를 이루는 고정부재(711)를 들어가도록 한 다음 가압하게 되면 고정부재의 개구선단부가 홈(705)의 내면벽을 따라 안쪽으로 굽혀져 변형되게 됨으로써 장식(707)을 쉽게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 십게 제거할 수도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가 있게 된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서는, 결합부재(709)를 니켈-티타늄 합금으로 된 형상기억합금으로 만들어 이 형성기억합금의 성질을 이용해서 결합부재(709)를 휘거나 구부러지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합부재(709)가 렌즈(701) 외주단면의 요홈부(705) 내로 들어가지 않게 되면 와이어(706)의 장력이 약해지게 되므로, 와이어(706)가 바깥으로 약간 당겨질 수 있을 정도로 되어야 장식부재(707a)가 결합부재(709)의 절결부(710)의 의해 와이어(706)에 끼워져 고정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제34도는 제7실시에의 제2부착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는 절결부(710)가 완전히 덮혀지는 형태로 된 것으로, 이는 결합부재(709)의 한쪽 고정편(714)의 절단면(716)이 와이어(706)의 중심선과 평행하도록 되어 있는 한편 다른쪽 고정편(713)은 와이어(706)의 중심선과 소정각도로 경사진 절단면(715)을 갖도록 되어 있다. 이 제2부착구조에 의하면 단지 다른쪽 고정편(713)만 밀려지게 되면 와이어(706)에다 부착시킬 수가 있게 되는 바, 기타의 구조와 효과는 제1부착구조에서와 같다.
제35도는 제7실시예의 제3부착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결합부재(709)의 고정편(717)이 양쪽에서 교대로 형성되어 절결부(710)에 삽입되는 와이어(706)에 장식(707)을 부착시키도록 된 것으로서, 이 또한 제2부착구조에서와 같은 효과를 거둘 수가 있게 된다.
제36(a)도는 7실시예의 제4부착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서로 마주보는 쌍의 고정편(711) 각 절단면이 휘어진 형태를 하는 절결부(710)가 형성된 것으로, 이 또한 작용효과는 제1부착구조와 같다.
제37(a)도 및 제37(b)도는 제7실시예의 제6부착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와이어(70)를 붙잡아 장식(707)을 고정하기 위한 장식고정부재(721)가 단면을 반원형상을 하고서 내부에 절결부(720)가 형성된 형태의 구조로 된 것인 바, 이 절결부(720)는 와이어(706)가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폭을 갖도록 되어 있다. 또, 이 절결부(720)를 덮어주기 위한 고정편(722) 역시 단면 반원형상을 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721,722)들이 결합되며 원통을 이루도록, 마치 원통을 축방향으로 잘랐을 때와 같은 대칭구조를 이루도록 되어 있다. 즉, 이 제6부착구조는 열장끼움식으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는 바, 제37(c)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고정부재(721)의 분리절단면에 형성된 단면 역사다리꼴의 끼움홈(723)과 이 끼움홈(723)과 끼워맞춰지도록 고정편(722)의 분리절단면에 역시 형성된 역사다리꼴을 한 끼움돌조(724)가 길이방향으로 미끌어져 끼워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721)에 일체로 연결형성된 장식부재(707a)가 와이어(706)와 렌즈(701) 사이에 고정부재(721)를 매개로 고정됨으로써 안경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고정편(722)이 그에 형성된 끼움돌조(724)가 고정부재(721)의 끼움홈(723)에 끼워진 후 미끄러져 결합되면 장식(707)의 설치가 완성된다. 이 상태에서는 고정편(722)이 절결부(702)를 덮게 되어 고정력이 커지게 되므로, 장식부재(707a)가 제37(a)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에서 180° 회전하게 되더라도 장식부재(707a)가 안경에서 떨어지지 않게 된다. 또 장식(707)을 분리할려면 상기와 반대순서로 하면 되므로 제1부착구조에서와 같은 효과가 얻어질 수 있게 된다.
