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925A - 그리드 커넥터 - Google Patents

그리드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925A
KR19990063925A KR1019980702398A KR19980702398A KR19990063925A KR 19990063925 A KR19990063925 A KR 19990063925A KR 1019980702398 A KR1019980702398 A KR 1019980702398A KR 19980702398 A KR19980702398 A KR 19980702398A KR 19990063925 A KR19990063925 A KR 19990063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ance
slot
relief zone
adja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3671B1 (ko
Inventor
폴 디. 라론드
제럴드 엘. 코스키
제임스 제이. 르하인
Original Assignee
딘 에이치.구쎈
유에스지인테리어스,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477419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9006392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딘 에이치.구쎈, 유에스지인테리어스,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딘 에이치.구쎈
Publication of KR19990063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3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36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1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122Connections between non-parallel member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ne member passing through the other member, both members laying at least partly in the same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통런너의 공동 슬롯 (8) 에 조립될 때 동일한 커넥터와 연동하는 시일링 그리드 런너 (11) 용 단부 커넥터 (19) 에 관한 것이다. 제 2 커넥터가 슬롯 (18) 에 삽입될 때 대향 커넥터와 커넥터 평면으로 부터 측방으로 스탬프된 쇄정란스(41) 사이의 간섭과 관련된 문제점들은 제 2 커넥터가 슬롯 (18) 에 거의 완전히 수용될때까지 대향 쇄정 란스를 소거하는 오목영역 형태로 되는 커넥터의 전방부에 있는 릴리프 구역 (60) 에 의해 감소된다.

Description

그리드 커넥터
현수된 시일링 금속 그리드 공작물은 전형적으로 일반 역 T - 자형의 크로스런너 ( runner ) 와 관통런너의 조립체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크로스런너는 그 단부들상에 커넥터 구조물을 구비한다. 그리드의 조립중, 메인 또는 관통러너들의 웨브 ( web ) 들에 형성된 구멍 또는 슬롯들 내로 커넥터들이 삽입된다. 특정 크로스런너 단부 커넥터들에서 발견되는 중요한 특징은 소위 커넥터-대-커넥터 쇄정이며, 이는 관통러너의 대향측으로 부터 동일 슬롯내로 삽입된 단부 커넥터들 사이에 직접적인 상호연결을 확립한다. 커넥터-대-커넥터 쇄정은 더 정확한 차원의 그리드를 생산할 수 있게하며, 실시되는 관통러너에 대한 연결에서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인장력에 저항가능하다. 따라서, 높은 인장하중 수용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커넥터-대-커넥터 쇄정이 바람직하다. 높은 인장의 커넥터-대-커넥터 쇄정을 발생시키는 일반적인 접근은 커넥터를 형성하는 시트 메탈 스톡 ( sheet metal stock ) 으로 강성돌출부를 찍어 냄으로써 소위 란스 쇄정 ( lance lock ) 을 발생시킨다. 란스 쇄정은 전형적으로 일반 배향에지를 지니며, 그 에지는 커넥터의 주평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배치되며, 상기 에지 전방의 스톡 재료는 대부분의 경우 강도를 위해 커넥터의 주변 영역과 연속을 유지한다. 결과적으로, 란스 쇄정 자체는 측방향으로 유연성이 없다.
커넥터는 또한 쇄정 란스 에지의 전방에 배향 수용에지와 함께 형성된다. 하나의 커넥터의 쇄정 란스에지는 대향 커넥터의 수용에지와 인접한다. 관통런너의 슬롯에 의해 커넥터들이 측방으로 한정되는바, 수용에지와 맞물린 측방 돌출 쇄정 란스를 파지하도록 커넥터들이 관통런너내로 조립된다. 문제는 슬롯내로 제 2 커넥터의 설치중 발생할 수 있다. 커넥터들을 측방으로 억제하도록 슬롯이 설계되므로, 커넥터들의 리드 단부 ( lead end ) 들이 돌출 쇄정 란스와 만나고, 커넥터들과 슬롯 사이에 잠재적으로 높은 간섭조건이 존재함에 따라 슬롯은 대향 커넥터들로 부터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제 2 커넥터를 이동시키도록 저항하는 경향이 있다.
발생하는 간섭은 예를들면 특히 슬롯의 금속 게이지가 비교적 가늘 경우 슬롯의 에지들의 굽힌 및/또는 커넥터들 상의 부드러운 코팅에 흠집을 내거나 또는 깍아내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저러한 조건들이, 설치작업을 더 난해하고, 망치게하며 부정확하게하는 불규칙한 설치력 및/또는 과도한 설치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현수된 시일링(ceiling) 구조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현수된 시일링 그리드(grid) 부재용의 개선된 커넥터(connector)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메인 또는 관통런너의 수용 슬롯과 정렬되며 단부 커넥터들을 지닌 크로스런너들의 대향 쌍의 단부들의 개략 사시도.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커넥터와 그런너의 관련된 부분의 측면도.
도 3 은 커넥터의 정단면도.
도 4 는 커넥터의 개략 저면도.
도 5 는 커넥터의 개략 배면도.
