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486Y1 - 모듈러 재크 - Google Patents

모듈러 재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486Y1
KR930004486Y1 KR2019930003238U KR930003238U KR930004486Y1 KR 930004486 Y1 KR930004486 Y1 KR 930004486Y1 KR 2019930003238 U KR2019930003238 U KR 2019930003238U KR 930003238 U KR930003238 U KR 930003238U KR 930004486 Y1 KR930004486 Y1 KR 9300044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insulating
insulating body
cover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32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모쓰 미즈노
요시로오 오오쓰까
Original Assignee
니혼 고오꾸우 덴시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가이 도오 유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816009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38547Y2/ja
Priority claimed from KR9218205U external-priority patent/KR930004484Y1/ko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오꾸우 덴시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가이 도오 유끼오 filed Critical 니혼 고오꾸우 덴시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201993000323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4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4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4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2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 H01R13/6593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shielded cable the shield being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1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 H01R13/6596Specific features or arrangements of connection of shield to conductive members the conductive member being a metal grounding pa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93Terminal boxes for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듈러 재크
제1도는 종래의 모듈러재크의 일예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모듈러재크의 일예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절연보디에 2개의 케이블이 유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4도는 그 횡단면도.
제5도는 절연보디의 평면도
제6도는 그 절연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7도는 실딩러그(shielding lug)의 일측면도.
제8도는 그 단면도.
제9도는 그 저면도.
제10도는 그 굽힘가공전의 평면도.
제11도는 그 접촉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2도는 그 일측면도.
제13도는 그 단면도.
제14도는 그 다른 측면도.
제15도는 그 굽힘가공전의 평면도.
제16도는 접촉단자의 절연보디에의 조립상태와 모듈러 블록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17도는 그 모듈러 커버의 외측에서 본 정면도.
제18도는 그 신호선의 삽입접속시에 있어서의 절연커버와 절연보디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19도는 그 단면도.
제20도는 그 신호선의 끼움시의 있어서의 절연커버와 절연보디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1도는 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절연보디 20 : 실딩러그
30 : 접촉단자 50 : 모듈러블록
80, 90 : 케이블 11 : 홈
12 : 안내홈 81, 91 : 신호선
13 : 걸림단차부 19b : 수용실
[고안의 배경]
본 고안은 홈버스 시스템의 정보 콘센트등에 사용되는 모듈러재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택내에 배선을 시공하여 주택내의 각종 정보를 주고 받는 홈버스 시스템의 정보콘센트에 사용하는 모듈러재크에 있어서 2개의 케이블의 실드선을 접속하고, 또 2개의 케이블의 신호선을 접속할 수 있도록, 가령 배면에 단자대(5)를 갖는 모듈러 블록(2)이 사용되고 있다.
즉,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플레이트틀(1)에 부착된 플레이트틀(1)의 창을 통하여 모듈러플러그가 장착 또는 뽑혀나가는 모듈러블록(2)의 배면에 단자대(5)를 설치하고 여기에 실드선용 나사(3)와 신호선용 나사(4)를 부착하고, 신호선용 나사(4)에 대응하여 플레이트틀(1)에 단자번호를 붙이고 있다.
나사(4)는 각각 모듈러블록(2)내의 대응하는 핀콘택트(도시않음)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각 단말처리한 2개의 테이블의 각각 편조(編組도) 구조의 실드선은 그 리드부를 나사(3)에 감아 나사(3)를 죄어붙임으로써 접속하고, 2개의 케이블의 도면의 예에서는 총 16개의 신호선은 단자번호를 확인하여 직렬접속될 2개씩을 나사(4)의 대응하는 하나에 감아 나사(4)를 죔으로써 접속된다.
그러나,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종래의 모듈러재크의 단자대(5)에 나사 고정하는 것을 실드선의 리드부 및 신호선을 나사(3 및 4)에 1개씩 감아서 나사(3 및 4)를 1개씩 죄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실드선 및 신호선의 접속에 다대한 공정과 노력을 필요로 함과 동시에 배선미스 등으로 하여 전선을 풀어낼 경우에도 작업이 까다로워지는 폐단이 있었다.
더구나 케이블의 단말부는 전체가 죄어지지 않으므로 케이블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않음과 동시에 나사(3 및 4)의 죔부족이나 죔풀림 등에 의해 실드선 및 신호선의 접속이 불안정 내지 불확실해지는 결점이 있다.
[고안의 요약]
본 고안의 목적은 케이블의 실드선 및 신호선을 간단한 작업에 의해 용이하게, 더구나 안정 또는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고, 배선미스 등으로 인하여 신호선을 풀어낼 경우에도 간단한 작업에 의해 손쉽게 풀어낼 수 있고, 케이블을 안정 또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공간효율이 좋아지고, 또 부품점수가 적고, 따라서 코스트가 염가인 홈버스 시스템의 정보 콘센트 등에 사용하는 모듈러재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고안의 제1의 관점에 따르면, 모듈러재크는 절연보디와, 실딩러그와, 복수의 접촉 단자와, 모듈러블록을 포함한다.
절연보디는 대략 직방체이고, 그 일면의 중앙부를 횡단하여 U자형의 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이 홈의 양측벽에 걸림 단차부를 형성하고, 그 홈에 각각 편조구조의 실드선을 갖는 2개의 케이블의 단말부를 각 선단측을 서로 역방향으로 하여 겹쳐 배치한다. 실딩러그는 대략 장방형의 판부와, 이 판부의 적어도 네구석에서 판부의 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뻗는 다리를 갖는다.
