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6574A - 차량용탱크통풍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탱크통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574A
KR19990076574A KR1019980704640A KR19980704640A KR19990076574A KR 19990076574 A KR19990076574 A KR 19990076574A KR 1019980704640 A KR1019980704640 A KR 1019980704640A KR 19980704640 A KR19980704640 A KR 19980704640A KR 19990076574 A KR19990076574 A KR 199900765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pump
filter
outlet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4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르빈 크리머
틸만 미흘레
볼프강 슐츠
만프레드 짐머만
안드레아스 블루멘스톡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19990076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57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04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adapted to avoid loss of fuel or fuel vapour, e.g. with vapour recover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09Judging failure of purge control system
    • F02M25/0818Judging failure of purge control system having means for pressurising the evaporative emission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19Fuel tanks with electronic systems, e.g. for controlling fuelling 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 B60K15/03504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adapted to avoid loss of fuel or fuel vapour, e.g. with vapour recovery systems
    • B60K2015/03514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adapted to avoid loss of fuel or fuel vapour, e.g. with vapour recovery systems with vapor recovery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연료탱크(10)로부터 공급받는 연소기관을 위한 탱크 통풍장치는 연료탱크(10)의 통기단관(13)에 흡착필터(18)로 연결될 수 있는 필터 케이싱(17) 및 공기유입구(19)와 공기유출구(20) 및 장애원인분석을 위한 공기펌프장치(27)를 갖고, 그 공기펌프장치는 펌프입구(29)와 펌프출구(28)를 가진 펌프 케이싱(26)내에 일체되어 있다. 콤팩트하고 설치 공간이 축소된 탱크 통풍장치의 실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펌프 케이싱(26)은 공기유입구(19)와 동축으로 정렬된 펌프출구(28)에 의해 필터 케이싱(17)에 연결되고 스프링 탄성 고정소자(43)에 의해 필터 케이싱(17)에 고정되어 있다. 펌프출구(28)와 공기유입구(19) 사이의 이행부는 기밀적으로 밀폐되어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탱크 통풍장치
이 종류의 공지의 탱크 통풍장치(DE 195 23 935 A1)(이 간행물에서는 연료증발 지원시스템으로 언급되어 있음)에서는, 장애(결함) 원인분석을 위해 시스템내 과압을 발생시키는데 사용되는 공기펌핑장치가 그 펌프출구에 의해 가요성 압력공기관을 통해 필터 케이싱의 공기입구와 연결되어있다. 공기펌핑장치의 펌프 케이싱에는 체크밸브가 일체되어있고, 이 밸브는 공기필터로 덮여있는 펌프 케이싱의 펌프입구로부터 펌프출구까지의 직접적 유로를 조절한다. 필터 케이싱의 공기유출구는 재생밸브를 통해 연소기관의 흡인관에 연결되어있다.
소위 필터동작 또는 재생동작에서는, 활성탄필터로 구성된 필터 케이싱 내의 흡착필터를 재생하기 위해 체크밸브가 개방된 가운데 연소기관의 흡인관에서 생성된 저압에 의해 공기가 흡인되는데, 이 공기는 펌프 케이싱 내의 개방된 체크밸브, 압력관 및 필터 케이싱 내의 공기유입구를 통과해 흐르고 여기서 흡착필터를 관통해 흐르는데 그때 퇴적된 연료증기를 휩쓸어가고 재생밸브를 통해 적정량으로 흡인관내로 도입된다. 장애의 원인분석을 위해서는 체크밸브 및 재생밸브를 폐쇄하고 공기펌프장치는 탱크 통풍장치와 연료탱크로 된 계내에 높은 압력을 발생하게 한다. 압력생성을 중단한 후, 일정한 시간을, 압력이 경우에 따라서는 감소할 때까지 대기하며, 그 압력감소에 걸린 시간이 포함된 누출개구의 크기에 대한 척도가 된다.
