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4284A - 달걀 부화 접시 - Google Patents

달걀 부화 접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4284A
KR19990064284A KR1019980702778A KR19980702778A KR19990064284A KR 19990064284 A KR19990064284 A KR 19990064284A KR 1019980702778 A KR1019980702778 A KR 1019980702778A KR 19980702778 A KR19980702778 A KR 19980702778A KR 19990064284 A KR19990064284 A KR 19990064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hatching
dish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헨리쿠스 제라르두스 헤르매누스 마리아 파스
Original Assignee
헨리쿠스 제라르두스 헤르매누스 마리아 파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리쿠스 제라르두스 헤르매누스 마리아 파스 filed Critical 헨리쿠스 제라르두스 헤르매누스 마리아 파스
Publication of KR19990064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428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A01K41/06Egg-turning appliances for incub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1/00Incubators for poultry
    • A01K41/06Egg-turning appliances for incubators
    • A01K41/065Egg dra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부화시킬 달걀(3)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밑면에 개구(2)를 한정하고, 지지수단(6)에 의해서 안정한 부화 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달걀(3)이 부분적으로 상기 개구(2)에 위치되고 소정 계획에 따라, 개구(2)에 위치한 상기 달걀 일부(5)에 작용하는 회전 수단(10)에 의해 지지수단(6)내에서 달걀(3)의 세로축(4)으로 규칙적으로 돌 수 있도록 구성된 각 달걀(3)에 대한 독립된 강성 지지수단(6)을 포함하는 달걀 부화 접시에 있어서, 각 달걀(3)에 대한 상기 지지수단(6)은 서로 떨어져 배치된 두 개의 곡선 모양의 서포트(6a, 6b)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2)는 상기 두 개의 곡선 모양의 서포트(6a, 6b)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 부화 접시(1).

Description

달걀 부화 접시
EP-A-0,670,111호에는 이런 종류의 달걀 부화 접시를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에는 달걀 모양에 맞는 다수의 개구가 제공된 평판이 필수적으로 존재하는 달걀 홀더에 의해 달걀을 지지할 수 있는 달걀 부화 접시가 개시되어 있다. 달걀 홀더 판은 특정 나무틀(crate)내에서 두 위치로 놓일 수 있다. 제 1 위치인 소위 수송 위치(transprotation position)에서, 달걀 홀더 판은 나무틀의 바닥에 닿지 않도록 나무틀에 매달리고, 그 결과, 달걀 전체의 무게는 개구의 가장자리에 실리게 된다. 제 2 위치인 소위 부화 위치(incubation position)에서, 달걀 홀더 판은 나무판의 바닥에 놓인다. 달걀 홀더 판은 꽤 얇기 때문에, 이 위치에서 달걀 전체의 무게는 나무틀의 바닥에 실리게 되고, 개구의 가장자리 사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달걀은 부화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달걀 홀더 판과 나무틀의 바닥 사이의 상대 운동에 의해 달걀의 세로축 방향으로 돌게 된다. 이 때, 나무틀의 바닥은 개구내에 있는 달걀 일부에 마찰력을 발휘한다.
이런 공지된 달걀 부화 접시의 문제점은 접시내에 놓인 달걀이 달걀 홀더 판의 개구에서 쉽게 굴러나올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는 특히 부화 위치에서 발생하게 되는데, 이 부화 위치는 달걀이 개구의 가장자리 사이에서 자유롭게 움직이고, 달걀 홀더 판의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 만큼 위로 구르기만 하면 개구에서 빠져 나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옆의 달걀과의 간격은 적어도 회전 운동하는 동안 달걀들이 서로 닿지 않도록 충분히 커야 한다. 달걀들이 서로 닿게 되면, 그 사이에 마찰력이 일기 때문에, 회전 작동되는 동안 모든 달걀은 소정의 회전 각으로 돌 가망성이 없게 된다. 이런한 이유로, 개구를 서로 더 떨어지게 하여, 달걀 부화 접시의 패킹 밀도를 줄인다. 또한, 달걀 부화 접시가 부화 접시(a hatching tray)로도 사용된다는 점에서, 달걀 홀더 판은 막힌 판이기 때문에, 달걀 부화 접시는 접시 상단에서 하단까지 또는 그 반대로 열기와 냉기가 원활히 순환되지 않는다. 열기나 냉기가 잘 순환되지 않기 때문에, 특히 전체 부화 공정중에 달걀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이 더 어렵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부화 기계장치에 다수의 부화 접시가 놓여있을 경우에는 특히나. 불균형적으로 다량의 공기가 들어와야 한다. 다량의 공기가 일정한 층류라기 보다 오히려 고르지 않게 흐르기 때문에, 공기 속도가 불규칙하게 되어, 온도와 대기중 습도를 조절하기 훨씬 더 어려워 진다. 이는 특히 부화 공정이 거의 3주 동안 계속되기 때문에, 최상의 품질이 아닌 병아리들을 부화시킬 것이다. 더욱이, 달걀 홀더는 나무틀내의 수송 위치에 놓이는 경우 손상에 매우 민감하다. 특히, 얇은 달걀 홀더 판은 달걀 부화 접시를 상당한 정도까지 강화시키지 않고, 달걀 무게로 인해 상당히 구부러질 것이다.