도 6 는 커넥터를 지니지 않는 인접 슬롯과 메인 런너의 각각의 슬롯에 조립된 커넥터의 개략 정면도.
도 7 은 메인 런너 슬롯에 조립되고 쇄정된 대향 커넥터 쌍의 도면.
본 발명은, 커넥터-대-커넥터 쇄정 기구를 지니며, 그리드의 요소들 또는 커넥터들의 필요한 굽힘 편차, 절삭 또는 전단을 감소시키거나 배제함으로써 불규칙한 조립작업을 회피하는 개선된 시일링 그리드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 기하학은 조립되는 대향 커넥터와 유사한,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쇄정 구조체의 전방부분과 간섭을 감소시키도록 배치되며, 어떠한 스톡도 존재하지 않는 구역을 지닌다. 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간섭 감소 구역은 스탬핑된 릴리프 ( relief ) 또는 중공 형태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커넥터의 리드 부분으로 제작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릴리프를 형성하는 커넥터의 스톡이 커넥터의 주평면으로 부터 측방으로 변형되어 인접 쇄정 맞물림 표면 또는 인접 쇄정 수용 표면을 보강하도록 한다. 릴리프 영역의 보강기능은 커넥터가 높은 인장력의 연결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개시된 커넥터 장치는 소위 제 1 단부 쇄정을 포함하여, 슬롯내로 조립되는 것을 허여하며, 그 내부에 자동적으로 자체 보지되는 것을 허여한다. 더욱이, 커넥터는 인접 커넥터들 사이에 높은 압축력 수용능력을 지닌 연결부를 발생시킨다.
개시된 릴리프 구역은 결합될 커넥터들의 쌍과 커넥터들이 수용되는 슬롯들 사이에 간섭을 유발하여 커넥터-대-커넥터 쇄정의 지연을 초래한다. 이론적으로 말하면, 크로스런너의 슬롯내로 제 2 커넥터가 거의 완전히 삽입될 때 까지 간섭이 지연된다. 이것은, 관통런너의 재료가 비교적 경량의 게이지 스톡일 때 특별 관심사 일 수 있는, 커넥터가 슬롯의 에지내로 걸리거나 또는 슬롯을 형성하는 재료를 굽힘으로 인하여 슬롯과 커넥터 사이에서 전개될 수 있는 이상 저항 또는 이상 간섭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일단 관련된 표면들의 맞물림이 확립되면, 개시된 릴리프 구역은 넓은 영역에 걸쳐 맞물림력을 전달하는 웨지 또는 캠의 방식으로 작용하여, 집중된 압축응력을 회피하도록 한다. 개시된 릴리프 영역에 의해 제공되는 간섭 감소 구역은 커넥터들 쌍을 조립하는데 필요한 힘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필수적인 힘 수준의 일치에 현저한 개선을 발생시킨다.
미국 특허 제 5,517,796 호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 총괄하여 참고가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 시일링 그리드 시스템에서 교차 부분들을 형성하는 메인 또는 관통 런너 (10) 및 크로스 런너 (11) 의 일부분을 예시하고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런너 ( 10, 11 ) 모두는 중심 웨브 (13) 의 한 에지를 따라 존재하는 보강 벌브 (14), 및 상기 웨브의 하부 또는 다른 에지를 따라 존재하는 대향 연장 패널지지 플랜지 (16) 가 형성되어 있는 티자형이다. 통상적으로, 런너 ( 10, 11 ) 는, 길이 방향 축이 수평면에 놓이고 웨브 (13) 가 수직면에 놓인 상태로 조립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다 넓은 범위의 실시태양에 의하면, 개시된 연결구조는 그리드 티나 런너와는 다른 형태에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한 티 구조가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그리드 티가 예시된 단면으로 굽혀지는 얇은 시이트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이 전형적이라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그리드 티는 다른 방식으로, 예컨대 압출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현수 시일링용의 여러 그리드 시스템에서, 평행하고 측면 이격된 메인 티 또는 런너의 수평 배치는 건물 구조로부터 와이어등에 의해 그리드상에 지지되어 있으며, 크로스 티 또는 런너는 메인 런너와 상호 연결되어 있는데, 2 개의 대향 크로스 런너 단부는 각각의 교차 부분에서 메인 런너의 양측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엄밀하게는 메인 주행(run) 및 크로스 주행이 제공되지 않는 바스켓 위브형 그리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양자 형태 모두의 그리드 시스템은 관통 런너가 교차 부분에서 관통 런너와 교차하는 대향 런너 단부를 지나 연장되는 교차 부분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원에 사용되는 " 관통 런너 ( through runner ) " 라는 용어는 바스켓 위브 그리드 시스템, 메인 주행 및 교차 주행 그리드 시스템, 및 본 발명을 합체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그리드 시스템을 포함하도록 " 메인 런너 " 대신에 사용되고 있다. 전형적으로 현수 시일링 그리드 시스템의 런너는 플랜지 (16) 에 의해 제한되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상호 연결되어 있다.
