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4510A - 엘리베이터용 풀리와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풀리와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4510A
KR19990074510A KR1019980008142A KR19980008142A KR19990074510A KR 19990074510 A KR19990074510 A KR 19990074510A KR 1019980008142 A KR1019980008142 A KR 1019980008142A KR 19980008142 A KR19980008142 A KR 19980008142A KR 19990074510 A KR19990074510 A KR 19990074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elevator
bent
vertical portion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8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2304B1 (ko
Inventor
하인수
Original Assignee
하인수
주식회사 성미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인수, 주식회사 성미사 filed Critical 하인수
Priority to KR1019980008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2304B1/ko
Publication of KR19990074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4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3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풀리와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판상의 철판물을 이용해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매우 강한 풀리를 간편한 방법으로 신속이 만들도록 하여 풀리의 제조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과 함께 제작비용을 줄임은 물론 엘리베이터의 설치에 따른 작업성 향상에도 기여토록 한 것이다.
철판물이 절곡되어 수직부(700a)와 수평부(700b)를 갖도록 단면이 대략 ㄷ자 형태를 이루는 한쌍의 풀리 몸체(700)와, 상기 ㄷ자 형태로 절곡된 각 풀리 몸체의 수직부(700a) 중심에 형성된 풀리 통공(701)과, 상기 ㄷ자 형태로 절곡된 각 풀리 몸체(700)의 수평부(700b) 외측둘레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풀리 홈(702)과, 상기 ㄷ자 형태로 절곡된 각 풀리 몸체(700)가 서로 대향되도록 수직부(700a)를 일체로 고정시켜 주는 복수개의 풀리 고정부재(703)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용 풀리를 제공함과 함께 상기한 구조의 풀리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풀리와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풀리에 관련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구조를 달리하여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매우 강한 풀리를 제공함과 함께 상기 가볍고 강도가 강한 풀리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만들어 낼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고층건물에 설치되어 사람이나 화물을 원하는 소정의 층까지 실어 나르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계장치로서, 건물의 고층화에 따라 그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으므로 인해 관련 기술 또한 급속도로 발달되어 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상기한 엘리베이터는 첨부된 도 1과 같이 건물의 옥상에 마련된 기계실에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지지프레임(1)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권상기(2)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권상기에는 권상기(2)의 구동력을 받아 정,역회전하도록 시브(Sheave)(3)가 축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시브에는 시브(3)의 정역회전력을 받아 이동하도록 와이어로프(4)가 감겨져 있고, 건물의 각층을 관통한 상태로 수직 형성된 승강로 내에는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승강차(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승강차는 와이어로프(4)의 이동력을 받아 승강하도록 와이어로프의 일단에 매달려 있으며, 상기 와이어로프(4)의 다른 일단에는 승강차(5)의 승강시 균형을 유지하여 주도록 균형추(6)(Counterweight)가 매달려 있고, 상기 건물의 최상층 슬라브 밑면에는 와이어로프(4)의 균형추(6) 부분을 수직상태로 가이드하여 상기 와이어로프(4) 양단에 매달려 있는 승강차(5)와 균형추(6)를 일정간격으로 이격시켜 주도록 풀리(7)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건물의 승강장 입구를 통해 승강차(5)에 탑승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차 내부에 구비된 층선택버튼을 누르면 건물의 옥상에 마련된 기계실 내에서 권상기(2)의 모터(2a)가 구동하고, 이 구동력은 상기 모터와 함께 권상기(2)를 구성하는 감속기(2b)에 의해 감속된 다음 상기 감속기에 축결합된 시브(3)로 전달되므로 상기 시브가 회전한다.
이와같이 시브(3)가 회전하면 상기 시브에 감겨져 일단에는 건물의 승강로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승강차(5)가 매달려 있고 다른 일단에는 상기 승강로에 위치된 상태로 균형추(6)가 매달려 있는 와이어로프(4)가 메인시브(3)의 회전력을 받아 이동하고, 이에따라 상기 승강차(5)가 와이어로프(4)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하로 수직승강하면서 승객이나 화물을 원하는 층까지 실어나르게 되는데, 상기 승강차(5)가 하강할 때에는 균형추(6)는 반대로 상승함과 함께 승강차(5)가 상승할 때는 균형추(6)는 반대로 하강하면서 상기 승강차(5)의 승강에 따른 균형을 유지시켜 준다.