본 발명은 부화시킬 달걀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밑면에 개구를 한정하고, 지지수단에 의해서 안정한 부화 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달걀이 부분적으로 개구에 위치되고 소정 계획에 따라, 개구에 위치한 상기 달걀 일부에 작용하는 회전 수단에 의해 지지수단내에서 달걀의 세로축으로 규칙적으로 돌 수 있도록 구성된 각 달걀에 대한 독립된 강성 지지수단을 포함하는 달걀 부화 접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달걀 접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달걀 접시의 세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달걀 접시의 평면도이다.
도 4, 5, 6은 도 1에 따른 달걀 접시에서 수직 수송 위치에서 주로 놓이는 부화 위치까지의 달걀을 기울이는 공정의 단계를 나타낸다.
도 7은 지지수단이 두 개의 곡선 모양의 서포트에 의해 형성된 달걀 접시의 부분 구체예를 나타낸다.
도 8과 9는 도 7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7-9에 도시된 회전판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달걀 접시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달걀 접시가 내장된 지지구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단점을 없앤 달걀 부화 접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각 달걀에 대한 지지수단이 서로 떨어져서 배열된 두 개의 곡선 모양의 서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수단의 두 곡선 모양의 서포트 사이에 개구가 존재한다는 사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달걀 부화 접시내의 부화 위치에 놓인 달걀은 곡선 모양의 양쪽 서포트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달걀은 달걀 부화 접시에 매우 안정하게 놓여질 것이다. 달걀이 아래쪽 방향으로만 지지되는 것이 아니고, 두 개의 곡선 모양의 서포트에 의해 옆에서도 지지된다. 바람직하게, 회전 수단에 의해 전달된 마찰력이 개구에 위치한 달걀 일부에 작용하게 됨으로써, 달걀은 세로축으로 돌 수 있게 된다. 달걀은 회전 작동되는 동안에도 두 개의 곡선 모양의 서포트에 의해 안정한 부화 위치에서 바르게 홀딩된다. 두 개의 곡선 모양의 서포트와 그 사이에 있는 개구는 열기와 냉기가 가장자리 주변에서 자유롭게 순환할 수 있도록 달걀 주위에 충분한 공간을 남긴다. 이는 달걀전체에 대해 온도 조절을 양호하게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온도 조절은 부화 기간의 제 2 단계에서 특히 중요하다. 여기서 달걀은 많은 열을 생산하기 때문에, 달걀은 점차 큰 폭으로 냉각되어야 한다(이 부화 기간의 제 2 단계에서, 열 생산은 5의 요소에 의해 점차 증가한다). 본 발명에 따라 달걀 부화 접시내의 달걀 위에서는 열기 또는 냉기가 덜 불어야 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일정한 층기류를 사용함으로써, 상당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온도와 습도 등의 다양한 변수를 제어하는 데 있어서 상당한 개선의 결과로, 본 발명에 따른 달걀 부화 접시는 또한 고부화율, 부화된 병아리의 고품질, 병아리의 실질적인 동시 부화를 보였다. 달걀 부화 접시는 예를 들면, 어레이로 배열된 많은 쌍의 곡선 모양의 서포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모든 곡선 모양의 서포트는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강하면서도 가벼운 골격을 형성한다. 곡선 모양의 서포트의 가장자리는 달걀의 압력을 주는 날카로운 모서리가 없도록 둥근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 1 곡선 모양의 서포트의 가장 낮은 지지점은 제 2 곡선 모양의 서포트의 것보다 높은 위치에 자리하여, 두 개의 곡선 모양의 서포트는 안정한 부화 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달걀의 세로축을 수평에 대해 예각으로 위치시킨다. 실제로 부화 공정이 달걀의 세로축을 수평에 대해 예각에 위치시킴으로써 더 향상된다는 것을 알았다.
편의상, 세로 방향으로 서로 뒤에 있게 위치된, 독립된 지지수단의 곡선 모양의 서포트는 안정한 부화 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달걀의 상부가 역시 안정한 부화 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또 다른 달걀의 하부하에 위치되도록 서로 약간 떨어진 거리에 있다. 이는 달걀의 매우 높은 패킹 밀도를 달성하기 때문에, 상당한 공간 절약을 가져온다. 양호한 부화 결과가 되는 동안 높은 패킹 밀도는 공기의 원활한 순환과 관련된 각종 변수를 아주 정확히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제 1 곡선 모양의 서포트가 상부쪽으로 트이게 만듬으로써, 달걀은 원래 공지된 흡입 박스(a suction box)에 의해 위에서부터 쉽게 지지수단에 놓일 수 있게 된다.
제 2 곡선 모양의 서포트가 바람직하게 상부쪽으로 막혀 있어서, 달걀은 상부쪽으로 바운드되고 특히 회전하는 동안, 안정한 부화 위치에 여전히 남아있게 된다. 이 때, 달걀 중심이 제 2 곡선 모양의 서포트에 가깝기 때문에, 이는 특히 달걀이 수평에 대해 예각으로 있을 경우에 바람직하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 2 곡선 모양의 서포트는 수직에 대해 약간의 각으로 기울어져 있다. 결국, 제 2 곡선 모양의 서포트는 하부쪽으로 트여 있을 수 있지만 달걀은 여전히 하단쪽을 향해 수직 방향으로 지지된다. 이는 달걀 부화 접시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재료를 추가 절약한다.