특히, 도 1 및 6 을 참조하면, 관통 런너 (10) 의 웨브 (13) 는 커넥터 개구부 (18) 가 형성되어 있으며, 2 개의 크로스 런너 (11) 의 단부는 유사한, 바람직하기로는 동일한 커넥터 (19) 가 설치되어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커넥터 (19) 는 개별 요소로 형성되어 있으며 당업계에 알려진 클린치와 같은 연결부 (21) 에 의해 런너 단부의 웨브 (13) 에 연결되어 있다.
도 1 은 어느 한 커넥터가 개구부 (18) 에 설치되기전의 런너를 예시하고 있다. 도 6 은 제 1 런너 단부의 커넥터 (19) 가 개구부 (18) 에 설치되어 하기에 기술될 제 1 단부쇄정에 의해 내부에 유지된 후의 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도 7 은 2 개의 런너 (11) 및 관통 런너 (10) 의 완전 조립 교차 부분을 예시하고 있다.
커넥터 (19) 는 고강도의 스틸 시이트 스톡으로부터 스탬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커넥터 (19) 의 다수 표면적은 그 본래의 평면 구조를 유지하고 하기에 기술되는 다른 면적이 본래의 면으로 부터 스탬프되는 동안 커넥터 본체의 면을 나타낸다. 사용할 때 대개는 런너 웨브 (13) 의 수직면에 놓이는 커넥터 (19) 는 불규칙하고 다소 각이진 프로필을 갖는 선단부 (26) 를 지닌다. 선단부 (26) 는 대체로 수직인 선단 에지 또는 노우즈 (27), 하부의 소수 베벨 (28) 및 상부의 다수 베벨 (29) 을 포함하는데, 상기 베벨 ( 28, 29 ) 은 관통 런너 (10) 의 슬롯 (18) 내로 커넥터 (19) 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커넥터의 면에 가로지르는 수직면에 놓이는 하부 에지 (31) 는 관통 런너 (10) 의 웨브 (13) 에 인접하는데 적합하다. 그의 상부 에지를 따라, 커넥터 (19) 는 후방 및 전방으로 각각 대면하는 대향 접촉부 또는 정지 에지 ( 34, 35 ) 를 제공하는 한쌍의 돌출부 ( 32, 33 ) 를 포함한다. 전방 돌출부 (32) 의 후단 에지 (34) 는 적어도 관통 런너 (10) 의 웨브 (13) 의 두께만큼 큰 간격으로 하부의 수직 에지 (31) 로 부터 수평 이격되어 있다. 후방 돌출부의 전단 에지 (35) 는 하부 에지 (31) 의 약간 후방으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전방 돌출부 (32) 에 대해, 이는 또한 관통 런너 웨브 (13) 의 두께를 제공한다. 선단부 (26) 의 하부 에지 (37) 상에 있는 전방 돌출부 (32) 의 높이는 슬롯 (18) 의 높이보다 낮기 때문에 돌출부 (32) 는 슬롯내로 선단부의 삽입을 방해하지 않는다. 이하 자명해지겠만, 커넥터 (19) 가 설치되는 경우, 관통 런너의 웨브 (13) 는 한측에서의 전방 돌출부 (32) 와 타측에 대한 하부 에지 (31) 및 후방 돌출부 (33) 사이에 배치된다.
대체로 U 자형 플랙 또는 쇄정 태브 (41) 는 커넥터 (19) 의 면으로부터 절개되어 있다. 태브 (41) 의 내부 프로필은 고정된 수평폭을 사이에 두고 전방 커넥터 부위에 스톡 (45) 의 영역을 두도록 선단 에지 (27) 로 부터의 미리결정된 간격에 수직 에지 (42) 를 지니는 D 자형 홀에 의해 형성된다. 에지 (42) 의 표면은 후방으로 대면한다. 태브 (41) 는 대체로 홀 에지 (42) 와 부합하는 베이스 또는 벤드라인으로 부터 후방 및 측방 외향으로 ( 도 2 의 면상에서 ) 연장한다. 에지 (42) 에 인접한 베이스로 부터 원격한 태브 (41) 의 자유단은 후방 수직 에지 (46) 로 상호 수렴하는 상방으로 각이진 하부 에지 (43) 및 하방으로 각이진 벤드라인 (44) 을 지닌다. 대체로 벤드라인 (44) 의 후방 및 벤드라인 (44) 상에 있는 태브 (41) 의 플랩 부분은 커넥터 (19) 의 면으로 복귀하도록 내향으로 굽혀진다. 태브 (41) 의 자유 에지 (46) 는 전방 돌출부 (32) 의 후단 에지 (34) 에서와 같이, 대체로 커넥터(19) 의 면을 가로 지르는 동일한 가상 수직면에 있다.