제38(a)도 내지 제38(c)도는 제7부착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와이어(706)를 붙잡아 장식(707)을 고정하기 이한 고정부재(725)가 원호형상을 하면서 그 축중심 방향으로 절결부(726)가 형성된 구조로서, 이 절결부(726)의 폭은 와이어(706)가 통과할 수 있는 넓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 제7부착구조에서도 절결부(726)를 덮기 위한 고정편(727) 역시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는 바, 상기 고정부재(725)쪽의 원주가 고정편(727)쪽의 원주보다 크게 되어 있지만, 이 또한 앞의 제6부착구조에서 원통을 2쪽으로 분리했을 때의 구조와 유사하고, 다만 고정부재(725)에서 고정편(727)을 힌지(728)에 의해 개폐할 수 있도록 한 점에만 차이가 있다. 이렇게 구성됨으로써, 장식(707)과 일체로 된 장식고정부재(725)를 고정편(727)이 벌려진 상태가 되도록 해서, 와이어(706)와 렌즈(701) 사이로 삽입하여 일단 와이어(706)에 걸려지도록 한 다음 고정편(727)을 닫고나서 제38(c)도와 같은 상태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고정편(727)이 렌즈(701)와 와이어(706)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면 장식(707)이 안경에 부착될 수 있게 된다.
즉, 제38(c)도에 도시된 상태로 고정부재)725)와 고정편(727)이 합쳐져 고정편(727)에 의해 절결부(726)가 닫혀진 상태로 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38(a)도에서 도시된 상태로 되어 정지하게 된다. 즉, 장식부재(707a)가 렌즈(701)의 표면에 접촉하는 상태에서 고정편(727)이 와이어(706)와 렌즈(701) 사이에 물어잡혀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장식부재(707a)가 렌즈(701)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에서는 고정편(727)이 젖혀지지 않게 되므로 절결부(726)가 보호되게 된다.
또, 제38(a)도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장식부재(707a)가 반시계방향으로 180° 회전한 상태에서는 고정편(727)이 벌려지더라도 장식고정부재(725)가 와이어(706)와 렌즈(701) 사이에 잡혀있게 되므로, 장식부재(707)가 쉽게 움직이지 않아 제1부착구조에서와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한편 장식(707)을 분리시킬려면 상기와 역순으로 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부착구조는 렌즈의 외주단면에 홈이 형성된 형식의 장식안경에 관한 예였지만, 이와는 달리 렌즈에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길다란 탄성와이어가 렌즈를 감고 있는 형태의 구조에서도 장식을 와이어에다 부착시킬 수 있다. 즉, 제7실시에를 따른다면 장식부재의 탄력이 유지되게 되므로, 즉 장식부재가 회전하더라도 장식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제39도와 제40도는 본 발명 장식안경의 제8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39도에서는 안경테(801)가 안경테본체(802)와 이 안경테본체(802)의 금속림(803)에 렌즈를 부착하기 위해 와이어(805)가 가요성 렌즈고정부재로 사용되도록 되어 있는 바, 이 와이어(805)는 나일론실이나 금속와이어로 만들어져 렌즈(804) 주위를 에워싸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이 렌즈(804)에는 와이어(805)를 수용하기 위해 외주단면에 요홈부(806)가 갖춰지는 한편, 와이어(805)의 양쪽끝부위가 안경테본체(802)의 금속림(803)에 결합되어 와이어(805)의 장력으로 렌즈(804)가 안경테본체(802)에 단단히 붙잡혀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아이어(805)에는 장식(808)을 착탈될 수 있게 고정하기 위한 설치부재(807)가 갖춰지는 바, 이 설치부재(807)는 와이어(805)에 부착되는 베이스부(809)와 이 베이스부(809)에 돌출형성된 장식지지부(810)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809)는 와이어(805)가 관통할 수 있는 원통형상으로 되어 와이어(805)에 끼워져 설치되는 바, 이 베이스부(809)는 렌즈(804)의 외주단면에 베이스부(809)를 가압하는 와이어(807)의 장력만으로 고정부착될 수도 있고, 렌즈(804)와 상관없이 자체의 탄력이나 접착으로도 고정부착될 수도 있다. 한편, 이 베이스부(809)를 와이어와 일체로 만들 수도 있다. 또한, 장식지지부(810) 역시 상기 베이스부(809)와 마찬가지로 원통형상으로 되어 수직으로 형성된 관통구멍(811)를 갖도록 되어 있다.
