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794A - 소모기에 의존하지 않고 적어도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를 갖는고정 사이클 전원 회로 - Google Patents

소모기에 의존하지 않고 적어도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를 갖는고정 사이클 전원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794A
KR19990063794A KR1019980702261A KR19980702261A KR19990063794A KR 19990063794 A KR19990063794 A KR 19990063794A KR 1019980702261 A KR1019980702261 A KR 1019980702261A KR 19980702261 A KR19980702261 A KR 19980702261A KR 19990063794 A KR19990063794 A KR 19990063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oad
fixed cycle
power supply
temporari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2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트하르 보르호
카를-헤인리흐 프레이스
클라우스 엑케르트
로베르트 케른
게르하르드 덱케르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19990063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79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6Means for starting or stopping conver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more than one ouput with independent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out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high-intensity discharge lamps, high-pressure mercury or sodium lamps or low-pressure sodium lamps
    • H05B41/2885Static converters especially adapted therefor; Control thereof
    • H05B41/2886Static converters especially adapted therefor; Control thereof comprising a controllable preconditioner, e.g. a boos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H05B41/382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during the transitional start-up phase
    • H05B41/38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during the transitional start-up phase for a transition from glow to ar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15/00Electric lamp and discharge devices: systems
    • Y10S315/07Starting and control circuits for gas discharge lamp using transis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고정 사이클 전원 회로는, 특히 가스방전등의 에너지공급을 위한 소모기로서, 소모기에 의존하지 않고 적어도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28)가 있고 변압기(11)가 있는 직류전압-직류전압-변환기(10)를 포함하고 있다. 스위치장치(12)는 변환기를 출력쪽에 있는 부하의 상태에 의존해 스위치신호(15)를 스위치장치에 공급하는 조정장치의 고정 사이클 직류 전원(13)과 연결한다. 직류전압-직류전압-변환기의 변압기는 상이한 극과 크기의 두 개의 전압 (U+, U-)이 출력쪽에 차이로서 감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전압들 중 적어도 하나는 (U-) 조절되고 소모기가 작동되는 동안의 공급이 계획된다. 적어도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28)는 조절된 전압 (U-)으로 전환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모기에 의존하지 않고 적어도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를 갖는 고정 사이클 전원 회로
DE 42 31 968 4 A1 에서 출력쪽에 특히 가스방전등의, 전기 소모기에 의존하지 않고 적어도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를 갖는, 고정 사이클 전원 회로가 서술되어 있다. 이 장치는 스위치장치를 통해 직류 전원과 연결되는 직류전압-직류전압-변환기를 포함하고 있다. 스위치장치에 대한 스위치신호는 출력쪽에 있는 부하의 상태에 의존하는 조정장치에 의해 공급된다. 이미 알려진 이 전원 회로에 있어서 출력쪽에는 단 하나의 전압만이 사용된다. 소모기가 가스방전등일 경우에 그것의 점화를 위해서 작동전압에 비해 본래 더 높은 점화전압이 필요하다. 이것은 알려진 전원 회로에 있어서 예를 들어 해당 점화펄스의 연결을 통해 특별히 마련된 변압기에 의해 조달된다. 알려진 전원 회로에 있어서 제시된 전압에 도달한 후 점화회로는 여과콘덴서에 점화펄스를 송달한다. 이것은 출력전압이 이 증대된 값까지도 제공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알려진 전원 회로에 있어서 여과콘덴서는 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부하에 다시 전류가 공급된다. 그것의 저장된 에너지는 점화과정을 개시한 후 점화과정의 안전한 완료를 위해 짧은 시간내에 필요한 에너지를 사용하는 데에 충분하지 않다. 적어도 일시적으로 능동 변환기-부하를 이용한 로딩을 통해 이것은 전류 로딩되고 2차코일로 유도저장된 에너지는 점화과정 후 전등의 증대된 필요전력을 고려하여 공급된다. 적어도 일시적으로 능동 변환기-부하는 이 알려진 장치에 있어서 점화후 그것의 완료에 이르기까지의 시간에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상위개념으로 정의된 특히 소모기로서 가스방전등에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소모기에 의존하지 않고 적어도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를 갖는 고정 사이클 전원 회로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두 번째 전압이 조절되지 않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실행형태에 대한
도식적 원리 회로도.
도2는 두 개의 전압이 조절되어 있는 본 발명의 두 번째 실행형태에 대한
도식적 원리 회로도.
도3은 하강조절이 허용된 도2의 실행형태에 대한 도식적 도면.
도4는 적어도 일시적으로 차단가능한 부하의 가능한 실현형태에 대한 도식적 도면.
