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6506A - 하니스커넥터 - Google Patents

하니스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6506A
KR19990076506A KR1019980039786A KR19980039786A KR19990076506A KR 19990076506 A KR19990076506 A KR 19990076506A KR 1019980039786 A KR1019980039786 A KR 1019980039786A KR 19980039786 A KR19980039786 A KR 19980039786A KR 19990076506 A KR19990076506 A KR 19990076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rness
plug
housing
harness connecto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7895B1 (ko
Inventor
노부유키 시부에
Original Assignee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마이 기요스케
Publication of KR19990076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6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7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78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0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 H01R4/48455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using a leaf spring to bias the conductor toward the busbar insertion of a wire only possible by pressing on the spring

Abstract

배선작업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킨 하니스커넥터를 제공한다.
하니스커넥터(10)의 하우징(33)은 보디(33a) 및 커버(33b)로 구성되고, 커버(33b)의 표면에는 하니스커넥터(10)의 전기적 특성이나 용도를 표시하는 표시부(61)가 배설되어 있다. 하우징(33)내에는 하니스플로그의 플러그날을 받는 암접점(32)이 복수 수납되어 있고, 암접점(32)의 기단부(基端部)에는 암접점(32)의 접촉편(32b)과의 사이에서 전선의 심선(芯線)을 협지하는 록스프링(43)이 배치된다. 해제버튼(44)의 조작핸들(44b)은 커버(33b)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고, 조작핸들(44b)을 조작함으로써 해제부(44a)가 록스프링(43)을 접촉편(2b)에서 밀어내어 심선의 탄성협지상태를 해제한다.

Description

하니스커넥터
본 발명은 전원선(電源線)을 커넥터방식으로 접속하기 위하여, 전원선의 선단에 장착되고, 일반적으로 삽입측이 되는 하니스플러그와 함께 사용되는 하니스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하니스커넥터는 삽입측이 되는 하니스플러그의 요부(凹部)에 감합(嵌合)하는 삽착부(揷着部)가 하우징의 앞면에 형성되고, 하니스플러그의 플러그날(plug blade, 栓刃)을 받는 복수의 암접점(female contact)을 상기 삽착부 내에 구비하고, 삽착부를 하니스플러그의 요부에 감합하고, 하니스플러그의 플러그날을 암접점에 삽입 감합시켜 전기접속을 행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 이 종류의 하니스커넥터에서는 전선은 플러그날의 기단부(基端部)에 코킹하여 접속하는 구조로 되어 있었으므로, 현장에서 전선의 길이가 맞지 않을 경우 등에 있어서의 전선의 교체작업이 번거롭고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하니스커넥터에는 전기적 특성이나 용도가 표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배선작업을 할 때나 보수를 할 때에 배선도에서 하니스커넥터의 전기적 특성이나 용도를 판독하지 않으면 안 되어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하는 바는 작업성을 향상시킨 하니스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의 하니스커넥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실시형태 1의 하니스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실시형태 1의 하니스커넥터의 단면도.
도 4는 실시형태 1에 대응하는 하니스플러그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실시형태 1의 하니스플러그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실시형태 1의 하니스커넥터가 사용되는 바닥배선시스템의 설명도.
도 7은 실시형태 1의 오접속방지부를 나타내며, 도 7a는 하니스플러그의 정면도, 도 7b는 하니스커넥터의 정면도.
도 8은 실시형태 1의 오접속방지부를 나타내며, 도 8a는 하니스플러그의 정면도, 도 8b는 하니스커넥터의 정면도.
도 9는 실시형태 1의 오접속방지부를 나타내며, 도 9a는 하니스플러그의 정면도, 도 9b는 하니스커넥터의 정면도.
도 10은 실시형태 1의 오접속방지부를 나타내며, 도 10a는 하니스플러그의 정면도, 도 10b는 하니스커넥터의 정면도.
도 11은 실시형태 1의 오접속방지부를 나타내며, 도 11a는 하니스플러그의 정면도, 도 11b는 하니스커넥터의 정면도.
도 12는 실시형태 1의 오접속방지부를 나타내며, 도 12a는 하니스플러그의 정면도, 도 12b는 하니스커넥터의 정면도.