쇄정 태브 (41) 의 후방으로는 태브가 돌출하는 것과는 반대측까지 커넥터 (19) 의 면으로부터 형성 또는 절개된 한쌍의 대항 대변 로킹 돌출부 ( 51, 52 ) 가 이격되어 있다. 돌출부 ( 51, 52 ) 는 모래 시계 형상의 홀 (53) 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다. 돌출부 (51,52) 는 주로 서로의 미러상이며 각각은 한 피라미드의 3 변과 대충 닮은 구조를 지닌다. 후방 돌출부 (52) 는 커넥터 (19) 의 면으로 부터의 측방 연장부분에서 다소 더 크다. 구멍 (53) 에 의해 형성된 돌출부 (51,52) 의 에지 (56,57) 는 수직 라인에 대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에지 (56,57) 는, 예를들면 도 2 및 도 4 에서 보았을 때 한 포인트 또는 정점 (58,59) 을 형성하고 그들 각각의 포인트 (58,59) 로 부터의 후방 및 전방을 기준으로 약간 쳐올린 것을 나타낸다. 에지 (56) 의 표면은 대체로 후방으로 대면하고 에지 (57) 의 표면은 대체로 전방으로 대면한다. 변형적으로, 측방 돌출부 (51,52) 는 구멍 (53) 을 형성하지 않게 에지 (56,57) 또는 그들의 등가물을 형성하도록 커넥터 본체로 부터 슬릿과 함께 절개될 수 있다. 돌출부 (51,52) 는, 그들 각각의 에지 (56,57) 를 제외하고는 커넥터의 주위 부분과 연속하는 자체적인 구조의 결과로 비교적 강하다. 돌출부 포인트 (58,59) 사이의 수평 공간은 영역 (45) 의 수평 폭 보다 단지 약간 큰 것이 바람직스럽다. 도시된 바와같이, 구멍 (53) 은 영역 (45) 와 동일한 높이를 지닌다.
커넥터 (19) 의 전방 부분을 형성하는 영역 (45) 내의 릴리프 구역 (60) 은 커넥터의 면으로 부터 태브 (41) 가 연장하는 동일 측면까지 그리고 돌출부 (51,52) 와 동일한 높이 또는 수직 위치에 측방으로 변형되어 있다. 예시된 경우에 있어서, 릴리프 구역 (60) 은 원의 현 세그먼트의 형상을 지니기 때문에 이는 에지 (42) 부근에 있는 것보다 전단 에지 (27) 에서의 수직 방향에서 더 크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예시된 릴리프 구역 (60) 은 부분 (61) 이 접시의 중심에 대응하고 에워싸는 부분 (62) 이 접시의 원뿔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접시나 팬의 일부분과 같다. 릴리프 구역 (60) 및 커넥터의 전방 부분의 바로 에워싸는 부분들을 포함하는 영역 (45) 은 영역에 고강도를 제공하도록 연속적이며, 구멍, 슬롯, 노치 또는 유사한 불연속 부분이 없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2개의 수직 정렬 구멍 (66) 은 커넥터 (19) 의 후방 부분내에 펀칭되어 상기 후방 부분이 클린치와 같은 연결 부분 (21) 에서 런너 단부 (11)에 연결되게 할 수 있다. 바람직스럽게는, 각각의 런너 (11) 의 단부는 커넥터 (19) 의 후방부분을 수용하기에 충분히 큰 치수를 지니는 얕은 포켓 (67) 으로 엠보싱되어 있다. 포켓의 측방 깊이는 대체로 관련 런너 (11) 가 슬롯 (18) 에 측방으로 중심이 모여 지기에 충분하다.
수직 방향으로 길게 되는 슬롯 (18) 은 중심 대칭판을 지닌 다각형 프로필을 지닌다. 그의 상하 단부에서, 슬롯 (18) 은 짧은 변 또는 단부 (71,72) 를 각각 지닌다. 슬롯 (18) 의 각 단부에서의 에지 (70,82) 각각의 공간은 2개의 커넥터 (19) 의 시이트 스톡의 두께를 근접하게 한정하도록 비례된다. 중간 부분 (74) 은 슬롯 (18) 의 다수 폭 부위를 나타낸다. 예시된 슬롯 (18) 이 다각형으로서 형성된 프로필을 지니지만, 등가의 아치형 세그먼트가 원하는 결과를 얻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제 1 런너 (11) 는 이상적으로는 런너 (11) 의 수평 또는 길이 방향 축을 따른 변환에 주로 국한되는 스테브-인 운동으로 선택된 슬롯 (18) 내로 커넥터 (19) 의 선단부 (26) 를 삽입시킴으로써 관통 런너 (10) 에 연결된다. 후단 돌출부 (33) 의 리드 에지 (35) 가 슬롯 단부 바로위의 웨브 (13) 와 접할때까지 커넥터 (19) 는 슬롯 (18) 내로 밀어넣어 진다. 이러한 동작중, 태브 또는 플랙 (41) 은 중간 단면 (74) 의 슬롯 (18) 측부에 대하여 지지되며, 슬롯 (18) 을 통하여 완전히 통과할때까지 커넥터 (19) 본체의 평면을 향해 캠 작용에 의해 압착된다. 