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2898A - 언로더 - Google Patents
언로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72898A KR19990072898A KR1019990006124A KR19990006124A KR19990072898A KR 19990072898 A KR19990072898 A KR 19990072898A KR 1019990006124 A KR1019990006124 A KR 1019990006124A KR 19990006124 A KR19990006124 A KR 19990006124A KR 19990072898 A KR19990072898 A KR 1999007289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ad
- belt
- conveying
- pulley
- dischar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NJPPVKZQTLUDBO-UHFFFAOYSA-N novaluron Chemical compound C1=C(Cl)C(OC(F)(F)C(OC(F)(F)F)F)=CC=C1NC(=O)NC(=O)C1=C(F)C=CC=C1F NJPPVKZQTLUDB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676 im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6—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ulk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65G65/16—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with rotary pick-up conveyors
- B65G65/22—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스크루피더(6)가 수직반송부(垂直搬送部)(4)에 대해서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스크루케이싱(6a)에 형성된 배출구(20)를 통하여 수직반송부(4)의 수용부(5)에 적하물을 보내는 언로더에 있어서, 스크루케이싱(6a)에 형성된 배출구(20)가 정상 설치위치에서의 스크루피더(6)의 배출날개(6a)의 옆쪽에서 스크루피더(6)의 승강 스트로크분 만큼 아래쪽으로 연장 설치되고, 수직반송부(4)에는 스크루케이싱(6a)의 외표면에 미끄러지게 설치되어 배출구(20)의 대략 하반분을 폐지하는 폐색(閉塞)케이싱(40)이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반송면이 겹쳐지도록 짐부림반송부(1)에서 하강(荷降)반송부(3)까지 연장 설치된 2개의 벨트컨베이어(13)를 갖고, 이 2개의 벨트컨베이어의 짐 배출단이 배출컨베이어(8)의 짐받는부분 근방까지 이어져 있음과 더불어 한쪽 벨트컨베이어의 짐 배출단이 다른쪽 벨트컨베이어의 짐 배출단에 대하여 상하로 어긋나 있고, 또한 각각의 벨트컨베이어의 짐 배출단을 구획하는 단부풀리(pulley)(18)(19)를 벨트구동풀리로 하였다.
상하반송부 선단 2중벨트컨베이어(12)의 2개의 단부풀리(23)(25)(36)는 서로 상하의 높이 위치가 어긋나 있고, 그 하측의 단부풀리(25)(36)는 전체로서 횡이동 가능하게 상하반송부(11)로 유지되어 있으며, 상하반송부(11)의 하부에 하측의 단부풀리(25)(36)의 횡이동 구동부(30)(37)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언로더(unloader)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선창(船艙)에서 석탄이나 곡물 등의 적하물(bulk cargoes)을 부리기 위한 언로더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언로더는 주행 프레임상에 선회대(旋回臺)를 선회가 자유롭게 탑재시켜, 선회대 위에 붐(boom)을 기복(起伏)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붐의 선단에 수직반송부(垂直搬送部)를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하여 수직반송부의 하단에 적하물(積荷物)의 수취부인 스크루피더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스크루피더는 원통형의 스크루케이싱 내에 스크루가 내장되어, 스크루를 회전시킴으로써 적하물을 스크루케이싱의 하단에서 들어올려 위쪽으로 반송하여 수직반송부에 있는 2개의 벨트를 합친 수용부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크루는 구동축에 나선상의 스크루날개와 그 상단에 설치된 패들(paddle)상의 배출날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배출날개의 바로 옆의 스크루케이싱에는 적하물을 수용부로 보내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에서는 고형(鼓形)의 상테일풀리(tail pulley)와 하테일풀리가 상하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상테일풀리에는 수직반송부 내를 순환하는 상벨트가 걸려있으며, 하테일풀리에는 수직반송부 내를 순환하는 하벨트가 걸려져 있어서, 이 2개의 벨트로 적하물을 사이에 끼워서 수직반송부 내를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이 2개의 벨트가 적하물을 끼워 잡는 부분이 수용부이다.
그런데 배는 안벽(岸壁)에 정박중이어도 바다의 파도에 요동되어 상하로 움직이고, 특히 겨울의 거친 날씨에는 배의 요동이 커지게 되어 스크루피더의 선단이 선저(船底)의 밀어올림을 받는 일이 있다. 이 때문에 스크루피더는 수직방향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수직반송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배가 크게 밀어올려져서 스크루피더의 배출날개와 배출구의 위치가 수직반송부의 수용부보다 높아지면, 배출날개에서 옆으로 부딪혀 나가떨어진 적하물이 수용부로 들어가지 않고 상테일풀리 등에 부딪혀서 외부로 날아 흩어지고 만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배의 요동에 의해서 스크루피더가 크게 밀어올려져도 확실하게 적하물을 수직반송부로 보낼수 있도록 한 언로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언로더는 예컨데 운반선으로부터 뱃짐을 내릴 경우에 선창 내의 적하물을, 그 적하물 내에 삽입된 수직반송부로부터 수평붐을 통하여 그 붐의 베이스(base)부에 연결된 하강부까지 반송하고, 거기에서 적당한 슈트를 통하여 지상측의 배출컨베이어상으로 낙하시키도록 되어 있다. 최근과 같이 선박이 대형화 해 가면, 연속언로더에 있어서 붐의 베이스부 위치를 높게할 필요가 있고, 그에 따라 붐과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고저차도 커지게 되어 그만큼 적하물의 낙하거리도 커지게 된다. 따라서 반송되는 적하물이 배출컨베이어에 충돌되었을 때에 파쇄될 위험이 있음과 더불어 큰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또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손상위험이 있고 분진의 발생도 많아지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붐컨베이어에서 배출컨베이어 상으로 적하물을 떨어뜨릴 때의 적하물의 파쇄 및 소음, 분진의 발생을 적게하는 구조의 연속언로더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평5-86940호 공보에 나타낸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면 붐컨베이어의 베이스부로부터 수직아래로 늘어진 하강부에 있는 제1벨트컨베이어의 반송면에 겹쳐지도록 제2벨트컨베이어를 하강부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설치하고, 이것에 의해서 상기 하강부에서의 적하물을 양 벨트컨베이어로 포위함과 더불어 이들 제1, 제2의 벨트컨베이어의 하단(짐 배출단)을 아래쪽 지상측 배출컨베이어의 극(極) 가까운 위치까지 연재시켜서 적하물의 낙하거리가 짧아지도록 하고 있다.
또, 일본국 특허공개 평7-267379호 공보에 나타낸 짐내리기 짐싣기 겸용 연속분립체 운반장치는 선창 내로 삽입되는 바다측 수직하부에서 수평한 붐을 거쳐서 육지측의 기둥형상부분까지 연속하여 2중 벨트컨베이어를 배치하고, 이것에 의하여 역U자형상의 트윈(twin)벨트식 반송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육지측 기둥형상부의 컨베이어 하단을 안벽(岸壁) 상면에 근접시키면서 그 상면을 따라서 옆방향으로 연장시킨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 구조에서 상기 2중 벨트컨베이어의 상기 기둥형상부의 한쪽 즉, 안벽 상면을 따라서 옆으로 연장된 양 컨베이어 하단의 하측에 위치하는 쪽을 상측의 컨베이어 단부보다 옆방향으로 길게 신장시키고, 그 하측 컨베이어의 노출부분에서 분립체의 짐을 배출, 혹은 짐을 거두어 들임으로써 상기 분립체의 짐내리기 짐싣기를 겸용으로 하고 있다. 안벽 상면을 따르는 컨베이어 하단은 선회동작을 하지 않고, 상기 육지측 기둥형상부와 상기 붐의 연속부분에서 선회하는 구조이므로, 상기 붐의 선회시에는 상기 육지측 기둥형상부의 벨트컨베이어는 상부로부터 하부 가까이에 걸쳐서 수직축선 주위로 뒤틀리도록 되어 있다.