한편, 와이어로프(4)가 시브(3)의 회전력을 받아 이동할 때 상기 와이어로프(4)의 균형추(6) 부분은 건물의 최상층 슬라브 밑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풀리(7)에 의해 수직상태로 가이드되므로 상기 와이어로프(4)의 양단에 매달려 있는 승강차(5)와 균형추(6)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승강차(5)와 균형추(6)가 서로 접촉됨이 없이 원활하게 교호로 상승 및 하강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같은 작용의 엘리베이터에서 각 구성품중 건물의 최상층 슬라브 밑면에 설치되어 와이어로프(4)의 양단에 매달린 승강차(5)와 균형추(6)를 서로 일정간격 이격시켜 주도록 상기 와이어로프(4)를 가이드하는 풀리와(7)와 그외 설명되지 않은 많은 보조풀리 등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는 모든 풀리는 똑같이 특정한 구조를 가지고 있고, 상기 특정한 구조의 풀리를 만들기 위해서는 하나의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그럼 먼저 종래 사용되고 있는 풀리의 구조와 그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종래 엘리베이터용 풀리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주물로 일체 제작되어 수직부(70a)와 수평부(10b)를 갖도록 단면이 대략 I자 형태로 단일화된 풀리 몸체(70)와, 상기 풀리 몸체의 수직부(70a) 중심에 형성된 풀리 통공(71)과, 상기 풀리 몸체(70)의 수평부(70b) 외측둘레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풀리 홈(7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구조의 종래 풀리는 첨부된 도 3과 같이 금속원재를 용해시키는 단계와, 상기 용해된 금속원재를 금형내로 부어 넣는 단계와, 일정시간 경과후 수직부(70a)와 수평부(70b)로 이루어진 풀리 몸체(70) 및 상기 수직부(70a) 중심에 형성된 통공(71)을 얻는 단계와, 상기 풀리 몸체(70)의 수평부(70b) 외측둘레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풀리 홈(72)을 형성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제조된다.
따라서, 용광로 내에서 용해시킨 금속원재를 입구부를 통해 금형 내로 부어 넣은 다음 일정시간이 지난후 금형을 분리하면, 상기 금형의 형상에 따라 수직부(70a)와 수평부(70b)를 갖는 풀리 몸체(70) 및 상기 풀리 몸체의 수직부(70a) 중심에 형성된 통공(71)이 얻어진다.
계속해서 풀리 몸체(70)의 수직부(70a) 중심에 형성된 통공(71)을 엘리베이터의 적소에 설치가능하도록 매끄럽게 연마한 다음 상기 풀리 몸체(70)의 수평부(70b) 외측둘레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풀리 홈(72)을 별도의 가공기를 이용해 가공 형성하면 첨부된 도2와 같은 하나의 엘리베이터용 풀리가 제조된다.
한편 상기한 풀리 제조 과정에서 얻어진 풀리 몸체(70)는 대략 I자 형태로서 일체화된 수직부(70a)와 수평부(70b)를 가지고 있는데, 상기 수직부(70a)의 폭(b)이 도면에 나타난 바와같이 수평부(70b)의 폭(b1) 보다 더 좁게되어 있고, 이는 풀리 몸체(70)가 주물로 제조되는 관계로 인하여 가급적 무게를 줄여 보고자 함에 있으며 그외 특별한 이유는 없다.
