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3013A - 단지형코어를사용한면실장코일부품및그를위한복합코일 - Google Patents

단지형코어를사용한면실장코일부품및그를위한복합코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3013A
KR19990073013A KR1019990006699A KR19990006699A KR19990073013A KR 19990073013 A KR19990073013 A KR 19990073013A KR 1019990006699 A KR1019990006699 A KR 1019990006699A KR 19990006699 A KR19990006699 A KR 19990006699A KR 19990073013 A KR19990073013 A KR 199900730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core
gap
length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6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2255B1 (ko
Inventor
쿠로시마토시히로
사토코오키
카지와라코오조
Original Assignee
사토 히로시
티디케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히로시, 티디케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사토 히로시
Publication of KR19990073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3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2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6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substantially closed in itself, e.g. toroi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43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two, usually identical or nearly identical parts enclosing completely the coil (pot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2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2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 Y10T29/49073Electromagnet, transformer or inductor by assembling coil and core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컴퓨터를 주로 노트북타입, 워프로세서, 게임기 등의 탁상전자기기의 전원입력회로 등의 주로 코먼모드노이즈 대책에 사용하는 단지형 코어를 사용한 면실장코일부품 및 그를 위한 복합코일에 관한 것으로서, 안팎코일로 이루어진 코일부품에 있어서 안팎코일의 자기인덕턴스의 어긋남을 최소한도로 억제해서 방향성을 없애는 것을 과제로한 것이며, 그 해결수단으로서, 안쪽다리부를 가지고 단부벽에 관통구멍을 가진 단지형 코어와, 상기 단지형 코어에 끼워맞춤된 형상유지성의 코일과, 상기 단지형 코어의 개방단부에 접합된 덮개코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구멍에는 상기 코일의 단자가 상기 단부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지 않도록 배치하고, 상기 단부벽 외부면에는, 상기 단자와 접속하는 막형상외부전극을 형성한 코일부품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안쪽다리부의 둘레에 감기는 안코일과, 그 바깥쪽에 감기는 바깥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코일과 바깥코일의 사이에는 틈새를 형성하고 상기 바깥코일의 길이를 상기 안코일에 직접 감았을 경우 보다도 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형 코어를 사용한 면실장코일부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단지형 코어를 사용한 면실장코일부품 및 그를 위한 복합코일{face-mounting coil parts using pot type core and composite coil therefor}
본 발명은 개인컴퓨터를 주로 노트북타입, 워프로세서, 게임기 등의 탁상전자기기의 전원입력회로 등의 주로 코먼모드노이즈(Common mode noise)대책에 사용하는 단지형 코어를 사용한 면실장 코일부품 및 그를 위한 복합코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일본국 특개평 10-22140호(미국특허출원 제 08/888940호)에 있어서, 단지형 코어에 권선을 실시한 보빈을 끼워넣고 관통구멍 또는 관통한 홈부로부터 코일단말을 꺼내어 또 단지형 코어를 끼워넣는 구조(일본국 실개평 5-66922호)나, 단지형 코어바깥쪽 다리부개구면에 홈을 형성하고 그 부분으로부터 단말을 꺼내어 또 평판형상코어를 접합하는 구조(일본국 실개소 59-46021호)등의 단말이 부품자체로부터 돌출하는 리드부착부품을, 면실장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즉, 도 19에 표시한 바와 같이, 단부벽(3)에 관통구멍(4)을 가지고 중앙에 내부다리부(1)과 바깥쪽에 바깥쪽다리부(2)를 가진 단지형 코어(5)와, 상기 단지형 코어(5)에 끼워맞춤된 성형된 코일(6)과, 상기 단지형 코어(5)의 개방단부에 접합된 덮개코어(11)로 이루어진 코일부품에 있어서, 상기 관통구멍(4)에는 상기 코일의 단자(8a),(8b)가 상기 단부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지 않도록 배치하고, 상기 단부벽외부면에는, 상기 단자(8a),(8b)와 접속하는 막형상외부전극을 형성한 코일부품에 의해 면실장(面室裝)을 가능하게 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큰전류를 필요로 하는 전원회로 등의 리드부착면실장화를 가능하게 하여, 실장공정의 간소화, 장치코스트의 삭감, 전자기기의 소형화 등의 점에서 뛰어나고는 있으나, 또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일본국 특개평 10-22140호에 기재된 코일부품에서는, 2개의 코일(6a),(6b)이 도 17과 같이 단지형 코어안쪽다리부(1)에 대해서 겹쳐감기 되어 있기 때문에, 첫째로 안코일과 바깥코일의 길이가 다르며, 도체의 인덕턴스성분은 바깥코일이 크고, 안코일은 작다고 하는 차가 발생한다. 둘째로, 주된 자속의 통로가 되는 안쪽다리부까지 거리가 안코일과 바깥코일에서는 다르기 때문에, 바깥코일의 자기저항은 크고 안코일에서는 작다고 하는 차가 발생한다. 도체의 인덕턴스성분과 자기저항에 있어서는 자기저항의 영향이 크기때문에, 종합하면 도체의 인덕턴스성분이 크지만 자기저항이 높은 바깥코일은, 아코일에 비해서 자기(自己)인덕턴스가 작아진다. 