도 13은 실시형태 2의 하니스플러그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니스커넥터, 32 : 암접점
32b : 접촉편, 33 : 하우징
33a : 보디, 33b : 커버
43 : 록스프링 44 : 록해제 버튼
44a : 록해제부, 44b: 조작핸들
61 : 표시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삽입측이 되는 하니스플러그의 요부(凹部)에 감합하는 삽착부(揷着部)가 하우징의 앞면에 형성되고, 하니스플러그의 플러그날을 받는 복수의 암접점을 상기 삽착부 내에 구비하고, 하우징의 측면에 전기배선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배설하였으므로, 표시부에서 하니스커넥터의 전기적 특성이나 용도 등의 전기배선에 필요한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하니스커넥터의 전기적 특성이나 용도를 배선도 등에서 조사하는 시간과 품을 덜 수 있어서, 배선할 때나 보수할 때에 작업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의 하니스커넥터를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니스커넥터(10) 및 하니스플러그(11)는 각각 전원선의 선단에 장착되어 전원선을 커넥터방식으로 접속하기 위해 사용된다.
먼저, 삽입측이 되는 하니스플러그(11)에 대하여 설명한다. 하니스플러그(11)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받는 측이 되는 하니스커넥터(10)의 삽착부(30)〔또는 조인트박스(도시하지 않음)에 배설된 삽착부〕가 감합되는 요부(14)가 하우징(13)의 앞면에 형성되고, 이 요부(14) 내에는 전선의 복수의 심선이 각각 기단부(基端部)에 접속되는 복수 개의 플러그날(15,15′)이 선단부를 요부(14)의 개구에 면하게 하여 배설되어 있다.
이 하니스플러그(11)의 하우징(13)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합성수지제의 보디(13a)와 커버(13b)로 구성된다. 보디(13a)는 상면 및 앞면이 개구하는 대략 상자모양으로 형성되고, 격벽(16)에 의해 내부가 전후의 공간으로 분리되고, 전방에는 커버(13b)와 합쳐진 상태로 상기 하니스커넥터(10)의 삽착부(30)(도 2 참조)가 삽입되는 요부(14)가 되는 요소(凹所)(14a)가 형성된다. 상기 격벽(16)에는 3개의 플러그날(15,15′)을 각각 밀어 넣어 고정하는 고정홈(17)이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날(15,15′)을 고정홈(17)에 장착하면, 요소(14a)내에 플러그날(15,15′)의 선단부가 나란히 배치된다. 그리고 보디(13a)의 후방의 내부공간은 보디(13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두 줄의 격벽(18)으로 다시 3개의 수납공간으로 분리하고, 각 수납공간 내에 플러그날(15,15′)이 수용된다. 이 보디(13a)의 후단부에는 커버(13b)와 합쳐진 상태에서 전선삽입구가 되는 3개의 요부(1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요부(19)는 전선삽입구의 내부가 세경(細徑)으로 되어, 심선이 플러그날(15,15′)의 접촉편(15b)과 록스프링(lock spring)(20)과의 사이에 확실하게 위치를 잡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러그날(15,15′)은 도전재료로 판모양으로 형성되고, 기단부를 각 수납공간의 한 내측면에 닿도록 절곡하고, 이 기단부의 최소한 커버(13b)측에서 옆을 향하여 하면에 전선의 심선이 접촉하는 접촉편(15a)이 형성되어 있다. 또 플러그날(15,15′)의 중앙부의 보디(13a)측으로부터는 보디(13a)에 위치를 잡아 임시 고정하기 위한 위치결정편(15b)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디(13a)의 저면에는 상기 위치결정편(15b)을 감합하는 위치결정 리브가 형성되어 있으나, 도 4에는 도시하지 않았다.
또한, 상기 플러그날(15,15′) 중에서 전선의 접지선이 접속되는 플러그날(15′)은 다른 플러그날(15)보다 약간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길게 또는 앞쪽에 장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것은 하니스플러그(11)를 하니스커넥터(10)에 접속할 때에 다른 플러그날(15)이 하니스커넥터(10)의 암접점에 접속되기 전에 우선 먼저 접지선이 접속된 플러그날(15′)이 암접점에 접속되고, 또 역으로 떼어낼 때는 접지선이 접속된 플러그날(15′)이 마지막으로 빠지도록 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각 플러그날(15,15′)의 접촉편(15a)과 보디(13a)의 각 수납공간의 후단부와의 사이에는 전선의 심선을 접촉편(15a)에 탄성적으로 강하게 누르는 록스프링(20)을 각각 배치한다.
커버(13b)는 하면과 앞면이 개구하는 대략 상자모양으로 형성되고, 내부 구조가 상기 보디(13a)와 대략 같은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13b)의 상면 2개소에는 고정리벳(26)을 삽통시키는 삽통공(27)이 형성되어 있고, 삽통공(27) 및 삽통공(27)에 대응하여 보디(13a)에 형성된 삽통공(28)에는 고정리벳(26)을 통과시켜 선단을 코킹하고, 보디(13a)에 커버(13b)를 씌운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커버(13b)의 표면에는 용도나 명칭을 표시하는 명칭표시부(50)가 배설되어 있다.