장식부재(808a)로서는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지만 어느 것이나 모두 장식지지부(810)이 착탈될 수 있는 부착부(812)가 갖춰져야 하는데, 이 부착부(812)는 그 하단부가 개구되면서 측벽에 절결부(813)가 갖춰진 원통형상부재로서 절단부(813)가 부착부재(812)의 하단부까지 뻗도록 되어 잇다. 그리고, 이 부착부재(812)에는 장식지지부(810)에 형성된 관통구멍(811) 속으로 끼워지도록 아래를 향해 뻗은 핀부재(815)가 갖춰져 있다. 상기 부착부(812)의 형상은 상기와 같이 그 하부에만 개구부를 갖도록 되어 있지만, 상단부가 개구되거나 상하단부가 모두 개구될 수도 있다.
이 제8실시에는 장식(808)을 설치부재(807)에서 분리할 수가 있게 만들어져 있어서 렌즈를 제거할 필요없이 장식(808)을 착탈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부착부(812)의 하단개구부가 장식지지부(810)를 상단부로부터 씌우는 형식으로 끼워지면서 이 장식지지부(810)의 외주면과 핀부재(815)가 유도자로 이용되어 아래쪽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바, 이렇게 해서 장식(808)이 고정되면 부착부재(812) 전체가 설치부재(807)에 고정되게 된다. 한편, 부착부재(812)를 장식지지부(810)에서 윗쪽으로 뽑아내면 분리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와 부착부가 니켈-티타늄 형상기억합금 또는 기타의 같은 성질을 가진 재질로 만들어져 가압성형 되기 전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경우에는, 와이어가 가압고정 후에 절단되더라도 장식을 쉽게 착탈시킬 수가 있어서 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장식(808)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게 된다.
제40도는 제8실시예의 제2부착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이 제2부착구조는 장식지지부(810)에 관통구멍(811)이 형성되지 않고 부착부(812)의 내부에 핀부재(815)도 갖춰지지 않은 점이 제1부착구조와 다르고, 기타의 부분은 제1부착구조와 같으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키로 한다.
제40(e)도는 본 발명 제8실시예의 제3부착구조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는 장식지지부(827)가 와이어(805)에 부착된 베이스부(809)와 이 베이스부(809)에 돌출형성된 후크부(830)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 후크부(830)는 대체로 L자 형상을 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장식(808)에는 지지부재의 후크부(830)가 수용되는 고정구(831)가 갖춰져 있는 바, 이 고정구(831)는 제40(e)도에서와 같이 장식(808)의 뒷면에 고정된 원통형상 부착부재(832)에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제8실시예는 장식을 고정하기 위해 렌즈고정부재에 장식설치부재가 구비되어 있어서, 이 장식설치부재에다 장식을 설치한 다음 압압 등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특히 장식을 분리될 수 있게 만들어 장식을 변화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장식효과가 뛰어자게 된다.
제41도 내지 제48도는 본 발명 안경의 제9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 제9실시예에서는 장식(906)이 금속림(905)과 같은 안경테본체에 고정되는 렌즈고정부재인 와이어(904)의 양쪽 끝부위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특히 도시된 것과 같은 와이어(904)의 끝부위가 장식(906)으로 덮혀져 가려지게 됨으로써 디자인면에서 장점이 있게 된다. 즉, 와이어(904) 끝부위가 제45도 내지 제48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장식(906) 속에 들어가 결합되게 된다.