앞에서 설명한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평5-86940호 공보에 기재된 연속언로더는 배출컨베이어에 가까운 적하물의 배출부에서는 2개의 벨트컨베이어 중첩시켜 반송되는 적하물을 덮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의 분진 발생은 방지되지만, 붐컨베이어의 위나 짐을 부리는 부분과 붐컨베이어의 접속부에서는 짐을 덮는 것이 없기 때문에 상기 배출부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서 분진이 발생한다. 또한 벨트컨베이어에서는 벨트의 전향풀리를 구동풀리로 하지만, 이 언로더에서는 전향풀리로 되는 배출부 하단의 벨트풀리가 중앙부에서 소직경으로 된 고형(鼓形)을 하고 있고, 또 축방향에 복수개로 분할되어 각각 회전이 자유롭게 축받이되어 있기 때문에 적하물을 에워싸는데는 유리하지만, 벨트 구동풀리로 할 수 없고, 벨트 복행측(復行側)의 벨트장력 조정기구에 인접한 전향풀리를 구동풀리로 하고 있기 때문에 벨트반송면에 부착한 적하물의 분체가 그 벨트와 함께 이 전향풀리에 휘감겨서 벨트가 미끄러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특허 공개 평7-267379호 공보의 짐내리기 짐싣기 겸용 연속분립체 운반장치는 육지측의 기둥형상부분을 구성하는 하강부(荷降部)의 하부 근처가 지상의 문형 구조체에 고정되고, 수평한 붐의 선회지점이 상기 기둥형상부분 상단의 회전대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기둥형상부분의 관형상기둥 내 수직인 벨트컨베이어의 뒤틀림 범위밖으로 상기 붐이 선회할 수 없다. 상기 기둥형상부분에 있는 벨트컨베이어의 뒤틀림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그 벨트컨베이어의 풀리군을 다수의 수평한 프레임으로 지지하고, 그 프레임의 주위 하면을 고정통체의 플랜지부에서 롤러 등을 통하여 회전지지하지 않으면 안되어 구조가 복잡하게 된다.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뒤틀림 동작으로 벨트의 수명도 짧아지고, 또 벨트의 뒤틀림부분에서의 분진의 발생이 있으며, 컨베이어 하단의 안벽 상면을 타고 뻗어가는 하측 컨베이어의 노출부분에서의 분진의 발생도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종래의 좋지 않은 사정을 없애고, 구동풀리가 적하물의 부착으로 미끄러지는 일이 없이 적하물을 부리는 반송경로의 전체길이에서 분진의 발생이 일어나지 않고, 또 짐의 파쇄나 소음의 발생 혹은 반송도중에서의 적하물의 줄어듬 등이 없는 언로더를 제공하는 것이 있다.
또한 적하물을 예를 들면 운반선에서 벨트컨베이어로 육지로 내리는 연속언로더 전용기 혹은 지상의 기내 컨베이어로 운반되어 오는 적하물을 선창(船艙)내로 방출하여 짐싣기하는 로더 전용기는 이미 두루 알려진 것이지만, 상황에 따라서 선창내 적하물의 짐부리기와 선창에 적하물의 짐싣기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는 종래 연속언로더의 본체 베이스부에서 상측부분을 떼어내고 특별히 준비한 쉽로더(ship loader)를 탑재하는 형태의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쉽로더는 옆방향 바다측으로 뻗은 선회가능한 붐과 그 붐의 선단에 착설(樞着)된 신축가능한 텔레스코슈트(telescopic chute)와, 그 붐상에 뻗어 걸친 벨트컨베이어를 갖고, 상기 벨트컨베이어벨트에서 보내어 오는 적하물을 상기 텔레스코슈트를 통해서 상기 선창내로 투하하도록 되어 있다.
또 수평반송부와 그 양단측에 수직반송부를 갖는 역U자형상dls 벨트컨베이어의 선단측부에 플로컨베이어(flow conveyor)로 이루어진 종형(縱形)의 수납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수납장치의 상측부와 하측부에 각각 언로더 배출구와 로더 배출구를 설치하며, 상기 로더 배출구에 문을 개폐가 자유롭게 설치하여 적하물의 짐부리기시에는 상기 수납장치의 언로더 배출구로부터 언로더용 호퍼를 통하여 그 수납장치에서 거두어들인 적하물을 상기 벨트컨베이어로 보내고, 짐싣기 시에는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역회전 동작으로 운반되어 온 적하물을 로더 배출구로부터 로더용 호퍼를 통하여 상기 수납장치로 보내 상기 수납장치의 하단에서 방출하는 구조의 연속식 언로더·로더 겸용기도 개시되어 있다(예컨데 실용신안 공개 평3-74529호 공보). 이 장치로 짐부리기 작업을 할 때에는 상기 문에 의해서 상기 로더배출구가 폐쇄된다.
앞에서 설명한 종래의 장치로 적하물의 짐싣기를 할 때에 언로더 본체 베이스부에 쉽로더를 설치하는 타입의 것은 언로더 작동부와 상기 쉽로더의 교환작업에 많은 수고를 요하고, 또 상기 쉽로더를 별도로 준비하여 두지 않으면 안되어 설비비용상 문제가 있다. 한편 언로더용 및 로더용 2개의 배출구를 갖는 상기 수납장치를 벨트컨베이어의 선단부에 설치한 상기 연속식 언로더·로더 겸용기는 짐부리기 및 짐싣기 작업도 상기 수납장치를 경유하여 적하물의 거두어들임, 보내기를 행하기 때문에 짐을 부릴 때 뿐만아니라 짐을 싣을 때에도 상기 플로컨베이어를 구동하여야 하므로 동력비가 비싸짐과 더불어 짐싣기 할 때 적하물의 방출이 부드럽게 되지 않아 상기 수납장치와 상기 로더 배출구 사이에서 짐이 막히게 되는 위험이 있고, 또 대량의 적하물 방출시에는 고속방출도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종래의 나쁜 점을 없애고 간단한 조작으로 적하물의 짐부리기와 짐싣기를 절환할 수 있고, 짐싣기할 때 적하물의 방출도 막힘 등을 일으키지 않고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구조가 간소하여 설비비도 줄일 수 있는 언로더를 제공하는 것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관한 언로더에서의 스크루피더(6)의 정상 설치위치에서의 송출작업(a도)과 스크루피더(6)가 밀어올려진 위치에서의 적하물(bulk cargoes) 송출작업(b도)의 설명도,
도 2는 스크루피더(6)와 수직반송부(4)의 측면도,
도 3은 적하물 송출구조의 확대측면도,
도 4는 도 3의 Ⅳ선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Ⅴ선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6는 도 3의 Ⅵ선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Ⅶ선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8은 도 3의 Ⅷ선 화살표 방향으로 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언로더의 전체측면도,
도 10은 도 9의 D부를 확대한 하강부(荷降部)의 일부를 절단한 부분적인 측면도,
도 11은 도 9의 D부를 확대한 하강부 하단의 벨트풀리 구동부 및 그 하강부의 선회프레임 아래쪽부분을 일부 절단한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A-A선 평면단면도,
도 13은 도 10의 화살표 (G)로 본 하강반송부의 기복붐 베이스부 및 변곡풀리의 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스크루피더장치 및 요동붐 하단부분을 나타낸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언로더의 전체측면도,
도 16은 적하물을 선창의 짐싣기 부분에서 육지측으로 짐부리기 할 때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한 상하반송부 하단의 단부풀리 및 스크루피더부의 확대측면도,
도 17은 도 16의 실시예에서 선창 내로 적하물을 짐쌓기 할 때의 확대측면도,
도 18은 도 16의 A-A선 단면도,
도 19는 도 16의 C-C선 부분단면도,
도 20은 도 16의 B-B선 단면도,
도 21은 적하물을 선창의 짐싣기 부분에서 육지측으로 짐부리기할 때의 상하반송부의 벨트컨베이어 하단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22는 도 21의 실시예에서 선창 내로 적하물을 짐쌓기 할 때의 확대측면도,
도 23은 도 21의 D-D선 단면도,
도 24는 도 21의 화살표 (E)로 본 부분적인 측면도이다.
