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63178A - 요금 징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요금 징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63178A
KR19990063178A KR1019980055953A KR19980055953A KR19990063178A KR 19990063178 A KR19990063178 A KR 19990063178A KR 1019980055953 A KR1019980055953 A KR 1019980055953A KR 19980055953 A KR19980055953 A KR 19980055953A KR 19990063178 A KR19990063178 A KR 19990063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stored price
price card
store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59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게루 가라사와
Original Assignee
오카모토 세이시
도시바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카모토 세이시, 도시바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카모토 세이시
Publication of KR19990063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317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06K17/0022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 G06K17/0029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arrangements or provisious for transferring data to distant stations, e.g. from a sensing device the arrangement being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interrogation of grouped or bundled articles tagged with wireless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8Pre-payment schemes, e.g. "pay bef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금 징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로드/배출될 수 있는 IC카드(저장된 가격 카드)에/로부터 유료 도로를 통과하는 차에 설치된 무선 판상 장치와 판상 장치와 무선 통신 또는 IC카드 자체와 통신을 통해 IC카드 사용자로부터 유료 도로를 사용하기 위해 요금을 징수하기 위한 길가 설비를 포함하고 판상 장치와 IC카드 사이에 액세스가 완료된 경우, 액세스 완료 데이터는 IC카드에 기록되고 이 액세스 완료 데이터는 판상 장치가 IC카드를 액세스할 때 체크되고, IC카드가 판상 장치 내로 로드될 때 IC카드에 기록된 액세스 완료 데이터가 없다고 확인되는 경우, IC카드는 판상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요금 징수 시스템
본 발명은 유료 도로, 즉, 고속 도로, 유료 다리, 등에 적용할 수 있는 요금 징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유료 도로를 위한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와 같이, 일반적으로 두 개의 시스템이 있다. 하나는 단 하나의 체크 포인트를 가지는 소위 열린 시스템(open system)이고 다른 하나는 최소 두 개의 체크 포인트를 가지는 소위 닫힌 시스템(closed system)이다.
닫힌 시스템은, 예를 들어, 장거리 고속도로에 적용된다. 바꾸어 말하면, 입구에 있는 입구 게이트에서 고속도로로 들어오는 차에 표를 발행하기 위하여 그리고 출구에 있는 출구 게이트에서 차가 고속도로를 지나온 거리와 차의 종류에 따라 요금을 징수하기 위한 입구 표 발행/출구 요금 징수 시스템이다.
열린 시스템은, 예를 들어, 짧은 거리의 유료 도로, 유료 다리, 등에 적용된다. 즉, 고정된 요금은 차가 고속 도로 내로 들어오는 입구 게이트에서 징수되고 차는 게이트가 없는 유료 도로의 출구를 통해 통과할 수 있다.
상기한 닫힌 시스템에서의 종래의 요금 징수 시스템과 같이, 자기 카드 요금 징수 시스템이 있다.
이 자기 카드 요금 징수 시스템은, 예를 들어, 고속도로 인터체인지의 입구 게이트에 설치되는 입구 통로 길가 설비와 그것의 출구 게이트에 설치되는 출구 통로 길가 설비를 구비한다. 출구 길가 설비가 영수증 발행기, 표 해독기, 제어기와 같은 종류의 것들을 구비하는 반면에 자기 카드 표를 발행하기 위한 자동 표 발행기는 입구 통로 길가 설비의 주요한 설비이다.
이 자기 카드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 자동 표 발행기는 보통 차량이 들어오는 입구 게이트에서 이 입구 게이트의 상호교환 데이터(이하에 입구 데이터)가 기록한 표인 자기 카드를 발행한다. 차 운전자는 이 표를 자동 표 발행기로부터 받는다. 출구 게이트에서, 출구 게이트 점원은 차 운전자에 의해 운반된 표인 자기 카드를 표 해독기에 넣고 자기 카드에 기록된 입구 데이터는 해독되고 요금은 입구 데이터에 기초하여 계산된다. 점원은 차 운전자에게 계산된 양을 제시하고 차 운전자로부터 현금으로 요금을 징수하거나 유료 도로 운영 활동에 의해 발행된 저장된 가격 카드에 따라 요금을 징수한다.
그런데, 이 자기 카드 요금 징수 시스템의 경우에는 차 운전자는 입구 게이트에서 자동 표 발행기로부터 표를 받는 것이 요구되므로 차의 정체는 많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출구 게이트에서는 표/영수증의 발행과 요금의 징수를 포함하는 많은 수동 작업이 있고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차의 수가 증가될 때 출구 게이트 주위에 교통 혼잡의 문제가 있다.