또 안코일은 그 반대가 되어, 바깥코일에 비해 자기인덕턴스가 커진다. 이에 의해 안코일은 인피던스 특성이 높고, 바깥코일은 그것보다 낮아진다. 이들 특성의 어긋남은 전자기기의 잡음단자전압의 차로서 나타난다. 즉, 부품에 방향성이 존재하게 된다. 방향성이 있는 부품은, 제품제조상, 사용상의 관리를 필요로 하고, 또 탑재기판의 회로설계에도 배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단지형 코어를 사용한 코일부품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단지형 코어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단지형 코어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코일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코일부품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코일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코일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코일부품의 조립의 초기상태를 표시한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코일부품의 조립의 초기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해 코일단자를외부전극에 땜납접속하는 초기단계를 표시한 도면
도 11은 코일단자를 외부전극에 땜납접속하는 중간단계를 표시한 도면
도 12는 코일단자를 외부전극에 땜납접속하는 최종단계를 표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단지형 코어와 판형상코어사이의 틈새를 표시하고, (a),(b),(c)는 각각 다른 예를 표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코일의 단자를 외부전극에 땜납접속하는 플로땜납법을 표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코일의 단자를 외부전극에 땜납접속하는 다른 방법을 표시한 도면
도 16은 코일의 감는 형식이 바이파일러감기인 경우를 표시한 개념도
도 17은 코일의 감는 형식이 겹쳐감기(레이어감기)인 경우를 표시한 개념도
도 18은 본 발명의 코일의 겹쳐감기(레이어감기)구성을 표시한 개념도
도 19는 일본국 특개평 10-22140호에 기재된 단지형 코어를 이용한 종래의 코일부품의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복합코일을 제작하기 위한 안쪽코일을 감는 최초의 공정을 표시한 도면
도 21은 도 20에 계속되는 공정을 표시한 도면
도 22는 도 21에 계속하여 바깥쪽 코일을 감는 최초의 공정을 표시한 도면
도 23은 도 22에 계속되는 공정을 표시한 도면
도 24는 도 23에 계속되는 공정을 표시한 도면
도 25는 도 23에 계속되는 최후의 공정을 표시한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복합코일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표시한 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의 복합코일을 형상유지성으로 하는 하나의 방법을 표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단지형 코어의 안쪽다리부2: 단지형코어의 바깥쪽다리부
3: 단지형 코어의 단부벽 4: 관통구멍
5: 단지형 코어6a: 안쪽코일
6b: 바깥쪽코일8a, 8b: 단자
10a: 코일간틈새
10b: 안코일과 안쪽다리부사이의 틈새11: 덮개코어
12: 오목부14: 외부전극
15: 구멍내전극16: 땜납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체자신의 인덕턴스성분을 안코일은 감소시키도록, 또 바깥코일은 증가시키도록 길이를 조정한다. 또, 단지형 코어의 안쪽다리부와 안코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여 사속의 누설을 발생시킨다고 하는 수단을 채용하여, 안코일의 자기저항을 증가시켜 안코일의 자기인덕턴스를 감소시킨다. 즉, 본 발명은, 안코일은 극력 짧은 도체길이에 의해 성형하여, 도체의 인덕턴스를 감소시켜서 억제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단지형 코어의 안쪽다리부와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해서 자속의 누설을 발생시킴으로써 안코일의 자기인덕턴스를 억제한다. 한편, 바깥코일은 극력긴 도체길이에 의해서 성형하고 바깥코일의 인덕턴스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안코일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한다고하는 수단을 채용한다.
즉, 본 발명의 코일은, 안코일과, 상기 안코일의 바깥쪽에 배치된 바깥코일로 이루어지는 자립구조의 복합코일이며, 상기 안코일과 바깥코일의 사이에는 틈새를 형성하고 또한 안코일보다 바깥코일쪽의 길이를 크게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안코일의 도체길이는 바깥코일에 비해 짧게되어 도체가 가진 인덕턴스가 작아지며, 한편 바깥코일은 틈새의 분만큼 길어지므로 인덕턴스가 커지고, 양자의 불균형을 보정할 수 있다. 또 바람직하게는 안코일과 그것을 수용하는 단지형 코어의 안쪽다리부와의 사이에도 틈새를 형성하면 더욱 안코일의 인덕턴스를 저하할 수 있어, 안팎코일의 인덕턴스를 동등화하는 일이 한층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코일부품은, 안쪽다리부를 가지고 단부벽에 관통구멍을 가진 단지형 코어와, 상기 단지형 코어에 끼워맞춤된 형상유지성의 코일과, 상기 단지형 코어의 개방단부에 접합된 덮개코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구멍에는 상기 코일의 단자가 상기 단부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지 않도록 배치하고, 상기 단부벽외부면에는, 상기 단자와 접속하는 막형상 외부전극을 형성한 단지형 코어를 사용한 면실장코일부품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안쪽다리부의 둘레에 감기는 안코일과, 그 바깥쪽에 감기는 바깥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코일과 바깥코일의 사이에는 틈새를 형성하고 또한 바깥코일의 길이를 그것을 안코일에 직접 감았을 경우보다도 크게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안팎코일의 인덕턴스를 접근시키는 일이 용이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팎코일의 인덕턴스가 10%이내의 차가 되도록 상기 안팎코일의 길이 및 틈새가 정해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팎코일의 길이 및 틈새는 상기 안팎코일의 인덕턴스가 거의 동등하게 되도록 정해진다.