본 발명은 청구의 범위에 정의된 종류의, 연료탱크로부터 연료를 공급받는 연소기관을 가진 차량을 위한 탱크 통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연소기관을 가진 차량에 설치된 탱크 통풍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의한 탱크 통풍장치에 있는 펌프 케이싱의 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의한 탱크 통풍장치에 있는 필터 케이싱의 부분적 평면도이고,
도 4는 펌프 케이싱을 가진 필터 케이싱의 도 3의 Ⅳ-Ⅳ선 부분적 종단면도이다.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기재된 본 발명에 의한 탱크 통풍장치는 차량내에 있어 필요한 설치공간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 것으로, 여태까지는 통상적이던 펌프 케이싱의 펌프출구와 공기필터의 공기유입구 사이의 호스연결이 필요없게 된다. 탱크 통풍장치의 차량내 설치가 훨씬 간단해지는데, 그 이유는 흡착필터와 공기펌핑장치가 모듈로서 장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으로써 얻어지는 재료비의 절약 및 설치시간의 감소는 제조비용의 현저한 절감에 이어진다. 필터 케이싱내에 큰 면적 흡착필터를 제공함으로써 긴 내구수명 동안 탱크 통풍장치의 기능이 보장된다. 펌프케이싱의 펌프출구에 있는 별도의 공기필터는 이것이 필터 케이싱내에 일체통합될 때에는 생략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추가의 설치공간이 절약된다. 필터 케이싱에 펌프 케이싱을 스프링탄성적으로 고정함으로써 양 케이싱 사이에 음향적 및 기계적 결합해제가 달성된다.
종속항에 실시되어있는 조치에 의해서는 청구항 1에 주어진 탱크 통풍장치의 유리한 추가양태 및 개선양태가 실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 약시된 연소기관부 차량용 탱크 통풍장치는 연료탱크(10)와 연소기관의 조절플랩(12)을 가진 흡인관(11)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데, 흡인관(11)에의 연결점은 조절플랩(12)의 하류에, 또한 연료탱크(10)에의 연결점은 탱크의 배기단관(13)에서 이루어져있다. 연료탱크(10)는 주입단관(14)을 통해 연료(15)가 충전된다. 주입단관(14)은 탱크덮개(16)에 의해 기밀적 및 압밀적으로 폐쇄되어있다.
탱크 통풍장치는 필터 케이싱(17)을 갖고, 그 케이싱내에는 바람직하게는 활성탄필터로 구성된 흡착필터(18)가 교환가능하게 수용되어있다. 필터 케이싱(17)은 공기유입구(19)와 공기유출구(20)를 갖고 연결관(21)을 통해 연료탱크(10)의 배기단관(13)과 연결되어있다. 공기유출구(20)는 연결관(22)을 통해 흡인관(11)의 연결단관(23)과 연결되어있다. 연결관(22)내에는 공급 또는 재생 밸브(24)가 배치되어있고, 이 밸브는 연소기관의 작동 패라미터에 의존하여 제어장치(25)에 의해 제어된다.
필터 케이싱(17)의 공기유입구(19)에는 공기펌핑장치(27)의 펌프 케이싱(26)이 그 펌프출구(28)에 연결되어있다. 펌프 케이싱(26)의 펌프입구는 29로 표시되어있다. 도 1의 단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펌프 케이싱(26)내에도 체크밸브(30)가 배치되어있다. 공기펌핑장치(27)는 펌프막(32)을 포함하는데, 이 막은 전자석(33) 및 복귀스프링(34)에 의해 왕복이동을 위해 작동된다. 전자석(33)은 제어장치(25)에 의해 제어된다. 펌프막(32)은 수송 및 펌핑공간(35)과 접경하고 있는데, 이 공간은 유입밸브(36)를 통해서는 펌프입구(29)와 유출밸브(37)를 통해서는 펌프출구(28)와 연통되어 있다. 펌프공간(35)에 평행으로 바이패스(38)가 배치되어있는데, 이 바이패스는 펌프입구(29)와 펌프출구(28) 사이에 뻗어있다. 바이패스(38)에는, 전자기밸브로 구성된 체크밸브(30)가 배치되어있고, 이 밸브는 제어장치(25)에 의해, 공기펌핑장치(27)가 작동하지 않는 재생동작시에는 체크밸브(30)가 열리고 장애점검시에는 닫히도록 제어된다.