각 다리의 선단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다.
절연보디의 홈내에 배치한 2개의 케이블의 단말부를 걸터타듯이 각 다리를 상기 홈의 양측벽에 따라 삽입하여 각 다리의 걸림부를 홈의 양측벽에 형성한 상기 걸림단차부에 걸리게함으로써 그 판부에서 케이블의 단말부를 가압한다.
복수의 접촉단자는 각각 절연보디에 조립하고, 케이블의 신호선을 삽입 접속한다. 모듈러블록은 상대 모듈러블록을 장착하는 개구를 가지며, 그 내부에서 복수의 핀 콘택트가 배열되어 있다.
모듈러블록은 절연보디의 상기홈과 반대쪽면에 부착되고, 핀콘택트는 각각 상기의 접촉단자에 접속된다.
본 고안의 제2의 관점에 따르면 걸림보디와, 복수의 접촉단자와, 모듈러블록을 설치한다. 복수의 접촉단자는 각각 2개의 케이블의 직렬접속되는 2개의 신호선을 삽입접속하는 한쌍의 접점부를 일체로 가지런히 하여 형성하고, 절연보디에 조립한다. 모듈러블록은 모듈러플러그를 장착 또는 뽑아내는 것으로, 절연보디에 부착하여 상기의 접촉단자에 접속한다.
상기 제2의 관점에 있어서, 접촉단자는 기부에서 서로 연결된 한쌍의 가동스프링편과, 기부에서 서로 연결된 한쌍의 받이스프링편과, 가동스프링편 연결부와, 받이스프링편 연결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한쌍의 저부를 포함한다.
한쌍의 가동스프링편은 각각 일단측을 U자형으로 굽히고, 그 선단에지는 한쌍의 받이 스프링편의 한쪽면과 각각 대접시키고, 그것들 사이에 신호선을 탄성적으로 끼움할 수가 있다.
구동스프링편을 한쌍의 받이스프링편 사이에 설치하고, 일단측을 U자형으로 굽히고, 그 선단을 한쌍의 가동스프링편의 선단부 내측쪽 가장자리에 형성한 귀와 근접시킨다. 터미널부는 한쌍의 저부 사이의 위치에 있어서 구동스프링편이 있는쪽과 반대쪽에 설치한다.
본고안의 제3의 관점에 따르면 절연보디와, 복수의 접촉단자와 복수의 절연커버와, 모듈러블록을 설치한다. 절연보디는 일면측에 면하게 하여 각각 케이블의 신호선을 삽입하는 복수의 삽통공을 형성한다.
복수의 접촉단자는 각각 절연보디에 조립하고, 절연보디의 상기 삽통공에 삽입한 신호선을 삽입 접속한다.
복수의 절연커버는 각각 절연보디에 대하여 상기의 일면을 따르는 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절연보디의 상기 삽통공에 삽입하는 신호선을 통과시키는 긴구멍을 형성하여 절연보디의 상기 일면측에 장착하고 그 긴구멍 및 절연보디의 삽통공을 통하여 신호선을 접촉단자에 삽입 접속한 상태를 절연보디에 대하여 미끄럼시킴으로써 신호선의 피복부를 끼움과 동시에 절연보디에 로크시킨다.
모듈러블록은 모듈러 플러그를 장착 또는 뽑아내는 것으로, 절연보디의 타면측에 부착하여 상기 접촉단자에 접속한다.
상기 제3의 관점에 있어서 절연커버에 절연보디에 대하여 신호선을 커버의 긴구멍 및 절연보디의 삽통공을 통하여 접촉단자에 삽입 접속했을 때의 위치까지 복귀시킨 다음, 절연커버를 절연보디의 상기 일면에 가압함으로써 절연커버 일체의 개방조작부가 접촉단자의 접점부를 개방하도록 한다.
상기 제3의 관점에 있어서 절연커버를 투명한 수지에 의해 형성한다.
본 고안의 모듈러재크에 있어서는 2개의 케이블의 단말부를 각 선단측을 역으로 향하게 하여 절연보디의 홈에 겹쳐 배치한 다음에 실딩러그를 절연보디의 홈에 장착하는 것만의 간단한 작업에 의해 2개의 케이블의 단말부가 실딩러그의 판부와 절연보디의 홈의 저면과의 사이에 끼워져서 안정 또는 확실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2개의 케이블의 각각 편조구조의 실드선이 충분한 접촉압으로 접촉하여 안정 또는 확실하게 접속된다. 또, 2개의 케이블 단말부가 절연보디의 홈에 배치되므로 절연보디의 옆쪽이 불쑥 나오지 않아 스페이스 효율이 좋아진다.
본고안의 제2의 관점에 의한 모듈러재크에 있어서는, 2개의 케이블의 직렬 접속될 2개의 신호선을 동일한 접촉단자의 한쌍의 접점부에 삽입 접속하는 것만의 간단한 작업에 의해 2개의 케이블의 직렬 접속될 2개의 신호선이 안정 또는 확실하게 접속된다.