또 상기 틈새는 바람직하게는 안팎코일의 직경이상으로 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쪽다리부와 안코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안팎코일의 인덕턴스를 접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또, 안코일과, 상기 안코일의 바깥쪽에 배치된 바깥코일로 이루어진 형상유지성의 복합코일에 있어서, 상기 안코일과 바깥코일의 사이에는 틈새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바깥코일의 길이를 상기 안코일에 직접 감은 경우 보다도 크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코일을 제공한다. 상기 안팎코일의 인덕턴스가 10%이내의 차를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동일하게 되도록 상기 안팎코일의 길이 및 틈새가 정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코일 및 코일부품은 특히 코먼모드노이즈(동상(同相)신호)에 대해서 인피던스가 커지고 복사노이즈(30MH∼1㎓)에 대해서 억지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잡음단자전압(150㎑∼30㎒)에 대해서 각 라인의 임피던스에 따른 노이즈의 억제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각 라인의 인덕턴스치(임피던스치)에 큰차가 있는 경우, 한쪽편의 라인으로부터의 노이즈가 크게 복사되므로, 이것을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는 회로기판위에서 LC필터 등의 회로를 부가하여, 노이즈억제대책을 또 취하지 않으면 안되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안팎코일의 인덕턴스의 차를 10%이내로 함으로써 노이즈의 복사를 억제하고, 필터의 부가와 같은 더 이상의 대책은 필요없게 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안코일은 극력 짧은 도체길이에 의해 성형하여, 도체의 인덕턴스성분을 극력 억제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단지형 코어의 안쪽다리부와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해서 자속의 누설을 발생하게 함으로써 안코일의 자기인덕턴스를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바깥코일은 안코일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함으로써 극력 긴도체길이에 의해서 성형하여, 도체가 가진 인덕턴스치를 증가시킴으로써, 바깥코일의 자기인덕턴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안코일과 바깥코일의 자기인덕턴스의 차를 없앨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단지형 코어를 사용한 코일부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 도 3은 각각 단지형 코어(5)의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또한 종래의 코일부품의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했다.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일부품은, 연자성 단지형 코어(5)와, 그 내부에 수용되는 성형된 코일(6)과, 단지형 코어(5)를 폐쇄하는 연자성 평판형상 덮개코어(11)로 이루어진다. 또한, 덮개코어는 평판형상이 아니라도 되고 단지형 코어를 사용해도 된다. 도 19의 경우와는 달라, 본 발명의 코일(6)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거의 동일 직경의 안코일과 바깥코일의 복합코일이며, 그들 사이에는 틈새(10a)가 형성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중앙의 안쪽다리부(1)와의 사이에 틈새를 가진다.
도 1∼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단지형 코어(5)는 거의 폐쇄된 단부벽(3)과, 그 중앙에 형성된 원기둥형상의 안쪽다리부(1)와, 코일을 수용하는 환상(環狀)공간(空所)을 형성하는 바깥다리부(2)로 이루어진다. 코어(5)에는 성형시, 또는 소결후에 적당한 안표(目印)(도시생략)를 표시하는 등에 의해 방향성을 가지고, 또 단부벽(3)의 4귀퉁이에 형성한 4개의 원형의 관통구멍(4)을 코일(6)의 단자(8)의 위치에 상당하는 위치에 가진다. 관통구멍(4)의 구멍직경은 코일(6)의 단자의 직경보다 충분히 크게 정한다. 이것은, 치수맞춤의 허용도를 높이기 위해서와, 땜납주입에 의해 코일과 외부전극막과의 접속저항을 저하시키기 위해서이다.
또, 단지형 코어(5)의 상단부면에는 평판형상덮개코어(11)와 맞추었을때에 틈새를 형성할 수 있는 오목부(12)가 적어도 1개소(도면에서는 2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이 틈새는 코어의 내부가 기밀화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이며 그 작용은 뒤에 설명한다.