제1발명의 언로더는 스크루피더가 수직반송부에 대해서 정상설치위치에서 상승이 자유롭고, 상승위치에서 정상설치위치까지 하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크루피더의 스크루케이싱에 형성한 배출구를 통해서 수직반송부의 수용부로 적하물을 보내는 언로더로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케이싱에 형성된 배출구가 정상설치위치에서의 스크루피더의 배출날개의 측방향으로부터 상기 스크루피더의 승강 스트로크분 만큼 아래쪽으로 길게 설치되고, 상기 수직반송부에는 상기 스크루케이싱의 외표면에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배출구의 하부를 닫는 폐색(閉塞)케이싱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의 언로더는 상기 수용부의 천정면과 양측면과 하면을 둘러싼 고무커버가 상기 수직반송부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천정면의 고무커버의 스크루케이싱측 끝테두리와 미끄럼 접촉하는 배출구 가이드판이 상기 배출구보다 윗쪽의 스크루케이싱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면 고무커버의 스크루케이싱측 끝테두리와 미끄럼 접촉하는 배출구측 판이 상기 배출구 양측방향의 스크루케이싱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 가이드판은 상기 스크루피더의 승강 스트로크에 알맞은 상하 길이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의 언로더는 상단을 지점으로 요동가능하게 하단이 쌓인 짐 내에 삽입되는 짐부림반송부와, 배출컨베이어의 짐받이부 윗쪽에 배치되고 수직축선 주위에 선회가능한 하강반송부와 상기 하강반송부(荷降搬送部)의 상단에 기복가능하게 유지되며, 상기 짐부림반송부와 상기 하강반송부를 연결하는 횡반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짐부림반송부로부터 상기 횡반송부를 거쳐서 상기 하강반송부까지 반송벨트를 뻗어 걸쳐서 역U자형상의 벨트컨베이어를 구성한 언로더에 있어서, 각각의 반송면이 겹쳐 지도록 상기 짐부림반송부에서 상기 하강반송부까지 연장하여 설치한 2개의 벨트컨베이어를 갖고, 그 2개 벨트컨베이어의 짐배출단이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짐싣기부 부근까지 연장됨과 더불어 한쪽 벨트컨베이어의 짐배출단이 다른쪽 벨트컨베이어의 짐배출단에 대해서 상하로 어긋나 있으며, 벨트컨베이어 각각의 짐배출단을 구획하는 단부풀리를 벨트구동풀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의 언로더는 상기 하강반송부가 상기 배출컨베이어에 근접한 고정통과, 그 고정통에 선회가 자유롭게 유지된 선회통과, 그 선회통 내에 지지프레임을 통해서 설치된 단부풀리 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짐배출단이 상기 선회통 내에 삽입되어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근방위치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선회통의 상부에 상기 횡반송부의 기복프레임이 기복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의 언로더는 선회프레임에 선회 및 기복동작 가능하게 유지된 횡반송부와, 그 횡반송부의 선단에 요동가능하게 착설된 상하반송부와, 상기 횡반송부의 베이스부에서 상기 상하반송부의 선단부까지 배설된 2중벨트컨베이어와, 상기 횡반송부의 베이스부 가까이에 있는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윗쪽에 설치된 적하물 공급부와, 상기 횡반송부의 베이스부 아래쪽에 설치된 적하물 배출부를 갖고, 상기 상하반송부 선단 상기 2중벨트컨베이어의 2개의 단부풀리는 서로 상하의 높이 위치가 어긋나 있고, 그 하측의 단부풀리는 전체로서 횡이동 가능하게 상기 상하반송부에 유지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반송부의 하부에 상기 하측 단부풀리의 횡이동 구동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발명의 언로더는 상기 상하반송부 하단의 하측 단부풀리가 그 상하반송부 하단의 상측 단부풀리에 대해서 상하로 거의 평행한 짐부리기 위치와, 그 하측 단부풀리측의 컨베이어벨트가 그 하측 단부풀리 부분에서 거의 수직으로 뻗은 짐싣기위치의 사이를 횡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발명의 언로더는 상기 횡이동 구동부가 상기 상하반송부에 있는 하측 단부풀리의 축지부를 지지하여 횡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축지부에 연결된 직동구동 실린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발명의 언로더는 상기 횡이동 구동부가 상기 상하반송부에 있는 하측 단부풀리의 축지부를 지지하고, 상단에서 그 상하반송부의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레버와, 그 레버를 추동(樞動)하는 추동구동실린더와, 상기 레버를 짐부리기 대응위치와 짐싣기 대응위치에 고정하는 위치결정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1의 발명에 의하면 배가 크게 요동하지 않을 때는 스크루피더가 수직반송부에 대해서 가장 강하(降下)된 정상설치위치에 있고, 배출구의 대략 상반쪽 부분은 수직반송부의 수용부에 대면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배출날개에서 적하물을 수용부로 보낸다. 또한 이 상태에서 폐색케이싱은 배출구의 약 하반쪽 부분을 덮고 있기 때문에 적하물이 외부로 날아 흩어지는 일이 없다. 배가 크게 요동하면 스크루피더가 밀어올려지지만, 그때 배출구 부분의 주위도 폐색케이싱에 대해서 미끄러져 움직이면서 상승하고, 배출구의 약 하반쪽 부분이 수직반송부의 수용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오기 때문에 적하물을 스크루피더로부터 수직반송부로 보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배가 크게 요동하게 되어도 적하물의 짐부리기를 속행할 수 있다.
청구항2의 발명에 의하면 고무커버와 배출구 가이드판 및 배출구측판에 의해 스크루케이싱과 수용부의 사이가 밀폐되어 있기 때문에 적하물이 외부로 날아 흩어지지 않고, 더구나 스크루피더가 상하로 승강하여도 배출구 가이드판과 배출구측판은 상기 고무커버와 미끄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배출구의 윗쪽이나 양측방에서의 적하물의 외부로의 날아 흩어짐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3의 발명에 의하면 하강반송부에 있는 벨트컨베이어의 단부풀리가 구동풀리로 되어 있고, 그 단부풀리는 벨트의 짐 반송면의 안쪽면과 접촉하기 때문에 벨트로 조여져서 반송되는 적하물이 단부풀리에 부착되는 일이 없어 종래에 문제가 되어 왔던 구동풀리의 미끄러짐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 단부풀리를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게 하고 있기 때문에 적하물을 용이하게 벨트컨베이어 단부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다. 적하물은 기복붐의 베이스부에서 하강반송부까지 연속하여 벨트반송되어 종래와 같이 이 사이에 슈트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기복붐 베이스부에서의 분진발생이 없고 또 슈트의 짐막힘이나 슈트부분에서의 소음이 없게 된다. 하강반송부 벨트컨베이어의 단부는 배출컨베이어의 근방위치까지 연장되어져 있고, 또 슈트를 통하지 않고 직접 배출컨베이어상으로 짐을 배출하기 때문에 짐의 낙하에 의한 파쇄나 소음, 분진의 발생이 방지된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기복붐의 선회동작도 하강반송부 하부의 통형상 프레임에 지지된 통형상의 선회프레임과 더불어 벨트컨베이어, 단부풀리의 구동장치 및 기복붐 등이 일체로 선회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선회동작을 매우 부드럽게 할 수 있다. 적하물은 추적부(推積部)의 짐부림반송부에서 하강반송부까지 연속된 체인벨트컨베이어로 반송되고, 그 사이에 수도(受渡)부와 같은 중단부분이 없기 때문에 전체로서 분진의 발생이 적고, 소음도 줄어든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낱개형상의 하물(荷物)의 짐부리기와 짐싣기를 벨트컨베이어를 역전시키는 것으로 원활하게 행할 수 있어 종래의 언로더로 짐쌓기시에 쉽로더를 설치하는 것에 비해 매우 경제적이다. 또한 짐부리기, 짐싣기시의 절환조작도 벨트컨베이어 하단의 한쪽측의 단부풀리를 이동시키는 횡이동 구동장치의 조작과, 가역벨트 구동모터의 스위치절환조작만으로 되어 매우 간단하고 또 신속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하측 단부풀리를 짐부리기 위치와 짐싣기 위치의 사이로 이동시킴으로써 적하물의 거두어 들임도 적하물의 배출도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좋은 로우딩, 언로우딩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가동측의 컨베이어 단부풀리가 가이드레일(직동 단부풀리)에 의해서 위치고정되기 때문에 짐부리기 짐싣기시 모두 단부풀리의 위치 어긋남이 없어 안정된 반송작업을 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가동측의 컨베이어 단부풀리가 위치결정핀(선회단부풀리)에 의해서 위치고정되기 때문에 짐부리기, 짐싣기시 모두 상기 단부풀리의 위치어긋남이 없어 안정된 반송작업을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2에 기초하여 스크루피더(6)와 수직반송부(4)의 개략구조를 설명한다.
수직반송부(4)에 있는 프레임(10)의 하단에는 지지프레임(11)이 핀(12)을 통해서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프레임(11)의 측방에는 피더지지프레임(13)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11)에는 고형(鼓形;북모양)의 상테일풀리(7a)와 하테일풀리(7b)가 회전이 자유롭게 축받이되어 있다.
상벨트(8a)와 하벨트(8b)는 각각 상기 상테일풀리(7a)와 하테일풀리(7b)에 감겨 걸려있고, 그 부분에서 종래기술과 같은 수용부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상벨트(8a)와 하벨트(8b)는 수직반송부(4) 내를 윗쪽으로 인도되어 순환되도록 배치되고, 적하물을 2개의 벨트(8a)(8b)에 끼워서 윗쪽으로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직반송부(4)의 상단에서는 붐(3) 내의 컨베이어에서 적하물을 운반하거나 또는 상기 벨트(8a)(8b)를 붐(3)의 기단부(基端部)로 연장시켜 벨트(8a)(8b)로 적하물을 반송하도록 하여도 된다. 붐(3)에서 앞은 주지의 슈트 등을 사용하여 지상측으로 반송된다.
