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70340A - 인삼국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삼국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70340A
KR19990070340A KR1019980005123A KR19980005123A KR19990070340A KR 19990070340 A KR19990070340 A KR 19990070340A KR 1019980005123 A KR1019980005123 A KR 1019980005123A KR 19980005123 A KR19980005123 A KR 19980005123A KR 19990070340 A KR19990070340 A KR 199900703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noodles
drying
dough
flou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5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선주
이희철
Original Assignee
김현근
충남 금산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근, 충남 금산군 filed Critical 김현근
Priority to KR1019980005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70340A/ko
Publication of KR19990070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70340A/ko

Links

Landscapes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을 주재료로 하여 맛과 풍미가 우수하고, 약용효과가 우수한 식품인 인삼국수를 제조하기 위한 인삼국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삼을 세척하여 이 물질을 제거하는 인삼 세정단계와; 깨끗하게 손질된 인삼을 말린 후 갈아 인삼분말을 내는 인삼 분쇄단계와; 인삼분말에 밀가루와 소금과 물을 넣어 반죽물을 형성하는 반죽단계와; 반죽물로 국수가락을 만들어 내는 성형단계와; 국수가락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행하여 국수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국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삼국수 제조방법 (METHOD FOR PRODUCING A NOODLES MADE FORM GINSENG - WHEAT)
본 발명은 인삼국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삼을 주재료로 하여 맛과 풍미가 우수하고, 약용효과가 우수한 식품인 인삼국수를 제조하기 위한 인삼국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옛날 도홍경이 펴낸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은 모든 약을 상. 중. 하로 분류하고 그 약효를 설명하였는 데, 상약 120종, 중약 120중, 하약 125종으로 나누고 인삼은 상약 중에 편입하였으며, 도홍경은 이를 상약은 군(君)이 되어 양명(養命)을 주재(主宰)함으로써 천(天)에 응(應)한다. 무독(無毒)이며 많이 복용하거나 오랫동안 복용하여도 사람이 상치 않는다. 경신익기불로연년(輕身益氣不老延年)을 욕망하는 자 상경에 속한다.라고 해설하고 있다.
고래로 한방의학에서 수천년 동안의 경험에 의하여 그 약효를 특출한 것으로 인정받아 왔으며, 현대에 이르러 인삼의 성분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배당체(配糖體), 파나센(panacen), 폴리아세틸렌 화합물, 함질소 성분,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비타민, 미량원소 등 각종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인삼의 성분 중 배당체는 인삼의 주성분으로서 이들 혼합물을 산으로 가수분해하면 유리당으로서 포도당, 람노오스, 슈크로오스, 프록토오스 등과 아글리콘이 생성되며, 인삼사포닌의 배당체로서는 파낙사디올과 파낙사트리올, Β-시트토스테롤 및 올레아놀산의 성분이 나온다. 그리고, 파나센은 인삼 고유의 향기성분으로 세스퀘테르페노이드계의 화합물이고, 폴리아세틸렌 화합물은 항암 세포 배양물에 대하여 세포독성을 발휘하며, 함질소 성분은 인슐린과 같은 작용을 하는 펩티드가 포함되어 낭뇨병에 유효하다. 인삼의 잎과 줄기에는 캠페롤, 트리폴림, 및 파나세노이드 등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가 함유되어 있으며, 이외에도 비타민 B 복합체 등이 함유되고, 세포독성을 통하여 노화된 세포가 신생세포로 바뀌는 것을 촉진하며 또한 항암작용이 있는 게르마늄 등의 미량원소, 아밀라아제 및 페놀라아제 같은 효소 뿐아니라, 다수의 아미노산, 유리지방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인삼의 효능을 보면, 도홍경의 신농본초경에 인삼은 주로 오장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경계를 멈추게 하며 눈을 밝게 하고 머리를 지혜롭게 하며 오랫동안 복용하면 수명을 연장한다. 