이제까지는 본 발명을 몇몇 특수한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예시한 형태으 세부구조를 변형하거나 부품의 배치나 조합을 달리하는 경우도 다음에 청구하는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안경의 렌즈를 가요성을 가진 렌즈고정부재를 가지고 안경테본체에다 결합시켜 고정하도록 되어 있어서, 렌즈고정부재에다 여러 가지 형상 및 구조를 가진 장식을 쉽게 설치할 수 있음과 더불어 교체할 수가 있게 됨으로써 디자인면에서 극히 우수한 장식이 설치된 안경을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Claims (24)

1쌍의 렌즈(102, …)와, 이들 렌즈의 각 외주면 일부에 설치된 안경테본체, 상기 렌즈의 외주단면에 외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요홈부(106, …), 이 요홈부에 삽입되고서 상기 안경테본체에 양끝이 연결되어 상기 렌즈를 상기 안경테본체에다 고정시키는 와이어(107, …)로 이루어진 가요성 렌즈고정부재 및, 이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에 장식(112, …)이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안경.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이, 이 장식에 갖춰진 설치부재에 의해 상기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에 설치되어,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안경.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렌즈고정부재가, 이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의 양쪽 끝부위에 형성된 고정부(108, …)에 의해 안경테본체에 착탈될 수 있게 결합되는 한편 이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에 상기 장식이 결합되어, 이 장식이 상기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와 함께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안경.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이, 이 장식(707,808)이 분할될 수 있는 설치부재에 의해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에 대해 착탈될 수 있게 설치되어, 이 가요성 렌즈고정부애와 별도로 상기 장식만 교체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안경.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에의 상기 장식의 결합이 접착제를 이용한 접착 또는 용접, 땋기, 압접중 어느 한 방법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안경.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가, 상기 장식의 뒤쪽에 일체로 형성되어 그 내부로 상기 가요성 렌즈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고정구(130,21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안경.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재가, 상기 장식의 뒤쪽에 일체로 형성되어 그 내부로 상기 가요성 렌즈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고정파이프(113,219,31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안경.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의 설치부재가, 상기 장식의 뒤쪽에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로 상기 가요성 렌즈고정부재가 삽입되는 고정파이프로 이루어지되, 이 고정파이프가 축선방향으로 절단되어 2분할된 단면 원호형상의 고정부재(725)와 이 고정부재)725)에 힌지결합된 고정편(72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안경.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의 설치부재가 상기 장식에 형성된 구멍(213,214)으로 이루어져, 상기 가요성 렌즈고정부재가 이 구멍을 관통하면서 굽혀지는 형식으로 장식을 조여 설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안경.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의 고정파이프(113,219,316)와 상기 안경테본체의 상기 가요성 렌즈고정부재 끝부위고정용 고정부(308)의 상기 가요성 렌즈고정부재가 관통하면서 닿는 부분에 와셔(311,317)로 된 보호부재가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안경.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의 고정파이프(113,219,316)와 상기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의 끝부위고정용 고정부(308)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가요성 렌즈고정부재가 관통하면서 닿는 부분에 일체로 돌출형성된 보호부(318)가 일체로 돌출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안경.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와셔 및 보호부가 마찰저항이 큰 유연재질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안경.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이 상기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에 지지부(810)를 매개로 설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안경.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의 상기 안경테본체에의 연결·결합이, 상기 가요성 렌즈고정부재의 양쪽 끝부분인 고정부(108,126)가 상기 안경테본체의 금속림(103, …) 한쪽 끝에 형성된 걸림부에의 걸림 또는 스크류(124)에 의한 결합으로 착탈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안경.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렌즈고정부재(904)의 끝부위가 안경테본체와 결합되는 부분이 장식(906)에 의해 가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안경.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렌즈고정부재(904)의 끝부위가 장식(906)을 관통해서 안경테본체(905)에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안경.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과 가요성 렌즈고정부재가 일체로 되어 상기 장식과 상기 가요성 렌즈고정부재가 일체로 되어 장식성 와이어부품(608,614,618,621,626)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안경.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성 와이어부품(608)이, 가요성 와이어(609)의 표면에 장식이 돌출되거나 만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안경.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성 와이어부품(621)이, 상기 가요성 렌즈고정부재를 이루는 와이어(623)에 다양한 형태나 색을 가진 장식(624)이 일체로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안경.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성 와이어부품(614)이, 복수의 실이 땋아진 형태의 와이어로서 그중 일부의 실이 색상을 가진 장식용 실(61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안경.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성 와이어부품(618)이 복수의 실이 땋아진 형태의 와이어로서 그중 1줄의 실(619)이 장식(620)을 갖춘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안경.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성 와이어부품이 복수의 실이 땋아진 형태의 와이어로 이루어져, 이 땋아진 와이어자체가 장식을 이루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안경.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렌즈고정부재를 이루는 와이어(408)가 제1와이어(408a)와 제2와이어(408b)로 구성되고서 그 중 제2와이어가 장식으로 쓰여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 안경.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와이어(408b)의 소정영역에 장식부재(411)가 부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식이 설치된 안경.
