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815Y1 - 자동차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815Y1
KR200173815Y1 KR2019970034869U KR19970034869U KR200173815Y1 KR 200173815 Y1 KR200173815 Y1 KR 200173815Y1 KR 2019970034869 U KR2019970034869 U KR 2019970034869U KR 19970034869 U KR19970034869 U KR 19970034869U KR 200173815 Y1 KR200173815 Y1 KR 2001738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k detection
exhaust gas
detection pump
ai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48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1372U (ko
Inventor
손동연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700348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815Y1/ko
Publication of KR199900213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13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8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8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연료탱크 시스템에 있어서 연료증기 라인 및 퍼지라인 계통에 누출유무를 진단하기 위한 누출검출펌프를 엔진의 진공력을 이용하지 않고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구동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자동차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배기 파이프의 소정구간에 연통되게 분지되어 형성되는 배기가스 우회파이프와; 공기 필터와 캐니스터 를 연결하는 공기 파이프와; 배기가스유로 및 공기유로를 각각 갖고 상기 배기가스 우회파이프 및 공기 파이프의 소정위치에 각각의 유로가 연통되게 장착되는 누출검출펌프와; 상기 누출감지펌프와 배기 파이프 사이의 배기가스 우회파이프에 장착되는 밸브수단과; 상기 누출감지펌프에 장착되어 격막의 위치를 감지되는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밸브수단 및 위치감지센서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위치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밸브수단을 제어하는 ECU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고안은 경로가 짧고 효율적으로 누출감지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
본 고안은 자동차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연료탱크 시스템에 있어서 연료증기 라인 및 퍼지라인 계통에 누출유무를 진단하기 위한 누출감지펌프를 엔진의 진공력을 이용하지 않고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구동시키므로서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로 부터의 긴 진공라인을 삭제하고 효과적으로 누출감지펌프 작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자동차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연료탱크 시스템은 연료탱크와, 주유부와, 연료공급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상기 연료탱크는 내부에 소정의 중공을 갖는 통형상으로 상기 급유부와 연료공급부가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주유부는 연료탱크의 상면 또는 측면 소정위치에 연결파이프에 의해 차체의 외측에 장착되어 있는 주유구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료공급부는 연료탱크의 상면 소정위치에 연료흡입파이프가 수직으로 연료탱크의 중공에 배치되도록 관통되어 설치되고 연료흡입파이프의 상단부에 연료파이프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연료탱크 시스템은 연료탱크내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가 주위온도에 의해 기화되어 연료증기가 발생되면 연료탱크내의 연료증기를 연결 파이프를 통하여 배출시켜 캐니스터에 축적하고, 캐니스터내에 축적되어 액화된 액상연료는 재차 엔진으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상기와 같이 캐니스터내에 축정된 액상연료를 엔진으로 보내지는 종래의 경로 및 누출감지펌프의 상치상태를 도시하는 도식도이며, 도 2는 종래의 누출감지펌프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b를 참조하면, 종래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은 개략적으로 연료탱크(a)와 캐니스터(b)와 누출감지펌프(d)와 퍼지라인(e)과 진공라인(f)과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g)와 진공 솔레노이드 밸브(h)와 공기라인(i)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료탱크(a)는 캐니스터(b)와 연결파이프(c)에 의해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캐니스터(b)는 누출감지펌프(d)와 공기라인(i)에 의해 연통되게 연결되고 퍼지라인(e)에 의해 엔진(j)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누출감지펌프(d)는 진공라인(f)에 의해 엔진(j)의 흡기 매니폴드(도시되지 않음)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진공 솔레노이드 밸브(h)는 누출감지펌프(d)측의 진공라인(f)에 장착되고, 상기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g)는 퍼지라인(e)상에 장착된다.