상기 스크루피더(6)는 그 스크루케이싱(6a)에 설치한 긴볼트(61)를 상기 피더지지프레임(13)에 관통시키고, 스크루케이싱(6a)에 설치한 레일(62)을 상기 피더지지프레임(13)에 설치한 레일가이드(63)로 안내시켜 수직반송부(4)에 대하여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승강기구는 상기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임의의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상기 승강기구에 의한 승강스트로크는 예컨대 약 500㎜로 바다가 거칠어져 배가 크게 요동하여도 그것에 의한 스크루피더(6)의 밀려올라감을 대부분 흡수할 수 있는 크기로 하고 있다.
상기 스크루피더(6)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원통형상의 스크루케이싱(6a) 내에 모터 등으로 회전되는 스크루(6b)를 넣은 것이고, 스크루(6b)는 구동축에 둘러감은 나선상의 스크루날개(6c)와, 패들상의 배출날개(6d)를 상단에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루케이싱(6a)의 하단에 모터 등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굴삭동(掘削胴)(64)에는 적하물을 떨어뜨리는 갈퀴봉(65)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갈퀴봉(65)은 반경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여 갈퀴 반경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의 (a)도 및 도 2에 나타낸 스크루피더(6)는 배바닥에서 밀어올려지고 있지 않은 최하강위치에 내려져 있는 정상설치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스크루피더(6)가 배바닥에서 밀어올려지면 도 1의 (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루피더(6)가 상승하게 된다.
다음에 도 3 내지 도 8을 참조로 스크루피더(6)로부터 수직반송부(4)로의 적하물 송출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루케이싱(6a)에는 배출구(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출구(20)는 스크루피더(6)가 정상설치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스크루(6b)의 배출날개(6d)가 수용부(5)를 향해서 적하물을 배출하는 위치와 크기를 갖추고, 그 개구 부분이 스크루피더(6)의 승강스트로크인 약 500㎜만큼 아래쪽으로 내린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으며, 그 폭은 스크루케이싱(6a)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정도이기 때문에 평면으로 볼 때에는 원호상(圓弧狀)으로 개구되어 있다.
또한 스크루케이싱(6a)은 외통(66)과 그 내측의 라이닝(67)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20)의 양측방에는 배출구(20)의 측방을 덮는 배출구측판(21)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배출구측판(21)은 장방형의 판상부재이다.
또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루케이싱(6a)에 있어서의 배출구(20)의 윗쪽에는 평판상의 배출구 가이드판(22)이 설치되어 있다.
도 5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테일풀리(7a)와 하테일풀리(7b)는 모두 고형(북모양)의 풀리이고, 상벨트(8a) 및 하벨트(8b)는 각 테일풀리(7a)(7b)에 따라서 중앙부가 오목하게 만곡되어 적하물을 끼우도록 되어 있다.
도 3 및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상테일풀리(7a) 및 하테일풀리(7b)를 축받이한 지지프레임(11)에는 수용부(5)를 둘러싼 고무커버(31)(32)(33)와, 상기 배출구(20)의 하반쪽 부분을 폐색하는 폐색케이싱(4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무커버(31)(32)(33)는 수용부(5)를 거의 완전하게 밀폐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벨트(8a)(8b)와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벨트(8a)(8b)의 마모를 방지할 목적으로 판상의 고무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무커버(31)는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5)의 양 사이드에 배치되어 철판제의 지지판(31a)으로 표리(表裏) 양면으로 끼워져 유지되고, 설치브래킷(31b)을 통해서 피더지지프레임(13)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고무커버(31)는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면중 우측의 끝테두리가 수용부(5)에 있는 상벨트(8a)와 하벨트(8b)에 접촉하고, 도면중 좌측의 끝테두리 윗쪽부분이 배출구 가이드판(22)의 표면에 직각으로 접촉하여 끝테두리의 아래쪽부분이 배출구측판(21)의 외측에서 평행하게 접촉하고 있다.
상기 고무커버(32)는 도 7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5)의 천정면에 배치되어 지지판(32b)과 앵글재(32c)로 끼워져 유지되고 앵글재(32c)로 지지프레임(11)에 설치되어 있다.
또 이 고무커버(32)는 도면중 우측의 끝테두리가 상벨트(8a)의 표면에 접촉하고, 도면중 좌측의 끝테두리가 배출구 가이드판(22)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다.
상기 고무커버(33)는 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5)의 하면에 배치되어 지지판(33b)과 앵글재(33c)로 끼워져 유지되고, 앵글재(33c)로 지지프레임(11)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고무커버(33)는 도면중 우측의 끝테두리가 하벨트(8b)의 표면에 접촉하고 있다.
상기 폐색케이싱(40)은 도 3 내지 도 4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20)의 대략 하반쪽 부분을 덮는 부재이고, 상기 앵글재(33c)에 의해서 지지프레임(11)에 설치되어 있다. 결국 이 폐색케이싱(40)은 수직반송부(4)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는 부재이다. 이 폐색케이싱(40)은 배출구(20) 길이의 반 보다 약간 길고, 평면으로 볼 때에는 만곡된 부재이고, 배출구(20) 주위 케이싱(6a)의 외표면에 미끄럼 접촉하고 있다. 또, 도 7에서는 배출구측판(21)의 도시(圖示)를 생략하였기 때문에 배출구(20)와 폐색케이싱(40)의 사이에 간격이 있는 것 같이 보이지만, 실제로는 배출구측판(21)에 의해서 막혀 있다. 또한 폐색케이싱(40)의 하단에는 고무제의 실(seal)재(41)가 설치되어 있어서 스크루케이싱(6a)과의 밀착성을 높여 적하물의 날아 흩어짐을 방지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부(5)의 양측방과 상,하면이 고무커버(31)(32)(33)로 둘려싸여 배출구(20)와 고무커버(31)(32)(33)의 사이는 배출구측판(21)과 폐색케이싱(40)으로 덮여져 있기 때문에 스크루피더(6)로부터 2개의 벨트(8a)(8b) 사이의 수용부(5)로 적하물을 외부로 날아 흩어지게 하는 일 없이 보내는 것이다.
도 1의 (a)도는 스크루피더(6)가 배바닥과 밀어올림을 받고 있지 않은 정상설치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폐색케이싱(40)은 배출구(20)의 대략 하반쪽 부분을 폐색하고 있고 배출날개(6c)는 배출구(20)의 상반쪽 부분을 통해서 2개의 벨트(8a)(8b)와 합쳐지는 곳인 수용부(5)와 마주보고 있기 때문에 배출날개(6d)에 의해서 적하물을 수용부(5)로 보내게 된다.
그리고 스크루피더(6)는 배바닥의 밀어올림을 받아서 크게, 예를 들면 약 500㎜위로 상승하였을 때는 도 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구(20)도 상승하지만, 이때 배출구(20)의 하반쪽 부분을 통하여 스크루날개(6c)의 상부가 수용부(5)와 마주보기 때문에 스크루날개(6c)에 의해서 적하물이 2개의 벨트(8a)(8b) 사이의 수용부(5)로 보내어진다. 배출구(20)의 상반쪽 부분은 상테일풀리(7a)와 마주보는 위치에 있지만, 배출구(20)의 하반쪽 부분에서 적하물이 수용부(5)로 보내어지기 때문에 상테일풀리(7a) 부근에 적하물이 날려서 외부로 적하물이 낙하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배가 크게 요동하여 스크루피더(6)가 크게 상하로 움직여도 적하물을 외부로 날아 흩어지게 하지 않고 수직반송부로 적하물을 보낼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언로더의 전체측면도이다. 안벽상(岸壁上)을 주행하는 문형본체(門形本體)(104)의 상부에 적하물의 하강반송부(荷降搬送部)(103)가 그 문형본체(104)에 대해서 선회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하강반송부(103)의 상단에는 접안된 배(106)를 향해서 신장하는 횡반송부(102)가 기복가능하게 착설되어 있다. 횡반송부(102)의 선단에는 선창 내에 삽입되는 짐부림반송부(101)가 그 상단을 지점(支點)으로 상기 횡반송부(102)의 축선을 포함하는 수직면 내에서 요동할 수 있도록 착설되어 있다. 105는 횡반송부(102)와 하강반송부(103)의 사이에 장착된 횡반송부 기복구도용 실린더, 107은 횡반송부(102)와 짐부림반송부(101)의 사이에 장착된 짐부림반송부 요동구동용 실린더이다.