본고안의 제3의 관점에 의한 모듈러 재크에 있어서는 케이블의 신호선을 절연커버의 긴구멍 및 절연보디의 삽통공을 통하여 접속단자에 삽입 접속한 다음에 절연커버를 절연보디에 대하여 미끄럼시키는 것만의 간단한 작업에 의해 절연커버가 신호선의 피복부를 끼움과 동시에 절연보디에 로크되어 신호선이 안정 또 확실하게 절연커버 및 절연보디에 장착되고, 접촉단자에 접속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제2도는 본 고안의 모듈러 재크의 분해도를 나타내고, 제3도는 절연보디(10)의 종단면도, 제4도는 절연보디(10)의 횡단면도 및 제5도는 절연보디(10)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모듈러재크는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절연보디(10), 실딩러그(20), 접촉단자(30), 절연커버(40), 모듈러블록(50), 모듈러커버(60) 및 더스트커버(71 및 72)를 구비한다. 이 예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홈버스로서 접속될 2개의 케이블(80 및 90)이 각각 신호선(81 및 91)을 8개 갖는 경우로서 접촉단자(30)가 제2도에서는 2개밖에 제시하지 않았으나 8개 설치된다. 또 절연커버(40)는 제2도에서는 2개밖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4개 설치되어 있다.
케이블(80 및 90)은 각각 단말처리한다. 즉, 케이블(80 및 90)의 단말부에 있어서 신호선(81 및 91)을 필요한 길이에 걸쳐 노출시키고, 각 도체부(81a 및 91a)를 필요한 길이에 걸쳐 노출시킴과 동시에 편조구조의 실드선(82 및 92)을 외측으로 되접는다.
또, 신호선(81 및 91)은 양자의 직렬접속될 2개가 같은 색이 되도록 각 피복부(81b 및 91b)가 색나눔되어 있음과 동시에 각각 2개씩의 페어선을 구성하고 있다.
절연보디(10)에는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대략 직방체이고, 그 면(10a; 이하 이면(10a)을 상면이라 함)의 중앙부를 횡단하여 단면형상이 U자형인 홈(11)이 절연보디(10)의 측면(10c)에서 반대쪽 측면(10d)에 걸쳐 형성된다.
홈(11)의 폭은 케이블(80 또는 90)의 직경과 대략 같으며, 깊이는 폭의 약 2배이다. 홈(11)의 양측벽면(11a)에는 그 길이방향의 2개소의 대향하는 위치에 2쌍의 안내홈(12)이 형성됨과 동시에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그것들 안내홈(12) 내에는 걸림단차부(13)가 형성된다.
홈(11)의 저면(11b)은 제4도에 단면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보디(10)의 측면(10c)쪽의 부분 및 측면(10d)쪽의 부분이 각각 중앙으로 갈수록 홈(11)이 깊어지도록 경사면으로 된다.
또, 절연보디(10)는 제2도 및 제5도에서 분명한 바와같이 홈(11)의 양측에 각각 격벽(10g)을 칸막이된 총 4개의 섹션(10A∼10D)을 가지고, 제2도, 제3도 및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각 섹션에 있어서 절연보디(10)의 상면(10a)과 측면(10e 또는 10f)에 따라 연통된 오목부(14)가 형성된다.
각 오목부(14)의 홈(11)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를 통하여 측면(10c, 10d)과 평행으로 뻗는 홈구멍(14a)이 절연보디(10)에 형성됨과 동시에 각 오목부(14)에 있어서 홈(11)에 가장 가까운 위치 및 홈(11)에 가장 먼위치에 단차부(14b 및 14c)가 형성된다.
절연보디(10)에는 상기한 각 섹션(10A∼10D)에 있어서 각각 케이블(80 또는 90)의 신호선(81 또는 91)이 삽입되는 삽통공(15 및 16)이 홈(11)의 폭방향으로 병렬하여 홈구멍(14a)이 양측에 2열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1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들 2열의 삽통공(15,16)과 연통하고, 각 접촉단자(30)를 수용하기 위한, 대략 직방체의 수용실(19b)이 절연보디(10)의 저면(10b)측에서 홈구멍(14a)과 연통하여 형성된다.
절연보디(10)의 상기 각 섹션에 있어서, 상면(10a)의 오목부(14)를 통하여 대향하는 격벽(10g) 및 측벽(10h 또는 10i) 벽면에 반원주상으로 패인 오목부(17a)와, 오목부(17a)에서 홈(11)을 향하여 뻗고, 오목부(17a)보다 얕고 또 긴 오목부(17a)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이동 오목부(17)가 형성된다. 그리고, 오목부(14)를 통하여 대향하는 격벽(10g) 및 측벽(10h 또는 10i)의 벽면의 오목부(17)보다 홈(11)으로부터 먼위치에서 절연보디(10)의 상면(10a)에 면한 톱니모양의 걸어맞춤돌기부(18)가 서로 마주보고 돌출하여 형성된다.
또, 절연보디(10)에는 제2도 및 제1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저면(10b)에 모듈러 블록(50)과 접촉단자(30)를 접속하기 위한 배선(51)이 수용되는 개구부(19)가 형성됨과 동시에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측면(10e 및 10f)에 개구부(19)와 통하는 구멍(19a)이 형성된다.
개구부(19)에는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그 내측을 칸막이하는 2개의 지지벽(10j, 10k)이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고, 그 지지벽(10j, 10k) 사이에 모듈러블록(50)을 끼고 고정하기 위한 단차부(10x, 10y)가 지지벽(10j, 10k)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벽(10j, 10k)에는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배선(51)을 통과시키기 위한 창(10v, 10w)이 열려있다.