달걀 부화 접시는 공지 방법으로 직립 측벽(upright side walls)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세로 방향의 측벽은 개방형 작업 디자인(open work design)이다. 따라서 수평 기류는 거의 저항없이 달걀 위와 사이 사이에, 특히 달걀의 세로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다수의 곡선 모양의 서포트는 서포트의 상단에 상부에 놓이는 달걀 부화 접시를 위한 지지점을 포함한다. 또한 서로 인접하게 놓인 곡선 모양의 서포트는 프레임 섹션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지지점은 프레임 섹션의 상단에 배열될 수도 있다. 달걀 부화 접시의 상부에 놓이는 하나 이상의 달걀 부화 접시의 무게는 결국 달걀 부화 접시의 측벽이 단독으로 받는 것이 아니라, 지지점에 의해서도 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회전 수단은 달걀 부화 접시의 밑면에 움직일 수 있도록 연결된다. 회전 수단은 이 경우에 주로 평편한 회전판으로 이루어 질 수도 있다. 회전판과 개구에 위치한 달걀 일부와의 사이의 마찰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회전판에는 회전 운동 방향으로 뻗어있는 두꺼운 섹션에 제공되어 있다. 두꺼운 섹션에는 예를 들면 톱니(toothing)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회전판에는 회전 조작을 위한 운동 방향으로, 특히 달걀의 세로축을 가로질러 달걀의 소정 회전각에 해당하는 일정 거리에 서로 떨어져 위치한 리세스(recesses)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일정 거리를 넘어서 달걀 부화 접시의 밑면에 대해 회전판을 움직임으로써, 달걀은 리세스에서 또 다른 리세스로 이동하고 동시에 회전될 것이다. 회전 작동되는 동안 회전판, 그리고 특히 그 위에 제공된 두꺼운 섹션은 개구내에 위치한 달걀 일부와 닿게 되므로, 달걀은 지지수단에서 약간 들어올려지고, 그 결과 회전 작동되는 동안 지지수단과 달걀 사이의 마찰은 더 작아진다. 회전 작동이 끝나면, 달걀은 지지수단과 리세스로 다시 내려온다.
특히, 회전판은 달걀 부화 접시의 밑면보다 좁고 달걀 부화 접시에 고정 연결된 두 개의 스톱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다. 이들 스톱은 회전 작동되는 동안 회전판이 달걀 부화 접시의 둘레 밖으로 나가지 않는 위치에 놓인다. 회전판이 달걀의 소정 회전각에 해당하는 상기 일정 거리에서 앞뒤로 움직일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회전판은 달걀 부화 접시의 밑면보다 상기 일정 거리에 의해 더 좁다. 결국, 달걀 부화 접시의 전체 면적을 달걀로 채울 수 있기 때문에, 달걀 부화 접시가 차지하는 공간은 최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다수의 달걀 접시는 이제 접시 사이의 공간에 회전판의 왕복 운동에 대해 고려되지 않고 서로 가깝게 놓일 수 있다.
회전판이 회전 운동하는 동안 달걀 부화 접시의 둘레 밖으로 나오지 않고, 이 때문에 좁게 설계되기 때문에, 달걀 부화 접시의 세로측 영역에서의 달걀을 위해 특별 준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더 좁은 회전판의 결과로, 회전 운동하는 동안 짧은 시간에 이들 달걀에 마찰력이 미치고, 그 결과 이들 달걀은 소정 회전각 보다 더 작은 각으로 돌기 때문이다. 따라서, 회전 캠은 회전판상에서 그 세로변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회전 캠은 회전 운동하는 동안 달걀 부화 접시의 세로변의 영역에서 지지된 달걀이 여분의 회전을 하도록 한다. 설명하자면, 회전 캠은 달걀을 더 들어올려서, 달걀이 캠에서 굴러나올 때 여분의 회전을 하도록 한다. 이는 부분적으로 작은 회전각을 보상한다.
두 개의 곡선 모양의 서포트와 개구의 가장자리는 함께 적어도 위치상으로, 달걀의 세로축이 주로 수직으로 있는 안정한 수직 수송 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달걀이 부분적으로 개구에 위치되기 위한 치수를 갖는 원형을 한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달걀 부화 접시는 달걀 수송용 접시와 달걀 부화용 접시로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달걀이 수직 수송 위치에서 잘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특히 두 개의 곡선 모양의 서포트 사이에 뻗어 있는 유지 수단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지지수단내에 위치한 달걀을 안정한 수직 수송 위치에서 안정한 부화 위치내로 기울이기 위해, 달걀 부화 접시는 밑면상에 경사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경사 수단은 경사 작업 동안, 개구에 위치한 달걀 일부에 작용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안정한 수송 위치에서, 달걀의 세로축은 바람직하게 대개 수직이고, 개구에 위치하게 되는 달걀 일부는 달걀의 뾰족한 끝부분이나 둥근 끝부분이지만, 뾰족한 끝부분이 바람직하다. 이런 경사 작업 동안, 제 2 곡선 모양의 서포트가 하부 쪽으로 트여있는 경우엔 특히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달걀이 먼저 약간 들어올려져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뾰족한 끝부분은 제 2 곡선 모양의 서포트의 개구부를 통해 자유롭게 기울 수 있다.