보디(13a)의 요소(14a)와 함께 요부(14)를 형성하는 커버(13b)의 요소(14b)의 내저면에는 후술할 하니스커넥터(10)의 역삽입방지홈(34)(도 1 참조)에 끼워지는 하니스커넥터(10)의 삽착방향으로 형성된 두 줄의 돌조(22)가 형성되고, 이로써역삽입 또는 정격(定格)이나 용도가 다른 하니스커넥터(10)를 접속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이런 종류의 하니스플러그(11)에는 하니스커넥터(10)와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하니스커넥터(10)에 형성된 계지홈(35)에 계지·이탈이 가능하게 계지되는 록피스(lock piece)(23)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록피스(23)를 커버(13b)측에 구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종래 이런 종류의 하니스플러그(11)의 경우에는 보디(13a)측에도 상기 록피스(23)와 같은 것이 배치되어 있었으나, 이것으로는 하니스플러그(11)의 형상이 커지므로, 본 실시형태에서는 커버(13b)측에만 록피스(23)를 배설하여, 하니스플러그(11)의 소형화를 도모하고 있다.
상기 록피스(23)를 커버(13b)에 장착하기 위해, 상기 커버(13b)의 상면 중앙부를 오목하게 형성하여 록피스(23)의 장착부(24)를 형성하였다. 이 장착부(24)의 요소(14b)에 대응하는 부분에 개구(25)를 형성하고, 이 개구(25)로부터 록피스(23)의 계지클릭(23a)이 요부(14) 내에 돌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구(25) 후부에 록피스(23)를 고정하는 고정부(24a)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록피스(23)에는 중앙 하면에서 단면이 대략 L자형의 고정편(23b)이 하향 설치되고, 이 고정편(23b)의 하면에 고정클릭편(23c)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클릭편(23c)을 고정부(24a)에 형성한 고정공(24d)에 계지하고, 록피스(23)가 장착부(24)에 장착된다. 그리고, 이 고정부(24a)의 후부는 록피스(23)의 누름조작부(23d)보다 크게 형성되고, 누름조작부(23d)를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록피스(23)의 누름조작부(23d)를 아래쪽으로 밀면, 고정편(23b)을 지지점으로 하여 계지클릭(23a)측이 위쪽으로 회동하고, 계지클릭(23a)이 하니스커넥터(10)의 계지홈(35)에서 벗어나, 하니스플러그(11)를 하니스커넥터(10)에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 누름조작부(23d)의 표면에는 슬립방지를 위한 홈이 폭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커버(13b)를 보디(13a)에 씌울 때에는 록스프링(20)과 접촉편(15a)으로 이루어지는 속결부(quick-conect part)에 대응하는 곳에 해제버튼(21)이 수납된다. 이 해제버튼(21)은 3개의 록스프링(20)을 동시에 접촉편(15a)에서 밀어내어 전선의 심선의 탄성협지상태를 해제하는 것으로, 해제버튼(21)의 하면으로부터는 각 록스프링(20)의 록피스(20a)의 일단을 각각 누르는 압압부(21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해제버튼(21)의 상면으로부터는 해제버튼(21)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인 조작핸들(21b)이 연설(延設)되어 있다. 조작핸들(21b)은 손조작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커버(13b)의 개구(29)로부터 커버(13b)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특별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손조작으로 심선의 탄성협지상태를 해제할 수 있고, 전선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조작핸들(21b)을 내리밀면 해제버튼(21)이 지지점부(21c)를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록스프링(20)의 록피스(20a)를 접촉편(15a)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휘어지게 하여 심선의 탄성협지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이 하니스플러그(11)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바닥배선시스템에서 사용된다. 이 바닥배선시스템은 건물의 슬래브 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바닥면을 형성하고, 이 슬래브와 바닥면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여 바닥배선을 하는 것이다(이와 같은 바닥배선시스템을 프리액세스플로어라고 한다). 이 바닥배선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콘센트(C)를 바닥에 매설하는 동시에, 바닥 위에 복수의 콘센트 등의 배선기구(H), (I)를 배치한다. 여기서, 상기 배선기구(H), (I)의 전원코드는 분계(分界)박스(D)에서 바닥 밑으로 끌어들여진다. 상기 콘센트(C)와 배선기구(H), (I)의 전원코드의 선단에는 하니스플러그(11)가 장착되어 있고, 간선(幹線)(LO)을 분기하는 조인트박스(B′)나, 조인트박스(J)에 의해 분기된 분기회로(L′)를 다시 분기하는 조인트박스(B′)에 상기 하니스플러그(11)를 접속하여 바닥배선을 자유로이 한다. 또한, 간선(LO) 이나 분기회로(L′)를 분기하는 조인트박스(B′)는 전원의 간선(LO)이나 분기회로(L′) 등이 속결식으로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하니스커넥터(10)와 같은 구조로 된 복수의 삽착부를 구비한 것이다. 또 단지 전원선을 배선기구(H), (I) 등에 접속하거나, 또는 전원라인을 연장하거나 하는 경우에는 전원공급측에 하니스커넥터(10)를 장착하는 동시에 다른 쪽에 하니스플러그(11)를 장착하면 된다.