실딩러그(20)는 제2도, 제3도, 제4도, 제7도,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형(矩形)의 판부(21) 네모서리에 판부(21)의 면에 대하여 대략 수직의 다리(22)가 판부(21)와 일체로 형성되고, 판부(21)에 내측으로 돌출한 리브(21a)가 3개 가지런히 형성됨과 동시에 각 다리(22)의 선단에 외측으로 돌출한 걸림부(22a)가 형성된 형상이 되고,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H자 모양으로 타발된 한장의 금속판이 동도면의 쇄선위치에서 절곡됨으로써 형성된다. 실딩러그(20)는 후기와 같이 절연보디(10)에 장착된다.
접촉단자(30)는 상기한 바와같이 8개 설치되지만 각각에는 케이블(80 및 90)의 신호선(81 및 91)의 직렬접속될, 대응하는 2개가 삽입 접속되는 한쌍의 접점부(30x 및 30y)가 일체로 가지런히 형성된다.
즉, 구체적으로 각 접촉단자(30)는 제11도, 제12도, 제13도 및 제1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서로 옆으로 가지런한 한쌍의 가동스프링편(31 및 32)과, 서로 옆으로 가지런한 한쌍의 받이스프링편(33 및 34)과, 받이스프링편(33 및 34)사이에 가지런히 배치된 구동스프링편(35)과, 가동스프링편(31 과 32)를 간격을 두고 연결하는 연결부(36a)와, 받이 스프링편(33,34) 및 구동스프링편(35)을 연결하는 연결부(36b)와, 연결부(36a 와 36b)를 연결하고 있는 한쌍의 저부(36c 및 36d)와, 연결부(36b)에서 구동스프링편(35)과 반대방향으로 연장한 터미널부(37)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한쌍의 가동스프링(31 및 32)은 각각 자유단측이 U자형으로 굽혀지고, 그 선단부측 가장 자리에서 서로 접근하도록 돌출한 귀(31a 및 32a)가 형성된다.
한쌍의 받이스프링편(33 및 34)은 각각 자유단측이 가동스프링편(31 및 32)의 자유단과 대향하도록 된다.
구동스프링편(35)은 그 자유단측이 U자형으로 굽혀지고, 그 선단이 가동스프링편(31 및 32)의 귀(31a 및 32a)와 근접하도록 된다. 구동스프링편(30)의 선단폭은 귀(31a 및 32a)의 간극보다 넓고, 구동스프링편(35)의해 귀(31a 및 32a)를 가압함으로써 가동스프링편(31 및 32)의 선단부를 받이 스프링(33,34)에서 분리시킬 수가 있다.
한쌍의 저부(36c 및 36d)는 구동스프링편(35)의 양측에 위치하고, 각각 L자형으로 절곡된다.
터미널부(37)는 한쌍의 저부(36c 및 36d) 사이에 위치하고, 그 선단에 구멍(37a)이 형성된다. 또 가동스프링편(31,32)의 외측 옆가장자리에는 대략 가동스프링편 연결부(36a)의 위치에 가로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압입부(38a)가 형성됨과 동시에 받이스프링편(33 및 34)의 외측옆가장자리에는 스프링편 연결부(36b) 근방에 가로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압입부(38b)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접촉단자(30)는 다수를 동시에 한장의 금속판에서 타발하고, 굽힘으로써 형성된다.
이 경우, 제1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동스프링편(35)이 되는 부분(135)을 한쌍의 받이스프링편(33,34)이 되는 부분(133, 134)사이에 형성할 수 있고, 터미널부(37)가 되는 부분(137)을 한쌍의 저부(36c, 36d)가 되는 부분(136c, 136d) 사이에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캐리어부(39)를 한쌍의 가동스프링편(31, 32)이 되는 부분(131, 132)사이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재료의 낭비가 없고, 접촉단자(30)를 저코스트로 형성할 수 있다.
접촉단자(30)는 절연보디(10)의 상기한 각 센션(10A∼10D)에 2개씩 제1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각 구동스프링편(35)이 서로 향배(向背)함과 동시에 각 가동스프링편(31 및 32)의 일단이 절연보디(10)의 삽통공(15 또는 16)의 연장상에 위치하도록 개구(19) 측에서 절연보디(10)내에 형성된 대략 직방체의 수용실(19b) 내에 압입된다.
절연커버(40)는 절연보디(10)의 상기한 4개의 섹션(10A∼10D)에 대응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4개 설치되고, 각각은 투명한 수지에 의해 장방형으로 서로 수직인 판부(41 및 42)를 갖는 L자형으로 형성된다.
판부(41)에는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면측의 폭방향의 중앙부에 후기하는 바와같이 절연커버(40)의 착탈시, 혹은 신호선(81, 91)을 뽑아낼때에 드라이버의 선단 등이 삽입되고 힘이 가해지는 홈구멍(43)이 형성되고, 홈구멍(43)이 양측에서 판부(31)의 측면에 긴구멍(45, 46)이 2개씩 형성된다.
긴구멍(45, 46)의 홈(11)과 평행한 방향의 폭은 신호선(81, 91)의 직경과 대략 같고, 홈(11)과 직각방향의 길이는 이보다 길다.
긴구멍(45, 46)을 둘씩 종단하도록 판부(41)의 측면에 평행으로 슬롯(44)이 둘 형성된다. 각 슬롯(44)의 폭은 신호선(81, 91)의 직경보다 작다.
판부(41)은 폭방향의 측면에 반원상으로 돌출한 돌기(47)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돌기(47)가 가압되는 긴구멍(45, 46)의 폭이 좁아진다.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판부(41)의 하면 중앙을 지나고 판부(41)의 측면에 평행으로 뻗는 판형상 각부(脚部)(48)가 형성되며, 이 판형상 각부(48)의 선단에 단면이 삼각형상인 개방 조작부(48a)가 형성된다.