라 기록되고, 그 외 명의별록, 본초강목 및 많은 한의학 서적에 인삼의 효능이 집약 수록되어 있으며, 현대에도 세계 각국에서 저명한 학자들이 생리학, 생화학, 약리학, 병리학의 각 분야에서 임상학적인 연구를 하여 많은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인삼은 고래로 다양하게 배합 처방되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인삼은 그 효능이 다양하기 때문에 약재, 드링크, 차, 술 등과 같이 다양하게 제조되어 이용되고 있고, 그 외에 인삼을 이용한 다양한 음식 즉 과자나 정과 또는 국수 등과 같은 제과류나 분식류의 개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상기 분식류 중의 하나인 국수를 보다 체계적이고, 대량생산하여 대중에게 널리 보급하고자하는 요구가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요구상황을 감안하여 지역 특산품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개발한 것으로, 인삼국수의 맛과 풍미를 향상시키고, 보다 양질의 인삼국수를 제조할 수 있는 제조방법을 개발함으로써 인삼국수를 국, 내외에 보다 널리 보급하여 지역경제, 나아가서는 국가경제에 이바지하고, 국민 건강 및 인류의 건강 증진에 기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인삼을 세척하여 이 물질을 제거하는 인삼 세정단계와; 깨끗하게 손질된 인삼을 말린 후 갈아 인삼분말을 내는 인삼 분쇄단계와; 인삼분말에 밀가루와 소금과 물을 넣어 반죽물을 형성하는 반죽단계와; 반죽물로 국수가락을 만들어 내는 성형단계와; 국수가락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행하여 국수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국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 인삼국수 제조방법은 인삼을 세척하여 이 물질을 제거하는 인삼 세정단계와, 깨끗하게 손질된 인삼을 말린 후 갈아 인삼분말을 내는 인삼 분쇄단계와, 인삼분말에 밀가루와 소금과 물을 넣어 반죽물을 형성하는 반죽단계와, 반죽물로 국수가락을 만들어 내는 성형단계와, 국수가락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행하여 국수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 인삼 세정단계는 깨끗한 물로 인삼에 묻어있는 흙이나 이 물질 등을 깨끗이 씻어냄과 아울러 인삼의 잔뿌리 등을 가지런히 정돈하고, 상기 인삼 분쇄단계는 깨끗이 손질된 인삼을 자연풍에 말리거나 건조기에 넣어 인위적으로 말린 다음 분쇄기에 넣어 분쇄하거나 절구에 넣고 빻아 소정입도를 갖는 인삼분말을 형성한다.
상기 반죽단계는 반죽기에 갈아낸 인삼분말과 밀가루와, 짭짤한 맛을 내는 소금을 넣어 골고루 혼합한 다음 물을 조금씩 넣어가며 반죽물을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반죽물의 배합비는 중량비로 인삼은 1.5 내지 10 중량%, 밀가루는 68 내지 80 중량%, 소금은 0.1 내지 0.5 중량%, 물은 15 내지 28 중량% 비율로 배합되어진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국수의 맛을 위해 0.1 중량% 내지 2.4 중량% 한하여 다른 첨가제가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성형단계는 반고체 상태의 반죽물을 밀대판에 놓은 후 밀대로 밀어 얇게 편 다음 소정길이와 폭을 갖도록 칼로 썰어 가늘고 긴 국수가락를 형성한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만들고자 하는 국수의 직경과 같은 구멍이 다수 형성된 다공판을 갖는 압출기에 반죽물을 넣은 후 압출하여 상기 압출기의 다공판 구멍을 통해 가늘고 길게 뽑아지는 긴 국수가락을 소정간격으로 잘라내어 국수를 성형할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는 가늘고 길게 성형된 국수가락를 건조기에 넣어 건조시키거나 건조대에 걸쳐 자연풍으로 건조시킨다.
한편,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국수는 비닐, 종이, 또는 박스 등과 같은 포장용기에 포장되는 포장단계를 거쳐 소비자에게 유통될 수 있다.
이하 인삼국수의 제조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인삼 30, 밀가루 960g, 소금 2g, 물 300g을 준비한 후,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인삼국수를 제조한다.
① 인삼을 깨끗이 씻어서 말려 인삼분말을 만든다.
② 인삼분말에 밀가루와 소금을 넣고 골고루 혼합한 다음 미지근한 물을 넣어 반죽물을 형성하되 물의 분량은 반죽의 상태를 보아가며 가감한다.
③ 부드럽게 반죽물이 되면 밀대판에 밀가루를 뿌리고 밀대판 위에 반죽물을 놓은 후 밀대로 얇게 민 다음 얇게 펴진 반죽물에 다시 밀가루를 뿌리고 굵게 채를 썰어 국수가락을 형성한다.
④ 채를 썰어 성형된 국수가락를 건조실에서 건조시켜 인삼국수를 제조한다.
상기 이와 같이 제조되는 인삼국수는 인삼만이 가질 수 있는 약간 쓴맛에 감춰진 단맛과 국수 특유의 쫄깃한 맛이 어울러져 쌉쌀하고 졸깃하면서도 그윽한 향을 갖는 톡톡한 맛을 갖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품질과 맛이 우수한 인삼국수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인삼의 약효는 위에서 이미 언급한 것 이외에 특히 「비특이성 생체방어능력(非特異性 生體防禦能力)」을 증진(增進)시키는 것으로서 적응소(適應素;adaptogen)라 정의된 물질과 같은 약효성분을 갖는 인삼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어, 인삼의 적응소적인 작용에 의하여 신체기능을 정상화시키고 하등의 부작용이 없기 때문에 식품으로서의 좋은 조건을 구비하고 있으며, 더욱이 스트레스 해소에 의한 소화기능 및 간 기능의 강화, 노화 및 당뇨방지에 대한 치료작용이 있다.