KR1019920019523A 1991-12-12 1992-10-23 장식안경 KR01484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947091U JPH071617Y2 (ja) 1991-12-12 1991-12-12 眼鏡における装飾体の取付構造
JP91-109469 1991-12-12
JP91-109470 1991-12-12
JP1991109469U JP2574531Y2 (ja) 1991-12-12 1991-12-12 眼鏡枠
JP91-110862 1991-12-19
JP110862U JPH0552814U (ja) 1991-12-19 1991-12-19 眼 鏡
JP017195U JPH0569727U (ja) 1992-02-21 1992-02-21 眼鏡枠用のレンズ保持具
JP92-017195 1992-02-21
JP92-040290 1992-05-21
JP1992040290U JP2581266Y2 (ja) 1992-05-21 1992-05-21 眼 鏡
JP92-041159 1992-05-22
JP92-041161 1992-05-22
JP1992041161U JP2579501Y2 (ja) 1992-05-22 1992-05-22 眼 鏡
JP1992041159U JP2579500Y2 (ja) 1992-05-22 1992-05-22 眼鏡における装飾体の取付構造
JP1992041868U JP2579502Y2 (ja) 1992-05-25 1992-05-25 眼 鏡
JP92-041869 1992-05-25
JP4186992U JP2564492Y2 (ja) 1992-05-25 1992-05-25 眼鏡における装飾体の取付構造
JP92-041868 1992-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3781A KR930013781A (ko) 1993-07-22
KR0148495B1 true KR0148495B1 (ko) 1998-12-01

Family

ID=27576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9523A KR0148495B1 (ko) 1991-12-12 1992-10-23 장식안경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5469230A (ko)
EP (1) EP0546274B1 (ko)
KR (1) KR0148495B1 (ko)
DE (1) DE69209455T2 (ko)
GB (1) GB2262355B (ko)
HK (3) HK18699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994B1 (ko) * 2013-01-16 2014-07-24 장중태 안경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9230A (en) * 1991-12-12 1995-11-21 Murai Co., Ltd. Spectacles with decoration
US5886765A (en) * 1996-11-25 1999-03-23 Kirschner; Mitchell Frame with decoration rotatably mounted on it
US6149269A (en) * 1997-04-18 2000-11-21 Madison; Julie B. Eyeglasses having magnetically held auxiliary lenses
GB9929525D0 (en) * 1999-12-15 2000-02-09 Krystalline Ltd Stone docker
WO2002033354A1 (fr) * 2000-10-17 2002-04-25 Nikolai Petrovich Yarmak Monture de lunettes
US20050094090A1 (en) * 2001-07-16 2005-05-05 Takahiro Nishioka Spectacles and spectacles set
US6469845B1 (en) * 2001-07-19 2002-10-22 Eastman Kodak Company Flexible lens mount
US7140727B2 (en) * 2002-07-10 2006-11-28 Isl Technologies, Llc Eyeglass frame assembly
US7104645B2 (en) * 2002-07-10 2006-09-12 Pilat Jr James F Eyeglass frame assembly
US20050105041A1 (en) * 2003-10-02 2005-05-19 Ira Lerner Interchangeable eyewear assembly
US20080013039A1 (en) * 2003-10-02 2008-01-17 Ira Lerner Interchangeable eyewear assembly
TWI303725B (en) * 2004-04-28 2008-12-01 Canon Kk Method for fixing optical member and optical unit
EP1745322A1 (en) * 2004-05-13 2007-01-24 Safilo Societa' Azionaria Fabbrica Italiana Lavorazione Occhiali S.p.a. Improved spectacles with mounting and lenses interconnected by strap
US7063420B2 (en) * 2004-05-14 2006-06-20 Isl Technologies, Llc Adjustable tensioning system for rimless eyewear