판부(42)의 판부(41)와의 결합단의 양측에서 판부(41)와 평행하여 뻗는 걸어맞춤아암(49)이 형성되고, 그 걸아맞춤아암의 판부(41)과 대향하는 면은 톱니모양으로 되어있다.
절연커버(40)은 그 판형상각부(48)가 절연보디(10)의 오목부(14)의 홈구멍(14a)에 옆쪽에서 삽입되어 제18도 및 제19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긴구멍(45 및 46)의 판부(42)에서 먼쪽이 절연보디(10)의 삽통공(15 및 16)의 연장상에 위치하고, 그 돌기(47)가 절연보디(10)의 안내오목부(17)의 반원상으로 패인 부분(17a)에 끼워맞춤하도록 각각 절연보디(10)의 상기한 각 섹션(10A∼10D)의 오목부(14)에 장착된다.
모듈러블록(50)은 모듈러플러그를 장착 또는 뽑아내는 것으로, 제2도에 일부파단하여 도시하는 바와같이 8개의 리드선(51)에 접속된 핀콘택트(52)를 유지하는 절연블록(53)과, 그 절연블록(53)을 수용하는 대략 직방체의 하우징(54)으로 구성된다.
이 구조는 종래의 전화모듈러재크의 것과 기본적으로 같아도 된다.
모듈러블록(50)은 제1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절연보디(10)의 저면(10b) 측에 부착되고, 리드선(51)이 접촉단자(30)의 터미널부(37)의 상기 구멍(37a)에 삽입되어 터미널부(37)에 납땜된다.
모듈러커버(60)는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면측에 개구(61)를 가지고, 반대측에 창(62)을 갖는 상자모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면측에 걸어맞춤편(63)이 형성되고, 그 걸어맞춤편(63)이 절연보디(10)의 개구부(19) 내측에서 구멍(19a)에 걸어맞춤됨으로써 모듈러블록(50)을 덮도록 절연보디(10)의 저면(10b)측에 장착된다.
더스트커버(71 및 72)는 모듈러커버(60)의 창(62)을 덮도록 모듈러커버(60)내에 배치된다. 더스트커버(71)의 내측에는 안내오목부(71a)가 형성되고, 더스트커버(72)의 외측면에는 더스트커버(71)의 안내오목부(71)에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끼워맞춤하는 볼록부(72a)가 형성된다.
또, 제17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더스트커버(71)의 외측면과 더스트커버(72)의 외측면에 걸쳐서 더스트커버(71 및 72)를 움직이는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73)가 표시됨과 동시에 제16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더스트커버(72)의 외측면에는 돌기(72b)가 형성되어 돌기(72b)에 손가락을 붙여서 더스트커버(72)를 화살표(73)방향으로 돌기(72b)가 더스트커버(71)의 옆가장자리에 부딪히는 위치까지 움직임으로써 모듈러커버(60)의 창(62)이 반 열리고, 또 더스트커버(72)를 더스트커버(71)와 함께 화살표(73)방향으로 돌기(72b)가 창(62)의 가장자리(62a)에 부딪히는 위치까지 움직임으로써 창(62)이 전부 열리고, 이 상태로 창(62)을 통하여 상대 모듈러 플러그를 상기한 모듈러블록(50)에 장착하고, 또 모듈러블록(50)에서 뽑아낸다.
상기한 바와같이 접촉단자(30)가 절연보디(10)에 조립되고, 모듈러 블록(50)은 절연보디(10)에 부착되며, 그 리드선(51)이 접촉단자(30)에 접속되고, 내부에 더스트커버(71 및 72)가 배치된 모듈러커버(60)가 절연보디(10)에 장착되고, 절연커버(40)가 절연보디(10)에 장착된 상태로 다음에 기술하는 바와같이 상기한 2개의 케이블(80 및 90)을 절연보디(10)에 유지하고, 각 실드선(82 및 92)을 접속함과 동시에 케이블(80 및 90)의 신호선(81 및 91)을 접촉단자(30)에 접속하고, 절연커버(40)를 절연보디(10)에 장착한다.
즉, 각각 상기한 바와같이 단말처리한 케이블(80 및 90)의 단말부를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케이블(80)은 절연보디(10)의 측면(10c)측에서 케이블(90)은 절연보디(10)의 측면(10d) 쪽에서 각 선단측을 서로 반대로 향하게 하여 각각 절연보디(10)의 홈(11)에 삽입하여 각 실드선(82 및 92)이 홈(11)내에서 접촉하도록 홈(11)내에 겹쳐 배치한다.
다음에 실딩러그(20)의 다리(22)를 절연보디(10)의 안내홈(12)에 삽입하여 그 걸림부(22a)를 절연보디(10)의 걸림단차부(13)에 걸리게 함으로써 실딩러그(20)를 절연보디(10)에 장착한다.
이에 의해 케이블(80 및 90)의 단말부가 실딩러그(20)의 판부(21)와 절연보디(10)의 홈(11)의 저부(11b)와의 사이에 끼워져서 안정 또 확실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케이블(80 및 90)의 실드선(82 및 92)이 충분한 접촉압으로 접촉하여 안정 또한 확실하게 접속된다.
판부(21)의 리브(21a)는 판부(21)를 보강함과 동시에 케이블(80)의 단말부를 가압한다.