코일(6)의 구조는 도 4∼도 7에 표시되어 있다. 도 4는 코일(6)의 평면도, 도 5는 단지형 코어(5)에 짜넣은 코일(6)을 표시한 평면도(덮개코어는 떼내어 표시했다), 도 6은 코일(6)의 우측면도 및 도 7은 코일(6)의 정면도이다. 코일(6)은 권축(卷軸)에 대하여 안쪽에 코일(6a)이 바깥쪽에 코일(6b)이 위치하는 소위 레이어권선구조를 가진다. 레이어권선구조는 코일 높이를 제한하고, 바이파일러권선(도 16참조)에 비해서 단지형 코어(5)를 평면형에 가깝게 하여, 소형화 할 수 있다(도 17참조).
코일(6)의 안코일(6a)은 극력 짧은 도체길이에 의해서 성형하여, 도체의 인덕턴스성분을 극력 억제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단지형 코어의 안쪽다리부(1)와의 사이에 틈새(10b)를 형성해서 자속의 누설을 발생시킴으로써 안코일의 자기인덕턴스를 억제하는 일이 가능해진다. 한편, 도 4의 안코일(6a)과 바깥코일(6b)의 사이에 안팎코일의 직경이상의 치수의 틈새(10a)를 형성함으로써, 바깥코일(6b)의 길이는 틈새를 형성한 분만큼 커지므로, 바깥코일(6b)을 극력긴 도체길이에 의해 성형할 수 있고, 도체가 가진 인덕턴스치를 증가시킴으로써, 바깥코일의 자기인덕턴스를 증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안팍코일(6a),(6b)의 인덕턴스의 차는 약 10%이내, 이상적으로는 이 차는 거의 영(zero)이다. 이에 의해 복합코일의 접속의 방향을 문제로 할 필요도 없어진다.
코일(6)은 굵은 선재의 형상유지성을 이용한 형상유지성(자립구조)을 가진 피복금속선 예를 들면 구리선이며, 단지형 코어(5)의 관통구멍(4)의 간격과 거의 마찬가지의 단자 간거리를 가지고 각각의 관통구멍(4)내에 수용되는 한쪽의 권선의 단자(8a),(8b)와 다른 쪽의 권선의 단자(8b),(8b)를 가지고, 또, 안쪽코일(6a)의 감는 직경은 안쪽다리부(1)의 외경보다 약간 크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일(6)은 분명히 비대칭구조때문에 방향성을 가진다.
코일이 형상유지성을 가지기 위해서 필요한 직경은, 구리선의 경우에는 약 0.1㎜이상, 예를 들면 0.6㎜이다. 이 경우 안팍코일은 동일직경을 가진 것을 사용하는 것이 작업성의 위에서 바람직하다. 와이어로부터 이와 같은 굵기로 하면 전기저항이 저하해서 전류에 의한 발열이 감소한다. 은선과 같은 보다 연질의 금속에서는 직경은 구리선의 그것보다 굵게할 필요가 있다.
단자(8)의 길이는, 코일(6)의 방향을 단지형 코어(5)의 방향에 맞추어서, 코일(6)을 안쪽다리부(1)의 상부에 끼워넣어서 단지형 코어(5)의 내부에 수용했을때에, 단자(8)가 관통구멍(4)에 삽입되나, 단부벽을 관통하기에 이르지 못한 정도의 길이로 정한다. 또, 단자의 위치는 관통구멍(4)에 헐겁게 끼우도록 관통구멍의 축간격을, 단자의 간격과 거의 동일하게 한다.
또, 형상유지성의 코일을 사용하면 코일부품의 소형화가 가능하나,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보빈을 사용해서 형상유지성을 높여도 된다. 이 대신에, 코일의 형상유지성은, 그 선재의 피복의 외부면에 접착제를 입힘으로써 선간 접착해서, 높일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상당하는 도 27에 있어서 단자(8a)와 코일(6b)이 접촉하는 개소(사선부분)에 접착제를 입힘으로써 안팎코일의 형상을 유지하고 또 틈새(10a)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 20∼도 26을 참조해서 안팎코일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26에 표시한 바와 같이, 4귀퉁이에 오목부(25)를 가진 블록(24)의 상부평면(22)에 권축(spindle)(21)을 일체로 형성한다. 또 오목부(25)중, 2개의 오목부(25)에는 누름클릭(23)이 배치되어 있다(도 20). 블록(24) 및 권축(21)은 도시생략의 동력원으로부터 회전구동된다. 이것과는 별도로 안팎코일의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형성할 수 있는 내경을 가진 틈새형성통(20)을 준비한다. 틈새형성통(20)은 단자(8a),(8b)를 통과시키는 슬롯(26)을 형성할 수 있도록 2부재로 구성한다.
도 20은 감기시작의 상태를 표시한다. 안코일의 단말(8a)은 클릭(23)에 의해 1개씩 오목부(25)에 고정되고, 안코일용선감기는 권축(21)에 따르도록 배치된다. 이어서 도 21과 같이 권축(21)을 우회전함으로써 안코일(6a)은 소정회수권축에 감겨진다.