상기의 발명에 있어서 이것은 그 경우가 아니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점화 상황이 아니라 일시적으로 능동 변환기-부하의 작용방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시간까지의 경우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몇몇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있어서 첫 번째 실행형태에 대한 도식적 원칙회로도이다. 이 실행형태에 있어서 고정 사이클 전원 회로가 공급하는 두 전압중 하나는 조절되지 않는다. 직류전압-직류전압-변환기(10)는 변압기(11)를 포함하고 있다. 변환기(10)는 스위치장치(12)를 통해 직류 전원(13)과 연결된다. 조정장치(14)는 변환기(10)의 고정 사이클을 위해 스위치장치(12)에 스위치신호(15)를 공급한다. 예를들어 특히 FET-트랜지스터와 같은 트랜지스터인 스위치장치(12)는 예를들어 화물차의 충전지와 같이, 직류 전원(13)의 전압을 변압기(11)의 1차코일(16)에 저장해둔다. 변환기(10)의 변압기(11)에는 각각의 블록다이오드(19 또는 20)을 통해 출력챔버(21 또는 22)에서 두 개의 상이한 크기와 극성의 전압 U- 또는 U+이 결정되는 방식으로 두 개의 2차코일(17)과 (18)이 공급된다. 그 때 예를들어 더 큰 2차코일(18)에 해당하는 용량에 맞게끔 큰 전압 U+ 은 여과콘덴서(24)에서 형성되고 이것에서 출력챔버(22)에 전달된다. 블록다이오드(20)은 그 때 콘덴서(24)의 방전을 해당 2차코일(18)을 통해 방지한다. 알맞은 방식으로 더 작은 2차코일(17)에 해당하는 알맞은 크기의 작고 반대극성을 나타내는 전압 U-은 여과콘덴서(25)에서 형성되며 이것에서 출력챔버(21)에 전달된다. 블록다이오드(19)는 콘덴서(25)의 방전을 해당 2차코일(17)을 통해 방지하는 방식으로 접속된다. 변압기(11)의 코일 16, 17, 18 들에 대한 각각의 코일 시작은 점으로 지시된다. 그 때문에 이 장치와 접지전위의 연결에 있어서, 변압기(11)의 반대되는 두 개의 2차코일(17)과 (18)의 연결점이 콘덴서(24)에서의 전압은 양극 그리고 콘덴서(25)에서의 전압은 음극임이 분명해진다.
음극 전압 U-의 전압조정은 1차코일의 스위치장치(12)가 조정장치(14)에 의해 알맞게 트리거링(triggering) 되는 것에 기인한다. 이 조정을 위해 음극 전압 U-의 값은 전선(27)을 통해 공급되고 조정장치(14)에 공급된다. 이것은 출력(21)에서의 부하의 상태에 맞는 변환기(10)의 고정 사이클을 위하여 스위치신호(15)를 스위치장치(12)의 도움으로 공급한다. 출력챔버(21)에서의 적은 부하에 있어서 변환기(10)은 적게 고정 사이클된다. 전압 U-이 제시된 한계치 아래로 감소하면, 조정장치(14)는 더 많은 스위치신호(15)를 전달하여 변환기(10)가 알맞은 만큼 더 많이 고정 사이클되도록 한다.
조절된 전압 U-의 출력챔버(21)와 접지전위 접속부(26) 사이에서 적어도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가 마련되어 있다. 이 부하는 도1에서 제시해 놓은 실행예에 맞게 옴부하(28)과 스위치(29)의 직렬접속으로 구성된다. 스위치는 우선 트랜지스터를 통해 실현될 수 있으며, 조정장치(14)에 의해 생성된 스위치신호들이 부하에 전류를 연결하기 위해 스위치(29)를 닫아주고 또는 부하에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스위치(29)를 열어줌으로써 조정전선(30)을 통해 공급된다.