이와같이 케이블(80 및 90)의 단말부를 절연보디(10)의 홈(11)에 배치한 다음 실딩러그(20)를 절연보디(10)에 접착하는 것만의 간단한 작업에 의해 케이블(80 및 90)을 절연보디(10)에 안정 또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케이블(80 및 90)의 실드선(82 및 92)을 안정 또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 케이블(80 및 90)의 단말부가 절연보디(10)의 홈(11)에 배치되어 절연보디(10)의 옆쪽이 불쑥 나오는 일이 없으므로 공간효율이 좋아진다.
케이블(80 및 90)의 신호선(81 및 91)의 접속과 장착에 있어서는 우선 제18도 및 제19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절연커버(40)를 절연보디(10)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같이 커버(40)의 긴 구멍(45 및 46)의 판부(42)에서 먼쪽이 절연보디(10)의 삽통공(15 및 16)의 연장상에 위치하고, 절연커버(40)의 돌기(47)가 절연보디(10)의 안내오목부(17)의 반원상으로 패인부분(17a)에 끼워맞춤하는 위치로 한 상태에서, 신호선(81 및 91)의 직렬접속된 2개의 절연커버(40)의 긴구멍(45 및 46)과 절연보디(10)의 삽통공(15 및 16)에 통하게 하여 각 도체부(81a 및 91a)를 접촉단자(30)의 상기 접점부(30x 및 30y)에 삽입 접속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6도 및 제19도에서 분명한 바와같이 이때, 신호선(81, 91)의 도체부(81a, 91a)가 접촉단자(30)의 가동스프링(31, 32)의 선단에지와 받이스프링편(33, 34)의 판면과의 사이에 각각 안내되어 끼워지고, 그것에 의해 신호선(81 및 91)의 직렬 접속될 2개가 접촉단자(30)를 통하여 상호에 접속된다.
다음에, 절연커버(40)를 절연보디(10)에 대하여 절연보디(10)의 홈(11)에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20도 및 제2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절연커버(40)의 판부(41)의 단면이 절연보디(10)의 오목부(14)의 홈(11)측의 측단면에 부딪히고, 절연커버(40)의 긴 구멍(45 및 46)의 판부(42)에 가까운 쪽이 절연보디(10)의 삽통공(15 및 16)의 연장상에 위치하고, 절연커버(40)의 돌기(47)가 절연보디(10)의 안내오목부(17)의 패임의 얕은 부분(17b)의 홈(11)에 가까운쪽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미끄럼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절연커버(40)의 슬릿(44)의 길이방향 중앙부의 폭이 좁혀짐으로써 신호선(81 및 91)의 피복부(81b 및 91b)가 절연커버(40)의 긴 구멍(45 및 46)의 판부(42)에 가까운측에 끼워짐과 동시에 절연커버(40)의 톱니모양의 걸어맞춤 아암(49)이 절연보디(10)의 톱니부의 걸아맞춤 돌기부(18)에 걸어맞춤하여 절연커버(40)가 절연보디(10)에 로크된다.
따라서, 신호선(81 및 91)이 접촉단자(30)에서 빠져서 절연보디(10) 및 절연커버(40)에서 벗어나버리는 일이 없다.
또, 이 상태에서는 제2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절연커버(40)의 판부(41)의 선단부는 오목부(14)내에 형성된 단차부(14b)위에 얹히고, 판부(42)의 선단부는 단차부(14c)에 대접(待接)하고 있기 때문에 판부(41)의 저면과 오목부(14)의 저면과의 사이에 간극(g)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판부(41)를 아래쪽으로 가압하더라도 간극(g)은 유지되므로 개방조작부(48a, 제16도 참조)는 아래쪽으로 이동하지 않고, 따라서 구동스프링편(35)은 가로방향으로 가압되지 않고 가동스프링편(31, 32)과 받이스프링편(33, 34)에 의한 도체(81a, 91a)의 죔이 개방될 우려는 없다.
이와같이 절연커버(40)가 절연보디(10)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에 있는 상태로 신호선(81 및 91)을 절연커버(40)의 긴구멍(45 및 46)과 절연보디(10)의 삽통공(15 및 16)을 통하여 접촉단자(30)에 삽입접속한 다음에 절연커버(40)을 절연보디(10)에 대하여 미끄럼 시키는 것만의 간단한 작업에 의하여 신호선(81 및 91)을 절연커버(40) 및 절연보디(10)에 안정하게 그리고 확실하게 장착하고, 각 직렬접속될 2개를 접촉단자(30)를 통하여 안정하게 그리고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 절연커버(40)가 투명한 수지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절연커버(40)의 외측에서 절연커버(40)를 통과시켜 절연보디(10)의 삽통공(15 및 16)이나 접속단자(30)를 확인하면서 신호선(81 및 91)의 접속 및 장착을 확실하고 신속하게 행할수 있다.
배선미스 등 때문에 신호선(81 및 91)을 접촉단자(30), 절연보디(10) 및 절연커버(40)에서 분해하는데는 상기한 제20도 및 제21도의 상태에서 절연커버(40)의 홈구멍(43)에 드라이버의 선단 등을 삽입하여 절연커버(40)를 절연보디(10)에 대하여 절연보디(10)의 홈(11)에서 멀게하는 방향으로 절연커버(40)의 걸어맞춤 아암부(49)와 절연보디(10)의 걸어맞춤 돌출부(18)와의 걸어맞춤을 풀어 절연커버(40)의 절연보디(10)에의 록을 해제하면서 제18도 및 제1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절연커버(40)의 긴구멍(45 및 46)의 판부(42)에서 먼쪽이 절연보디(10)의 삽입공(15 및 16)의 연장상에 위치하고, 절연커버(40)의 돌기(47)가 절연보디(10)의 안내오목부(17)의 반원형상으로 패인부분(17a)에 끼워맞춤하는 위치까지, 즉 전선(81 및 91)을 절연커버(40)의 긴구멍(45 및 46)과 절연보디(10)의 삽통공(15 및 16)을 통하여 접촉단자(30)에 삽입접속했을 때의 위치까지 미끄럼시킨다.