차량내에 있어 아주 작은 설치공간을 차지함으로써 탱크 통풍장치의 콤팩트한 구조를 달성하기 위해서, 펌프 케이싱은 필터 케이싱(17)의 공기유입구(19)에 동축으로 정렬된 펌프출구(28)에 의해 필터 케이싱(17)에 연결되어 필터 케이싱(17)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때 펌프출구(28)와 공기유입구(19) 사이의 이행부는 기밀적으로 밀폐된다. 이를 위해, 도 2 - 4의 구조도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펌프출구(28)를 둘러싸고 펌프 케이싱(26)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하는 유출단관(39)이 형성되며, 공기유입구(19)를 구성하는 케이싱개구(40)가 필터 케이싱(17)내에 있어서 축소된다. 케이싱개구(40)는 환형 홈(41)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유출단관(39)과 케이싱개구(40)는 서로 동축적이고 합동적으로 구성되어있다. 펌프출구(28) 및 공기유입구(19)를 기밀적으로 밀폐하기 위해, 탄성 밀폐부싱(42)이, 예컨대 그의 유출단관(39) 반대쪽 정면단부에 의해 환형홈(41)내에 삽입되게 하는 방식에 의해, 유출단관(39) 상에 끼워진다.
펌프 케이싱(26)이 필터 케이싱(17)에 고정되어있는 것은, 투시도인 도 2 및 단면도인 도 4로부터 볼 수 있는 것처럼, 고무소자(43)에 의해 음향적 및 기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각 고무소자(43)는 이중 T자형 종방향섹션을 가진 실패형의 부싱(44)으로 구성되어있고, 그 부싱은 그의 중앙부분에 의해 펌프 케이싱(26)에 연결형성된, 포크형의 지지체(45)내에 강고하게 수용된다. 각 지지체(45)의 높이는 이중 T자형 부싱(44)의 중앙부분의 길이에 상당하고, 따라서 이 부싱은 그의 두 플랜지 사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불가하게 지지체(45)내에 꼭 끼어 고정된다. 필터 케이싱(17)상에는 그 표면으로부터 직각방향으로 부싱(44)을 위한 수용축(46)이 돌출해 있고 그 수용축내에는 그때그때 나사 홀(47)이 천설되어있다. 부싱(44)은 수용축(46)상에 끼워지고, 하부 와셔(49)를 중간위치시킨 가운데 나사 홀(47)내로 나사죄임되는 헤드 나사(48)에 의해 필터 케이싱(17)에 단단히 고정된다. 이때 부싱(44)은 수용축(46)의 자유단부 위로 약간 돌출된다.
도면에는 더 이상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펌프입구(29)를 통해 흡입된 공기의 여과를 위해 필터 케이싱(17)에는 분진필터가 또한 제공되는데, 이것은 공기흐름방향으로 흡착필터(18) 전단에 배치된다.