적어도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는 전류가 공급된 상태에서 변환기(10)가 전류 로딩(loading)되거나 혹은 추가로 전류로딩을 위해 출력챔버(21)에서 로딩되도록 실현시켜 준다. 이것은 다시 전압 U-을 하강하게 하여 한계값 아래에 도달할 때 변환기(10)는 전압상승을 위해 조정장치(14)를 이용해 고정 사이클이 증대되도록 한다. 변환기(10)의 증대된 고정 사이클을 이용해 여과콘덴서(24) 또한 매우 신속하게 충전되고 따라서 두 번째의 양극의 전압 U+은 출력(22)에서 그것의 기대값을 훨씬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게된다. 이 값은 원래 해당 2차코일(18)과 1차코일(16)의 변압비를 이용해 결정되고, 아울러 직류 전원(13)의 사용가능한 전압도 결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원 회로의 우선적 사용과 관련하여, 이것은 특히 고압-가스방전등과 같은 가스방전등의 작동을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 그러한 전등은 다루기 힘든 소모기를 나타낸다. 우선 전등은 호광이 실현되게끔 하는 높은 점화전압을 필요로 한다. 게다가 점화기가 마련되어 있으며 그 때 이것은 전원 회로에 대해 로딩에 맞는 실용적인 무부하작동을 제시하고 이 높은 점화전압을 점화공급전압에서 산출해낸다. 예를들어 460V의 점화기에 대한 높은 공급전압을 조달하기 위해서 매우 적합한 방식으로 U-와 U+의 두가지 전압이 추가로 사용된다. 더욱더 전등은 특정 작동전압을 필요로 한다. 이것은 약 150V 정도에 달한다. 게다가 예를들어 -150V의 액면값을 지닌 조절된 전압 U-이 공급된다. 또한 우선적으로 의도된 것으로 즉, 가스방전등인, 언급된 소모기가 화물차의 전조등에 사용될 경우 이 전등의 조명이 매우 신속하게 작동되어야 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 결과 전원 회로에 전류를 공급시킨후 꼭 필요한 점화공급전압이 매우 신속하게 공급되는 것이 확실해진다. 비록 소모기 자체가 전혀 혹은 매우 적은 부하만을 필요로 한다 하더라도 변환기 (10)는 이 시점에 조정장치(14)에 의해 전류가 공급된 적어도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 여기서 차단된 스위치(29)와 부하(28)으로 구성되어 있는, 부하를 이용해 처음부터 알맞은 전류로 로딩된다. 이것은 변환기(10)의 신속한 고정 사이클을 의미하고 이것과 출력(22)에서의 두 번째 전압 U+을 위한 여과콘덴서 24의 또한 출력(21)에서 작동전압을 형성하는 첫 번째 전압 U-의 신속한 충전이 제공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이 두 부분전압으로 구성된, 필요한 점화공급 전압이 매우 빠르게 출력챔버(21) 과 (22) 사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소모기로써의 가스방전등에 점화한 후 서보전압으로도 나타낼 수 있는 부분전압으로서의 두 번째 전압 U+은 더 이상 필요없게 된다. 작동은 조절된 첫 번째 전압 U-에 의해 유지된다. 그 때문에 불필요한 로딩을 피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는 스위치(29)를 개방함으로써 차단되며 부하(28)는 변환기(10)를 더 이상 로딩하지 않는다.
도 1에서 나타낸 본 발명의 원칙적 실행형태에 있어서 고정 사이클된 전원 회로는 소수의 부품만이 요구됨으로 저렴한 실현을 가능하게 한다. 일시적으로 능동 변환기 부하를 차단함으로써 다시말해, 예를들어 가스방전등이 연소하는 것과 같이 소모기가 작동한다면 어떤 추가적 손실도 발생하지 않는다. 점화를 위해 필요한 점화공급전압은 신속하게 준비되며 작동전압 U-만은 조절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고정 사이클 전원 회로의 사용에 있어서 특히 고압-가스방전등의 형태인 가스방전등은 출력챔버(21) 과 (22)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오히려 대부분 그 사이에 도2의 실행예에서 제시한 것처럼 H-브리지회로(200)가 접합된다. 이 H-브리지회로(200)는 스위치 201 - 204로서 특히 FET-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이 FET-트랜지스터는 과전압에 대해 민감하기 때문에 그에 대해 보호되어야 한다. 도1의 장치에 있어서 전등의 효과적인 점화와 전류 공급 사이에 두 번째 전압 U+만이 출력챔버들 사이에 나타나는 전압차이가 허용된 과전압을 초과하는 방식으로 커지는 현상이 때때로 발생할 수 있다. 이 전압차이는 두 개의 부품전압 U-와 U+의 값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전압 U-에 의해 더 높은 합산값으로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이것은 조절되기 때문에 여기서 두 번째 전압 U+의 한계가 고려되어야 하고 이것으로써 H-브리지회로(200)에 과전압이 전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2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기타 실행예에 있어서 전압 U+의 한계를 위해 특히 출력챔버(22)와 접지전위(26) 사이에 있고 해당 출력부(22)를 로딩한, 부하(205) 와 (206)이 있는 분압기의 형태인 부하를 이용한 작동을 고려한다. 분압기의 연결은 두 개의 부하(205) 와 (206) 사이에서, 조절회로로서 작동하는, 입력부로서의 마이크로 제어기(208)에 공급되는 전선(207)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것은 특히 디지탈 출력신호인 출력신호를 전선(209)에서 생산하고 이 신호는 신호변환기(251)에 공급된다. 이로부터 이 신호변환기(251)는 일시적인으로능동 부하의 전류 로딩으로서 부하(28)를 차단할 때 직류전압-직류전압-변환기(210)에 연결하는, 스위치(29)를 위한 트리거링 신호를 전선(230)에서 생성한다. 스위치(29)를 개방할 때 전선(230)에서 해당 신호를 통해 부하(28)는 변환기(210)에 의해 분리된다. 신호변환기(251)는 서보 부하(252)를 통해 전압 U-과 연결된다.