그래서, 최근에는, 이러한 교통 혼잡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기술의 하나로써, 상기 자기 카드 요금 징수 시스템과 혼합한 형태인 무선 카드 타입 요금 징수 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고려되어졌다. 바꾸어 말하면, 무선 카드 타입 요금 징수 시스템에서, 무선 전달 기능을 가지고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IC 카드를 투입/배출할 수 있는 판상 장치는 차에 설치되어진다. 인터체인지의 입구와 출구 게이트에 제공된 이 판상 장치와 길가 설비 사이에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고 각 차의 요금은 정확하게 계산된다.
자기 카드와 무선 카드를 공동으로 사용하는 요금 징수 시스템이 도입될 때, 판상 장치를 설비한 차(이하 ETC 차)와 그것을 설비하지 않은 차(이하 비ETC 차)가 입구와 출구 게이트를 통해 통과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각각의 차에 대응하는 요금을 징수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서, 상기 ETC는 전기 요금 징수(Electric Toll Collection)의 약자이다.
그래서, 입구 게이트에서, 자기 카드 표는 비ETC 차에 발행되고 입구는 길가 설비에 의한 무선 통신을 통해 ETC 차내에 판상 장치에 놓여진 IC 카트내에 저장되기 위해 ETC차를 제어한다. 출구 게이트에서, 표는 표 해독기에 의해 프로세스되기 전에 비ETC차 운전자로부터 받아지고 요금은 입구 데이터가 ETC차를 위한 길가 설비에 의해 무선 통신을 통해 판상 장치와 ETC차의 IC 카드로부터 받는 동안에 정확하게 인위적으로 계산되고 이 읽은 입구 데이터에 기초하여 요금은 자동적으로 계산된다. 자동 요금 계산에서는, IC 카드의 선불 금액을 기록하기 위한 시스템과 일반적인 신용 카드 시스템과 동일한 시스템이 있다.
그러나, 그러한 요금 시스템은 하기에 나타낸 것과 같은 문제를 지닌다.
상기한 시스템의 구성이 운영 장치의 시점으로부터 분리될 때, 시스템측 운영의 주체인 입구와 출구 게이트에 설치된 길가 설비(입구 통로 길가 설비와 출구 통로 길가 설비)와 사용자측 운영의 주체인 차측 설비(판상 장치와 IC 카드)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설비는 항상 적절하게 작동하지 않고 고장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게다가, 또한 사용자측에서 잘못된 작동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길가 설비는 시스템 운영 측에 의해 운영되므로 요구된 기능은 고장에 대해 빠르게 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차측 설비는, 즉, 판상 장치와 IC 카드는 사용자측에서 운영되고 이러한 장치가 고장을 일으키거나 잘못 작동되었다면 고장의 발생은 길가 설비와 통신이 이루어질 때까지 알지 못하므로, 그것은 게이트에서 고장이 될 수도 있고 교통 체증은 종래의 시스템과 같이 일어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측 설비에 발생되는 이상을 미리 감지할 수 있는 요금 징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금 징수 시스템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
도 2는 닫힌 시스템에서 길가 설비의 하나인 입구 통로측 설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이어그램,
도 3은 닫힌 시스템에서 길가 설비의 하나인 출구 통로측 설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다이어그램,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출구 부스내에 출구 통로 길가 설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도 5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요금 징수 시스템에 사용되는 판상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도 6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요금 징수 시스템에 사용된 IC카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도 7은 열린 시스템에서 길가 설비의 하나인 입구 부스 또는 출구 부스내에 설비를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
도 8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요금 징수 시스템 내에 판상 장치와 IC카드 사이에 명령의 교환을 나타낸 연속 다이어그램,
도 9는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요금 징수 시스템에 IC카드 내에서의 프로세스를 나타낸 순서도,
도 10은 도 1에 나타낸 본 발명의 요금 징수 시스템에 판상 장치 측에서 주요 프로세스 작동을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낸 주요 프로세스 작동 외에 IC카드 투입 프로세스 작동을 나타낸 순서도,