또한 하강반송부(103)의 하단에 근접하여 육지측으로 뻗은 배출컨베이어(108)가 문형본체(104)에 설치되어 있고, 이 배출컨베이어(108)의 선단 하측에 지상컨베이어(기내컨베이어)(109)가 설치되어 있다. 또 배출컨베이어(108)는 도시한 바와 같이 문형본체(104)의 상부프레임에 덮여지도록 그 프레임 내에 배치되어 있다.
횡반송부(102)는 후술하는 벨트컨베이어를 운반 및 지지하는 기복붐(110)을 갖는다. 이 기복붐(110)은 그 베이스부가 하강반송부(103)의 선회프레임(후술)에 연결되고 또 선단부에는 짐부림반송부(101)의 요동붐(130)이 착설되어 있다. 그리고 짐부림반송부(101)의 선단에서 횡반송부(102)를 거쳐 하강반송부(103)의 하단까지 연속하여 2개의 벨트컨베이어가 서로의 벨트반송면을 겹치도록 하여 설치되고, 그에 따라 전체로서 역U자형상의 체인벨트식 적하물 반송로가 구성된다. 짐부림반송부(101)의 벨트컨베이어 하단에 근접하여 그 짐부림반송부(101)로 선창 내의 적하물을 들여보내는 스크루피더장치(F)가 착설되어 있다.
도 10, 도 11은 도 9의 D부를 확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며, 특히 도 10은 하강반송부의 부분적인 측면도, 도 11은 상기 하강반송부(103) 하단의 벨트풀리 구동부 및 그 하강반송부의 선회프레임 아래쪽 부분의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A-A선에 따른 평면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여 하강반송부(103)의 구조를 설명한다면, 문형본체(104)상에는 통형상프레임(112)이 설치되어 그 접속부에 개구부(104a)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104a)의 바로 아래에 배출컨베이어(108)의 짐받이단부(108a)가 위치하고 있다. 통형상프레임(112)에는 축받이(114)를 통해서 선회가능하게 선회프레임(115)이 지지되어 있고, 그 선회프레임(115)의 하단 내측에는 하강반송부 벨트컨베이어(113)을 통과하기 위한 삽통구멍(116a)을 갖는 단판(116)이 고착되어 그 단판(端板)(116)상에 축받이브래킷(117)을 통해서 2개의 벨트컨베이어(113) 각 단부풀리(118)(119)가 축받이 지지되어 있다. 이들 2개의 단부풀리(118)(119)는 도 10, 도 11에 명시한 바와 같이 서로 상하 방향의 높이위치가 어긋나 있고, 단판(116)상에는 각각의 단부풀리(118)(119)를 회전구동하는 구동장치(120)(121)가 설치되어 있다. 단판(116) 및 각 벨트컨베이어(113)의 단부풀리(118)(119)의 위치는 배출컨베이어(108)에 가까운 위치에 있으며, 배출컨베이어(108)의 상면에 근접한 위치에서 단부풀리(118)(119)의 근방 위치까지 벨트컨베이어(113)의 하단부가 방진커버(122)로 포위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벨트컨베이어(113)의 벨트 안쪽면(반송면의 안쪽)에 벨트컨베이어(113)의 구동풀리의 표면을 접촉시킴으로써 벨트와 구동풀리의 미끄러짐을 조금이라도 적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 구동풀리로서는 구동원도 필요하게 되므로 조금이라도 문형본체(104)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요동붐(130)의 선단에 설치하는 경우는 요동붐(130)과 기복붐(110)을 튼튼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들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는 곳은 적하물의 배출단측인 단부풀리(118)(119)가 있는 곳이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단부풀리(118)(119)의 높이위치를 어긋나게 함으로써 벨트컨베이어(113)로 끼운 적하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통형상의 선회프레임(115)의 상부에는 장대형상의 프레임 지지기둥(123)이 고착되고, 이 프레임 지지기둥(123)의 상단에는 프레임 베이스핀(base pin)(124)을 통하여 기복붐(110)의 베이스부(110a)가 기복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지지기둥(123) 상단에 바람직하게는 붐 베이스핀(124)과 동심상(同芯狀)으로 고형(북모양)의 풀리(125)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기복붐(110)상에 설치된 2개의 벨트컨베이어(113)의 각 벨트 주행측이 이 고형풀리(125)에 겹쳐져 휘감기고, 여기에서 그 벨트의 상기 주행측이 서로 겹쳐진 상태에서 수직아래로 늘어져 각각 단부풀리(118)(119)를 거쳐 복행(復行)경로로 상승한다. 이 복행측의 벨트는 장대형상 붐지지기둥(123)의 베이스에 축받이된 각각의 풀리(126)에서 텐션풀리(127)를 거쳐 기복붐(110)상의 복행경로로 연장된다. 상기 붐지지기둥(123) 선단의 고형풀리(125)에서 상기 단부풀리(118)(119)에 이르는 부분에서는 짐의 넘쳐흐름을 방지하기 위해서 겹친 각 벨트의 양사이드에 복수개의 롤러(128)가 새떼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텐션풀리(127)에는 추(129)가 설치되어 이 추(129)에 의해서 벨트에 항상 적절한 장력이 주어지도록 텐션풀리(127)가 상하로 변위하게 된다.
기복붐(110)상에 상하로 겹쳐진 이중 벨트컨베이어(113)는 기복붐(110)의 선단의 풀리(도시 생략)를 거쳐서 그 붐 선단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어 늘어진 짐부림반송부(101)의 요동붐(130)을 따라 그 요동붐(130)의 하단까지 뻗어 있고, 요동붐(130)의 하단에는 적하물의 짐을 긁어 올려서 요동붐(130)의 벨트컨베이어(113)로 거두어들이기 위한 스크루피더장치(F)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스크루피더장치에 대해서 요동붐 하단의 구조와 더불어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요동붐(130)의 하단에 핀(131)을 통해서 단부풀리 지지프레임(132)이 착설되고, 이 지지프레임(132)에 2개의 벨트컨베이어(113)의 짐부림반송부측 단부풀리(133)(134)가 상하로 나란히 축받이되어 있다. 여기서 하측의 단부풀리(133)에 휘감겨진 벨트(111a)는 상기 기복붐(110)상에서는 겹쳐진 2개의 벨트컨베이어(113)의 하측 컨베이어에 연결된 벨트이고, 상측의 단부풀리(134)에 휘감겨진 벨트(111b)는 기복붐(110)상의 상측 벨트컨베이어에 연결된 벨트이다. 요동붐(130)의 2개의 벨트컨베이어(113)도 그 겹쳐 모아진 부분에서는 벨트 양사이드에 복수개의 롤러(135)가 새떼형상으로 배치되고, 또 롤러(136) 및 벨트지지롤러(137)에 의해서 도시한 형상의 컨베이어 앞쪽부분을 형성하고 있다. 상하의 단부풀리(133)(134)로 나누어지는 한쪽 틈부분이 적하물의 수입구(138)가 된다.
요동붐(130)의 하단에 지지된 단부풀리 지지프레임(132)의 측부에 상기 단부풀리(133)(134)의 수입구(138)에 인접하여 피더 지지프레임(139)이 연결되어 있다. 스크루피더장치(F)의 본체를 이루는 외통(150)이 상기 피더 지지프레임(139)으로 유지되고, 이 외통(150)의 중도부에 벨트컨베이어측의 적하물 수입구(138)를 향해서 연접된 짐송출구(151)가 설치되어 있다. 외통(150) 내에는 스크루날개(152a)를 갖는 스크루축(152)이 배치되어 있고, 스크루축(152)은 그 윗부분이 축받이를 통해서 외통(150)에 지지되어 있으며, 외통(150)의 상부 외주에 설치된 스크루축 구동용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회전구동된다. 외통(150)의 아랫부분에는 굴삭플레이트(153)를 갖는 굴삭동(155)이 턴테이블베어링(turn-table bearing)(156)을 통해서 지지되어 있고, 굴삭동(155)은 외통(150)의 아래부분에 브래킷(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설치된 굴삭동구동용 유압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스크루축(152)의 회전방향에 대해서 역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선창 내의 적하물(140)이 굴삭동(155)의 짐 취입구(157)에서 스크루날개(152a)를 향해서 거두어 들여진다.
요동붐(130)의 하측부와 피더지지프레임(139)의 사이에 자세유지 실린더(158)가 착설되어 있다. 자세유지실린더(158)의 작동으로 짐부림반송부측 단부풀리(133)(134) 및 스크루피더장치(F)는 단부풀리 지지프레임(139)를 통해서 핀(131)의 주위로 요동붐(130)에 대하여 요동가능하고, 그에 따라 예를 들면 기복붐(110)의 양각이 변동하여도 스크루피더장치(F)가 수직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요동붐(130)의 벨트컨베이어(113)의 하단으로 짐을 거두어 들이는데는 반드시 상기 실시예와 같은 스크루피더장치일 필요는 없고, 패들형 피더 그 외의 적당한 짐갈퀴장치, 짐송입장치 등 추적된 적하물을 거두어 들여서 벨트컨베이어(113)의 단부풀리(133)(134) 사이로 보내는 장치이면 어느 것도 채용가능하다. 또 문형본체(104)에 통형상 프레임(112)을 설치하였지만, 문형본체(104)에 직접 슬러스트축받이(114)를 설치하여도 된다.