여기에서 도2의 실행예에 있어서 도1의 실행예에서와 같이 동일한 부품들에 대해 동일한 관련표시가 사용된다는 것이 제시된다. 아울러 도2의 이 실행예에 대한 설명은 다양한 대안, 부품, 기능 및 작용방식을 설명하는 것에만 국한된다.
도2의 실행예에 있어서 전압 U-의 조절을 위해서 전선(261)에 입력으로서 한계치로서의 기준전압이 공급되는, 비교기(260)가 마련되어 있다. 전선(227)에서 분압기의 연결지점에서 감소된 전압 U-의 실제값이 비교기(260)에 공급된다. 분압기는 전압 U-과 기준전압(264) 사이에서 차례로 접속되는 두 개의 부하(262)와 (263)으로 구성된다. 기준전압은 예를들어 5볼트 정도가 된다. 기준전압과 전선(227)에서의 U-의 실제값 사이에서의 비교기(260)의 비교 결과는 출력(265)을 통해 조정장치(214)에 송달된다. 이것은 변환기(210)를 위한 전선(15)에 클락신호를 공급한다.
여과콘덴서(24)와 출력부(22) 사이에 마이크로 제어기(208)의 전선(271)에서의 신호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스위치(270)가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 실행예에 있어서 이 스위치(270)를 이용해 조절된 두 번째 전압 U+이 거기서 더 이상 불필요하게 되면 일단 출력부(22)에서 분리된다. 이것은 우선적 적용에 있어서 가스방전등이 점화되었고 높은 점화공급전압이 더 이상 불필요하면 예로써 그 경우가 된다. 출력챔버(22)에서 일단 접지전위(26)가 결정된다. 그 때 안전상의 이유로 극성다이오드(272)는 음극은 출력챔버(22)에 그리고 양극은 접지전위(26)에 놓여진다. 이 장치는 작동전압은 H-브리지회로에 그리고 거기에서 특히 고압-가스방전등인 소모기에 발송하는, 음극 전압 U-을 다른 출력챔버 21에 연결하기 때문에 그렇게 장치된다.
도2의 실행예에 있어서 출력챔버(21) 과 (22)에 H-브리지회로(200)가 연결되어 있다. 이 H-브리지회로는 그것의 두 개의 스위치(201) 과 (203) 사이에 소모기 연결챔버(222)를 그리고 그것의 두 개의 스위치(202) 와 (204) 사이에 소모기 연결챔버( 221)를 제시한다. 이 소모기 연결챔버(221) 과 (222) 사이에서 예를들어 즉, 부분전압 U-와 U+의 합산값인 높은 전압이 있는 제시되지 않은 점화기기에 또는 작동전압 U-이 있는 제시되지 않은 가스방전등에 공급되는, 출력전압 Ua이 결정된다.
이제 도2의 실행예의 작용방식을 요약하여 설명한다. 전압 U+이 너무 크게 되지 않으려면 그 전압은 부하(205) 와 (206)으로 구성된 분압기로 로딩된다. 로딩을 통해 전압이 요구되는 설정값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에 마이크로 제어기(208)는 스위치(29)를 통해 일시적으로 능동 변환기-부하의 부하(28)에 전류를 공급한다. 이로써 전압 U-이 감소하여 비교기(260)에 의해 그 전압이 조절됨으로써 변환기(210)의 고정 사이클이 집중되어 진다. 이렇게 됨으로써 전압 U-이 다시 그것의 설정값으로 상승할뿐만 아니라, 증가된 에너지송전을 통해 변환기(210)의 2차코일에 전압 U+ 또한 상승한다. U+의 설정값이 초과되면 일시적인으로 능동 변환기-부하는 스위치(29)의 개방을 통해 차단된다. 변환기(210)는 적게 고정 사이클되고 전압 U+은 감소한다. 도2의 실행예에 대한 특별한 장점들은 두 번째 전압 U+의 조절이 매우 쉽게 실현될 수 있고 추가비용과 추가부품들이 거의 필요치 않다는 것이다. 부분전압의 신속한 도달을 위해 마련되어 있는, 적어도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는 두 번째 전압 U+의 조절을 위해 함께 사용된다.