특히, 쌉쌀하면서도 쫄깃하게 제조된 인삼국수는 인삼의 쓴맛을 싫어하는 어린이나 외국인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간식 및 주식 대용으로 널리 애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삼의 소비촉진과 우리의 전통음식을 계승 발전시키며 국민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인삼을 세척하여 이 물질을 제거하는 인삼 세정단계와; 깨끗하게 손질된 인삼을 말린 후 갈아 인삼분말을 내는 인삼 분쇄단계와; 인삼분말에 밀가루와 소금과 물을 넣어 반죽물을 형성하는 반죽단계와; 반죽물로 국수가락을 만들어 내는 성형단계와; 국수가락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행하여 국수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국수 제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건조된 국수를 포장용기에 담아 내는 포장단계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국수 제조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죽단계에서 반죽물의 전체배합비에 대하여, 인삼은 1.5 내지 10 중량%, 밀가루는 68 내지 80 중량%, 소금은 0.1 내지 0.5 중량%, 물은 15 내지 28 중량% 비율로 혼합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삼국수 제조방법.
KR1019980005123A 1998-02-19 1998-02-19 인삼국수 제조방법 KR199900703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123A KR19990070340A (ko) 1998-02-19 1998-02-19 인삼국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05123A KR19990070340A (ko) 1998-02-19 1998-02-19 인삼국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70340A true KR19990070340A (ko) 1999-09-15

Family

ID=65893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5123A KR19990070340A (ko) 1998-02-19 1998-02-19 인삼국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7034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508B1 (ko) * 2013-01-30 2014-05-27 한국철도공사 인삼국수 제조방법
KR101455173B1 (ko) * 2014-04-09 2014-10-27 김진철 산양산삼을 이용한 국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07868A (ko) * 2014-07-07 2016-01-21 주식회사 용유담이야기 산삼 현미국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41071A (ko) * 2014-09-30 2016-04-18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인삼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면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3614B1 (ko) 2016-08-04 2017-04-06 진안고원오곡 농업회사법인(주) 보리 홍삼 즉석면과 그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508B1 (ko) * 2013-01-30 2014-05-27 한국철도공사 인삼국수 제조방법
KR101455173B1 (ko) * 2014-04-09 2014-10-27 김진철 산양산삼을 이용한 국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007868A (ko) * 2014-07-07 2016-01-21 주식회사 용유담이야기 산삼 현미국수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41071A (ko) * 2014-09-30 2016-04-18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인삼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면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23614B1 (ko) 2016-08-04 2017-04-06 진안고원오곡 농업회사법인(주) 보리 홍삼 즉석면과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809B1 (ko) 백삼분말과 홍삼추출액을 이용한 홍삼한과의 제조방법
DE60211632T2 (de) Verwendung von Cyclotetrasaccharide zur Erhöhung der "Aktiven-Sauerstoff-Eliminierenden-Aktivität"
KR101493566B1 (ko) 막걸리에 발효숙성된 연잎분말을 이용한 기호식의 피 제조방법.
JPH03193713A (ja) タンニン含有組成物
Antarkar et al. Physico-chemical and nutritional evaluation of cookies with different levels of Rosehip and Hibiscus powder substitution
KR19990070340A (ko) 인삼국수 제조방법
CN107198011A (zh) 一种宇航员专用的抗抑郁树莓含片干法制备配方
JP2000245382A (ja) 柑橘類を用いた食品並びに化粧品素材の製造方法
CN103621898A (zh) 一种银杏葛根挂面及其制备方法
KR101832714B1 (ko) 치킨무 제조방법
KR100783325B1 (ko) 기능성 천연색소가 함유된 가래떡의 제조방법
KR102248555B1 (ko) 감귤류 진피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발효식품의 제조 방법 및 그 기능성 발효식품
CN105326050A (zh) 一种玫瑰阿胶山药口服含片及其制备方法
KR0136822B1 (ko) 당귀분을 함유한 국수의 제조방법
JPS6133123A (ja) 育毛養毛等美髪食品
CN1081927C (zh) 枸杞全粉及其生产方法
KR101731420B1 (ko) 천연 가루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0276463B1 (ko) 인삼생즙 제조방법
KR19990070337A (ko) 인삼약과 제조방법
KR20030070948A (ko) 보양용 면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CN103749933A (zh) 一种诃子果脯含片及制法
KR20060016480A (ko) 뽕잎을 원료로 하는 찹쌀떡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제조된 찹쌀떡
KR102498204B1 (ko) 인삼 떡갈비 및 이의 제조방법
CN1921773B (zh) 枇杷籽茶
KR20000015152A (ko) 인삼과자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