상기누출감지펌프(d)는 격막(d2)에 의해 진공실(d1)과 공기유로(d4)로 간막이되어 있으며, 상기 격막(d2)은 탄성부재(d3)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지지되어 공기유로(d4)를 차단하고 있으며, 공기필터(도시되지 않음)측의 공기유로(d4)에는 체크밸브(d5)가 장착되어 공기유로(d4)를 개폐하고, 상기 격막(d2)의 상측 소정위치에는 격막(d2)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감지센서(d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진공솔레노이드 밸브(h),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g) 및 위치감지센서(d6)는 ECU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ECU는 위치감지센서(d6)의 격막위치신호에 따라 진공 솔레노이드 밸브(h)를 개폐작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은 상기 위치감지센서(d6)가 격막(d2)의 차침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ECU에 위치신호를 보내면, ECU는 진공 솔레노이드 밸브(h)를 개방한다. 진공 솔레노이드 밸브(h)가 개방되면, 진공라인(f)을 통하여 흡기 매니폴드의 진공으로 진공실(d1)이 진공상태가 되어 상기 격막(d2)은 탄성부재(d3)의 탄성력에 반발하여 상방으로 상승하면서 공기유로(d4)를 개방하고, 공기유로(d4)에 연동하여 상기 체크밸브(d5)는 공기필터로 부터의 공기주입력에 밀려 수축되어 공기필터측의 공기유로를 개방시킨다.
상기와 같이, 공기유로(d4)가 완전히 개방되면, 공기필터로 부터 유입되는 공기는 공기유로(d4) 및 공기라인(i)을 통하여 캐니스터(b)내로 유입되어 캐니스터(b)내에 축적되어 있는 액상연료를 퍼지라인(e)을 통하여 엔진(j)으로 펌핑한다.
상기와 같이 캐니스터(b)내의 액상연료가 퍼지라인(e)을 통하여 펌핑되면, 상기 ECU는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g)를 개방하여 펌핑되는 액상연료를 엔진(j)으로 공급한다.
또한, 흡기 매니폴드의 진공에 의해 격막(d2)이 상승하여 소정위치에 도달하게되면, 상기 위치감지센서(d6)는 격막(d2)의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ECU에 송신하고, 위치감지센서(d6)의 신호를 수신한 ECU는 상기 신호에 따라 진공 솔레노이드 밸브(h) 및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g)를 닫는다.
상기 퍼지 솔레노이드 밸브(g) 및 진공 솔레노이드 밸브(h)이 닫히면, 흡기 매니폴드의 진공은 차단되고, 퍼지라인(e)을 통하여 엔진(j)에 공급되는 액상연료의 공급이 중단되는 동시에 상기 격막(d2)은 탄성부재(d3)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작동되어 공기유로(d4)를 차단하고, 체크밸브(d5)는 상기 격막(d2)의 하강배력에 의해 신장되어 공기필터측의 공기유로(d4)를 차단하므로서 공기유로(d4)내로 더 이상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다.
즉, 종래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은 흡기 매니폴드의 진공력을 이용하여 누출감지펌프(d)을 상기와 같이 반복적으로 구동하므로서 캐니스터(b)내에 축적된 액상연료를 엔진(j)으로 공급하도록 작동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은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의 진공력을 이용하여 누출감지펌프를 구동하지만 캐니스터와 누출감지펌프는 연료탱크 근처에 위치하여 엔진과 원거리에 있기 때문에 매우 긴 퍼지라인 및 진공라인이 요구되기 때문에 진공감소 및 진공라인내에 수증기응축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자동차의 연료탱크 시스템에 있어서 연료증기 라인 및 퍼지라인 계통에 누출유무를 진단하기 위한 누출감지펌프를 엔진의 진공력을 이용하지 않고 배기가스를 이용하여 구동시키므로서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로 부터의 긴 진공라인을 삭제하고 효과적으로 누출감지펌프 작동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자동차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의 계통을 예시하는 계략 계통도.
도 2는 종래의 누출감지펌프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작동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누출감지펌프 시스템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작동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배기파이프 11: 배기가스 우회파이프
12: 공기필터 13: 공기라인
14: 밸브수단 15: 누출감지펌프
15a: 공기유로 15b: 배기가스유로
15c: 격막 15d: 탄성부재
15e: 체크밸브 16: 위치감지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배기 파이프의 소정구간에 연통되게 분지되어 형성되는 배기가스 우회파이프와; 공기 필터와 캐니스터 를 연결하는 공기 파이프와; 배기가스유로 및 공기유로를 각각 갖고 상기 배기가스 우회파이프 및 공기 파이프의 소정위치에 각각의 유로가 연통되게 장착되는 누출감지펌프와; 상기 누출감지펌프와 배기 파이프 사이의 배기가스 우회파이프에 장착되는 밸브수단과; 상기 누출감지펌프에 장착되어 격막의 위치를 감지되는 위치감지센서와; 상기 밸브수단 및 위치감지센서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위치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밸브수단을 제어하는 ECU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동일하게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누출감지펌프 시스템의 구성 및 작동상태를 도시하는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은 배기가스 우회파이프(11)와 공기 파이프(13)와, 누출감지펌프(15)와 밸브수단(14)과 위치감지센서(16)과 ECU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가스 위회파이프(11)는 배기 파이프(10)의 소정구간에 연통되게 분지되어 형성되고, 상기 누출감지펌프(15)는 배기가스 우회파이프(11)와 공기 필터(12)와 캐니스터(도시되지 않음)를 연결하는 공기 파이프(13)의 소정위치에 동시에 장착된다.