이 시점에서, 태브 (41) 는 그 자유 배치내로 급속히 회복하여, 관통 런너 웨브 (13) 대하여 돌출부 에지 (35) 의 안착과 동시에 가청 클릭 소리를 낸다. 그 가청클릭은 커넥터 (19) 가 완전히 설치된 것을 설치자가 확신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가 도 6 에 도시되어 있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같이, 슬롯 (18) 과 태브 (41) 는 슬롯내의 제 1 커넥터 (19) 의 측방 위치에 관계없이, 태브의 자유 수직 에지 (46) 가 슬롯의 최소한의 부분의 측방외측에 있도록 형성되어, 커넥터 (19) 가 관통 런너 (10) 의 웨브 (13) 상에 쇄정되거나 또는 걸리는 바, 그 이유는 보통의 축방향력 하에서 태브 (41) 가 슬롯을 벗어나 축방향 후방으로 간단히 이동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제 1 커넥터 (19) 에 의해 점유된 슬롯 (18) 내로 커넥터 (19) 를 삽입함으로써 관통런너 (10) 에 제 2 런너 (11) 가 연결된다. 도시된 설계에서, 제 1 커넥터 (19) 의 좌측으로 슬롯 918) 에 제 2 케넥터 (19) 가 삽입된다 ( 제 2 런너가 설치된 주요부와 관련된 기준점에서 볼 때 ). 다시, 설치된 런너의 수직 또는 수평축에 평행한 스테브-인 ( stab-in ) 가청 클릭으로 운동에 의해 이러한 설치가 이상적으로 종결된다. 슬롯 (18) 을 통하여 관련된 태브 (41) 의 쇄정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 2 커넥터 (19) 의 조립 운동은 때때로 " 핸드 셰이킹 ( hand shaking ) " 으로 일컬어지는 커넥터-대-커넥터 쇄정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태가 도 7 에 도시되어 있는바, ( 스톱 에지 (35) 들이 웨브 (13) 의 면에 접촉 또는 인접한 ) 슬롯 (18) 에 커넥터 (19) 들 양자의 완전한 조립과 동시에, 하나의 커넥터 (19) 의 랜드 ( 45 ; land ) 가 다른 커넥터의 돌출부 (51,52) 들 사이에 수용 및 쇄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그 역도 또한 가능하다.
제 2 커넥터 (19) 가 슬롯 (18) 내에 삽입되면, 릴리프 영역 (60) 의 측방 오프셋은 각각의 커넥터들의 리드 부분들이 대향 커넥터의 전방 돌출부 (51) 와 간섭을 회피하도록 한다. 원뿔형 벽 (62) 에 의해 형성된 릴리프 영역 (60) 이 대향 커넥터 (19) 의 돌출부 (51) 와 맞물릴때에만, 커넥터와 슬롯 사이에 현저한 간섭이 전개된다. 릴리프 영역 (60) 은 그 수직 및 측방으로 균형잡혀, 제 2 커넥터가 슬롯 (18) 에 거의 완전히 수용될때까지 대향 돌출부 (51) 와 간섭 맞물림은 일어나지 않는다. 릴리프 영역 (60) 의 주변 원뿔형 부분 (62) 의 측방 각도 배향은 돌출부 (51) 의 측방 각도 배향과 유사하며 상보적이다. 결과적으로, 원뿔형 또는 각진 부분 (62) 는 그것이 맞물려 슬롯 (18) 내로 제 2 커넥터의 설치 완료시 돌출부 (51) 를 지나 완전히 강제되어 캠으로서 작용한다. 각각의 커넥터들의 전방 단부는 대향 커넥터로 부터 측방으로 이격되게 탄성적으로 굽어, 돌출부 (51) 들에 의해 전개된 간섭을 조정한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에지 (42) 에 의해 제공된 랜드 (45) 의 후방단부가 일단 돌출부 (51) 의 돌출 지점 (58) 을 소거하면, 랜드 (45) 는 대향 커넥터의 돌출부 (51,52) 들 사이의 공간으로 스냅된다. 그 돌출 지점 (59) 에서의 배향 돌출부 (52) 의 측방연장은 적어도 릴리프 영역 (60) 의 수직 중심에서 에지 (27) 의 오프셋만큼 크게된다. 이러한 기하학은 후방 돌출부 (52) 가 각각의 런너 (11) 들의 종방향을 따라 압축력에 대항하여 그들의 조립된 위치에 커넥터들을 쇄정하는 것을 보장한다.
도 6 은 리브 (63) 와 인접 수직 슬롯에지 사이의 접촉이 확립될 때 커넥터 (19) 가 측방으로 제한되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2 개의 커넥터 (19) 들이 동일 슬롯 (18) 에 조립되면, 현저한 측방 이동이 방지되고, 커넥터들은 서로에 대하여 측방으로 정연하게 유지되며, 정확하게 조절된 모듈길이가 시일링 그리드 전반에 걸쳐 달성된다. 이러한 제한은 신뢰성있는 연결을 위해 돌출부 (51 및 52) 쌍들 사이의 공간에 랜드 (45)들이 유지되는 것을 보장한다.