스크루피더장치(F)의 짐송출구(151)에서 요동붐(130)에 있는 벨트컨베이어(113) 하단의 수입구(138)로 보내어진 적하물은 2개의 벨트컨베이어(113)의 벨트 사이에 끼워져서 그 벨트의 회동으로 상승하고, 요동붐(130)에서 기복붐(110)으로 벨트반송되며, 기복붐 베이스부(110a)를 거쳐서 선회프레임(115) 및 그 아래쪽의 통형상 프레임(112) 내의 벨트컨베이어(113)에 의해서 하강반송부(103)를 하강하고, 그 벨트컨베이어(113)의 단부풀리(118)(119) 위치에서 배출컨베이어(108)상으로 배출되어 지상컨베이어(109)로 보내진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언로더의 전체측면도이다. 안벽상(岸壁上)에 통형상 받침대(支柱)(201)가 설치되고, 그 받침대(201)의 상부에 선회장치(202)를 통해서 선회프레임(203)이 설치되어 있다. 선회프레임(203)의 상단에는 횡반송부(210)의 기복붐(205)이 그 선회프레임(203)에 대하여 기복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선회프레임(203)의 베이스부와 기복붐(205)의 사이에 장착된 기복구동실린더(208)에 의해서 횡반송부(210)가 기복동작 하도록 되어 있다. 기복붐(205)의 선단에는 상하반송부(211)의 요동붐(206)이 연결되고, 기복붐(205)과 요동붐(206)의 사이에 장착된 요동구동 실린더(207)에 의해서 요동붐(206)이 요동함에 따라서 상하반송부(211)가 기복붐(205)의 선단을 지점(支點)으로 요동동작한다.
요동붐(206)의 선단에서 기복붐(205)의 베이스부 근방에 걸쳐서 2개의 벨트컨베이어가 벨트반송면을 겹쳐서 설치되어 있고, 또 이 요동붐(206) 선단에 있는 2중벨트컨베이어(212)의 단부풀리에 인접하여 스크루피더부(F)가 단부풀리 유지프레임을 통해서 설치되어 있다. 요동붐(206)과 상기 2중벨트컨베이어(212) 및 스크루피더부(F)에 의해서 본 실시형태의 상하반송부(211)가 구성되고, 기복붐(205)과 상기 2중벨트컨베이어(212)에 의해서 횡반송부(21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하반송부 하단의 단부풀리 및 스크루피더부(F)에 대해서는 도 16 이하를 참조하여 뒤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횡반송부(210)상 2중벨트컨베이어(212)의 하측 컨베이어(216)는 상측 컨베이어(217) 보다도 후방으로 길게 늘어나 있어서 하측 컨베이어(216) 후단부의 벨트반송면(216a)은 윗쪽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 하측 컨베이어(216)의 노출반송면(216a)의 윗쪽위치에 적하물 공급슈트(218)가 배치되고, 그 적하물 공급슈트(218)의 상측쪽에 짐싣기용 지상벨트컨베이어(219)의 선단부가 삽입되어 있어서 적하물의 짐싣기시에는 지상벨트컨베이어(219)에서 보내온 적하물이 상기 적하물 공급슈트(218)에서 하측 컨베이어(216)의 벨트반송면(216a)상으로 투여되어 상측 및 하측컨베이어(217)(216)의 짐싣기 방향으로의 벨트회동으로 2중벨트컨베이어(212) 사이에 거둬들여져서 상하반송부(211)측으로 보내진다. 또한 하측 컨베이어(216)의 노출반송면(216a) 즉, 짐싣기 적하물의 공급부는 상기 적하물 공급슈트(218)의 하부에 설치한 스커트(skirt)부(220)에 의해서 덮여져서 그 슈트(218)로부터 투여되는 적하물이 측방으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려되어 있다. 상측 및 하측의 벨트컨베이어(217)(216)에는 각각 벨트장력조정장치(222)(221)가 설치되어 있다.
통형상 받침대(201) 내에는 짐부림되는 적하물의 짐부림 벨트컨베이어(244)가 삽입되고, 또 그 받침대(201)내 짐부림 벨트컨베이어(244)의 짐받는 부분 윗쪽에 짐부림슈트(24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짐부림슈트(245)의 상부는 선회장치(202)의 중심관통 개구부로 향하고, 또 상기 2중벨트컨베이어(212)의 하측 컨베이어(216)의 후단에 인접하여 선회프레임(203) 상단의 기복붐 추지점(樞支点)(205a)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의 만곡슈트(246)가 그 기복붐(205)에 설치되어 있다. 이 만곡슈트(246)의 하단에는 통형상 받침대(201) 내의 짐부림슈트(245)의 상부에 연결되는 경사슈트(247)의 상단이 유삽(遊揷)되어 있다. 기복붐(205)의 기복동작에 따라서 상기 만곡슈트(246)의 하부는 경사슈트(247)에 삽입된 상태 그대로 기복붐 추지점 주위를 상하로 회동한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반대로 2중벨트컨베이어(212)의 배출 방향의 벨트회동으로 2중벨트컨베이어의 후단측(기복붐 베이스측)으로 보내어진 적하물은 그 하측컨베이어(216)의 노출반송면(216a)에서 만곡슈트(216)로 낙하되고, 경사슈트(217) 및 통형상 받침대(201) 내의 짐부림슈트(245)를 통해서 짐부림용 벨트컨베이어(244)상으로 배출되고, 그 컨베이어(244)에 의해서 지상측으로 보내진다. 또한 경사슈트(247)는 선회프레임(203)에 지지되어 있고 기복붐(205)의 선회시에는 경사슈트(247)도 선회프레임(203)과 더불어 만곡슈트(246) 및 기복붐(205)과 일체로 선회하지만, 경사슈트(247)의 하부는 선회장치(202)의 상기 중심관통 개구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선회동작에 지장은 없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관한 상하반송부 하단의 단부풀리 및 스크루피더장치(F)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고, 특히 도 16은 적하물을 선창의 짐싣기 부분에서 육지측으로 짐부리기를 할 때의 확대측면도, 도 17은 선창 내로 적하물을 쌓을 때의 확대측면도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기복붐(205)상에 겹쳐진 2중벨트컨베이어(212)는 기복붐(205) 선단의 변곡풀리(도시 생략)를 거쳐서 그 붐(205)의 선단에서 수직아래로 늘어진 요동붐(206)을 따라서 그 하단까지 뻗어져 있다. 이 2중벨트컨베이어(212) 하단의 벨트 되돌리기부가 되는 2개의 단부풀리는 정치(定置)단부풀리(223)와, 그 아래쪽에 위치하는 직동단부풀리(225)로 구성된다. 요동붐(206)의 하단에 핀(226)을 통해서 상기 정치단부풀리(223)의 지지프레임(227)이 착설되고, 이 지지프레임(227)에 정치단부풀리(223)가 축받이되어 있다. 정치단부풀리 지지프레임(227)의 하측에 직동단부풀리(225)의 지지프레임(228)이 고착되어 있다.
도 18은 도 16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6의 C-C선에 따른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직동단부풀리 지지프레임(228)은 그 내측의 상하 대향변에 가이드레일(229)이 형성되고, 직동단부풀리(225)의 축받이부(225a)가 이 가이드레일(229)을 따라서 횡방향으로 직접 이동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직동단부풀리 지지프레임(228)의 한쪽측부에 직동단부풀리 이동용 유압실린더(230)가 설치되고, 그 피스톤로드(231)는 직동단부풀리(225)의 축받이부(225a)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유압실린더(230)의 탄성에 의해 직동단부풀리(225)는 상기 축받이부(225a)를 통하여 횡방향으로 이동하고, 피스톤로드(231)의 수축상태에서 직동단부풀리(225)는 정치단부풀리(223)에 대해서 거의 상하로 나란한 위치를 차지하고, 이것이 선창 내 적하물의 배출, 결국 짐부리기시의 상태이고, 이 위치에서 정치단부풀리(223)와 직동단부풀리(225)의 사이에 한쪽측 틈부분이 형성되어 적하물의 수입구(232)로 된다(도 2).