도 12는 도 10에 나타낸 주요 프로세스 작동 외에 무선 통신 프로세스 작동을 나타낸 순서도,
도 13은 도 10에 나타낸 주요 프로세스 작동 외에 IC카드 개정 프로세스 작동을 나타낸 순서도, 및
도 14는 도 10에 나타낸 주요 프로세스 작동 외에 판상 장치 내에 배출 프로세스 작동을 나타낸 순서도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길가 설비 3:OBU
5:IC카드 21:차량 감지기
22:차종 판별기 24:자동 표 발행기
26:차 출발 감지기 30:출구 부스
41:통행 카드 확인기 44:영수증 발행기
53:인터페이스 61:순간 메모리
63:CPU 73:요금 프로세서
74:선불 카드 프로세서 76:IC카드 해독기
본 발명에 따라, 로드/배출되는 저장된 가격 카드에/로부터 유료 도로를 통과하는 차에 설치된 무선 판상 장치와 판상 장치 또는 판상 장치로부터 배출된 저장된 카드 자체와 무선 통신을 통한 저장된 가격 카드 사용자로부터 유료 도로의 요금을 징수하기 위한 길가 장치를 포함하는 요금 징수 시스템이 제공된다. 시스템은 저장된 가격 카드로부터 판상 장치의 엑세스를 완료할 때 저장된 가격 카드에 액세스 완료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방법, 판상 장치에서 저장된 가격 카드를 엑세스할 때 엑세스 완료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및 IC카드가 판상 장치에 로드될 때, 확인 방법이 액세스 완료 데이터가 기록 방법에 의해 저장된 카드에 기록되지 않음이 확인될 때 판상 장치로부터 저장된 가격 카드를 배출하기 위한 방법을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요금 징수 시스템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관련하여 서술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현으로써 무선 카드 요금 징수 시스템(이하 ETC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고 도 2는 닫힌 시스템에서 길가 설비의 하나인 입구 통로측 설비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다이어그램이고 도 3은 닫힌 시스템에서 길가 설비의 하나인 출구 통로측 설비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출구 통로측 설비의 출구 부스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고, 도 5는 이 ETC 시스템의 판상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고, 도 6은 이 ETC 시스템에 사용된 IC 카드의 구성의 개요를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고, 도 7은 열린 시스템에서 길가 설비의 하나인 입구 또는 출구 부스에서의 설비의 구성의 개요를 나타낸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 1에서, 관련 번호(1)는 유료 도로의 길가 설비를 나타낸다. 길가 설비(1)는 유료 도로의 입구 게이트에서 설치된 입구 통로측 설비와 출구 게이트에서 설치된 출구 통로측 설비를 구비한다. 길가 설비(1)는 안테나(2)와 함께 설비된다. 안테나(2)는 나중에 서술되는 명확한 예에 나타낸 제 1 안테나(23), 제 2 안테나(25), 등을 포함한다. 관련 번호(3)는 안테나(2)를 거쳐 길가 설비(1)로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안테나(4)를 가지는 판상 장치를 나타낸다. 저장된 가격 카드로써의 IC카드(5)는 판상 장치에서/로부터 투입/배출된다. 바꾸어 말하면, 판상 장치(3)는 자동으로 스택/배출되는 IC카드 내에 카드 스택커(stacker)가 제공된다. 만일 사용자가 이 카드 스택커의 입구 안으로 IC카드(5)를 넣는다면, IC카드(5)는 카드 스택커내에 있는 자동 로딩/배출 메카니즘에 의해 자동으로 스택된다. 판상 장치(3)로부터 IC카드(5)를 꺼내기 위해, 사용자가 판상 장치(3)위에 제공된 배출 버튼을 누를 때, IC 카드(5)는 자동으로 배출된다.
길가 설비(1)와 판상 장치(3)는 다이나믹 램(RAM)과 같은 내부 버퍼 메모리에 각각에 빠른 속도로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서로에게 무선으로 통신한다. 이와 반대로, IC카드(5)는 EEPROM과 같은 내장 순간 메모리를 가지고 판상 장치(3)는 이 순간 메모리의 안으로 쓰여지고/해독되고 기록 속도는 길가 설비(1)와 판상 장치 사이의 통신 속도보다 특히 더 느리다.
이제, ETC 시스템의 명확한 구성예를 서술할 것이다.
첫째로, 장거리 고속도로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닫힌 시스템의 구조를 서술할 것이다.
닫힌 시스템의 길가 설비의 하나로써, 입구 통로측 설비는 예를 들어, 고속도로의 인터체인지에서 입구 게이트의 각각의 입구 부스에 설치된다.
이 입구 통로측 설비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종 판별기(22), 자동 표 발행기(24), 및 차 출발 감지기(26)로 이루어진다.