이에 의해 슬릿(44)은 원폭으로 복귀하고, 긴구멍(45, 46)의 폭은 신호선(81, 91)에 대하여 느슨해진다.
다음에 절연커버(40)의 판부(41)를 오목부(14)의 저면에 대접하기까지 밀어내린다. 이에 의해 제16도에서 분명한 바와같이 절연커버(40)의 개방조작부(48a)가 밀어내려지고, 그 양측에 존재하는 각 접촉단자(30)의 구동스프링편(35)의 U자형으로 굽혀진 부분을 각각 한쌍의 가동스프링편(31 및 32)측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구동스프링편(35) 선단이 한쌍의 가동스프링편(31 및 32)의 귀(31a 및 32a)를 한쌍의 받이 스프링편(33 및 34)에서 멀게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이들 사이에 충분한 간극을 발생하기 때문에 신호선(81 및 91)의 도체(81a, 91a)를 접촉단자(30)에서 용이하게 발취할 수 있다.
이와같이 절연커버(40)를 절연보디(10)에 대하여 홈(11)에서 멀게하는 방향으로 미끄럼 시킨 다음에 절연보디(10)의 상면(10a)에서 밀어내리는 것만의 간단한 작업에 의해 신호선(81 및 91)을 접촉단자(30)와 절연보디(10) 및 절연커버(40)에서 용이하게 발취할 수 있다.
또, 절연커버(40)가 투명한 수지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절연커버(40) 외측에서 절연 커버(40)를 통과시켜 절연보디(10)의 삽통공(15 및 16)이나 접촉단자(30)를 확인하면서 신호선(81 및 91)의 삽입, 발취를 확실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더욱, 상기한 바와 같이 신호선(81 및 91)의 피복부(81b 및 91b)가 절연커버(40)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제2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절연커버(40)의 판부(41) 선단이 절연보디(10)의 단차부(14b) 위에 얹혀있고, 또한 절연커버(40)의 판부(42)가 절연보디(10)의 단차부(14c)에 대접하기 때문에 절연커버(40)를 잘못하여 아래쪽으로 가압하더라도 상기한 바와같이 절연커버(40)는 밀어내려지지 않고, 개방조작부(48a)에 의해 접촉단자(30)의 상기한 접점부(30x 및 30y)가 개방되어 버리는 일이 없다.
상기한 예는 절연보디(10)가 4개의 섹션(10A∼10D)으로 나뉘어지고, 여기에 대응하여 절연커버(40)가 4개의 설치될 경우이지만 케이블(80 및 90)이 각각 신호선(81 및 91)을 8개 가질경우, 절연보디(10)의 섹션과 절연커버(40)의 수는 절연보디(10)의 홈(11)양측에 하나씩의 총계 2개로 하고, 또는 홈(11) 양측에 4개씩의 총계 8개로 하여도 된다. 절연커버(40)를 2개로 할 때는 부품점수가 적어지지만은 절연커버(40)에 대한 조작력으로서 큰 힘이 필요해지고, 절연커버(40)를 8개로 할 때는 반대로 절연커버(40)에 대한 조작력은 작은힘으로도 되지만, 부품점수가 많아진다.
절연커버(40)가 4개 설치되는 상기예에 있어서는 부품점수가 많아지지 않음과 동시에 절연커버(40)에 대한 조작력으로서 그다지 큰힘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더욱, 상기한 예의 접촉단자(30)는 터미널부(37)가 아일렛(eyelet) 단자구조로 될 경우이지만, 접촉단자의 터미널부가 압착구조 내지 압접구조로 되어 모듈러블록(50)의 리드선(51)이 접촉단자(30)의 터미널부에 압착내지 압접되도록 하여 좋다.