여과동작시 그리고 장애점검시 탱크 통풍장치를 작동하는 방법은 알려져있고 예를 들면, DE 195 23 935 A1에 기재되어있기 때문에 여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Claims (6)

  1. 연료탱크(10)의 배기단관(13)에 연결가능한, 흡착필터(18), 특히 활성탄필터를 수용하는 필터 케이싱(17)을 구비하고, 그 필터 케이싱은 공기유입구(19) 및 공기유출구(20)를 갖고, 장애원인분석을 위한 공기펌핑장치를 구비하고, 그 공기펌핑장치는 펌프입구(29) 및 필터 케이싱(17)의 공기유입구(19)와 연결된 펌프출구(28)를 가진 펌프 케이싱(26)을 갖는, 연료탱크로부터 공급받는 연소기관을 갖춘 차량 용 탱크 통풍장치에 있어서, 펌프 케이싱(26)은 펌프출구(28)에 의해 필터 케이싱(17)에 연결설치되어있고 스프링탄성 고정소자(43)에 의해 필터 케이싱(17)에 고정되어있으며, 공기출구(28)와 공기유입구(19) 사이의 이행부는 기밀적으로 밀폐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통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공기유입구(19)는 공기출구(28)에 동축적으로 정렬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통풍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스프링탄성 고정소자는 고무소자(4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통풍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고무소자(43)는 실패같은, 종단면도에 있어 이중 T자형 부싱(44)으로 구성되고, 그 부싱은 그때그때 그의 중앙부분에 의해 펌프 케이싱(26)에 연결된 포크형 지지체(45)내에 결합되어 수용되고, 관통된 헤드나사(48)에 의해 필터 케이싱(17)에 강고하게 고정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통풍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펌프출구(28)가 펌프 케이싱(26)으로부터 돌출하는 유출구단관(39)으로 또한 공기유입구(19)는 필터 케이싱(17)내에서 줄어든 케이싱개구(40)에 실시되어있으며, 펌프출구(28)와 공기유입구(19) 사이의 이행부를 밀폐하기 위해 탄성 밀폐부싱(42)이 유출구단관(39)상에 끼워지고, 그 밀폐부싱은 그의 유출단관(39) 반대쪽 정면단부에 의해 케이싱개구(40)를 동심적으로 둘러싸는 필터 케이싱(17)내의 환형홈(41)내에 삽입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통풍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 케이싱(17)에는 분진필터가 배치되고, 그 필터는 공기유입구(19)로부터 공기유출구(20)까지의 공기흐름방향에 있어 흡착필터(18) 전단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통풍장치.
KR1019980704640A 1996-10-26 1997-09-24 차량용탱크통풍장치 KR199900765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644610.4 1996-10-26
DE19644610A DE19644610A1 (de) 1996-10-26 1996-10-26 Tankentlüftungs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PCT/DE1997/002163 WO1998019064A1 (de) 1996-10-26 1997-09-24 Tankentlüftungs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574A true KR19990076574A (ko) 1999-10-15

Family

ID=7810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4640A KR19990076574A (ko) 1996-10-26 1997-09-24 차량용탱크통풍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92396A (ko)
EP (1) EP0870106B1 (ko)
JP (1) JP2000503364A (ko)
KR (1) KR19990076574A (ko)
DE (2) DE19644610A1 (ko)
ES (1) ES2141603T3 (ko)
WO (1) WO19980190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3097B1 (en) * 1997-08-25 2001-09-04 John E. Cook Automotive evaporative emission leak detection system
WO1999015774A1 (en) * 1997-09-22 1999-04-01 Siemens Canada Limited Vapor leak detection system having a shared electromagnet coil for operating both pump and vent valve
DE19941347C1 (de) * 1999-08-31 2001-01-11 Siemens Ag Verfahren zum Regenerieren eines mit Kohlenwasserstoffen beladenen Aktivkohlebehälters
EP1154145A3 (en) * 2000-05-11 2003-02-26 Aisan Kogyo Kabushiki Kaisha Canister
US6276193B1 (en) * 2000-08-10 2001-08-21 Eaton Corporation Detecting vapor leakage in a motor vehicle fuel system
US6634343B2 (en) * 2000-12-01 2003-10-21 Denso Corporation Evaported fuel processor and fault diagnosing apparatus therefor
US7249595B2 (en) * 2005-03-16 2007-07-31 Eaton Corporation Vapor vent valve with pressure relief function integrated to carbon canister