놀랍게도, 사실상 경사 수단은 또한 회전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직 수송 위치에서 지지된 달걀은 달걀 부화 접시의 밑면에 대해 회전 수단의 1 회 이상의 움직임에 의해 쉽게 안정한 부화 위치내로 운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회전판의 움직임의 방향은 회전 작동에 사용되는 것과 같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고로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3은 달걀 접시(1)의 일부를 나타낸다. 달걀 접시(1)는 바람직하게 최대 개수의 달걀이 놓일 수 있게 구성된다. 도 2에는 두 개의 달걀(3)이 개략적으로 그려져있다. 달걀 접시(1)에는 부화될 각각의 달걀 치수에 맞는 크기의 지지수단(6)이 제공된다, 지지수단(6)의 모양은 달걀(3)의 세로축(4)이 수평에 대해 대략 20°정도의 각(α)으로 있게 한다. 각 달걀에 대한 지지수단(6)은 주로 두 개의 곡선 모양의 서포트(6a, 6b)로 이루어진다. 각 세트의 곡선 모양의 서포트(6a, 6b) 사이에서 개구(2)는 달걀 접시(1)의 바닥에 위치된다. 개구(2)는 서술된 안정한 부화 위치에서 달걀(3)의 일부(5)가 지지수단 아래에 돌출되도록 한다. 곡선 모양의 서포트는 다양한 모양을 할 수 있다. 본질적으로 그것들은 달걀을 부화 위치에서 안정하게 지지시키면서, 동시에 달걀 껍질과의 접촉을 최소로 한다. 이런 종류의 구체예는 좀 더 가벼운 구조를 제공하고 공기와 달걀과의 접촉을 최적화시키며, 이는 부화 공정 내내 더욱 나은 온도 조절을 하게 한다.
회전판(10)의 일부가 달걀 접시(1) 아래에 나타난다. 도 3의 평면도에서 회전판(10)은 명확하게 하기 위해 평행선으로 그려져 있고, 그로 인해 회전판(10)은 달걀 접시(1)의 나머지와 쉽게 구별된다. 회전판(10)은 리세스(11)와 톱니 모양의 후부(a toothened thickening)(12)가 제공되고, 그 목적에 대해서는 다음에 도 10을 참고로 설명될 것이다. 회전판(10)이 달걀 접시(1)에 충분히 가깝게 배열됨에 따라, 달걀(3)은 회전 작동되는 동안 지지수단(6)내에서 약간 올라오게 될 것이다. 그런 다음 달걀(3)은 그들의 특정 곡선 모양의 서포트(6a, 6b)의 약간 이동된 틈새에 있게 되고, 결국, 더욱 쉽게 회전될 수 있다. 달걀 접시(1)에 대해서 회전판(10)을 도 2에서 도면의 평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옮김에 따라, 달걀(3)은, 주로 회전판(10)상의 톱니 모양의 후부(12)에 의해 달걀 껍질에 가해지는 마찰력 때문에, 달걀의 세로축(4)으로 구를 것이다. 이러한 이동은 손이나 비교적 간단한 조작 기구를 이용해서 할 수 있다. 그런 목적으로 달걀 접시(1)는 그립 요소(a gripping element)(8)를 포함하는데, 이 요소는 오른쪽에 돌출되어 있고 달걀 접시(1)의 측벽내에 있는 리세스의 가장자리에 의해서 형성된 두 개의 스톱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달걀 접시(1)내의 모든 달걀을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판은, 회전을 위해 이용된 이동 방향으로, 달걀 접시보다 길어야 한다. 필요한 최소 여유 길이는 이 경우에 소정의 달걀 회전 각(β)에 좌우된다. 또한 예를 들면, 회전판 대신에 소정의 달걀 회전 각(β)에 해당하는 제한폭의 회전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모든 달걀을 회전시키기 위해, 이 회전 요소는 달걀 접시 아래 전체를 지나야 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달걀 접시에서, 회전판(10)은 회전판의 세로변에 소위 회전 캠(14)이 제공되고 달걀 접시(1)보다 더 좁다. 회전 캠(14)은 회전 작동되는 동안 달걀 접시(1)의 세로변의 영역에서 지지된 달걀을 더 위쪽으로 올린다. 역회전 작동에서, 회전판(10)이 반대 방향으로 움직일 때, 이들 달걀은 캠에서 굴러나오는 경우에 여분의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판(10)은 좀더 좁게 디자인될 수 있으며 달걀 접시(1)의 둘레 밖으로 나갈 필요가 없다. 회전 공정은 바람직하게 한 시간에 한번 일어나고, 특히 회전 각(β)은 90과 120°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달걀은 시간 마다 반대 방향으로 구르는 것이 좋다. 달걀의 둥근 부분이 약간 위를 향하고 있을 경우에 가장 좋은 부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달걀 접시(1)는 하부가 부분적으로 트여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작동의 결과로, 달걀 껍질의 상이한 부분이 매 시간 마다 지지수단(6)과 접촉하게 되기 때문에, 달걀 주변의 온도와 습도가 보다 잘 조절될 수 있다.