그러나 종래 이와같은 풀리는 주물 제작에 의해 만들어져 있으므로 사용 용도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하나의 무게가 많게는 수십 Kg에 달하고, 이에따라 엘리베이터를 건물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풀리를 적소에 장착하는 작업이 매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바와같이 주물로 제작되는 관계로 인하여 불순물의 함유 및 기 타 다른 여러 요인으로 인해 내부에 공간부가 종종 발생되고, 이 경우에는 그만큼 강도가 떨어지므로 실제로 풀리를 엘리베이터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상기 풀리가 파손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풀리의 제조를 위해서는 금속원재를 용해시켜야 함은 물론 별도로 금형을 만들어야만 하므로 제조에 따른 비용의 증가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작업성이 난해하므로 생산성도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판상의 철판물을 이용해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매우 강한 풀리를 간편한 방법으로 신속이 만들도록 하여 풀리의 제조에 따른 생산성을 향상과 함께 제작비용을 줄임은 물론 엘리베이터의 설치에 따른 작업성 향상에도 기여토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형태에 따르면, 철판물이 절곡되어 수평부와 수직부를 갖도록 단면이 대략 ㄷ자 형태를 이루는 한쌍의 풀리 몸체와, 상기 ㄷ자 형태로 절곡된 각 풀리 몸체의 수직부 중심에 형성된 풀리 통공과, 상기 ㄷ자 형태로 절곡된 각 풀리 몸체의 수평부 외측둘레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풀리 홈과, 상기 ㄷ자 형태로 절곡된 각 풀리 몸체가 서로 대향되도록 수직부를 일체로 고정시켜 주는 복수개의 풀리 고정부재로 구성하여서 된 엘리베이터용 풀리가 제공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다른 형태에 따르면, 일정두께의 철판물을 원판형태로 절단하여 풀리 몸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풀리 몸체의 중심에 풀리 통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풀리 통공이 형성된 풀리 몸체를 절곡시켜 단면이 대략 ㄷ자 형태를 갖도록 수평부와 수직부를 갖추는 단계와, 상기 풀리 몸체의 수평부 외측둘레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풀리 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두개의 풀리 몸체가 서로 대향되도록 수직부를 서로 접촉시키는 단계와, 상기 두개의 풀리 몸체 수직부를 고정시켜 일체화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진 엘리베이터용 풀리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엘리베이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체 구성도
도 2는 종래 엘리베이터용 풀리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종래 풀리 제조방법에 의해 풀리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용 풀리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풀리 제조방법에 의해 풀리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00. 풀리 몸체 700a. 수직부
700b. 수평부 701. 풀리 통공
702. 풀리 홈 703. 풀리 고정부재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4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 엘리베이터용 풀리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철판물이 절곡되어 수직부(700a)와 수평부(700a)를 갖도록 단면이 대략 ㄷ자 형태를 이루는 한쌍의 풀리 몸체(700)와, 상기 ㄷ자 형태로 절곡된 각 풀리 몸체의 수직부(700a) 중심에 형성된 풀리통공(701)과, 상기 ㄷ자 형태로 절곡된 각 풀리 몸체(700)의 수평부(700b) 외측둘레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풀리홈(702)과, 상기 ㄷ자 형태로 절곡된 각 풀리 몸체(700)가 서로 대향되도록 수직부(700a)를 일체로 고정시켜 주는 복수개의 풀리 고정부재(703)로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풀리는 일정두께(통상 6∼8mm 두께)의 철판물을 원판형태로 절단하여 풀리 몸체(700)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풀리 몸체의 중심에 풀리 통공(701)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풀리 통공이 형성된 풀리몸체(700)를 절곡시켜 단면이 대략 ㄷ자형태를 갖도록 수직부(700a)와 수평부(700b)를 갖추는 단계와, 상기 풀리 몸체(700)의 수평부(700b) 외측둘레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풀리 홈(702)을 형성하는 단계와, 두개의 풀리 몸체(700)가 서로 대향되도록 수직부(700b)를 서로 접촉시키는 단계와, 상기 두개의 풀리 몸체(700) 수직부(700b)를 고정시켜 일체화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제조된다.
따라서, 일정두께의 철판물을 절단기를 이용하여 원판형태로 절단하면 풀리 몸체(700)가 얻어진다.
이 원판형태의 풀리 몸체(700) 중심에 프레스기를 이용하여 풀리 통공(701)을 형성한 다음 상기 풀리 통공이 형성된 풀리 몸체(700)를 전조기에 넣으면 롤 포밍(Roll forming)에 의해 상기 풀리 몸체가 ㄷ자 형태로 절곡되어 수직부(700a)와 수평부(700b)를 갖추게 된다.
이후 상기 풀리 몸체(700)의 수직부(700b) 외측둘레면에 별도의 가공기를 이용하여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풀리 홈(702)을 형성시킨다.
계속해서 이와같은 과정을 거친 두개의 풀리 몸체(700)가 서로 대향되도록 수직부(700b)를 접촉시킨 다음 풀리 고정부재(703)를 이용해 각 수직부(700b)를 고정시키면 첨부된 도 4와 같은 하나의 엘리베이터용 풀리가 제조되는데, 상기 각 수직부(700b)를 풀리 고정부재(703)로서 고정하기 위해서는 프레스기로서 수직부(700b)에 풀리 통공(701)을 형성시킬 때 상기 풀리 통공(701)의 주위로 풀리 고정부재(703)가 끼워질 수 있는 고정공(704)을 미리 형성하여 놓아야 함은 이해 가능하다.