다음에 하니스커넥터(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하니스커넥터(1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니스플러그(11)의 요부(14)에 삽착되는 삽착부(30)가 앞면에 형성되고, 이 삽착부(30)의 앞면에 형성된 플러그날삽입구(31)에서 삽입되는 하니스플러그(11)의 플러그날(15)을 각각 받는 복수개의 암접점(32)을 내부에 구비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하니스커넥터(10)의 하우징(33)은 합성수지제의 보디(33a) 및 커버(33b)로 구성되고, 커버(33b) 상면의 2개소에 고정리벳(40)을 삽통하는 삽통공(41)이 형성되어 있고, 삽통공(41)과 이 삽통공(41)에 대응하여 보디(33a)에 형성된 삽통공(42)에 고정리벳(40)을 삽통하여 선단을 코킹하고, 보디(33a)에 커버(33b)를 씌우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보디(33a)는 상면이 개구된 대략 상자모양으로 형성되고, 커버(33b)와 합쳐진 상태에서 삽착부(30)가 되는 전방수납부(30a)를, 보디(33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2줄의 격벽(36)에 의해 3개의 수납공간으로 구획되어 있고, 각 수납공간 내에 암접점(32)이 수용된다. 격벽(36)은 보디(33a)의 전방수납부(30a)에서 타단측까지 대략 암접점(32)의 전장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수납공간에 대응하는 보디(33a)의 앞면부에는 플러그날삽입구(31)가 되는 요부(31a)가 형성되어 있다.
암접점(32)은 도전재료로 형성되고, 플러그날(15)을 양측에서 협지하도록 대향하는 1쌍의 협지편(32a)을 구비하고, 이 협지편(32a)을 중앙부에서 연결하여, 다시 이 중앙부에서 후방으로 뻗은 연설편(延設片)의 선단부를 각 수납공간의 한 내측면에 닿도록 절곡하여, 다시 선단부의 최소한 커버(33b)측에서 옆으로 향하여, 하면에 전선의 심선이 접촉하는 접촉편(32b)을 형성하고, 이들 접촉편(32b)과 보디(33a) 사이에 록스프링(43)을 각각 배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암접점(32) 중앙부의 하면으로부터는 보디(33a)에 위치결정하여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편(32c)이 1쌍 돌출 형성되어 있고, 보디(33a)의 격벽(36)에 의해 분리된 각각의 수용공간의 임시 고정편(32c)에 대응하는 저면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65)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리브(65)를 각 임시 고정편(32c)이 대향하는 내단(內端)에 형성된 클릭 내에 밀어 넣어, 암접점(32)이 보디(13a)에 임시 고정된다. 이와 같이, 임시 고정편(32c) 및 리브(65)를 요철감합(凹凸嵌合)시킴으로써 암접점(32)을 보디(13a)에 임시 고정하여 암접점(32)의 장착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고, 보디(33a)와 커버(33b)와의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협지편(32a)의 중앙부는 서로 く모양으로 절곡하여 플러그날(15)의 유지력을 강화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하니스커넥터(10)의 경우에도 하니스플러그(11)와 마찬가지로, 보디(33a)의 후단부에 록스프링(43)과 접촉편(32b) 사이에 심선을 삽입시키는 전선삽입구가 되는 요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요부(45)는 전선삽입구의 내부가 직경이 가늘어지고, 심선이 암접점(32)의 접촉편(32b)과 록스프링(43) 사이에 확실하게 위치결정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커버(33b)의 내부구조는 보디(33a)와 대략 같으며, 커버(33b)에서는 보디(33a)의 전방수납부(30a)와 함께 삽착부(30)를 구성하는 전방수납부(30b)의 상면에 상기 하니스플러그(11)의 돌조(22)가 끼워지는 오접속방지부인 역삽입방지홈(34)과, 록피스(23)의 계지클릭(23a)이 걸리는 계지홈(35)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13b)의 표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요부(62)가 형성되어 있고, 하니스커넥터(10)의 전기적 정격이나 용도를 기재한 명칭표시부인 카드(63)가 요부(62) 내에 수용되고, 요부(62)의 양끝면에 형성된 계지홈(62a)과 계지·이탈이 가능한 계지편(64a)이 양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투명한 커버(64)가 카드(63)를 덮어 요부(62)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카드(63)로부터 하니스커넥터(10)의 전기적 정격이나 용도를 용이하게 판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니스커넥터(10)의 전기적 정격이나 용도를 표시한 표시부(61)가 하우징(33)의 표면에 배설되어 있으므로 표시부(61)의 표시로부터 하니스커넥터(11)의 전기적 정격이나 용도를 용이하게 판독할 수 있고, 더욱이 하니스커넥터(11)의 용도가 변경된 경우에는 카드(63)를 교환함으로써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 하우징(33)을 구성하는 보디(33a)의 일단부로부터는 외측방향을 향해 고정편(71)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고정편(71)에는 고정공(72)이 2개 뚫려 있다. 