US7249843B2 (en) * 2004-05-14 2007-07-31 Isl Technologies, Llc Adjustable tensioning system for rimless eyewear
US6863394B1 (en) 2004-06-14 2005-03-08 Glendia Nelson Ornamental attachment for a pair of eyeglasses
JP2007199214A (ja) * 2006-01-24 2007-08-09 Crossfor:Kk 装飾具
US7537337B2 (en) * 2006-05-04 2009-05-26 Lerner Ira S Eyewear with eyewire tensioning assembly
JP2009276534A (ja) * 2008-05-14 2009-11-26 Crossfor:Kk メガネレンズ用装飾体およびメガネ用装飾体装着具
JP2010002479A (ja) * 2008-06-18 2010-01-07 Crossfor:Kk メガネレンズ用装飾体およびメガネ用装飾体装着具
US8545011B2 (en) * 2009-10-02 2013-10-01 Luxottica Group S.P.A. Eyeglass with interchangeable ornamentation
US20120038878A1 (en) * 2010-02-11 2012-02-16 Derrick Artips Echevarria Decorative Eyewear
WO2012015357A1 (en) * 2010-07-28 2012-02-02 Khong Loon Hwang Spectacle accessory, spectacle frame portion and method of assembly
US8621723B2 (en) * 2010-08-12 2014-01-07 Callahan Meissner Relocatable ornaments and related methods
US20120171426A1 (en) * 2010-11-03 2012-07-05 Vick T Kevin Stand-Up Elastic Band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8549879B2 (en) 2011-05-25 2013-10-08 Hot Filament Inc. Ornaments for eyeglasses
AT517643B1 (de) * 2015-08-31 2021-07-15 Silhouette Int Schmied Ag Brille
USD986957S1 (en) * 2021-01-14 2023-05-23 Min Gyu Park Eyeglasses temple with heart temple tip
US11644691B2 (en) 2021-05-21 2023-05-09 Moira K Gallagher Mounting for decorative item to eyeglasse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07256A (en) * 1933-03-27 1934-03-15 Albert Reichenbach Senior Frame for spectacles and eye-glasses
US2516549A (en) * 1947-10-20 1950-07-25 Norman W Chappell Semirimless spectacle mounting having flexible lens retainers
US2554386A (en) * 1947-11-15 1951-05-22 Shuron Optical Co Inc Spectacle frame
US2512011A (en) * 1949-07-02 1950-06-20 Foster Grant Co Inc Ophthalmic mounting
GB727003A (en) * 1953-07-24 1955-03-23 Raphaels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spectacles
US2811896A (en) * 1953-10-05 1957-11-05 Welsh Mfg Co Ophthalmic mounting
GB778631A (en) * 1954-10-05 1957-07-10 Osmond Philip Raphael Frames for spectacles or other eyewear
GB812880A (en) * 1956-08-24 1959-05-06 Bourgeois Antoin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mi-rimless spectacle frames
DE1175458B (de) * 1958-04-23 1964-08-06 Comm Ouvriers Lunetiers Cottet Schmuckleistenanordnung an einem Brillen-gestell mit Stirnleiste
GB872339A (en) * 1958-04-23 1961-07-05 Comm Ouvriers Luneteiers Cotte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pectacle mountings
FR1307367A (fr) * 1961-09-15 1962-10-26 Lunetiers Cottet Poichet Soc D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montures de lunettes à drageoirs métalliques
GB1045001A (en) * 1964-02-10 1966-10-05 Textron Inc Spectacle frame