제 1 곡선 모양의 서포트(6a)는 위로 트여있고 아래로 막혀있고, 제 2 곡선 모양의 서포트(6b)는 위로 막혀있고 아래로 트여있다. 제 2 곡선 모양의 서포트(6b)는 수직에 대해 약간의 각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달걀을 아래 방향에서도 지지할 수 있다. 제 1 곡선 모양의 서포트(6a)의 가장 낮은 지지점은 제 2 곡선 모양의 서포트(6b)의 것보다 높이 위치해 있다. 따라서, 두 개의 곡선 모양의 서포트(6a,6b)는 달걀(3)의 세로축(4)을 수평에 대해 예각(α)으로 위치시킨다. 또한 독립된 지지수단(6)의 곡선 모양의 서포트는 세로 방향으로 서로 좁은 거리에 있어서, 한 달걀(3)의 뾰족한 끝부분이 또 다른 달걀(3)의 둥근 끝부분 아래에 놓이게 된다(도 2 참조하기 바람).
달걀 접시(1)의 세로 방향 측벽은 개방형 작업 디자인이다. 따라서 지지수단(6)과 회전 수단(10)을 포함한 전체 달걀 접시(1)는 달걀(3)의 패킹 밀도가 매우 높을 때 조차도 수평 기류가 거의 저항 없이 달걀 위와 사이를 흐를 수 있도록 한다.
곡선 모양의 서포트(6a,6b)는 상호 서로 연결됨에 따라 강하고 가벼운 골조를 이룬다. 특히 서로 인접한 곡선 모양의 서포트(6a,6b)는 프레임 섹션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들 프레임 섹션의 상단에서 지지점(13)은 상부에 놓이는 또 다른 달걀 접시를 지지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달걀(3)을 운반할 때, 달걀은 수직 위치에서 똑 바로 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목적은 상기 개구(2)에 의해 달성된다. 개구(2)내의 달걀(3)을 바람직하게 뾰족한 끝부분이 아래로 가도록 위치시킴에 따라, 달걀(3)의 일부는 지지수단(6)의 아래에 돌출될 것이다. 달걀(3)이 수송된 다음 인큐베이터에서 부화되기 전에, 달걀(3)은 먼저 수직 수송 위치로부터 주로 놓이는 부화 위치로 기울어져야 할 것이다. 이 때문에, 도 4-6은 경사 요소(15)를 사용하는 방법을 보인다. 경사 요소(15)를 달걀 접시(1)에 대하여 도 4와 5에 나타낸 화살표(16) 방향으로 이동시킴에 따라, 달걀(3)은 달걀(3)의 소위 짧은 축으로, 수직 수송 위치에서 주로 놓이는 안정한 부화 위치로 기울어질 것이다. 기울어지는 방향은 화살표(17)로 표시된다. 경사 판(15)에 생긴 챔퍼는 경사 조작이 시작됨과 동시에 달걀(3)을 약간 들어올려 주는데, 그렇게 하지 않으면, 달걀이 개구(2)의 가장자리에 밀려 깨질 수 있다.
도 7-9는 달걀 접시(20)에서 지지수단의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달걀(3)은 바닥판(21)상에 배열되어 있는 두 개의 곡선 모양의 서포트(26)에 의해 지지된다. 달걀(3)의 일부가 돌출되어 나오는 개구는 바닥판(21)에 서포트(26) 사이에서 생긴다. 이런 경우에서, 달걀의 둥근 끝부분을 위한 서포트(26a)는 상부 쪽으로 트여 있고, 달걀(3)의 뾰족한 끝부분을 위한 서포트(26b)는 사방이 막혀 있다. 결국, 달걀(3)은 확실히 지지되고 서포트(26)내에서 쉽게 배열될 수 있다. 달걀(3)과 지지수단(26) 사이의 마찰 표면적은 회전 작동되는 동안 최소이고, 이는 회전 작동되는 동안 노력이 적게 든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달걀 접시(20)는 가벼운 오버올(overall) 구조이기 때문에 다루기 쉽다. 두 개의 유지 수단(29)은 각 서포트(26)의 한 쪽에 배치된다. 이들 유지 수단은 달걀(3)이 수직 수송 위치내의 서포트(26) 사이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 10은 도 7-9에 도시된 회전판(30)의 일부의 상세한 구체예를 나타낸다. 회전판(30)에는 서로 떨어져 있는 리세스(31)가 제공되어 있다. 이 경우에 떨어진 거리는 달걀의 소정 회전각에 해당한다. 이들 리세스로 달걀이 각각 회전 작동을 끝난 다음 다시 지지수단에 놓여지는 것은 확실해 진다. 결국, 회전 수단(30)은 안정한 부화 위치를 교란시키지 않고 회전 작동이 끝난 다음에도 달걀 접시아래의 위치에 계속 있게 된다. 또한, 달걀에 여전히 처리 공기가 자유롭게 갈 수 있다. 더욱이, 달걀이 수직 수송 위치내에 놓여있더라도, 회전 수단(30)은 이미 달걀 접시 밑의 위치에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전 수단(30)은 달걀 접시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두꺼운 섹션(32)은 회전판(30)상에 배치되고 회전 작동을 위해 이동 방향으로 뻗어있으며, 도 7과 10에 마찬가지로 나타나있다. 두꺼운 섹션(32)은 회전 작동되는 동안 달걀을 그 지지수단(26)에서 어느 정도까지 들어올리는데 이용된다. 두꺼운 섹션(32)은 바람직하게 달걀(3)의 중심 아래에 그리고 위로 트여 있는 서포트(26a) 옆에 위치한다. 섹션의 중요한 점은 달걀(3)이 회전 하는 동안, 약간 들어올려져서 위로 막힌 서포트(26b)에 밀려 깨지지 않는 다는 것이다.