앞서 서술한 부품전압 U+의 조절은 설정값에 도달하기 위해 그때마다 일시적으로 능동 변환기-부하가 고정 사이클의 증대와 함께 U+의 전압상승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상승조절로써의 특징을 나타낼 수 있다. 도3은 도2의 변화된 회로단면도로 하강조절을 위해 가능한 실행형태를 나타낸다. 변환기(210)에 의해 블록다이오드(20)를 통해 고정 사이클된 에너지는 여과콘덴서(24)를 충전시킨다. 이것은 스위치(270) 앞에 놓여있다. 스위치(270) 뒤에는 콘덴서(350)가 장치되어 있는데 이 콘덴서는 전선(271)에서 마이크로 제어기(208)에 의해 공급되는 신호를 통해 스위치(270)를 차단할 때에 충전과 콘덴서(24)의 전압을 함께 넘겨받으며 이외에도 완충-혹은 여과콘덴서로서 작용한다. 하강조절시 스위치(270)의 전류 공급후와 전의 전압이 일단 전류 공급후가 기대 설정값보다 더 높아지는 결과가 발생한다. 전압 U+의 실제값은 이미 설명한 것처럼 분압기(205, 206)에서 전선(207)을 통해 전류가 공급된다. 이 분압기쪽으로 평행하게, 예를들어 약 10과 100 kOhm 사이에 있는 비교적 낮은 오옴의, 부하(351)와 트랜지스터(352)의 직렬접속이 장치되어 있다. 트랜지스터(352)의 기초전극은 전선(353)에서 마이크로 제어기(208) 쪽으로부터 트리거링된다. 트랜지스터(352)가 경우에 따라 적당한 펄스와 정지비율로 상승조정한다면 U+는 로딩되고 아래쪽으로 조절된다. 다시말해, 콘덴서(24) 와 (350)에서 출력전압이 하강조절을 위해 설정값을 초과하면, 분압기(205, 206)의 전류 공급 지점은 이 장치를 통해 그 값으로 감소된다.
도4는 직류전압-직류전압-변환기(10) 또는 (210)에 연결될 수 있는 적어도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에 대한 실행예를 나타낸다.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로서 부하(28)는 스위치(29)로서 작용하게 되는 트랜지스터(429)에 의해 접지전위(26)와 전압 U- 사이에서 전류가 공급되거나 또는 차단된다. 조정을 위해서 마이크로 제어기(208)에 의해 나타나고 펄스형태로 제시되는, 디지탈 신호(400)는 제너다이오드 (401)와 부하(402)를 통해 트랜지스터(429)의 기초전극(403)위로 유도된다. 바람직한 펄스와 중지비율은 약 ¼ "ON" 과 ¾ "OFF"에 있다. 이것은 디지탈 신호(400)의 설명에서 끊이지 않고 점이 찍힌 펄스들의 결합을 통해 나타난다. 도2의 실행예에서와 같이, 부하(205)의 값이 약 500kOhm 그리고 부하(206)의 값이 약 7,5 kOhm에 달하면, 숫자상 예시에 따라 이 비율은 일단 달성될 수 있다.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의 실현에 있어서 앞서 설명했던 것 이외에, 다양한 해결방안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자면 두 개의 점조정 방식으로 매번 트랜지스터 (429)를 완전히 사전조정하거나 혹은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부하(28)는 완전히 전류가 공급되거나 혹은 완전히 전류가 차단된다. 더욱이 선택된 펄스넓이에 해당하는 펄스-넓이-변동-신호를 이용해 트랜지스터에 더 오래 혹은 더 짧게 전류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에 맞게끔 오래 혹은 짧게 부하(28)는 변환기(10) 또는 (210)의 고정 사이클에 영향을 준다. 기타 실현 가능성으로는 적어도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로서 변화가능한 로드-부하가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FET-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부하의 도움으로 실행할 수 있다. 이 부하값은 그 때 게이트-소스-전압의 값에 의해 정해진다.