도 22는 안코일의 선감기가 완료하고, 바깥코일(6b)을 감기시작하는 상태를 표시한다. 감은 안코일(6a)의 외경에 거의 동등한 내경을 가진 틈새형성통(20)을 안코일(6a)의 둘레를 따르게해서 안코일(6a)을 덮는다. 다음에 바깥코일(6b)의 단말(8b)은 다른클릭(23)에 의해 다른 오목부(25)에 고정되고, 바깥코일용 선감기는 틈새형성원통(20)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도 23과 같이 권축(21)을 우회전함으로써 바깥코일(6b)은 소정회수 틈새형성통(20)에 감겨진다. 도 25는 바깥코일(6b)의 선감기가 완료된 상태를 표시한다. 이어서 안팎코일(6a),(6b)의 다른쪽의 말단(8a),(8b)을 남은 오목부(25)에 각각 구부려붙여진다. 말단은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다. 안팎코일의 접촉부는 도 27과 같이 접착제에 의해 결합된다.
도 1, 도 8∼도 9에 표시한 바와 같이, 관통구멍(4)의 바깥쪽에는 막형상의 외부전극(14)이 공지의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관통구멍(4)의 내부면에도 외부전극(14)과 일련으로 접속되는 막형상의 전극(15)을 형성한다. 이렇게해서, 후술하는 단자(8)와 외부전극(14)과의 땜납접속에 의해 큰 전류에 견디는 저저항의 전기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도 8∼도 9는 단지형 코어(5)와 코일(6)의 조립상태를 표시한다. 즉, 도 8과 같이, 코일(6)과 단지형 코어(5)의 방향을 정해서 안쪽코일(6a)을 단지형 코어(5)의 안쪽다리부(1)에 끼워넣으면, 도 9와 같이 코일(6)의 단자(8)의 말단은 단부벽(3)의 내부에 머무른다. 단지형 코어의 코일삽입부의 깊이는, 관통구멍에 수용되는 단말부분을 제외한 코일높이보다 깊으다. 이어서, 다음에 기재하는 공정을 행하기 전에, 또는 나중에 평판형상덮개코어(11)에 의해 정상부를 폐쇄하여 접착하면 코일부품의 조립이 완료된다.
도 10∼도 12에 코일(6)의 단자(8)와 외부전극(14)의 접속공법과 상태를 표시한다. 코일(6)을 수납한 단지형 코어(5)의 단부벽(3)을, 용융땜납에 어떤 일정시간 침지함으로써 도 10, 도 11 및 도 12의 순으로 침지면으로부터 땜납이 관통구멍(4)내에 상승해간다. 이 때문에 관통구멍내벽에 전극(1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땜납은 열에 의해 단자(8)의 절연피막을 파괴하면서, 관통구멍(4)과 단자(8)사이의 틈새는 메우고 외부전극(14)과 전기적으로 접속하기에 이른다.
도 14는 면실장에 적합한, 바닥면상태로 하는 땜납마무리방법을 표시한다. 분류땜납(16)의 흘러떨어지는 방향에 대하여, 단지형 코어(5)의 침지궤도를 거의 역방향으로 함으로써 여분의 땜납을 끊는 일이 가능해진다. 또, 동일한 효과는 도 15와 같이 단지형 코어의 이동방향을 제어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도 13에서는 코일(6)을 수납한 단지형 코어(5)와 평판형상덮개코어(11)와의 접합상태를 표시한다. 동도면에서 도 13(a)는 단지형 코어(5)의 쪽에, 도 13(b)는 평판형상 덮개코어(11)의 쪽에, 도 13(c)는 양자에 오목부(12)를 형성한 경우이며, 어느것도 동등하다. 이와 같이 접합면에 자기실드효과를 크게 손상시키지 않는 정도의, 적당한 복수의 틈새를 형성함으로써, 이하에서 설명하는 효과 b, c, d를 얻을 수 있다.
위에 설명한 구조로부터 얻게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a. 관통구멍을 선직경보다 충분히 크게 함으로써, 코일의 단말거리규격공차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용이하게 코일형성할 수 있다.
b. 단지형 코어와 평판형상덮개코어의 접합면의 틈새는 공기의 출입구로서, 접합시 코일수납부의 공기가 밀폐상태로 되고, 공기가 팽창하여 접합면을 떨어지게 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여, 접착강도가 열악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c. 단지형 코어와 덮개코어의 접합면의 틈새는 공기의 출입구로서, 접합시 코일수납부의 공기가 밀폐상태로 되고, 공기가 팽창하여 접합면으로부터 외부로 나간다. 이때 미세한 외기와의 출입구가 형성되고 여기서부터 외기의 습기가 침입하나, 미세한 외기와의 출입구때문에, 습도가 완전히 외부로 나가지 않는 상태에서 결로 등을 할 염려가 있으며, 절연파괴로 이어지는 이 현상을 방지한다.