그리고, 고정공(72)에 삽입되는 나사를 벽 바탕재 등의 설치면에 타입함으로써 고정편(71)과 함께 보디(33a)를 위치결정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고, 이 고정편(71)과 고정공(72)으로 하우징(33)을 위치결정상태에서 고정하는 고정부(7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하여 고정부(70)에서 하우징(33)을 위치결정상태로 고정함으로써 하니스플러그(11)의 꽂고 뽑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암접점(32)의 접촉편(32b) 및 록스프링(43)으로 구성되는 속결식(速結式)접속부에 대하여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록스프링(43)의 록피스(43a) 및 접촉편(43b)은 탄성을 가진 도전재료인 대판(帶板)의 양단부를 구부려서 중앙편(43c)의 양단부에 형성된다. 록피스(43a)는 중앙편(43c)과의 연결부위에서 선단가장자리를 향해 암접점(32)의 접촉편(32c)의 하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고, 접촉편(43b)은 대략 S자형으로 구부러져 있으며, 록스프링(43)에 배설한 록피스(43a) 및 접촉편(43b)이 암접점(32)의 접촉편(32b)의 하면에 대향한다. 또 암접점(32)의 접촉편(32b)에는 절결(32d)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커버(33b)를 보디(33A)에 씌울 때에는 록스프링(43) 및 접촉편(32b)으로 이루어지는 심선의 속결부(quick-conect part)에 대응하는 곳에 심선의 탄성협지상태를 헤제하는 해제버튼(44)이 수납되어 있다. 삽착부(30)와 반대측의 커버(33b) 부위에는 요소(46a)가 형성되고, 요소(46a)와 하우징(33)의 내부와는 개구(46)를 통하여 연통되어 있고, 이 요소(46a)에 해제버튼(44)이 회동할 수 있게 배설되어 있다. 해제버튼(44)은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는 크기의 조작면을 가진 조작부인 조작핸들(44b)과, 각 암접점(32)의 절결(32d)에서 노출되는 록피스(43a)의 부위와 각각 닿는 해제부(44a)와, 커버(33b)의 내벽과 닿아서 해제버튼(44)의 지지점이 되는 지지점부(44c)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해제버튼(44)은 커버(33b)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고, 조작핸들(44b)의 앞면인 조작면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해제버튼(44)이 지지점부(44c)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해제버튼(44)의 누름부(44a)가 각 록스프링(43)의 록피스(43a)를 접촉편(32b)의 하면으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누른다. 그 결과, 특별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3개의 록피스(43a)와 접촉편(32b)과의 사이에 협지된 전원선의 심선을 동시에 분리시킬 수 있어서, 전선의 교체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니스커넥터(10)에의 전선접속부를 해제기능을 가진 속결구조로 하고, 더욱이 해제버튼(44)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핸들(44b)은 손조작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고, 커버(33b)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전선접속부에의 전선의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전선의 길이가 맞지 않아 교체가 필요한 경우, 해제버튼(44)의 조작핸들(44b)을 조작함으로써 간단히 전선을 떼어낼 수 있다. 더욱이 교체한 전선의 심선을 전선삽입구에서 삽입하기만 하면, 록스프링(43)과 접촉편(32b) 사이에서 전선의 심선이 탄성협지되어 전선의 접속이 이루어지고, 재접속작업도 용이해지며 전선의 교체작업을 매우 간단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전원선의 심선을 접속할 때에는 요부(45)에서 전원선의 피복이 벗겨진 심선(도시하지 않음)을 삽입하면, 록스프링(43)의 탄성력에 의해. 록스프링(43)의 록피스(43a) 및 접촉편(43b)과 암접점(32)의 접촉편(32b)과의 사이에 심선의 도체가 협지되고, 록피스(43a)의 선단가장자리가 심선의 도체에 파고 들음으로써 심선의 탈락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요부(4)에 심선을 삽입하기만 하면, 심선이 보존 유지되는 동시에 암접점(32)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하니스커넥터(10)에의 하니스플러그(11)의 접속은 돌조(22)가 역삽입방지홈(34)에 끼워지도록 하니스플러그(11)의 요부(14)와 하니스커넥터(10)의 삽착부(50)의 방향을 맞추어 하니스플러그(11)를 하니스커넥터(10)에 밀어 넣으면, 플러그날(15,15′)이 플러그날삽입구(31)에서 하니스커넥터(10)의 내부로 삽입되어, 각 플러그날(15,15′)이 암접점(32)에 각각 접속된다. 이때, 록피스(23)의 계지클릭(23a)이 삽착부(30)의 계지홈(35)에 걸리어, 하니스플러그(11)의 이탈방지가 이루어진다. 한편, 하니스커넥터(10)를 하니스플러그(11)에서 분리시킬 때는 하니스플러그(11)의 록피스(23)의 누름조작부(23d)를 밀어 내려서 록피스(23)의 계지클릭(23a)과 계지홈(35)과의 계지상태를 해제하여, 하니스플러그(11)를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뽑으면 된다.