본 발명은 간단한 장치를 이용해 전류를 공급한 후 매우 급격히 이루어지는, 매우 상이한 부하 상태의 소모기에 공급하기 위해 두 전압이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특히 점화장비에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때에 높은 점화공급 전압의 신속한 준비와 또한 특히, 고압-가스방전등에 있어서 중요성을 지니고 있는 가스방전등의 조절된 작동전압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가스방전등의 에너지공급을 위한 소모기로서, 소모기에 의존하지 않고 적어도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가 있는 고정 사이클된 전원 회로는 청구항1에서 특징지워진 특징들과 함께, 각각의 경우에 있어서 하나씩 조절되는, 두 전압이 공급되는 장점을 지니고 있으며 이 두 전압의 전압차이는 점화 공급전압을 공급하는 데에 충분하고 그 때 요구되는 정격전압의 신속한 사용이 보장된다. 이것은 저렴한 비용으로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것은 직류전압-직류전압-변환기의 변압기가 상이한 극과 크기의 두 전압이 출력쪽에서 감소할 수 있도록 장치되어 있어서 이 전압중 적어도 이 전압들중 하나가 조절되고 소모기가 작동되는 동안의 공급이 계획되어 있으며 적어도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가 조절된 전압으로 전환할 수 있게끔 하여 그 원칙적 목적에 도달하게 된다.
가스방전등과 그것의 점화장치에 에너지공급을 위해 본 발명의 전원 회로를 우선적으로 사용함에 있어서 다음사항이 기본이 된다. 점화장치의 내부 회로구조로 인해 이것은 장소적 기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한되어 허용된 예를들어 460V 의 공급전압이 필요하다. 이 공급전압을 점화장치에 공급한 후 짧은 시간내에 점화전압이 구성된다. 점화장치가 전등의 점화까지 나타내는, 적은 로딩을 통해 공전에서 비슷한 비율이 되면 변환기는 매우 적게만 로딩된다. 공급전압이 예를들어 언급된 460V의 액면값에 도달할 때까지 일정 시간이 지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된 적어도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없이 변환기에서 이 시간은 예를들어 20ms에서처럼 허용되지 않은 만큼 길어서는 안된다. 이 시간만큼 본래의 점화과정은 연장된다. 처음부터 적어도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가 있는 변환기의 로딩을 통해, 이것은 고정 사이클이 강압적으로 증대되며 공급전압은 보다 신속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 대안을 통해 이 구성시간은 현격히 단축된다. 본 발명의 실행예에 있어서 이 시간은 더 작은 5ms의 값으로 단축될 수 있다. 기타 청구항들에서 포기된 대안들을 통해 청구항1에서 제시된 전원 회로의 개선과 유익한 개발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별히 유익한 개발은 두 개의 전압이 동시에 조절되는 것이며, 이로써 실제값이 감소할 수 있는 로딩을 이용해 작동된다. 이 값은 두 번째 전압의 확인된 값에 의존해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혹은 차단하는 조절회로에 공급된다. 이 로딩은 본 발명의 형태에 있어서 그것의 분할기연결이 조절회로로 유도되는 분압기이다. 첫 번째 조절된 전압으로 스위치를 켤 수 있는 적어도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의 사용은 다른 두 번째 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각별히 유익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해결방안으로 나타난다.
두 번째 전압을 하강조절하는 가능성을 통해 이루어진 이 유익한 개발의 대안형태에 있어서, 분압기에 전류가 공급된 두 번째 전압의 실제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분압기 쪽으로 평행하게 조절회로에 의해 유도되어 접속되는, 트랜지스터가 있는 부하의 직렬접속이 계획되어 있다. 이것으로써 이 전압은 유리한 방식으로 두 방향에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유익한 개발형태에 있어서 분압기는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의 전류 공급 또는 전류차단에 대한 펄스와 정지 비율이 너무 작지 않게 지속되고 특히 조절을 양 방향에서 허용하는 방식으로 측정된다.
본 발명의 유익한 개발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는 변화하는 부하로 전류를 공급하거나 혹은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개발의 유익한 형태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는 옴부하와 두 개 점을 조절하는 방식에 따라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고 또는 펄스넓이에 해당하는 펄스-넓이-변동-신호를 이용해 더 오래 혹은 더 짧게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의 직렬접속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의 이 유익한 개발의 다른 대안형태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는 특히 FET-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부하인 변화가능한 로드-부하로 구성되고 이때 부하값은 게이트-소스-전압의 총계값에 의존하게끔 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타 유익한 형태에 있어서 조절된 전압 또는 전압의 조절을 위해서 직류전압-직류전압-직류전압-변환기의 스위치장치에 영향을 미치는 마이크로 제어기가 계획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별한 형태에 있어서 소모기의 작동시작과 완전한 전류 공급 후 이것은 특히, 조절되지 않았거나 혹은 높은 합산값을 지니고 있는, 양 전압 중 하나에 전류를 차단한다. 이 실행형태는 특히 가스방전등의 에너지공급을 위해 사용될 때 의미를 지닌다. 그 때 이것의 점화장치를 위한 공급전압의 부분으로서 충분한 전압을 사용하기 위해, 이것은 추가전압으로서 하나의 전압을 필요로 한다. 다른 것으로 대부분 합산값으로 더 낮게 조절된 전압은 그에반해 작동전압으로서 사용된다.