d. 단지형 코어와 덮개코어의 접합면의 틈새는 공기의 출입구로서, 기판에 부품을 실장하는 가열시 코일수납부의 밀폐상태의 공기가 팽창하여 수축하는 이때, 접합부의 땜납을 관통구멍을 통해서 코일수납부에 끌어들여, 단락이 발생할 염려가 있으며, 절연파괴로 이어지는 이 현상을 방지한다.
e. 단지형 코어바깥쪽다리부는 관통구멍주변부이외는 두껍게함으로써, 덮개 코어접합시의 충분하 면적의 확보 또, 코어의 유사단면적이 증대하여 자기결합이 향상된다.
f. 단지형 코어와 덮개코어의 접합면의 틈새는, 발열된 코일의 열기를 외부로 도망가게하여 제품의 온도상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g. 권축에 대하여 안쪽과 바깥쪽에 2개의 코일이 위치하는 레이어권선구조는, 코먼모드에서 많이 사용되는 바이파일러권선과 비교하여 동일조건(감은수, 감은직경, 와이어)에 있어서, 코일의 마무리외경은 커지나 코일부의 전체길이를 가장 짧게 형성할 수 있다. 이 부분을 수직방향으로 위치시킴으로써 면실장부품으로서의 높이제한, 소형화, 고신뢰성, 등의 부품설계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코일과 바깥코일의 인덕턴스가 접근하고 또는 거의 동일하게 되어, 부품의 방향성이 없어지는 동시에, 생산성이 향상되고, 또 잡음단자전압에 대한 회로설계가 용이하게 된다.

Claims (10)

  1. 안쪽다리부를 가지고 단부벽에 관통구멍을 가진 단지형 코어와, 상기 단지형 코어에 끼워맞춤된 형상유지성의 코일과, 상기 단지형 코어의 개방단부에 접합된 덮개코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구멍에는 상기 코일의 단자가 상기 단부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지 않도록 배치하고, 상기 단부벽 외부면에는, 상기 단자와 접속하는 막형상 외부전극을 형성한 단지형 코어를 사용한 면실장코일부품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상기 안쪽다리부의 둘레에 감기는 안코일과, 그 바깥쪽에 감기는 바깥코일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코일과 바깥코일의 사이에는 틈새를 형성하여 상기 바깥코일의 길이를 상기 안코일에 직접 감았을 경우보다도 크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형 코어를 사용한 면실장코일부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팎코일의 인덕턴스가 10%이내의 차가 되도록 상기 틈새와, 안코일보다 바깥코일의 길이가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형 코어를 사용한 면실장코일부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안팎코일의 길이 및 틈새는 상기 안팍코일의 인덕턴스가 거의 동등하게 되도록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형 코어를 사용한 면실장코일부품.
  4. 제 1항∼제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는 상기 코일의 직경이상의 치수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형 코어를 사용한 면실장코일부품.
  5. 제 1항∼제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쪽다리부와 안코일사이에 틈새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지형 코어를 사용한 면실장코일부품.
  6. 안코일과, 상기 안코일의 바깥쪽에 배치된 바깥코일로 이루어진 형상유지성의 복합코일에 있어서, 상기 안코일과 바깥코일의 사이에는 틈새를 형성하여 상기 바깥코일의 길이를 상기 안코일에 직접 감은 경우보다도 크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코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안팎코일의 인덕턴스가 10%이내의 차가 되도록 상기 안팎코일의 길이 및 틈새가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코일.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안팍코일의 길이 및 틈새는 상기 안팎코일의 인덕턴스가 거의 동등해지도록 정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코일.
  9. 제 6항∼제 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는 상기 코일의 직경이상의 치수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코일.
  10. 제 6항∼제 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팎코일의 중첩부는 서로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코일.