상기 누출감지펌프(15)는 내부가 격막(15c)에 의해 공기유로(15a)와 배기가스유로(15b)로 간막이되고, 격막(15c)의 하측 소정위치에는 탄성부재(15d)가 상방으로 탄성지지되게 설치되어 격막(15)은 상방으로 작동되어 배기가스유로(15b)를 차단하도록 배치되며, 공기필터(12)측의 공기유로(15a)에는 체크밸브(15e)가 장착되어 공기유로(15a)로 공기필터(12)로 부터의 공기유입을 차단한다.
상기 밸브수단(14)은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누출감지펌프(15)측의 배기가스 우회파이프(11)에 장착되고, ECU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배기가스 우회파이프(11)의 유로를 개폐하도록 ECU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위치감지센서(16)는 격막(15c)의 하측 소정위치에 설치되고 ECU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격막(15c)의 위치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ECU에 송신하고, ECU는 상기 신호에 따라 밸브수단(14)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누출감지펌프 시스템은 상기 위치감지센서(16)가 격막(15b)의 닫힘위치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ECU에 송신하면, 상기 신호에 따라 ECU는 밸브수단(14)을 작동시켜 배기가스 우회파이프(11)를 개방한다.
상기 배기가스 우회파이프(11)가 개방되면, 배기 파이프(10)을 통하여 배출되는 배기가스는 배기가스 우회파이프(11)의 일측을 통하여 누출감지펌프(15)의 배기가스 유로(15b)로 유입되면서 상기 격막(15c)을 하방으로 밀어 누출감지펌프(15)의 배기가스유로(15b)을 개방시킨다.
상기와 같이 격막(15c)을 하방으로 작동시키며 배기가스유로(15c)을 통과한 배기가스는 배기가스 우회파이프(11)의 타측을 통하여 배기파이프(10)에 합류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격막(15c)이 배기가스의 압력에 의해 하방으로 작동되면, 공기유로(15a)내에 채워져 있는 공기는 격막(15c)의 배압에 의해 공기라인(13)을 통하여 캐니스터(도시되지 않음)내로 유입되어 캐니스터내에 축적되어 있는 액상연료를 엔진(도시되지 않음)으로 공급한다.
상기 작동중 격막(15c)이 하방 소정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위치감지센서(16)는 이를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ECU에 송신하고 상기 감지신호를 수신한 ECU는 상기 밸브수단(14)을 작동시켜 배기가스 우회파이프(11)를 차단하므로서 배기가스유로(15b)내로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차단한다.
상기와 같이 배기가스유로(15b)로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차단되면, 배기가스의 압력에 의해 하방으로 작동되었던 격막(15c)은 상기 탄성부재(15d)의 탄성력에 위해 상방으로 복원되는 동시에 격막(15c)이 상승작동되면서 발생되는 흡입배력에 의해 상기 체크밸브(15e)는 수축되면서 공기필터(12)측의 공기유로(15a)를 개방하여 공기필터(12)로 부터의 공기를 공기유로(15a)내로 유입시킨다.