JP2007023786A (ja) * 2005-07-12 2007-02-01 Denso Corp キャニスタ
DE102011018417A1 (de) 2011-04-21 2011-12-08 Daimler Ag Tankentlüftungseinrichtung
US9587595B2 (en) 2013-12-11 2017-03-07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Active purge pump system module for evaporative emission control system
DE102014222632B4 (de) 2013-12-11 2018-03-08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Aktives Spülpumpensystemmodul für ein Verdampfungs-Emissionssteuersystem
CN105179120B (zh) * 2013-12-11 2018-03-27 大陆汽车系统公司 蒸发排放控制系统的主动清除泵系统模块
DE102014010129A1 (de) * 2014-07-09 2016-01-14 Kautex Textron Gmbh & Co. Kg Vorratsbehälter zur Aufnahme einer wässrigen Harnstofflösung
DE102014011509A1 (de) 2014-07-31 2015-01-22 Daimler Ag Tankentlüftungseinrichtung für einen Kraftstofftank
CN104590008B (zh) * 2015-02-06 2017-05-10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燃油箱通气结构
JP6813349B2 (ja) * 2016-12-15 2021-01-13 株式会社マーレ フィルターシステムズ 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62862A1 (en) * 1993-05-14 1994-11-24 Gary D. Dawson Leak detection assembly
FR2732072B1 (fr) * 1995-03-24 1997-05-09 Siemens Automotive Sa Procede de detection d'une surpression dans un systeme de recuperation de vapeurs de carbura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19523935A1 (de) 1995-06-30 1997-01-02 Bosch Gmbh Robert Pumpvorrichtung
DE19523936A1 (de) * 1995-06-30 1997-01-02 Bosch Gmbh Robert Pumpvorrichtung für ein Brennstoffverdunstungs-Rückhhaltesystem und Brennstoffverdunstungs-Rückhaltesystem
US5715799A (en) * 1996-03-05 1998-02-10 Chrysler Corporation Method of leak detection during low engine vacuum for an evaporative emission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70106B1 (de) 2000-01-05
US5992396A (en) 1999-11-30
JP2000503364A (ja) 2000-03-21
DE19644610A1 (de) 1998-04-30
ES2141603T3 (es) 2000-03-16
DE59700971D1 (de) 2000-02-10
EP0870106A1 (de) 1998-10-14
WO1998019064A1 (de) 1998-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76574A (ko) 차량용탱크통풍장치
RU2157910C2 (ru) Насосная установка
JP4344995B2 (ja) 燃料蒸気漏れ検査モジュール
US5850819A (en) Fuel evaporative emission treatment system
US9506428B2 (en) Turbo bypass switch valve mounting on air box
RU2157911C2 (ru) Насо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стемы поддержания испарения топлива и система поддержания испарения топлива
JPH08261075A (ja) 故障診断用のソレノイドを備えたエバポコントロ―ルバルブ
JP2005188448A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系制御装置
CN111094732B (zh) 燃料蒸发气体排放抑制装置
KR100575376B1 (ko) 전자제어회로를 구비한 일체형압력관리장치
KR101822290B1 (ko) 차량용 캐니스터 밸브 장치
JPH09303218A (ja) 燃料蒸気処理装置
JP6590758B2 (ja) キャニスタ及びキャニスタベントソレノイドバルブ
US10723220B2 (en) Fuel tank system
KR970004347Y1 (ko) 차량의 일체형 캐니스터
JP3452103B2 (ja) 蒸発燃料処理装置
KR200173815Y1 (ko) 자동차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
JPH09268952A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KR100197515B1 (ko) 가압식 연료탱크의 리크 검출장치
KR960005905B1 (ko) 자동차 연료탱크의 흡,배기장치
JP2000345934A (ja) 燃料タンク負圧維持装置
KR100276248B1 (ko)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KR100471311B1 (ko) 자동차용 캐니스터의 에어필터
JPH11107863A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CN110748441A (zh) 一种碳罐电磁控制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