차종 판별기(22)는 차의 종류, 즉, 운동 방향에 차량 감지기(21) 다수로 차를 연속하여 체크하므로써 각각의 입구의 각 통로의 앞에 정해진 영역 내로 들어오는 차(Y)의 대형, 중형, 소형을 판단한다.
차(Y)의 입장이 차종 판별기(22)에 의해 감지될 때, 자동 표 발행기(24)는 제 1 안테나(23)를 거쳐 차(Y)와 무선 통신을 시작하고 입구 부스 번호, 들어온 시간, 통로 번호, 등과 같은 입구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는 차(Y)에 보낸다.
차 출발 감지기(26)는 제 2 안테나(25)를 거쳐 입구 게이트를 통해 통과하는 차(Y)와 무선 통신을 하는 장소의 앞 지점에 제공되고 자동 표 발행기(24)에 출발된 차와 같은 감지된 차(Y)를 통보한다.
차(Y)가 제 1 안테나(23)를 거쳐 적절하게 완료되고 차 출발 감지기(26)의 감지 영역 내로 들어올 때, 제 2 안테나(25)는 자동 표 발행기(24)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판상 장치(3)(이하 생략하여 OBU)와 교환한다. 이 통신을 통한 교환 때문에, 차는 OBU(3)에 보내진 차종 판별기에 의해 판별되고 OBU(3)내에 이미 기록된 차에 대한 비교 결과는 자동 표 발행기(24)로 되돌아온다.
자동 표 발행기(24)는 상기한 설비를 제어하고 또한 OBU(3)(이하 비ETC차에 관련된)없이 설비된 차와 만일 그것이 ETC차일지라도 IC카드(5)를 사용할 수 없는 차에 전과 같이 자기 카드를 발행한다.
반면에, 닫힌 시스템의 길가 설비(1)중의 하나로써, 출구 통로측 설비는 고속 도로의 인터체인지의 출구 게이트에서 각각의 출구 부스에 설치된다.
이 출구 통로측 설비는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감지기(31)와 출구 부스(30)내에 설비로 구성된다.
차량 감지기(31)는 차(Y)가 각 출구 부스의 각 통로의 앞에 정해진 영역 내로 들어오는 것을 감지한다.
차(Y)가 차량 감지기에 의해 감지될 때, 출구 부스(30)내에 설비는 제 1안테나(32)를 거쳐 차(Y)와 무선 통신을 실행하고 통신될 수 있는 차(이하 ETC차에 관련된)와 통신될 수 없는 차(비ETC차와 통신할 수 없는 ETC차)로부터 다른 요금을 징수한다.
출구 부스(30)내에 설비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행 카드 확인기(41), 선불 카드 프로세서(42), IC카드 해독기(43), 영수증 발행기(44), 및 출구 통로 제어기(45)로 구성된다.
통행 카드 확인기(41)는 비 ETC차에 의해 운반된 표(자기 카드)를 프로세스한다.
선불 카드 프로세서(42)는 선불 카드를 프로세스한다.
IC카드 해독기(43)는 무선 통신을 통하지 않은 ETC차의 IC카드를 프로세스한다.
영수증 발행기(44)는 현금으로 요금이 지불된 차에 영수증을 발행한다.
출구 통로 제어기(45)는 차량 감지기(31)로부터 들어온 차의 감지를 알려졌을 때 상기한 설비를 제어한다.
통행 카드 확인기(41)는 표(자기 카드)를 읽기 위한 자기 카드 해독기이다. 네거티브 리스트는 출구 통로 제어기(45)내에 하드 디스크와 같이 기록기에 기록된다. 이 네거티브는 예를 들어 IC 카드에 의해 징수되지 않은 요금 외에 고속도로의 작동을 활동 운영하므로써 IC카드가 제공되는 사람들의 리스트이다.
OBU(3)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 로딩/배출 메카니즘(52), 인터페이스(53), IC카드 프로세서(54), 무선 작동 제어기(56), 제어 패널(57), 디스플래이(58), 및 제어기(59)로 구성된다.
자동 로딩/배출 메카니즘(52)은 카드 스택커(51)에서 IC카드(5)를 로드하고 또한 카드 스택커(51)에서 IC카드(5)를 배출한다.
인터페이스(53)는 IC카드(5)로 인터페이스 기능을 실행한다.
IC카드 프로세서(54)는 인터페이스(53)와 메모리(55)에서의 프로세스의 저장된 결과를 통한 해독을 프로세스한다.