상기 격막(15c)이 상승하여 배기가스유로(15b)을 완전히 차단한후 상승작동이 정지되면, 격막(15c)에 의한 더 이상의 흡입배력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체크밸브(15e)는 자체 탄발력에 의해 신장되면서 공기필터(12)측의 공기유로(15a)을 차단하게되므로 공기유로(15a)내로 더 이상의 공기가 유입되지 되며, 상기 누출감지펌프 시스템은 상술된 작동을 반복적으로 실시하면서 캐니스터내에 축적된 액상연료를 엔진으로 공급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되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은 캐니스터와 누출감지밸브의 근 거리에 설치되어 있는 배기파이프의 배기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길이가 긴 엔진으로 부터의 진공라인을 삭제할 수 있어 누출감지펌프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은 캐니스터 및 누출감지펌프의 근처에 설치되어 있는 배기파이프에 길이가 짧은 배기가스 우회파이프를 형성하고 배기가스유로 및 공기유로를 갖는 누출감지펌프를 각기 각각의 유로가 배기가스유로과 공기유로에 연통되게 연결하여 ECU의 제어에 따라 밸브수단을 반복적으로 개폐작동시켜 배기가스가 배기가스유로를 개폐하며 통과하도록 하므로서 길이가 긴 진공라인이 삭제되어 짧은 구동경로에 의해 누출감지펌프를 효과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캐니스터가 자동차의 후미측에 위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누출감지펌프를 효과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에 있어서, 배기 파이프(10)의 소정구간에 연통되게 분지되어 형성되는 배기가스 우회파이프(11)와; 공기 필터(12)와 캐니스터 를 연결하는 공기 파이프(13)와; 배기가스유로(15b) 및 공기유로(15a)를 각각 갖고 상기 배기가스 우회파이프(11) 및 공기 파이프(13)의 소정위치에 각각의 유로가 연통되게 장착되는 누출검출펌프(15)와; 상기 누출감지펌(15)프와 배기 파이프(10) 사이의 배기가스 우회파이프(11)에 장착되는 밸브수단(14)과; 상기 누출감지펌프(15)에 장착되어 격막의 위치를 감지되는 위치감지센서(16)와; 상기 밸브수단(14) 및 위치감지센서(16)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위치감지센서(16)의 신호에 따라 밸브수단(14)을 제어하는 ECU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감지펌프(15)는 내부에 간막이되게 설치되어 공기유로(15a)와 배기가스유로(15b)를 형성하는 격막(15c)과, 상기 격막(15c)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15d)와, 공기필터(12)측의 공기유로(15a)를 개폐하는 체크밸브(15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
KR2019970034869U 1997-11-29 1997-11-29 자동차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 KR2001738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869U KR200173815Y1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4869U KR200173815Y1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372U KR19990021372U (ko) 1999-06-25
KR200173815Y1 true KR200173815Y1 (ko) 2000-04-01

Family

ID=19515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4869U KR200173815Y1 (ko) 1997-11-29 1997-11-29 자동차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81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1372U (ko) 199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3461B2 (ja) 機械式作動隔離バルブを備えた燃料タンクエミッション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US5850819A (en) Fuel evaporative emission treatment system
US7213584B2 (en) Fuel suppl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213582B2 (en) Vent valve for a fuel tank
JP3803581B2 (ja) 燃料蒸発ガスのない燃料系統における燃料漏れの検出装置及び方法
KR970066023A (ko) 연료 증산 방지 장치의 고장 진단 장치
KR20030001281A (ko) 기준 측정 방법을 사용하는 탱크 누출 진단 방법 및 장치
KR19990076574A (ko) 차량용탱크통풍장치
CN111094732B (zh) 燃料蒸发气体排放抑制装置
KR200173815Y1 (ko) 자동차의 누출감지펌프 시스템
JPH09303218A (ja) 燃料蒸気処理装置
US20210270213A1 (en) Leakage Diagnosis Device for Fuel Vapor Processing Apparatus
JP3888287B2 (ja) 燃料蒸気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及び燃料蒸気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方法
CN107642416B (zh) 用于船用发动机的防止海水流入设备
KR100228060B1 (ko) 퍼지시스템의 이상유무 진단장치
JP2001165003A (ja) 燃料タンク
KR100655610B1 (ko) 캐니스터의 이물질 및 수분 유입방지장치
KR100267678B1 (ko) 연료탱크의 벤트밸브장치
CN114623023B (zh) 一种车辆的蒸汽管理系统
JP2004092510A (ja) 燃料供給装置
KR100535540B1 (ko) 배기가스를 이용한 캐니스터의 성능향상장치
KR100197515B1 (ko) 가압식 연료탱크의 리크 검출장치
KR970001017Y1 (ko) 자동차의 흡기장치
KR970004347Y1 (ko) 차량의 일체형 캐니스터
KR100276248B1 (ko) 자동차용 에어크리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