전술된 바와같이, 런너 (11) 의 종방향으로 랜드 (45) 들의 나비는 돌출부들의 지점들 또는 정점 (58,59) 들 사이의 간격 보다 단지 약간 더 작게되어, 커넥터 (19) 들 및 그들과 관련된 런너 (11) 들이 상호간에 정확히 배치된다. 관통 런너 웨브 (13) 의 각각의 측상에서, 랜드는 인접 돌출부 (51,52) 에 의해 인장 및 압축이 제한된다. 후진 또는 비-플럼프 ( non - plump ) 에지들에 의해 제공된 언더컷에 의해 특별히 높은 구속력 수준이 달성된다. 이러한 높은 구속력은 각각 랜드 (45) 및 돌출부 (51,52) 에 의해 제공된 텅 ( tongue ) 및 그루브 배치에 기인한다. 특히, 결합된 커넥터들 사이에서 일반 축방향력하의 텅으로 작용하는 랜드 (45) 는 각도 또는 에지 (56,57) 의 플럼프 배향에 따른 각각의 돌출 지점 (58 또는 59) 축방하부의 수직 그루브 또는 언더컷내로 연장한다. 그러한 그루브 또는 오목부내로 연장함으로써, 커넥터의 인접 부분과 랜드가 견고하게 파지되어, 대향 커넥터와 접촉을 벗어나 측방으로 굽힘을 방지한다.
각각의 런너 (11) 는 대개 도면에 도시된 대향 단부상에 본원에 개시된 것과 동일한 커넥터 (19) 를 지닌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전술된 미국특허 제 5,517,796 호에 개시된 바와같이 관통런너 (10)를 적절히 비틀어돌리고 크로스런너를 해제되도록 조작함으로써 커넥터 (19) 가 슬롯 (18) 으로부터 해제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개시된 영역 (60) 과 같은 릴리프 영역은 슬롯내로 제 2 커넥터를 삽입하는데 필요한 힘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필요한 설치력의 진동이 현저히 감소하도록 한다. 개시된 릴리프 영역 (60), 특히 각도 부분 (62) 을 구비한 릴리프 영역 (60) 은 리드에지 (27) 가 돌출부 (51) 및 코팅으로 파고드는 것을 방지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릴리프 영역 (60) 은 제 2 커넥터가 슬롯 (18) 에 거의 완전히 수용될때까지 커넥터의 리드부분 또는 랜드 (45) 와 대향 커넥터의 대향 돌출부 (51) 사이의 현저한 간섭을 지연시킴으로써, 슬롯을 둘러싼 관통런너의 재료가 경사진 표면 (29) 에 의해 손상되거나 깍이지 않게 한다. 도시된 바와같이, 릴리프 영역 (60) 은 대향 커넥터의 돌출부 (51) 전방을 수직 및 측방으로 회피시키기에 충분하게 크다.
본 명세서는 실시예 방식으로 개시되었으며, 본 명세서에 포함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예가 실시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적절한 재료도 제조된 런너와 함께 커넥터가 런너 웨브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후술되는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1)

  1. 관통런너의 공동 슬롯에 있는 커넥터와 인접하게 정렬된 시일링 그리드 런너용 단부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슬롯에 첫번째로 삽입되는 전방단부, 측방 돌출부를 포함하는 커넥터-대-커넥터 쇄정 및 상기 측방 돌출부 전방의 배향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측방 돌출부는 인접 커넥터의 배향면과 상호 맞물리도록 정렬되어 인접 커넥터들과 상호 맞물리며, 상기 배향면의 전방과 커넥터 전방단부의 후방에 릴리프 구역이 형성되며, 상기 릴리프 구역은 관통런너의 슬롯을 통하여 대향 인접 커넥터와 조립될 때 각각의 측방 돌출부에서 커넥터와 대향 인접 커넥터 사이의 간섭을 감소시키는 배치를 지니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구역은 측방 돌출부가 존재하는 커넥터 측부 반대측에 대하여 측방으로 연장하는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향면은 커넥터 스톡의 에지인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구역은 릴리프 구역이 돌출하여 커넥터의 본체내로 스탬프되는 측부 반대편의 커넥터 측부에 관한 오목한 영역인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구역은 그 점방 단부에서의 수직 크기 ( vertical dimension ) 가 그 후방단부보다 더 크게되는 커넥터.
  6. 시일링 그리드 런너용 단부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시트메탈로 스탬프되고, 관통런너의 공동 슬롯에 유사한 대향 커넥터와 인접하게 정렬되며, 상기 커넥터는 슬롯에 첫 번째로 삽입되는 전방 단부, 배면을 구비한 커넥터의 평면에 측방 돌출하는 란스를 포함하는 커넥터-대-커넥터 쇄정, 란스전방의 배향표면, 배향표면 전방의 릴리프 구역을 포함하며, 상기 릴리프 구역은 쇄정란스가 돌출하는 커넥터의 측부에 관한 오목한 배치내로 스탬프되며, 상기 릴리프 구역과 커넥터의 주변 부품둘은 실질적으로 커넥터의 벽을 통하여, 불연속적이지 않으며, 상기 릴리프 구역은 관통런너의 슬롯을 통하여 대향 인접 커넥터와 조립될 때 그들 각각의 란스에서 커넥터와 대향 인접 커넥터 사이의 간섭을 감소시키는 배치를 지니는 단부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쇄정 란스 그 배면을 제외한 커넥터의 잔여부분과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방식으로 스탬프되는 단부 커넥터.