도 11은 서로의 상부에 쌓여진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달걀 접시(40)인 달걀 접시 어셈블리를 나타낸다. 상기 어셈블리는 인큐베이터내에 단일 장치(a unit)로 놓여질 수 있다. 이 경우에, 달걀 접시(40)는 밑면에 접시와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된 회전 수단(50)을 포함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스택(stack)내에서의 달걀 접시(40) 간의 거리는 달걀 접시(40)의 일부를 이루는 상호 스페이서(42)의 높이로 결정된다. 만약 복수개의 스택이 서로 옆에 놓인다면, 넓은 회전판을 가진 구체예에서, 이들 스택은 회전판의 여분의 길이 때문에 마찬가지로 서로 얼마간 떨어져 있어야 한다. 이 때문에, 스페이서는 또한 달걀 접시(40)의 측벽상에 배열될 수도 있다. 이들 스페이서는 회전판(50)의 바람직하게 여분의 길이와 같은 길이이다. 이는 한면에 하나 뒤에 또 하나가 위치되어 있는 회전판(50)이 회전 작동되는 동안에 서로 밀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11에서 보면 회전판(50)은 더브테일 이음부(dovetail joints)(53)에 의해 달걀 접시(40)에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결국, 회전판(50)은 단지 달걀 접시(40)에 대해 도면의 면에 수직 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이 구체예에서도, 회전판(50)에는 회전 작동되는 동안 동시에 달걀을 회전시키고 약간 들어올리기 위한 두꺼운 섹션(52)이 제공된다.
도 12는 복수개의 달걀 접시(83)용 지지구조(80)를 나타낸다. 달걀 접시(83)는 지지수단(82)에 의해 상기 구조의 측 가장자리에서 지지된다. 지지구조(80)에는 전체 장치를 쉽게 옮길 수 있도록 휠(81)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달걀 회전 방법을 이용하여, 다수의 달걀 접시(83)는 특정 크기의 공간에서 서로 위에 놓여질 수 있게 된다. 이는 또 기술적 수준에서 볼 때 바닥 공간에서 대략 33%의 공간을 절약한다. 더욱이, 서로의 위에 놓인 달걀 접시(83)의 달걀 사이의 공통 거리는 여전히 동일하다. 결국, 달걀 위에 계속 균일하게 열기 및/또는 냉기를 흐르게 한다. 공기의 흐름은 층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구조(80)에는 회전 수단과 경사 수단 모두가 제공되어도 된다. 경사 수단은 예를 들면, 각각의 달걀 접시(83)가 도입되는 측면에 배치된 레일(a rail)(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레일에는 적당한 챔퍼가 제공된다. 달걀 접시(83)가 지지구조(80)에 놓일 때, 먼저 달걀 접시(83)를 레일위에서 슬라이딩시킴에 따라 달걀은 수직 수송 위치에서 안정한 부화 위치로 자동적으로 경사진다. 지지구조의 또 다른 구체예(도시되지 않음)에서는, 각 달걀 접시가 판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이 판은 또한 회전 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이는 판이 지지구조(80)의 일부분이라서, 회전 작동을 하기 위해서는 달걀 접시(83)가 지지판에 대하여 옮겨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미 위에서 도 11을 참고로 설명된 바와 같이, 물론, 밑면상에 움직일 수 있게 접시에 연결된 회전 수단을 포함하는 지지구조(80)내의 달걀 접시(83)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달걀 접시(83)는 회전 작동을 하기 위해서 지지구조(80)에서 이동되고 나서 탁상용(a table-top) 등의 외부 회전 수단으로 달걀(3)을 회전시킨 다음 지지구조(80)내에 다시 놓이게 된다. 지지구조(80)는 수송을 목적으로 그리고 인큐베이터에서 사용되어도 모두 좋다.
설명된 구체예에서, 각각의 경우에 달걀의 세로축은 수평에 대해 약간의 각이 지고, 이는 최상의 부화 결과를 가져온다. 하지만, 본 발명은 또한 달걀이 수평으로 있는 달걀 접시에 관한 것이며, 그 이유는 이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곡선 모양의 서포트 및 회전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보여진 구체예에서, 달걀의 일부는 항상 지지수단 밑에까지 내려오게 된다. 이는 주로 판형 회전 수단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좋다. 하지만, 본 발명은 또한, 비록 달걀의 일부가 개구에 있더라도, 달걀의 일부가 개구 아래로 돌출되지 않는 달걀 접시에 관한 것이다. 그래서 회전 수단은 바닥에서 각 개구까지 돌출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프로필이 제공된 회전 가능한 회전 휠을 상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필요한 바닥 면적, 냉각 및/또는 가열에 필요한 처리 공기의 양, 그리고 회전 작동을 하기 위해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전체 부화 공정이 향상되고, 그 결과 부화되는 병아리의 더 높은 부화율을 달성한다. 회전 수단을 갖는 달걀 접시의 단순함은 인큐베이터내가 최적의 위생 상태이도록 한다.