상기에서 풀리 몸체(700)의 수직부(700b)를 고정시켜 주는 풀리 고정부재(703)는 주위에서 쉽게 구입이 가능한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도 무방하고, 그 외에 상기 볼트와 너트를 대체할 수 있는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여도 큰 문제가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철판물을 절곡시켜 풀리를 만들므로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배우 강한 풀리를 얻을 수 있어 엘리베이터의 설치작업시 풀리를 적소에 장착하는 작업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지므로 작업성은 향상되면서 안전사고의 발생은 대폭 줄어드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상기 풀리의 제조가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 지므로 제작비는 줄어드는 반면 생산성은 대폭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철판물이 절곡되어 수평부와 수직부를 갖도록 단면이 대략 ㄷ자 형태를 이루는 한쌍의 풀리 몸체와,
    상기 ㄷ자 형태로 절곡된 각 풀리 몸체의 수직부 중심에 형성된 풀리 통공과,
    상기 ㄷ자 형태로 절곡된 각 풀리 몸체의 수평부 외측둘레면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풀리 홈과,
    상기 ㄷ자 형태로 절곡된 각 풀리 몸체가 서로 대향되도록 수직부를 일체로 고정시켜 주는 복수개의 풀리 고정부재로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풀리.
  2. 일정두께의 철판물을 원판형태로 절단하여 풀리 몸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풀리 몸체의 중심에 풀리 통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풀리 통공이 형성된 풀리 몸체를 절곡시켜 단면이 대략 ㄷ자 형태를 갖도록 수평부와 수직부를 갖추는 단계와,
    상기 풀리 몸체의 수평부 외측둘레면에 원주방향으로 복수개의 풀리 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두개의 풀리 몸체가 서로 대향되도록 수직부를 서로 접촉시키는 단계와,
    상기 두개의 풀리 몸체 수직부를 고정시켜 일체화하는 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잠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풀리 제조방법.
KR1019980008142A 1998-03-11 1998-03-11 엘리베이터용 풀리와 그 제조방법 KR100252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142A KR100252304B1 (ko) 1998-03-11 1998-03-11 엘리베이터용 풀리와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8142A KR100252304B1 (ko) 1998-03-11 1998-03-11 엘리베이터용 풀리와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4510A true KR19990074510A (ko) 1999-10-05
KR100252304B1 KR100252304B1 (ko) 2000-04-15

Family

ID=19534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8142A KR100252304B1 (ko) 1998-03-11 1998-03-11 엘리베이터용 풀리와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23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63403A (zh) * 2010-05-07 2010-10-20 宁波华菱电梯部件有限公司 电梯用绳轮及其制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63403A (zh) * 2010-05-07 2010-10-20 宁波华菱电梯部件有限公司 电梯用绳轮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2304B1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02430B1 (en) Elevator device
WO2014136171A1 (ja)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4963153B2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ー
KR20030036590A (ko) 통합식 엘리베이터 설치 호이스트 장치
WO2017203633A1 (ja) エレベータの巻上機据付方法
JP4255525B2 (ja) エレベーター
KR100252304B1 (ko) 엘리베이터용 풀리와 그 제조방법
EP1396457B1 (en) Elevator device
EP1602614A1 (en) Elevator equipment
JP2010208822A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JP5291897B2 (ja) エレベータ用ガイドシューの支持装置
JP2004051237A (ja) エレベータのスプリング緩衝器
JP4039732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
JP4195063B2 (ja) エレベーター
JPH0769559A (ja) 工事用エレベーター装置
JP6508438B1 (ja) エレベーターの重り枠組立支援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重り枠組立方法
JP2002037564A (ja)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JP2008230809A (ja)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ヒッチ装置
JP439789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WO2005077806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09084058A (ja) エレベーター
KR19990017365U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차 가이드레일
CN217996416U (zh) 无机房电梯的绳头组件的安装结构以及无机房电梯
KR19990017366U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차 가이드레일
WO2023175880A1 (ja) 巻上機据付ガイド装置及び巻上機の据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