  8. 제 6 항에 있어서, 배향 표면과 쇄정란스 사이에 제 1 의 단부 쇄정 태브 ( tab ) 를 포함하는 단부 커넥터.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쇄정란스 전방의 제 2 란스와 리드 에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란스는 쇄정란스와 마찬가지로 커넥터의 동일측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며, 상기 제 2 란스는 대향 런너들 사이의 압축 연동을 제공하도록 대향인접 커넥터의 리드에지와 맞물리게 정렬되는 커넥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구역은 상기 리드 에지로 연장하며, 상기 제 2 란스는 쇄정 란스의 측방 돌출부보다 더 큰 거리 만큼 커넥터의 평면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는 커넥터.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프 구역은 대향 커넥터의 쇄정란스와 맞물릴 때 캠표연으로 작용하기에 적합한 측방 각도 성분을 지녀, 상기 대향 쇄정란스를 지나 상기 릴리프 구역의 낮은 힘의 운동을 발생시키는 커넥터.
KR10-1998-0702398A 1996-08-01 1997-07-31 그리드 커넥터 KR100503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690,845 1996-08-01
US8/690,845 1996-08-01
US08/690,845 US5761868A (en) 1996-08-01 1996-08-01 Grid connector
PCT/US1997/013505 WO1998005831A1 (en) 1996-08-01 1997-07-31 Grid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925A true KR19990063925A (ko) 1999-07-26
KR100503671B1 KR100503671B1 (ko) 2005-10-27

Family

ID=24774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398A KR100503671B1 (ko) 1996-08-01 1997-07-31 그리드 커넥터

Country Status (28)

Country Link
US (1) US5761868A (ko)
EP (1) EP0857243B1 (ko)
JP (1) JP3745778B2 (ko)
KR (1) KR100503671B1 (ko)
CN (1) CN1101509C (ko)
AR (1) AR008801A1 (ko)
AT (1) ATE290137T1 (ko)
AU (1) AU713593B2 (ko)
BR (1) BR9706544A (ko)
CA (1) CA2233588C (ko)
CZ (1) CZ296251B6 (ko)
DE (1) DE69732620T2 (ko)
EG (1) EG21360A (ko)
ES (1) ES2236821T3 (ko)
HK (1) HK1017403A1 (ko)
HU (1) HU225562B1 (ko)
ID (1) ID17837A (ko)
IL (1) IL123879A (ko)
MY (1) MY118247A (ko)
NO (1) NO318685B1 (ko)
NZ (1) NZ330094A (ko)
PL (1) PL188085B1 (ko)
PT (1) PT857243E (ko)
RU (1) RU2188286C2 (ko)
TR (1) TR199800595T1 (ko)
TW (1) TW350158B (ko)
WO (1) WO1998005831A1 (ko)
ZA (1) ZA97689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33684B1 (en) * 1997-02-28 2001-05-15 Contenaguard Holdings, Inc. System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and use of rendered digital works through watermaking
US5966887A (en) * 1997-09-10 1999-10-19 Bailey Metal Products Limited Suspended ceiling cross tee end connector
US6199343B1 (en) * 1999-04-19 2001-03-13 Worthington Armstrong Venture Connector assembly for ceiling grid
US6536173B2 (en) 1999-08-30 2003-03-25 Acoustic Ceiling Products, L.L.C. Covering for suspended ceiling grid system
GB0023294D0 (en) * 2000-09-22 2000-11-08 Phoenix Metal Products Ltd Suspended ceiling grid system
US6851238B2 (en) * 2002-03-14 2005-02-08 Robert J. Rebman Ceiling grid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6729100B2 (en) * 2002-04-30 2004-05-04 Usg Interiors, Inc. Main tee splice
JP4025658B2 (ja) * 2003-02-13 2007-12-26 株式会社奥村製作所 天井板用吊持杆の連結機構
DE10326333A1 (de) * 2003-06-11 2004-12-30 Protektorwerk Florenz Maisch Gmbh & Co. Kg Profilschien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Profilschiene
US7047702B1 (en) * 2004-05-11 2006-05-23 Usg Interiors, Inc. Perimeter angle trim
US7703258B2 (en) * 2005-05-23 2010-04-27 Usg Interiors, Inc. Main tee connection
US7634881B2 (en) * 2005-10-31 2009-12-22 Usg Interiors, Inc. Cross panel
US7503147B2 (en) * 2006-01-09 2009-03-17 Foss Kenneth R Fiberglass ceiling grid system
US9062447B2 (en) * 2009-12-07 2015-06-23 Usg Interiors, Llc Connector clip
CN102094485B (zh) * 2009-12-10 2013-09-11 青钢金属建材(上海)有限公司 轻钢架构造
US8511028B2 (en) 2009-12-22 2013-08-20 Usg Interiors, Llc Clip connection
IT1399235B1 (it) * 2010-04-06 2013-04-11 Dallan Spa Profilato per intelaiature e intelaiatura
FR2966850B1 (fr) * 2010-10-29 2013-07-19 Plafometal Connecteur pour ossature metallique de plafond suspendu et plafond l'utilisant.