Claims (17)

  1. 부화시킬 달걀(3)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밑면에 개구(2)를 한정하고, 지지수단(6)에 의해서 안정한 부화 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달걀(3)이 부분적으로 상기 개구(2)에 위치되고 소정 계획(schedule)에 따라, 개구(2)에 위치한 상기 달걀 일부(5)에 작용하는 회전 수단(10)에 의해 지지수단(6)내에서 달걀(3)의 세로축(4)으로 규칙적으로 돌 수 있도록 구성된 각 달걀(3)에 대한 독립된 강성 지지수단(6)을 포함하는 달걀 부화 접시에 있어서,
    각 달걀(3)에 대한 상기 지지수단(6)은 서로 떨어져 배치된 두 개의 곡선 모양의 서포트(6a, 6b)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2)는 상기 두 개의 곡선 모양의 서포트(6a, 6b)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 부화 접시(1).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곡선 모양의 서포트(6a)는 제 2 곡선 모양의 서포트(6b) 보다 좀더 높이 있어서, 두 곡선 모양의 서포트(6a, 6b)는 안정한 부화 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달걀(3)의 세로축(4)을 수평에 대해 예각(α)으로 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 부화 접시.
  3. 제 2 항에 있어서,
    세로 방향으로 한 서포트 뒤에 다른 서포트가 오도록 된, 독립된 지지수단(6)의 곡선 모양의 서포트(6a, 6b)는 안정한 부화 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한 달걀(3)의 상부를 역시 안정한 부화 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또 다른 달걀(3)의 하부하에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 부화 접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곡선 모양의 서포트(6a)는 상부 쪽으로 트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 부화 접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곡선 모양의 서포트(6b)는 수직에 대해 약간의 각으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 부화 접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곡선 모양의 서포트(6b)는 하부 쪽으로 트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 부화 접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직 측벽(upright side walls)을 포함하고, 적어도 세로 방향의 상기 측벽은 개방형 작업 디자인(open work desig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 부화 접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모양의 서포트(6a,6b)는 서포트의 상단에 상부에 놓이는 달걀(3) 부화 접시를 위한 지지점(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 부화 접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10)은 달걀 부화 접시(1)의 밑면에 움직일 수 있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 부화 접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주로 평편한 회전판(10)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회전판(10)에는 회전 운동 방향으로 뻗어있는 두꺼운 섹션(12)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 부화 접시.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은 주로 평편한 회전판(10)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회전판(10)에는 회전 운동 방향으로 달걀(3)의 소정 회전각(β)에 해당하는 일정 거리에 서로 위치한 리세스(recesses)(11)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 부화 접시.
  12. 제 10 항 또는 1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10)은 본질적으로 상기 일정 거리에 의해 달걀 부화 접시(1)의 밑면보다 더 좁아져서 달걀 부화 접시(1)에 고정 연결된 두 개의 스톱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게 되고, 상기 회전판(10)은 회전 작동되는 동안 달걀 부화 접시(1)의 둘레 밖으로 나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 부화 접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10)에는 회전 작동되는 동안 달걀 부화 접시(1)의 세로측의 영역에서 안정한 부화 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달걀(3)이 여분의 회전을 하도록 그 세로변에 회전 캠(14)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 부화 접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곡선 모양의 서포트(6a,6b)는 개구의 가장자리와 함께, 적어도 위치상으로, 달걀의 세로축(4)이 주로 수직으로 있는 안정한 수직 수송 위치에 지지되어 있는 달걀이 부분적으로 개구(2)에 위치되기 위한 치수를 갖는 원형을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 부화 접시.
  15. 제 14 항에 있어서,
    두 개의 곡선 모양의 서포트(26a,26b) 사이에 뻗어 있는 유지 수단(29)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 부화 접시.
  16. 제 14 항 또는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달걀 부화 접시(1)는 지지수단(6)에 위치되어 있는 달걀(3)을 안정한 수직 수송 위치에서 안정한 부화 위치로 기울일 목적으로 밑면에 경사 수단(15)을 포함하고, 상기 경사 수단(15)은 경사 조작이 진행되는 동안 개구(2)에 위치된 달걀 일부에 작용하도록 설계되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 부화 접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수단(10)은 또한 경사 수단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달걀 부화 접시.
KR1019980702778A 1995-10-20 1996-10-17 달걀 부화 접시 KR1999006428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01466 1995-10-20
NL1001466A NL1001466C2 (nl) 1995-10-20 1995-10-20 Eierlade voor het opnemen van uit te broeden eieren.
PCT/NL1996/000405 WO1997014300A1 (en) 1995-10-20 1996-10-17 Egg incubating tr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4284A true KR19990064284A (ko) 1999-07-26

Family

ID=19761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778A KR19990064284A (ko) 1995-10-20 1996-10-17 달걀 부화 접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196160B1 (ko)
EP (1) EP0862363A1 (ko)
JP (1) JP2000506369A (ko)
KR (1) KR19990064284A (ko)
AU (1) AU7229196A (ko)
BR (1) BR9611071A (ko)
CA (1) CA2234147A1 (ko)
NL (1) NL1001466C2 (ko)
WO (1) WO19970143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284A (ko) * 2014-07-31 2017-04-12 해치테크 그룹 비.브이. 달걀 포란 및 부화용 달걀 트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15653C2 (nl) 2000-07-07 2002-01-08 Pas Henricus G H M Eierbroedlade met rechtopstaande broedstand.