GB1232413A (ko) * 1968-01-22 1971-05-19
FR2489003A2 (fr) * 1979-10-16 1982-02-26 Essilor Int Monture de lunettes
FR2479489A1 (fr) * 1980-03-28 1981-10-02 Lamy & Fils Ets Auguste Cercle a drageoir pour monture de lunettes
FR2509058A1 (fr) * 1981-07-02 1983-01-07 Essilor Int Monture de lunettes a liens souples
US4620778A (en) * 1984-07-25 1986-11-04 Ellebi s.a.s. Di Lino Bertolli Friglio & C Frame for glasses which permits the mounting of accessory elements
FR2580824B3 (fr) * 1985-04-23 1988-03-04 Claveau Jean Noel Profile pour la realisation des cercles porte-verres des montures de lunettes du type a decor
US4950066A (en) * 1988-11-07 1990-08-21 James Hartman Eyeglasses having demountable functional and decorative elements
US4968128A (en) * 1989-01-23 1990-11-06 Donald Mendola Eyeglass frame ornamentation
JPH049015U (ko) * 1990-05-09 1992-01-27
US5469230A (en) * 1991-12-12 1995-11-21 Murai Co., Ltd. Spectacles with decor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994B1 (ko) * 2013-01-16 2014-07-24 장중태 안경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546274A1 (en) 1993-06-16
GB2262355A (en) 1993-06-16
GB2262355B (en) 1996-05-15
DE69209455T2 (de) 1996-11-14
US5724117A (en) 1998-03-03
US5912718A (en) 1999-06-15
GB9221392D0 (en) 1992-11-25
US5469230A (en) 1995-11-21
HK187096A (en) 1996-10-18
KR930013781A (ko) 1993-07-22
DE69209455D1 (de) 1996-05-02
EP0546274B1 (en) 1996-03-27
HK187196A (en) 1996-10-18
HK186996A (en) 1996-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8495B1 (ko) 장식안경
US8171639B2 (en) Decorative bracelet and method of fabrication
US7591554B2 (en) Eyewear frame adornment attaching device
US5713218A (en) Decorative article of manufacture
US5184482A (en) Ear ornament
US5974830A (en) Jewelry suspension harness
CN110366696B (zh) 用于眼镜的镜腿装饰物套件
US10088694B1 (en) Rolled elastomeric tubular casings for eyewear
US20090255295A1 (en) Double helix band with attachable ornamental elements
US5663780A (en) Spectacles with decorative lens attaching device
US5979184A (en) Convertible jewelry article
US7552600B2 (en) Neck ornament
US605318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ttaching jewelry to hair
US20230421944A1 (en) Ear-fitting headphone attachment apparatu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and using the same
KR19990076591A (ko) 안경테에의 렌즈 고정장치
US20020092323A1 (en) Decorative bead for bracelets, necklaces and the like
EP0250321B1 (en) Ornamental article
US2840286A (en) Watch band
JP3223374U (ja) 眼鏡用装飾具
US5219624A (en) Decorative multi-bead tassel
KR940004275B1 (ko) 머리장식물품용 고정부재 및 적어도 하나의 고정부재를 구비한 가발
KR200359259Y1 (ko) 장신구 겸용 안경줄
JPH11196911A (ja) リング体及びこれを用いた装飾品
KR200289117Y1 (ko) 장식물이 부착된 머리묶는 기구
JPH033904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