유리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고정 사이클된 전원 회로는 특히 화물차의 전조등에 장치되어 있는, 고압-가스방전등의 에너지 공급을 위해 조정장치에서 사용된다.

Claims (11)

  1. 특히 가스방전등의 에너지공급을 위한 소모기로서, 소모기에 의존하지 않고 적어도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가 있고, 직류전압-직류전압-변환기(10, 210)와 직류 전원(13) 및 출력측에 있는 부하의 상태에 의존한 스위치신호(15)를 스위치장치(12)에 공급하는 조정장치(14, 214)가 있는 변환기(10, 210)의 연결을 위한 스위치장치(12)를 포함하고 있는 변압기(11)가 있으며, 직류전압-직류전압-변환기(10, 210)의 변압기(11)는 상이한 극과 크기의 두 전압 (U+, U-)이 출력쪽에서 감소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적어도 이 전압들 중 하나 (U-)가 조절되고 소모기가 작동되는 동안에 공급되며 적어도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28)가 조절된 전압 (U-)으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사이클 전원 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두 번째 전압 (U-)이 동일하게 조절되고, 게다가 이것은 두 번째 전압 (U-)의 실제값을 확인할 수 있는, 로딩을 이용해 작동되며, 이 확인된 값은 두 번째 전압 (U-)의 확인된 값에 의존해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28)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조절회로(208)로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사이클 전원 회로.
  3. 제 2 항에 있어서, 분압기의 분할기접속부(207)가 조절회로(208)로 유도되는, 분압기(205, 206)를 통해 로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사이클 전원 회로.
  4. 제 3 항에 있어서, 분압기(205, 206)에서 두 번째 전압 (U+)의 전류가 공급된 실제값이 설정값을 초과하면, 조절회로(208)에 의해 유도되어 전류가 공급되는, 트랜지스터(352)가 있는 부하(351)의 직력접속이 분압기(205, 206)쪽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사이클 전원 회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분압기(205, 206)가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28)의 차단에 대한 펄스와 중지의 비율이 너무 작지 않게 지속되고 특히 양 방향에서의 조절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사이클 전원 회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28)가 변화하는 부하로 전류를 공급하거나 혹은 차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사이클 전원 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는 옴부하(28)와 두 개의 지점을 조절하는 방식에 따라 전류를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고 혹은 펄스넓이에 해당하는 펄스-넓이-변동-신호로 더 오래 혹은 더 짧게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트랜지스터(429)의 직렬접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사이클 전원 회로.
  8. 제 6 항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28)는 특히 FET-트랜지스터의 드레인-소스-부하인 변화가능한 로딩 부하로 구성되고 이때 게이트-소스-전압의 합산값에 의존해 부하의 값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사이클 전원 회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절된 전압 또는 전압 (U-또는 U+, U-)의 조절을 위해 직류전압-직류전압-변환기(10, 210)의 회로장치(12)에 영향을 미치는 마이크로제어기(208)가 계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사이클 전원 회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모기의 작동개시와 완전한 전류 공급 후 두 개의 전압중 우선, 조절되지 않았거나 혹은 높은 합산값 (U+)을 지니는 하나가 스위치(270)에 의해 전류가 차단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사이클 전원 회로.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특히 화물차의 전조등에 이것이 설치되어 있는 고압-가스방전등의 에너지공급을 위해 조정장치에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 사이클 전원 회로.