US6527498B2 (en) 2001-04-17 2003-03-04 Embrex,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orienting an egg between vertical and horizontal orientations
KR200376422Y1 (ko) * 2004-11-17 2005-03-10 (주)오토일렉스 자동 제어가 용이한 교육용 부화기
EP1993351B1 (en) * 2006-03-13 2017-08-02 HatchTech Group B.V. Method and device for the incubation of eggs
US7861673B2 (en) * 2006-04-11 2011-01-04 Life-Science Innovations, Llc Egg incubation transport system and methods regarding same
US7966973B1 (en) 2009-03-25 2011-06-28 Adragna Jr John Suspension container for incubating reptile eggs
NL2010301C2 (en) * 2013-02-14 2014-08-18 Hatchtech Group Bv Tray for incubating eggs.
USD707823S1 (en) 2013-03-28 2014-06-24 Miller Manufacturing Company Incubator housing
GB2518890B (en) * 2013-10-07 2015-09-23 Yair Or Adar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viability of eggs
CA169573S (en) * 2016-01-25 2017-02-16 Doñana 1998 S L Strawberry case
USD804326S1 (en) * 2016-01-25 2017-12-05 Donana 1998, S.L. Case
JP7019130B2 (ja) * 2017-01-24 2022-02-15 戸仁子 岡野 曲面体固定容器
BE1025719B1 (nl) * 2017-11-16 2019-06-24 Columbus Besloten Vennootschap Verbeterd broedproces van eieren in broederijen.
CN108401946A (zh) * 2018-05-28 2018-08-17 福建省农业科学院畜牧兽医研究所 一种实验室鸭用孵化器
CN109169394B (zh) * 2018-07-24 2023-07-21 青岛农业大学 全自动喂料拾蛋车及其控制方法
CN110800644B (zh) * 2019-12-03 2022-02-01 福建省新魁强禽业发展有限公司 一种可便捷照蛋的孵化装置
IT202100005456A1 (it) * 2021-03-09 2022-09-09 Lubing System S R L Supporto portauova per l’impiego in incubatrici per uova
IT202100005465A1 (it) * 2021-03-09 2022-09-09 Lubing System S R L Accessorio per supporti portauova destinati all’impiego in incubatrici per uova
USD959924S1 (en) * 2021-04-21 2022-08-09 Guangzhou Shengjisong International Trade Co., Ltd. Flipping egg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11259C (de) * 1930-10-28 Bernhard Dammann Wendevorrichtung fuer Bruteier
DE131832C (ko) *
US1345483A (en) * 1919-08-27 1920-07-06 Charles S Ewry Egg-tray
US1533499A (en) * 1924-11-24 1925-04-14 David M Holbrook Incubator tray
US1796872A (en) * 1928-07-09 1931-03-17 James Mfg Co Egg tray and egg-tilting mechanism
US2846976A (en) * 1955-01-31 1958-08-12 Martin T Moller Egg holder for incubator tray
US3003463A (en) * 1958-01-15 1961-10-10 Rijcke Norbert Cyriel De Hatching drawers
US3147738A (en) * 1961-08-11 1964-09-08 Rockwood & Co Egg incubating tray with rack and pallet
GB1184299A (en) * 1967-11-21 1970-03-11 Robert William Cannon Incubator Egg Tray
US3783832A (en) * 1972-05-19 1974-01-08 A Marsh Automatic egg incubator
US4512285A (en) * 1983-12-27 1985-04-23 Gof Manufacturing Company,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egg turning during incubation
AU675917B2 (en) * 1989-03-16 1997-02-27 Marmon Corporation Of Canada, Ltd.,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incubating and hatching eggs
DE4407407C2 (de) * 1994-03-05 1995-12-14 Rainer Drat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Bebrütung von Eier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40284A (ko) * 2014-07-31 2017-04-12 해치테크 그룹 비.브이. 달걀 포란 및 부화용 달걀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611071A (pt) 1999-12-21
CA2234147A1 (en) 1997-04-24
WO1997014300A1 (en) 1997-04-24
NL1001466C2 (nl) 1997-04-22
EP0862363A1 (en) 1998-09-09
MX9803094A (es) 1998-11-29
AU7229196A (en) 1997-05-07
US6196160B1 (en) 2001-03-06
JP2000506369A (ja) 2000-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64284A (ko) 달걀 부화 접시
US6129428A (en) Storage device for objects, storage station and air-conditioned cabinet
US4539455A (en) Adjustable shelf for microwave ovens
US3147738A (en) Egg incubating tray with rack and pallet
EP0375030B1 (en) Method and tray system for use in hatching operations
US4189631A (en) Hamburger bun storage device
US500778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loading stacks of trays
JPH11157508A (ja) カップ状商品の自動集積装置
RU2129360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кубации яиц
JP2707156B2 (ja) 熱対流オーブン用蒸気発生機
US3147737A (en) Apparatus for incubating eggs
US34811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and depositing eggs onto egg flats
JPH07223729A (ja) 矩形物品の積み降ろし装置
US4821901A (en) Filler flat construction
EP065496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ubating and hatching eggs
MXPA98003094A (en) Charola for incubation of hue
CA2309939A1 (en) Incub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continuous incubation of eggs ofall species of fowls
CN1204231A (zh) 卵孵化箱
US3869040A (en) Conveyor for cylindrical parts
GB2232235A (en) Drying moulded roof tiles
CN109122399B (zh) 新型孵化机
NL2031794B1 (nl) Hefinrichting voor eiertrays
PT101681B (pt) Dispositivo para carga e descarga de uma estrutura de mesa de queima com o produto a queimar
JP3570356B2 (ja) 乾燥装置
KR102605102B1 (ko) 베이커리 반죽 성형 및 자동 로딩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