오접속방지부는 하니스커넥터(10) 및 하니스플러그(11)의 정격이나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형상의 것이 설치되어 있고, 분기케이블방식의 것을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내고, 간선케이블방식의 것을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다. 또한, 분기케이블방식의 것과 간선케이블방식의 것에 있어서는 플러그날(15)의 간격(L1)이나 돌조(22)의 간격(L2, L3)이 다르며, 전자에 비해 후자의 것에서는 간격이 넓게 되어 있다. 또 100V 계열의 것과 200V 계열의 것에서도 플러그날(15)의 간격(L1)이나 돌조(22)의 간격(L2, L3)이 다르며, 전자에 비해 후자의 것에서는 간격은 넓어져 있다.
분기케이블방식의 정격(20A)의 2핀의 것에서는 도 7a,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니스플러그(11)의 요부(14) 내에 2개의 플러그날(15)이 앞면측에서 보아 좌측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고, 커버(13b)의 요소(14b) 내저면에는 2줄의 돌조(2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니스커넥터(10)의 하우징(33)의 앞면에는 2개의 플러그날(15)이 각각 삽입되는 2개의 플러그날삽입구(31)가 형성되고, 커버(33b)의 상면에는 2줄의 돌조(22)가 각각 끼워지는 2개의 역삽입방지홈(34)이 형성되어 있다.
또, 분기케이블방식의 정격(20A)의 접지 2핀의 것에서는 도 8a,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니스플러그(11)의 요부(14) 내에 3개의 플러그날(15)이 배설되어 있고, 커버(13b)의 요소(14b) 내저면에는 2줄의 돌조(2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니스커넥터(10)의 하우징(33)의 앞면에는 3개의 플러그날(15)이 각각 삽입되는 3개의 플러그날삽입구(31)가 형성되고, 커버(33b)의 상면에는 2줄의 돌조(22)가 각각 끼워지는 2개의 역삽입방지홈(3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기케이블방식의 정격(20A)의 단극스위치(single pole switch)용의 것에 있어서는 도 9a,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니스플러그(11)의 요부(14) 내에 2개의 플러그날(15)이 한쪽으로 치우쳐서 배치되고, 플러그날(15)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쪽의 요소(14b) 내저면에 돌조(22)가 1줄 형성되어 있고, 다시 커버(13b)의 코너부에 모떼기부(5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니스커넥터(10)의 하우징(33)의 앞면에는 2개의 플러그날(15)이 각각 삽입되는 2개의 플러그날삽입구(31)가 형성되고, 커버(33b)의 상면에는 돌조(22)가 끼워지는 역삽입방지홈(34)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커버(33b)의 코너부에는 상기 모떼기부(54)에 끼워지는 모떼기부(55)가 형성되어 있다.
또, 분기케이블방식의 정격(20A)의 3로(路)스위치(three way switch)용의 것에서는 도 10a,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니스플러그(11)의 요부(14) 내에 3개의 플러그날(15)이 배설되어 있고, 커버(13b)의 코너부에 모떼기부(5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니스커넥터(10)의 하우징(33)의 앞면에는 3개의 플러그날(15)이 각각 삽입되는 3개의 플러그날삽입구(31)가 형성되고, 커버(33b)의 코너부에는 상기 모떼기부(54)에 끼워지는 모떼기부(55)가 형성되어 있다.
또, 간선케이블방식의 정격(20A)의 단상 3선(접지 2핀)의 것에서는 도 11a,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기케이블방식의 정격(20A)의 접지 2핀의 것과 대략 같은 형상을 하고 있으며, 플러그날(15)의 간격(L1)이나 돌조(22)의 간격(L2)이 분기케이블방식의 것에 비해 폭이 넓게 되어 있다.