Claims (8)

  1. 내부에 복수의 수용실이 형성되고, 각 상기 수용실에 연통하여 2개의 케이블의 서로 접속될 적어도 2개의 신호선이 삽입되는 적어도 두개의 삽통공이 하나의 면에 형성된 대량 직방체의 절연보디와, 상기 수용실내에 조립되고 상기 삽통공에 삽입되는 상기 신호선과 접촉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접촉단자와, 상기 신호선이 삽통되는 적어도 하나의 긴 구멍이 상기 삽통공의 대응하는 하나와 대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절연보디의 상기 일면에 미끄럼 가능하게 접착된 대략 장방향의 판부를 갖는 절연커버와, 상기 긴 구멍은 상기 절연커버가 제1의 위치에 있을때에 대응하는 상기 삽통공상에 있어서의 제1의 폭을 규정하고, 상기 제1의 위치에서 미끄럼한 제2의 위치에 있을때는 대응하는 상기 삽통공상에 있어서 상기 제1의 폭보다 좁은 제2의 폭을 규정하고, 그리고 상기 절연보디의 다른면에 부착되고, 상기 접촉단자와 각각 접속된 복수의 콘택트를 수용하며, 상대 머듈러 플러그를 장착할 수 있는 모듈러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재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커버가 상기 제2의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판부 하면과 상기 절연보디의 상기 일면과의 사이에 간격을 소정 크기이상으로 규제하고, 상기 절연커버가 상기 제1의 위치에 있을때에 상기 판부를 상기 간격이 작아지도록 상기 일면에 대하여 밀어내리는 것을 허용하는 단차부 수단이 상기 절연보디와 상기 절연 커버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형성되고, 상기 절연보디의 상기 일면에는 상기 삽통공과 근접하여 상기 수용실에 이르는 각부를 가지며, 상기 접촉단자는 상기 신호선을 탄성적으로 끼우는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의 설편수단과 제2의 설편수단과, 상기 절연커버가 상기 제2의 위치에 있을때에 상기 판부를 밀어내림으로써 상기 각부에 의해 조작되어 상기 제1 및 제2설편수단을 서로 분리하도록 구동하는 조작수단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재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통공은 각 상기 홈구멍의 양측에 적어도 하나씩 쌍으로 형성되고, 그것들 쌍의 상기 삽통공과 대응하는 2개의 상기 수용실과 연통되어 있고, 각 상기 홈구멍에 대응한 상기 절연커버의 상기 판부에는 적어도 한쌍의 상기 삽통공과 대응하여 상기 긴구멍이 쌍으로 형성되어 있고, 각 상기 판부의 상기 각 부는 대응하는 두개의 상기 수용실에 수용된 두개의 상기 접촉단자의 조작수단을 동시에 조작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재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통공은 각 상기 홈구멍의 적어도 한쪽옆에 대응하는 하나의 상기 수용실에 연통하여 적어도 한쌍이 형성되고, 각 상기 홈구멍에 대응한 상기 절연커버의 상기 판부에는 적어도 한쌍의 상기 삽통공과 대응하여 상기 긴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각 상기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접촉단자는 적어도 한쌍의 상기 삽통공과 대응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각 상기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접촉단자는 적어도 한쌍의 상기 삽통공과 대응하여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상기 제1설편수단과 일체로 형성된 한쌍의 상기 제1설편수단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재크.
  5.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각 상기 긴 구멍을 종단하여 상기 절연커버의 미끄럼 방향과 평행으로 상기 판부에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판부의 옆 가장자리와 상기 절연보디의 상기 하나의 면 사이에 상기 절연커버가 상기 제2의 위치에 있을때에 상기 판부의 옆 가장자리를 가압하여 상기 긴 구멍의 폭을 좁히고, 상기 절연커버가 상기 제1의 위치에 있을 때는 상기 옆가장자리에 대한 가압을 해제하는 미끄럼 이동 가압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재크.
  6.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각 상기 절연커버는 투명한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재크.
  7.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보디의 상기 하나의 면 중앙부를 횡단하여 접속될 2개의 상기 케이블의 단말부를 겹쳐서 수용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의 양측에 적어도 한쌍의 걸림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모듈러잭은 상기 홈의 폭과 대략 같은 누름부와, 사이 누름부의 양단에서 대략 직각으로 뻗고, 선단부에 상기 걸림수단과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를 갖는 적어도 한쌍의 다리를 갖는 금속제의 실딩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재크.
  8.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보디의 상기 하나의 면에는 상기 절연커버의 상기 판부가 각각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 재크.
KR2019930003238U 1988-12-09 1993-03-05 모듈러 재크 KR9300044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3238U KR930004486Y1 (ko) 1988-12-09 1993-03-05 모듈러 재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8160092U JPH0538547Y2 (ko) 1988-12-09 1988-12-09
JP88-160092 1988-12-09
KR1019890017321A KR900011079A (ko) 1988-12-09 1989-11-28 모듈러 재크
KR9218205U KR930004484Y1 (ko) 1988-12-09 1992-09-24 모듈러 재크
KR2019930003238U KR930004486Y1 (ko) 1988-12-09 1993-03-05 모듈러 재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17321A Division KR900011079A (ko) 1988-12-09 1989-11-28 모듈러 재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486Y1 true KR930004486Y1 (ko) 1993-07-16

Family

ID=27473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3238U KR930004486Y1 (ko) 1988-12-09 1993-03-05 모듈러 재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4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78350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4647136A (en) Modular plug and printed circuit connector
US4971567A (en) Modular jack
US3555493A (en) Right angle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USRE32760E (en) Electrical connector
US4713020A (en) Connector unit
EP0112711B1 (en) Shunt-protected electrical connector
US5087210A (en) Wire-to-wire electrical connecting means
JPH0785429B2 (ja) テレホンモジユラ−ジヤツク
KR19990076506A (ko) 하니스커넥터
US4959030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two flat cables to a circuit board
EP0963009B1 (en) A construction for preventing an error assembling of a connector housing and a cover and a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US5921807A (en) Crimping connector
US5882231A (en) Switch connecting structure
US5397251A (en) Electrical connector and an electrical terminal therefor
GB2298973A (en) Terminal structure for a wiring device
KR930004485Y1 (ko) 모듈러 재크
KR930004486Y1 (ko) 모듈러 재크
EP0570893B1 (en) Connecting a drain wire to an electrical connector shield
KR930004484Y1 (ko) 모듈러 재크
CN210866657U (zh) 连接器总成及板端连接器
GB2260229A (en) An electrical connector and an electrical terminal therefor
US5532443A (en) Pressure contact terminal
JP3050559B2 (ja) 多極型モジュラジャック
JP2810723B2 (ja) 多極型モジュラジャ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5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