KR1019990006699A 1998-02-27 1999-02-27 단지형 코어를 사용한 면실장코일부품 및 그를 위한 복합코일 KR100312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61919 1998-02-27
JP6191998 1998-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3013A true KR19990073013A (ko) 1999-09-27
KR100312255B1 KR100312255B1 (ko) 2001-11-03

Family

ID=13185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6699A KR100312255B1 (ko) 1998-02-27 1999-02-27 단지형 코어를 사용한 면실장코일부품 및 그를 위한 복합코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617948B2 (ko)
EP (1) EP0939412B1 (ko)
KR (1) KR100312255B1 (ko)
DE (1) DE69917955T2 (ko)
TW (1) TW416067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928A (ko) * 2019-03-15 2020-09-23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KR20200110002A (ko) * 2019-03-15 2020-09-23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KR20200138133A (ko) * 2019-03-15 2020-12-09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KR20210006495A (ko) * 2019-03-15 2021-01-18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KR20220106100A (ko) * 2020-12-02 2022-07-28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3613A (ja) * 2000-09-14 2002-03-29 Tdk Corp xDSLモデムトランス用磁心材料
JP2003324017A (ja) * 2002-04-30 2003-11-14 Koito Mfg Co Ltd トランス
JP2003347129A (ja) * 2002-05-24 2003-12-05 Minebea Co Ltd 表面実装型コイル
US6847280B2 (en) * 2002-06-04 2005-01-25 Bi Technologies Corporation Shielded inductors
US7598837B2 (en) * 2003-07-08 2009-10-06 Pulse Engineering, Inc. Form-less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JP2005150425A (ja) * 2003-11-17 2005-06-09 Tdk Corp トランス、トランス用磁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36794B2 (ja) * 2004-11-16 2010-03-24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プレート部材、このプレート部材を用いた磁性素子および磁性素子の製造方法
US7816915B2 (en) * 2006-01-06 2010-10-19 Biosense Webster, Inc. Miniature coils on core with printed circuit
US7986208B2 (en) * 2008-07-11 2011-07-26 Cooper Technologies Company Surface mount magnetic component assembly
DE202006015611U1 (de) * 2006-10-11 2008-02-21 Vogt Electronic Components Gmbh Induktives Bauelement
CN101325122B (zh) * 2007-06-15 2013-06-26 库帕技术公司 微型屏蔽磁性部件
CA2655586C (en) * 2009-02-25 2017-09-05 Vladimir Walter Kukurudza Compact noise suppression circuit for small speakers
US8350659B2 (en) * 2009-10-16 2013-01-08 Crane Electronics, Inc. Transformer with concentric windings and method of manufacture of same
DE102010028157A1 (de) * 2010-04-23 2011-10-27 Würth Elektronik eiSos Gmbh & Co. KG Spulenkörper
CA2717411C (en) * 2010-10-12 2016-11-08 Vladimir Walter Kukurudza Ear canal earbud sound system
JP2012230972A (ja) * 2011-04-25 2012-11-22 Sumida Corporation コイル部品、圧粉インダクタおよびコイル部品の巻回方法
CN102881415B (zh) * 2011-07-11 2015-12-09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组合式绕线结构及磁性装置
TW201303927A (zh) * 2011-07-11 2013-01-16 Delta Electronics Inc 組合式繞線結構及磁性裝置
JP2013105796A (ja) * 2011-11-11 2013-05-30 Toko Inc コイル装置
US10840005B2 (en) * 2013-01-25 2020-11-17 Vishay Dale Electronics, Llc Low profile high current composite transformer
ES2548652B1 (es) * 2014-04-16 2016-06-02 Premo S.L. Dispositivo para la formación de una bobina toroidal y método para la formación de una bobina toroidal
CN104078212B (zh) * 2014-06-27 2016-09-28 深圳振华富电子有限公司 绕线式电子器件的封装结构及片式电感器
US9831768B2 (en) 2014-07-17 2017-11-28 Crane Electronics, Inc. Dynamic maneuvering configuration for multiple control modes in a unified servo system
CN105336484B (zh) * 2014-08-06 2018-05-01 上海电科电器科技有限公司 电流互感器
US9230726B1 (en) 2015-02-20 2016-01-05 Crane Electronics, Inc. Transformer-based power converters with 3D printed microchannel heat sink
US20160307692A1 (en) * 2015-04-16 2016-10-20 Pulse Electronics, Inc. Self-leaded inductive device and methods
WO2016176048A1 (en) 2015-04-28 2016-11-03 Parker-Hannifin Corporation Low profile miniature solenoid proportional valve
CN105489342B (zh) * 2016-01-14 2018-02-27 深圳顺络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d类功放用电感及其制作方法
KR20170118430A (ko) * 2016-04-15 2017-10-25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전자부품 및 그 제조방법
US10998124B2 (en) 2016-05-06 2021-05-04 Vishay Dale Electronics, Llc Nested flat wound coils forming windings for transformers and inductors
US9780635B1 (en) 2016-06-10 2017-10-03 Crane Electronics, Inc. Dynamic sharing average current mode control for active-reset and self-driven synchronous rectification for power converters
JP7160438B2 (ja) 2016-08-31 2022-10-25 ヴィシェイ デール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ルエルシー 低い直流抵抗を有す高電流コイルを備えた誘導子
US9742183B1 (en) 2016-12-09 2017-08-22 Crane Electronics, Inc. Proactively operational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US9735566B1 (en) 2016-12-12 2017-08-15 Crane Electronics, Inc. Proactively operational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JP6885092B2 (ja) * 2017-02-15 2021-06-09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コイル部品の製造方法