또한, 간선케이블방식의 정격(20A)의 3상 3선의 것에서는 도 12a,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분기케이블방식의 3로 스위치용의 것과 대략 같은 형상을 하고 있으며, 하니스플러그(11)에서는 커버(13b)의 요소(14b) 내저면에 돌조(22)가 한 줄 형성되어 있고, 하니스커넥터(10)에서는 커버(33b)의 상면에 돌조(22)가 끼워지는 역삽입방지홈(34)이 형성되어 있다. 또, 플러그날(15)의 간격(L1) 이나 돌조(22)의 간격(L2)이 분기케이블방식의 것에 비해 폭이 넓게 되어 있다.
(실시형태 2)
전술한 하니스커넥터(10)의 하우징(33)은 2개의 고정리벳(40)으로 보디(33a)와 커버(33b)를 코킹하여 고정하고 있으나, 본 실시형태의 하니스플러그(11)에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33b)의 상면 4개소에 고정리벳(40)을 삽통시키는 삽통공(41)이 형성되어 있고, 삽통공(41)과 이 삽통공(41)에 대응하여 보디(33a)에 형성한 삽통공(42)에 고정리벳(40)을 삽통시켜 선단을 코킹하고, 4개의 고정리벳(40)으로 보디(33a)에 커버(33b)를 씌우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하니스커넥터(10)에서는 보디(33a)의 일단에지에서 고정편(71)이 돌출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하우징(33)을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삽통공(41), (42) 이외의 구조는 실시형태 1과 같으므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청구항 1의 발명은, 하우징의 측면에 전기배선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배설하고 있으므로, 표시부에서 하니스커넥터의 전기적특성이나 용도 등의 전기배선에 필요한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하니스커넥터의 전기적 특성이나 용도를 배선도 등에서 조사하는 시간을 덜 수 있어서, 배선할 때나보수할 때의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명칭표시부에서 하니스플러그의 용도나 명칭을 판별할 수 있고, 배선작업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오접속방지부에 의해 정격이나 용도가 다른 하니스플러그와 하니스커넥터가 접속접속되지 않도록 되어 있고, 역삽입 등의 오접속을 방지할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고정부에 의해 하우징을 위치결정상태에서 고정함으로써, 한스플러그의 꽂기와 뽑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전선의 길이가 맞지 않아 교체가 필요한 경우, 해제버튼의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간단히 전선을 떼어낼 수 있고, 더욱이 교체한 전선의 심선을 전선삽입구에서 삽입하는 것만으로 록스프링과 접촉편 사이에 심선이 탄성협지되어 전선의 접속을 할 수 있고, 재접속작업도 용이해지고, 이로써 전선의 교체작업을 매우 간단히 할 수 있어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손조작에 의해 심선의 탄성협지상태를 해제할 수 있고, 특별한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전선의 교체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오접속방지부에 의해 정격이나 용도가 다른 하니스플러그와 하니스커넥터가 접속되지 않도록 되어 있어, 역삽입 등 오접속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은, 고정부에 의해 하우징을 위치결정상태에서 고정함으로써, 하니스플러그의 꽂기와 뽑기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삽입측이 되는 하니스플러그의 요부(凹部)에 감합(嵌合)하는 삽착부(揷着部)가 하우징의 앞면에 형성되고, 하니스플러그의 플러그날을 받는 복수의 암접점을 상기 삽착부 내에 구비하고, 하우징의 측면에 전기배선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표시부를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용도나 명칭을 표시하는 명칭표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삽착부의 외면부에 역삽입 또는 정격(定格)이나 용도가 다른 하니스플러그가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접속방지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을 위치결정상태에서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커넥터.
  5. 삽입측이 되는 하니스플러그의 요부(凹部)에 감합(嵌合)하는 삽착부(揷着部)가 하우징의 앞면에 형성되고, 하니스플러그의 플러그날을 받는 복수의 암접점을 상기 삽착부 내에 구비하고, 하우징의 후단부에 전선의 심선을 각각 삽입하는 전선삽입구를 형성하고, 이 전선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전선의 심선과 접촉하는 접촉편을 상기 각 암접점의 기부(基部)에 형성하고, 이들 접촉편과의 사이에 심선을 탄성협지하는 복수의 록스프링과, 이 록스프링을 접촉편에서 밀어내어 심선의 탄성협지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해제버튼을 조작하는 조작부를 하우징의 표면에 노출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조작부는 손조작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삽착부의 외면부에 역삽입 또는 정격이나 용도가 다른 하니스플러그가 접속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접속방지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커넥터.
  8. 제5항에 있어서, 하우징을 위치결정상태에서 고정하는 고정부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니스커넥터.