US8359803B2 (en) * 2011-05-17 2013-01-29 Usg Interiors, Llc Grid runner cap anchoring lance
US8584418B2 (en) 2011-09-09 2013-11-19 Usg Interiors, Llc Cross runner connector and main runner receiving hole
US8381486B1 (en) 2011-12-29 2013-02-26 Usg Interiors, Llc Unique profile ceiling grid
DE202012003650U1 (de) 2012-04-11 2012-07-17 Plafometal Verbinder für Metallskelett einer abgehängten Decke und Decke, die diesen verwendet
DE202012003648U1 (de) 2012-04-11 2012-06-21 Plafometal Metallskelett für eine abgehängte Decke
US8955273B1 (en) 2013-08-06 2015-02-17 Usg Interiors, Llc Channel cross member
US9637918B1 (en) * 2016-01-06 2017-05-02 Usg Interiors, Llc Cross runner to main runner anchor clip
PL235058B1 (pl) 2017-05-30 2020-05-18 Szymanski Andrzej Lars Profil z listwą łącznikową do mocowania elementów sufitu podwieszanego
PL422209A1 (pl) 2017-07-13 2019-01-14 SZYMAŃSKI Andrzej LARS Element świetlny, zwłaszcza do sufitu podwieszanego
CN110863611B (zh) * 2019-11-20 2021-11-30 河北水利电力学院 一种锁钩连接的h型钢、槽钢装配式l型异形柱
US11053682B1 (en) * 2020-03-12 2021-07-06 Usg Interiors, Llc High strength main tee splice
US11384536B1 (en) * 2021-04-12 2022-07-12 Usg Interiors, Llc Ceiling grid hanger holes
US20240035276A1 (en) * 2022-08-01 2024-02-01 Usg Interiors, Llc Light gauge main tee spl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1185A (en) * 1966-07-11 1970-03-17 Donn Prod Inc Cross beam connector
US4525973A (en) * 1984-01-09 1985-07-02 Chicago Metallic Corporation Suspended ceiling system
US4648230A (en) * 1985-07-24 1987-03-10 Donn Incorporated Locking connection for suspension ceiling grid systems
US5271202A (en) * 1992-05-12 1993-12-21 Chicago Metallic Corporation Suspended ceiling system with staked-on connectors
US5517796A (en) * 1994-05-25 1996-05-21 Usg Interiors, Inc. Stab-in removable end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D17837A (id) 1998-01-29
NO981459L (no) 1998-05-27
RU2188286C2 (ru) 2002-08-27
CZ96298A3 (cs) 1998-11-11
HUP9904164A3 (en) 2002-02-28
IL123879A0 (en) 1998-10-30
ATE290137T1 (de) 2005-03-15
AR008801A1 (es) 2000-02-23
TR199800595T1 (xx) 1998-06-22
DE69732620D1 (de) 2005-04-07
NZ330094A (en) 1999-03-29
HK1017403A1 (en) 1999-11-19
AU3968197A (en) 1998-02-25
KR100503671B1 (ko) 2005-10-27
IL123879A (en) 2000-11-21
HUP9904164A2 (hu) 2000-04-28
MY118247A (en) 2004-09-30
EP0857243A4 (en) 2001-04-11
HU225562B1 (en) 2007-03-28
CA2233588A1 (en) 1998-02-12
EP0857243A1 (en) 1998-08-12
EP0857243B1 (en) 2005-03-02
DE69732620T2 (de) 2006-05-11
CA2233588C (en) 2006-05-16
NO318685B1 (no) 2005-04-25
US5761868A (en) 1998-06-09
CN1101509C (zh) 2003-02-12
TW350158B (en) 1999-01-11
WO1998005831A1 (en) 1998-02-12
AU713593B2 (en) 1999-12-09
NO981459D0 (no) 1998-03-31
ZA976890B (en) 1998-02-18
PL326071A1 (en) 1998-08-17
BR9706544A (pt) 2000-10-24
JPH11513090A (ja) 1999-11-09
EG21360A (en) 2001-09-30
ES2236821T3 (es) 2005-07-16
PT857243E (pt) 2005-06-30
CN1205043A (zh) 1999-01-13
CZ296251B6 (cs) 2006-02-15
JP3745778B2 (ja) 2006-02-15
PL188085B1 (pl) 200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3671B1 (ko) 그리드 커넥터
KR100361188B1 (ko) 제거가능한압입식단부클립
US4525973A (en) Suspended ceiling system
EP1499780B1 (en) Main tee splice
EP1885966B1 (en) Improved main tee connection
CA2246899C (en) Suspended ceiling cross tee end connector
US4779394A (en) Connector for suspension ceiling grid
US4341486A (en) Locking tab for hook-in type shelving
MXPA98002535A (en) Grid connector
JP4317636B2 (ja) フレ止め装置付金属製角型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