US9979285B1 (en) 2017-10-17 2018-05-22 Crane Electronics, Inc. Radiation tolerant, analog latch peak current mode control for power converters
CN110867311A (zh) * 2018-08-20 2020-03-06 广东理标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电感器及其制作方法
US10425080B1 (en) 2018-11-06 2019-09-24 Crane Electronics, Inc. Magnetic peak current mode control for radiation tolerant active driven synchronous power converters
US20200388435A1 (en) * 2019-06-10 2020-12-10 Crestron Electroncics, Inc. Inductor apparatus optimized for low power loss in class-d audio amplifier application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11948724B2 (en) 2021-06-18 2024-04-02 Vishay Dale Electronics, Llc Method for making a multi-thickness electro-magnetic device
JP1698765S (ko) * 2021-06-22 2021-11-01
TWI760275B (zh) * 2021-08-26 2022-04-01 奇力新電子股份有限公司 電感元件及其製造方法
EP4343794A1 (de) * 2022-09-26 2024-03-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Induktivität, verfahren zur simulation, computersystem, computerprogrammprodukt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41172A (en) 1957-09-24 1960-06-14 Essex Electronics Electrical winding construction
US3014190A (en) 1957-09-26 1961-12-19 Nytronics Inc Electrical winding construction
US3024433A (en) * 1958-02-14 1962-03-06 Nytronics Inc Electrical winding construction
US2972713A (en) * 1958-06-25 1961-02-21 Essex Electronics Circuit element construction
US3169234A (en) * 1959-08-17 1965-02-09 Coileraft Inc Coil form, and coils and transformers mounted thereto
US3629761A (en) 1970-05-01 1971-12-21 Motorola Inc Broadband high-frequency transformer
US3812443A (en) 1973-05-24 1974-05-21 Coilcraft Inc Stapled coil construction
CA1312360C (en) 1987-03-31 1993-01-05 Patrick Earl Burke Sensitive fault detection system for parallel coil air core reactors
US5134770A (en) * 1989-08-07 1992-08-0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fabricating a high-frequency transformer
JP2593101B2 (ja) 1990-06-08 1997-03-26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コイル装置
JPH05152138A (ja) 1991-11-28 1993-06-18 Tohoku Ricoh Co Ltd 高周波コア用ボビン
JPH06105471A (ja) 1992-08-06 1994-04-15 Toyota Autom Loom Works Ltd 電磁給電装置
CA2109652A1 (en) 1992-11-25 1994-05-26 Richard J. Becker Rotary transformer
US5705971A (en) 1993-05-14 1998-01-06 Allen-Bradley Company, Inc. Low leakage coaxial transformers
JPH07220950A (ja) * 1994-02-07 1995-08-18 Tdk Corp インダクタンス素子
JPH07245217A (ja) 1994-03-03 1995-09-19 Tdk Corp インダクタンス素子及び該素子用コイル
JPH09306757A (ja) 1996-05-14 1997-11-28 Sumitomo Special Metals Co Ltd 低背型コイル及び磁性製品
JP2978117B2 (ja) * 1996-07-01 1999-11-15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つぼ型コアを用いた面実装部品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928A (ko) * 2019-03-15 2020-09-23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KR20200110002A (ko) * 2019-03-15 2020-09-23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KR20200138133A (ko) * 2019-03-15 2020-12-09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KR20210006495A (ko) * 2019-03-15 2021-01-18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US11610725B2 (en) 2019-03-15 2023-03-21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component
US11837394B2 (en) 2019-03-15 2023-12-0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oil component
KR20220106100A (ko) * 2020-12-02 2022-07-28 삼성전기주식회사 코일 부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17948B2 (en) 2003-09-09
EP0939412A2 (en) 1999-09-01
US20020130752A1 (en) 2002-09-19
KR100312255B1 (ko) 2001-11-03
TW416067B (en) 2000-12-21
DE69917955T2 (de) 2005-06-23
EP0939412A3 (en) 1999-12-08
EP0939412B1 (en) 2004-06-16
DE69917955D1 (de) 2004-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2255B1 (ko) 단지형 코어를 사용한 면실장코일부품 및 그를 위한 복합코일
JP2978117B2 (ja) つぼ型コアを用いた面実装部品
US6225560B1 (en) Advanced electronic microminiature package and method
EP0025605B1 (en) Inductance device
US7612641B2 (en) Simplified surface-mount devices and methods
US6262649B1 (en) Power magnetic device employing a leadless connection to a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6239683B1 (en) Post-mountable planar magnet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5875541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electronic component
US6879238B2 (en) Configura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act high current inductor coil
WO2008008538A9 (en) Self-leaded surface mount inductors and methods
JPH0821505B2 (ja) 電子デバイ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101521A (ja) チップコイルおよびその実装基板
JPH11251164A (ja) 小型チョークコイル
US6535093B1 (en) Inductor
JP3197530B2 (ja) つぼ型コアを用いた面実装部品
US20210090793A1 (en) Inductor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ductor component
JPH06125236A (ja) Lcフィルタ
KR200203303Y1 (ko) 표면 실장형 파워 인덕터
CN113745002B (zh) 电子部件
KR20240009216A (ko) 인덕터
JPH08236356A (ja) 複合素子
JPH08306559A (ja) コイル部品
JPH08288147A (ja) 表面実装型チョークコイル
JPH02146706A (ja) チップインダクタ
JPS61121410A (ja) チツプ型コイル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