상기 유압실린더(230)의 탄성에 의해서 피스톤로드(231)가 최대 신장위치에 오면, 직동단부풀리(225)는 정치단부풀리(223)의 수직중심위치에서 측방으로 어긋난 상태로 되어 직동단부풀리(225)에서 되돌려지는 그 풀리근방의 켄베어벨트(233)가 거의 상하 수직상태로 되어서 적하물의 화물을 쌓고, 결국 2중벨트컨베이어(212)로 끼워져서 보내 오는 적하물의 방출시 상태로 된다(도 17). 2중벨트컨베이어(212)의 벨트회동방향은 짐부리기시와 쌓기시에서 역방향으로 되는 것은 물론이다. 짐부리기시 및 짐싣기시의 벨트 회동방향은 각각 도 16 및 도 17에 화살표로 나타냈다. 또 도 16, 도 17 및 도 20, 도 21, 도 22에서 적하물의 흐름방향을 검게 칠한 화살표로 나타냈다.
도 20은 도 16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6, 도 20을 참조하면, 요동붐(206)의 하단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된 정치단부풀리 지지프레임(227)의 측부에 상기 정치 및 직동의 양 단부풀리(223)(225) 사이의 수입구(232)에 인접하여 스크루피더장치(F)의 본체를 이루는 외통(250)이 유지되고, 이 외통(250)의 중도부에 벨트컨베이어측의 적하물 수입구(232)를 향해서 연접된 짐 송출구(251)가 설치되어 있다. 외통(250) 내에는 스크루날개(252a)를 갖는 스크루축(252)이 배치되고, 그 스크루축(252)은 그 윗부분이 축받이(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외통(250)에 축받이되며, 외통(250)의 상부 외주에 설치된 스크루축 구동용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회전구동된다. 외통(250)의 아랫부분에는 굴삭블레이드(253)를 갖는 굴삭동(255)이 턴테이블베어링(256)을 통해서 지지되어 있다. 굴삭동(255)은 외통(250)의 아랫부분에 브래킷(도시하지 않음)을 통하여 설치된 굴삭동 구동용 유압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스크루축(252)의 회전방향에 대해서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선창 내의 적하물(240)이 굴삭동(255)의 짐 취입구(257)에서 스크루날개(252a)로 향하여 거둬들여진다.
요동붐(206)의 하측부와 정치단부풀리 지지프레임(227)의 측부 사이에 자세유지실린더(234)가 착설되어 있다. 자세유지실린더(234)의 작동으로 상하반송부의 단부풀리(223)(225) 및 스크루피더장치(F)는 정치단부풀리 지지프레임(227)을 통하여 핀(226)의 주위에 요동붐(206)에 대하여 일체로 선회동작 가능하고, 그에 따라 예를 들면 기복붐(205)의 양각이 변동하여도 스크루피더장치(F)가 수직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요동붐(206)의 벨트컨베이어(212) 하단으로 짐을 거두어들이는데는 반드시 상기 실시예와 같은 스크루피더장치일 필요는 없고, 패들피더 그 외의 적당한 짐갈퀴장치, 짐보냄장치 등 쌓인 적하물을 거두어 들여서 벨트컨베이어(212)의 단부풀리(223)(225) 사이로 보내는 장치라면 채용가능하다. 또 도 17의 짐싣기시에 상기 스크루피더장치(F)는 작동 정지되어 있고, 적하물은 2중벨트컨베이어(212)의 단부에서 직접 방출된다.
도 21 및 도 22는 상하반송부(211)의 벨트컨베이어 하단부분의 다른 실시예를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21은 적하물(240)을 선창의 짐싣기 부분에서 육지측으로 짐부리기 할 때의 확대측면도, 도 22는 선창 내로 적하물을 쌓기(짐싣기) 할 때의 확대측면도이고, 각각 도 16 및 도 17에 대응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도면에서 도 16, 도 17과 공통되는 부분은 같은 부호를 붙이고, 그 부분의 중복된 설명은 가능한 한 생략한다. 스크루피더장치(F)와 반대측의 정치단부풀리 지지프레임(227)의 측부에 레버(235)가 착설되고, 이 레버(235)의 선단에 선회단부풀리(236)가 축받이되어 있다. 또 정격(定格)단부풀리 지지프레임(227)과 레버(235) 사이에 선회단부풀리 이동용 유압실린더(237)가 착설되고, 이 유압실린더(237)의 작동으로 레버(235)를 통하여 선회단부풀리(236)가 레버추지점(235a)를 중심으로 선회하여 짐부리기장치와 짐싣기장치의 2가지 위치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선회단부풀리(236)는 정치단부풀리(223)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한쪽 벨트컨베이어 하단의 벨트 되돌리기부의 풀리를 구성한다. 이 선회단부풀리(236)는 기능상 도 16, 도 17 실시예의 직동단부풀리(225)에 상당하는 것이다.
선창 내의 적하물 짐싣기 짐부리기시에는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유압실린더(237)의 탄성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그 실린더(237) 내로 끌어 들여져 레버(235)가 정치단부풀리(223)측으로 회동하여 그 선단의 선회단부풀리(236)는 정치단부풀리(223)에 대하여 거의 상하로 나란한 위치를 차지한다. 그에 따라 양 단부풀리(223)(236) 사이의 측방에 적하물의 수입구(232)가 형성되고, 스크루피더장치(F)로 긁어 올려진 적하물이 수입구(232)에서 2중벨트컨베이어(212)의 벨트 사이로 보내진다.
적하물 화물의 쌓기, 즉 2중벨트컨베이어(212)에 끼워져서 보내오는 적하물의 방출시에는 도 22와 같이 상기 유압실린더(237)의 탄성에 의해 피스톤로드가 신장하고, 레버(235)가 정치단부풀리(223)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선회하여 선회단부풀리(236)는 정치단부풀리(223)의 수직 중심위치에서 측방으로 어긋난 상태로 되어 선회단부풀리(236)로 되돌려지는 그 풀리 근방의 컨베이어벨트(233)가 상하 수직상태로 되어 적하물은 이 수직인 벨트컨베이어(233)를 따라서 아래쪽으로 방출된다. 또한 도 22와 같이 이 선회단부풀리 근방의 대략 수직으로 된 컨베이어벨트(233) 가까이에 레버(235)의 상단이 축받이되어 있고, 그 레버(235)로 유지된 선회단부풀리(236)는 레버 상단의 추지점을 중심으로 선회하기 때문에 짐부리기와 짐싣기의 절환시 즉, 선회단부풀리(236)의 선회시 그 단부풀리(236) 부분에서의 벨트의 헐거워짐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21, 도 22의 실시예에서는 정치단부풀리 지지프레임(227)에 횡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를 갖는 2개의 위치결정구멍(238)(239)이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대응하여 레버(235)에도 길이방향으로 일정의 거리를 둔 2개의 핀구멍(248)(241)이 형성되어 있다. 선회단부풀리(236)가 앞에서 설명한 적하물 쌓인짐의 짐부리기 위치에 있을 때에는 레버(235) 하측의 핀구멍(248)과 정치단부풀리 지지프레임(227)의 한쪽 위치결정구멍(238)이 정합되고(도 21), 이 정합된 구멍에 핀(243)을 꽂아서 짐부리기시의 선회단부풀리(236)의 위치를 고정한다. 적하물의 방출시에는 레버(235)가 짐싣기 위치로 회동된 상태에서 레버(235) 상측의 핀구멍(241)과 상기 지지프레임(227)의 다른쪽 위치결정구멍(239)이 정합되도록 되어 있고, 여기에 핀(243)이 꽂혀서 방출시 선회단부풀리(236)의 위치를 결정한다(도 22).