KR1019980702261A 1995-09-28 1996-06-28 소모기에 의존하지 않고 적어도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를 갖는고정 사이클 전원 회로 KR199900637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36064A DE19536064A1 (de) 1995-09-28 1995-09-28 Getaktete Stromversorgungsschaltung mit einer von einem Verbraucher unabhängigen, zumindest zeitweise wirksamen Last
DE19536064.8 1995-09-28
PCT/DE1996/001153 WO1997012500A1 (de) 1995-09-28 1996-06-28 Getaktete stromversorgungsschaltung mit einer von einem verbraucher unabhängigen, zumindest zeitweise wirksamen la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794A true KR19990063794A (ko) 1999-07-26

Family

ID=7773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2261A KR19990063794A (ko) 1995-09-28 1996-06-28 소모기에 의존하지 않고 적어도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를 갖는고정 사이클 전원 회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005302A (ko)
EP (1) EP0852895B1 (ko)
JP (1) JP3923082B2 (ko)
KR (1) KR19990063794A (ko)
DE (2) DE19536064A1 (ko)
WO (1) WO19970125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02687C1 (de) * 1997-01-25 1998-08-06 Bosch Gmbh Robert Anordnung zum Schutz gegen Übertemperatur eines Steuergeräts für Gasentladungslampen
DE19732098A1 (de) * 1997-07-25 1999-01-28 Bosch Gmbh Robert Steuerschaltung für einen Gleichstrommotor
IT1305660B1 (it) * 1998-02-16 2001-05-15 Zeltron Spa Alimentatore elettrico perfezionato
WO2000014862A1 (en) * 1998-09-07 2000-03-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ircuit arrangement
JP3806279B2 (ja) * 2000-01-20 2006-08-0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放電灯点灯回路
AT411506B (de) * 2000-10-02 2004-01-26 Siemens Ag Oesterreich Schaltwandler
US20210380060A1 (en) * 2020-06-04 2021-12-09 Veoneer Us, Inc. Sensor communication discrete control considering emc compliance for restraint control modul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0994A (ja) * 1983-03-30 1984-10-15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放電灯点灯装置
US4586119A (en) * 1984-04-16 1986-04-29 Itt Corporation Off-line switching mode power supply
DE3508895A1 (de) * 1985-03-13 1986-09-18 ANT Nachrichtentechnik GmbH, 7150 Backnang Gleichspannungswandler mit mehreren geregelten ausgaengen
DE3604716A1 (de) * 1986-02-14 1987-08-20 Nixdorf Computer Ag Schaltungsanordnung zur steuerung des laengsschaltgliedes eines getakteten stromversorgungsgeraets
DE3633518A1 (de) * 1986-10-02 1988-04-14 Philips Patentverwaltung Getakteter gleichspannungswandler
DE3923710A1 (de) * 1989-07-18 1991-01-24 Philips Patentverwaltung Stromversorgungseinrichtung mit gleichspannungsueberwachungsschaltung
DE4231968A1 (de) * 1992-09-24 1994-03-31 Bosch Gmbh Robert Getaktete Stromversorgungsschaltung
DE4342590A1 (de) * 1993-12-14 1995-06-22 Bosch Gmbh Robert Getaktete Stromversorgung
DE4424800A1 (de) * 1994-07-14 1996-01-18 Philips Patentverwaltung Schaltungsanordnung zum Liefern von Speisespann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005302A (en) 1999-12-21
WO1997012500A1 (de) 1997-04-03
JP3923082B2 (ja) 2007-05-30
EP0852895B1 (de) 1999-04-28
EP0852895A1 (de) 1998-07-15
DE59601786D1 (de) 1999-06-02
JPH11511588A (ja) 1999-10-05
DE19536064A1 (de) 1997-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75854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discharge lamp ballast and headlight ballast
US9376056B2 (en) Power supply device and illumination device for vehicle using same
KR100235394B1 (ko) 방전 램프용 점등 회로
EP0797906B1 (en) Circuit arrangement
KR19990063794A (ko) 소모기에 의존하지 않고 적어도 일시적으로 능동 부하를 갖는고정 사이클 전원 회로
EP0413749A1 (en) TWO-POINT POWER BLOCK CONVERTER.
JP5775150B2 (ja) ガス放電ランプの始動のための方法および制御回路
US4647833A (en) Power-supply circuit
US5994846A (en) Buck converter switching scheme
US6392363B1 (en) Starter for a gas discharge lamp, especially a high pressure gas discharge lamp for automobile headlights
JPH10511538A (ja) 電流供給回路
JPH11508401A (ja) 回路集成装置
EP1293109B1 (en) Electronic ballast circuit for operating a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CA2512470A1 (en) High intensity discharge lamp with boost circuit
JPH04351898A (ja) 放電ランプ作動用回路装置
US5663875A (en) Voltage converter for the discharge lamp of a motor vehicle headlight, a power supply circuit, and a headlight including the circuit
US20070007905A1 (en) Low frequency triggered electronic ballast
US5606227A (en) Surge generator having a low voltage transformer winding connected to a high voltage winding
JP4000621B2 (ja) 車両用負荷駆動装置
US20020105284A1 (en) Gas-discharge lamp lighting apparatus with optimized circuit configuration
EP3996264A1 (en) Dc-dc converter and power supply device
KR101176170B1 (ko) 고압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의 과전류 방지 처리 방법 및그 고압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
JPH118935A (ja) 電源回路
JP2021096980A (ja) 点灯装置および照明器具
JPH11329768A (ja) 放電灯点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