KR1019980039786A 1998-03-26 1998-09-24 하니스커넥터 KR100327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79382A JPH11273778A (ja) 1998-03-26 1998-03-26 ハーネスコネクタ
JP79382 1998-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6506A true KR19990076506A (ko) 1999-10-15
KR100327895B1 KR100327895B1 (ko) 2002-06-24

Family

ID=136883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786A KR100327895B1 (ko) 1998-03-26 1998-09-24 하니스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H11273778A (ko)
KR (1) KR100327895B1 (ko)
CN (1) CN1139160C (ko)
HK (1) HK1021448A1 (ko)
ID (1) ID2231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98556B2 (ja) * 2001-03-16 2011-10-19 ヤマトプロテック株式会社 加圧式粉末消火器
JP5319470B2 (ja) * 2009-09-24 2013-10-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直流コンセント
EP2462663A4 (en) * 2009-08-07 2013-11-27 Panasonic Corp PLUG
JP5319448B2 (ja) * 2009-08-07 2013-10-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直流コンセント
JP2011040233A (ja) * 2009-08-07 2011-02-2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直流コンセント
JP5330949B2 (ja) * 2009-09-25 2013-10-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差込プラグ
JP5319472B2 (ja) * 2009-09-24 2013-10-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直流コンセント
JP5361678B2 (ja) * 2009-11-24 2013-12-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ンセント
JP5308272B2 (ja) * 2009-08-07 2013-10-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直流コンセント
JP2011040234A (ja) * 2009-08-07 2011-02-2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直流コンセント
JP5336975B2 (ja) * 2009-08-07 2013-11-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直流コンセント
JP5308271B2 (ja) * 2009-08-07 2013-10-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直流コンセント
JP5319471B2 (ja) * 2009-09-24 2013-10-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直流コンセント
WO2011015927A1 (en) * 2009-08-07 2011-02-1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Direct current outlet
JP5330948B2 (ja) * 2009-09-25 2013-10-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差込プラグ
EP2462662A4 (en) * 2009-08-07 2013-04-17 Panasonic Corp PLUG
JP5330926B2 (ja) * 2009-08-07 2013-10-3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差込プラグ
JP5319473B2 (ja) * 2009-09-24 2013-10-1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差込接続器
JP5351697B2 (ja) * 2009-10-05 2013-11-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配線装置
DE102016112758B4 (de) * 2016-07-12 2020-06-18 Lisa Dräxlmaier GmbH Halteteil und verfahren zum befestigen von elektrischen leitungen sowie leitungsanordnung in einem fahrzeug
CN106936000B (zh) * 2017-04-25 2022-10-14 厦门大学嘉庚学院 一种可更换插头插片的电气转换器及其工作方法
WO2020010095A1 (en) * 2018-07-06 2020-01-09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plug connector and wiring device with keying featur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8801A (ko) * 1988-11-11 1990-06-04 안시환 디지탈 데이터 전송망의 합성 클럭발생 및 분리 추출회로
KR970007292U (ko) * 1995-07-26 1997-02-21 플러그의 입력전원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D22313A (id) 1999-09-30
KR100327895B1 (ko) 2002-06-24
CN1230810A (zh) 1999-10-06
HK1021448A1 (en) 2000-06-09
CN1139160C (zh) 2004-02-18
JPH11273778A (ja) 1999-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7895B1 (ko) 하니스커넥터
US5397247A (en) Connector construction
US4913667A (en) Connector system with replaceable plugs
US4066316A (en) Electrical connector construction
US7261585B2 (en) Press-contact connector
US6146207A (en) Coupling element for two plugs, adapted male and female elements and coupling device obtained
US4934953A (en) Junction box for electrical cables
KR20090048471A (ko) 절연 변위 커넥터
CN100477389C (zh) 用于至少一条扁平挠性电缆的连接器
US3992072A (en) Electrical connector
EP0963009B1 (en) A construction for preventing an error assembling of a connector housing and a cover and a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AU2007349106C1 (en) Electric connector with a dust cover
JPH10144424A (ja) コンセント
KR19990076505A (ko) 하니스플러그
US7094073B2 (en) Relay connection circuit and relay connector
KR960012624A (ko) 전기 케이블 어셈블리
GB2201306A (en) Electrical plug terminals and cable clamp
KR100318017B1 (ko) 브레이커부착콘센트용 하니스플러그
KR100327896B1 (ko) 조인트박스
JP2002305828A (ja) 電気接続箱とコネクタハウジングとの固定構造
EP0265201A2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shroud
JPH0452943Y2 (ko)
KR930004486Y1 (ko) 모듈러 재크
GB2218865A (en) Plug and socket outlet system
US5733140A (en) Connecting block and patch cord comb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