상기한 바와 같이 작용한는 본 발명은 구동풀리가 적하물의 부착으로 미끄러지는 일이 없이 적하물을 부리는 반송경로의 전체길이에서 분진의 발생이 일어나지 않고, 또 짐의 파쇄나 소음의 발생 혹은 반송도중에서의 적하물의 줄어듬 등이 없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 스크루피더가 수직반송부에 대해서 정상설치위치에서 상승이 자유롭고, 상승위치에서 정상설치위치까지 하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크루피더의 스크루케이싱에 형성한 배출구를 통해서 수직반송부의 수용부로 적하물을 보내는 언로더에 있어서, 상기 스크루케이싱에 형성된 배출구가 정상설치위치에서의 스크루피더의 배출날개의 측방향으로부터 상기 스크루피더의 승강 스트로크분 만큼 아래쪽으로 길게 설치되고, 상기 수직반송부에는 상기 스크루케이싱의 외표면에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배출구의 하부를 닫는 폐색(閉塞)케이싱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천정면과 양측면과 하면을 둘러싼 고무커버가 상기 수직반송부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천정면 고무커버의 스크루케이싱측 끝테두리와 미끄럼 접촉하는 배출구 가이드판이 상기 배출구보다 윗쪽의 스크루케이싱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면 고무커버의 스크루케이싱측 끝테두리와 미끄럼 접촉하는 배출구측 판이 상기 배출구 양측방향의 스크루케이싱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배출구 가이드판은 상기 스크루피더의 승강 스트로크에 알맞은 상하 길이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
- 상단을 지점으로 요동가능하게 하단이 쌓인 짐 내에 삽입되는 짐부림반송부와, 배출컨베이어의 짐받이부 윗쪽에 배치되고, 수직축선 주위에 선회가능한 하강반송부(荷降搬送部)와 상기 하강반송부의 상단에 기복가능하게 유지되며, 상기 짐부림반송부와 상기 하강반송부를 연결하는 횡반송부를 구비하고, 상기 짐부림반송부로부터 상기 횡반송부를 거쳐서 상기 하강반송부까지 반송벨트를 뻗어 걸쳐서 역U자형상의 벨트컨베이어를 구성한 언로더에 있어서, 각각의 반송면이 겹쳐지도록 상기 짐부림반송부에서 상기 하강반송부까지 연장하여 설치한 2개의 벨트컨베이어를 갖고, 그 2개 벨트컨베이어의 짐배출단이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짐싣기부 부근까지 연장됨과 더불어 한쪽 벨트컨베이어의 짐배출단이 다른쪽 벨트컨베이어의 짐배출단에 대해서 상하로 어긋나 있으며, 벨트컨베이어 각각의 짐배출단을 구획하는 단부풀리를 벨트구동풀리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반송부가 상기 배출컨베이어에 근접한 고정통과, 그 고정통에 선회가 자유롭게 유지된 선회통과, 그 선회통 내에 지지프레임을 통해서 설치된 단부풀리 구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짐배출단이 상기 선회통 내에 삽입되어 상기 배출컨베이어의 근방위치까지 연장되어 있고, 상기 선회통의 상부에 상기 횡반송부의 기복프레임이 기복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
- 선회프레임에 선회 및 기복동작 가능하게 유지된 횡반송부와, 그 횡반송부의 선단에 요동가능하게 착설된 상하반송부와, 상기 횡반송부의 베이스부에서 상기 상하반송부의 선단부까지 배설된 2중벨트컨베이어와, 상기 횡반송부의 베이스부 가까이에 있는 상기 벨트컨베이어의 윗쪽에 설치된 적하물 공급부와, 상기 횡반송부의 베이스부 아래쪽에 설치된 적하물 배출부를 갖고, 상기 상하반송부 선단 상기 2중벨트컨베이어의 2개의 단부풀리는 서로 상하의 높이 위치가 어긋나 있고, 그 하측의 단부풀리는 전체로서 횡이동 가능하게 상기 상하반송부에 유지되어 있으며, 상기 상하반송부의 하부에 상기 하측 단부풀리의 횡이동 구동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반송부 하단의 하측 단부풀리가 그 상하반송부 하단의 상측 단부풀리에 대해서 상하로 거의 평행한 짐부리기 위치와, 그 하측 단부풀리측의 컨베이어벨트가 그 하측 단부풀리 부분에서 거의 수직으로 뻗은 짐싣기위치의 사이를 횡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횡이동 구동부가 상기 상하반송부에 있는 하측 단부풀리의 축지부를 지지하여 횡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축지부에 연결된 직동구동 실린더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횡이동 구동부가 상기 상하반송부에 있는 하측 단부풀리의 축지부를 지지하고, 상단에서 그 상하반송부의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레버와, 그 레버를 추동(樞動)하는 추동구동실린더와, 상기 레버를 짐부리기 대응위치와 짐싣기 대응위치에 고정하는 위치결정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06063398A JP3394701B2 (ja) | 1998-02-25 | 1998-02-25 | アンローダにおけるスクリューフィーダから垂直搬送部へのバラ物送り込み構造 |
JP?10-60633 | 1998-02-25 | ||
JP?10-60403 | 1998-02-26 | ||
JP6040398A JPH11240625A (ja) | 1998-02-26 | 1998-02-26 | 排出機能付ツインベルト式連続アンローダ |
JP6763898A JPH11246050A (ja) | 1998-03-04 | 1998-03-04 | ツインベルト式荷揚げ荷積み兼用搬送装置 |
JP?10-67638 | 1998-03-0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72898A true KR19990072898A (ko) | 1999-09-27 |
Family
ID=27297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06124A KR19990072898A (ko) | 1998-02-25 | 1999-02-24 | 언로더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6113335A (ko) |
KR (1) | KR19990072898A (ko) |
CN (1) | CN1152812C (ko) |
ID (1) | ID22014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50600A1 (ko) * | 2020-09-07 | 2022-03-10 | 주식회사 디딤돌 | 실린더 및 움직 도르래를 이용한 안전 피난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439185B2 (en) * | 2010-04-13 | 2013-05-14 | Pratt & Whitney Rocketdyne, Inc. | Multiple moving wall dry coal extrusion pump |
CN106006078A (zh) * | 2016-07-05 | 2016-10-12 | 安徽泽加业粉体工程有限公司 | 一种吨包小包复合输送站 |
US10311167B1 (en) * | 2017-03-06 | 2019-06-04 | Bentley Systems, Incorporated | Horizontal and vertical geometry manipulator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4125109C2 (de) * | 1991-07-30 | 1994-10-20 | Gutehoffnungshuette Man | Stetigfördernder Schiffsentlader für Schüttgüter |
DE4135467C2 (de) * | 1991-10-28 | 1994-05-11 | Gutehoffnungshuette Man | Aufhängung und Führung eines Senkrechtförderers im Entladerüssel eines Schiffsentladers |
DE4204251A1 (de) * | 1992-02-13 | 1993-08-19 | Gutehoffnungshuette Man | Gutaufnahmeorgang fuer einen stetigfoerdernden schiffsentlader |
US5626218A (en) * | 1994-06-08 | 1997-05-06 | Sumitomo Heavy Industries, Ltd. | Belt unloader provided with a screw feeder system |
-
1999
- 1999-02-01 US US09/240,584 patent/US6113335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9-02-12 ID IDP990112D patent/ID22014A/id unknown
- 1999-02-24 KR KR1019990006124A patent/KR1999007289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9-02-25 CN CNB991009002A patent/CN1152812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50600A1 (ko) * | 2020-09-07 | 2022-03-10 | 주식회사 디딤돌 | 실린더 및 움직 도르래를 이용한 안전 피난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ID22014A (id) | 1999-08-26 |
US6113335A (en) | 2000-09-05 |
CN1152812C (zh) | 2004-06-09 |
CN1227184A (zh) | 1999-09-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440537A (en) | Conveyor system | |
CA2475873A1 (en) | Stacker reclaimer method and apparatus | |
US6334527B1 (en) | Bucket conveyor | |
US6237745B1 (en) | Bucket conveyor | |
US6293389B1 (en) | En masse bulk material conveyor apparatus | |
KR100230082B1 (ko) | 스크류피더장치를 구비한 벨트식 언로더 | |
KR19990072898A (ko) | 언로더 | |
JP5371516B2 (ja) | 積付・払出し装置 | |
CN1008266B (zh) | 夹带式卸载输送机 | |
CN115724229A (zh) | 一种链斗卸船机皮带传送系统及卸船机 | |
JP2912192B2 (ja) | ベルト式アンローダ | |
KR20030058550A (ko) | 로우 헤드 버켓 엘리베이터 형식의 연속식 하역기 | |
JPH0826460A (ja) | 荷役機械のブームコンベヤ装置 | |
JP3987189B2 (ja) | ばら物運搬船の荷揚装置 | |
JP3394701B2 (ja) | アンローダにおけるスクリューフィーダから垂直搬送部へのバラ物送り込み構造 | |
CN214086200U (zh) | 一种绿色节能矿渣微粉生产用防漏料的斗式提升机 | |
JP4051642B2 (ja) | ばら物運搬船 | |
JPH08268567A (ja) | ベルト式アンローダ | |
JPH11246050A (ja) | ツインベルト式荷揚げ荷積み兼用搬送装置 | |
JP3460911B2 (ja) | 空気浮上式ベルトコンベヤ装置のローディングテーブル | |
JP3211761B2 (ja) | ばら物用アンローダ | |
JP3453575B2 (ja) | 粉粒体搬送機の粉塵・落粉飛散防止装置 | |
JPS6245132B2 (ko) | ||
JPH01290831A (ja) | 浚渫物搬送システム | |
KR19980028132U (ko) | 언로더의 해양낙광 방지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