무선 작동 제어기(56)는 안테나(4)를 거쳐 메모리(55)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전달하고 메모리(55)에서 안테나(4)를 통해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어 패널(57)은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다수의 버튼(텐-키, 지정키, 실행키, 배출 버튼, 등)을 제공한다.
디스플래이(58)는 문자 디스플래이와 작동의 내용을 안내하기 위한 LED 램프를 제공한다.
제어기(59)는 모든 부분을 제어한다.
메모리(55)에서, 설치된 OBU(3)가 차에 결정하는 요소인 차축의 수, 중량, 용도와 차의 특징적인 데이터와 같은 차 데이터는 미리 기록된다.
IC 카드(5)는 두 가지 종류로 쓰여질 수 있다. 하나는 선불형(요금 선불형)인데 요금을 징수하기 위해 고속도로 작동 운영 활동에 의해 정해진 요금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다른 하나는 금액 공제형이다.
예를 들어, 금액 공제형 IC카드(5)는 EEPROM과 같은 내장 순간 메모리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62)와 순간 메모리(61)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로써 OBU(3)와 CPU(63)의 인터페이스(53)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인터페이스(62)를 가진다. IC카드(5)의 순간 메모리(61)는 사용자의 ID 번호, 계약 유효기간 및 특별한 계약(장애인을 위한 할인의 적부)과 같은 부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게다가, 요금 선불형 IC카드 경우에는 차액 데이터는 저장되고 통행 요금은 사용되지 않은 시간으로 정해놓은 정해진 사용할 수 있는 금액으로부터 사용될 때마다 공제된다. 게다가, IC 카드(5)의 순간 메모리(61)에서는 통과 날짜와 시간, 입구 게이트를 명확하게 하기 위한 입구 번호, 차(Y)의 종류 및 카드의 차액과 같은 통행 이력은 앞서 저장된 IC카드 번호에 더하여 ID카드에 대해 저장된다.
IC카드(5)가 OBU(3)내로 투입될 때, OBU(3)와 함께 신호를 교환하므로써 OBU(3)의 유효성을 확인한 후에, 부과 데이터는 OBU(3)로 보내진다.
반면에, 열린 시스템의 유료 도로에 적용할 수 있는 길가 설비(1)의 하나로써, 입구 또는 출구 부스에서의 설비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 감지기(71), 요금 프로세서(73), 선불 카드 프로세서(74), 영수증 발행기(75), 및 IC 카드 해독기(76)로 구성된다.
차량 감지기(71)는 차(Y)가 각 부스 앞에 정해진 영역에 들어올 때 감지한다.
차(Y)가 감지될 때. 요금 프로세서(73)는 제 1 안테나(72)를 거쳐 차(Y)와 무선 통신을 시작한다. 만일 통신이 가능하다면, 차(Y)는 ETC차이므로 요금 프로세서는 요금 징수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요금 지불의 종류, 들어온 차의 종류 등은 설비의 제어를 위한 징수원에 의한 입력이 된다.
선불 카드 프로세서(74)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지 않은 요금 징수와 함께 차(비ETC차, 등)에 의해 취급된 선불 카드를 프로세스한다.
영수증 발행기(75)는 선불 카드 또는 현금으로 지불된 요금에 대한 영수증을 발행한다.
IC카드 해독기(76)는 차가 ETC차일지라도 무선 통신이 불가능한 요금 징수에 대해 차 운전자에 의해 취급된 IC카드(5)에 의한 지불 프로세스를 프로세스한다.
요금 프로세서(73)는 요금 계산 결과뿐만 아니라 IC카드(5)의 이상의 에러 표시(알리는)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래이를 제공한다. 게다가, 상기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네거티브 리스트는 요금 프로세서(73)내에 기록되어진다.
다음, ETC 시스템의 작동은 예로써 닫힌 시스템을 취하므로써 간략하게 서술할 수 있을 것이다.
첫째로, 입구 통로측을 설명할 것이다.
입구 통로측에서, 예를 들어, 고속도로의 인터체인지의 입구 게이트에 각각의 통로에서, 차(Y)의 출입이 각각의 출구 부스의 앞에 설치된 차량 감지기(21)에 의해 감지될 때, 감지된 데이터는 차종 판별기(22)를 거쳐 자동 표 발행기(24)로 보내진다.
그 다음에, 자동 표 발행기(24)는 제 1 안테나(23)를 제어하고 차(Y)의 OBU(3)와 조회 통신을 시작한다. 차(Y)에서, OBU(3)는 제 1 안테나(23)로부터 조회 신호(액세스 요구)를 수신한다. 조회 신호의 수령까지 OBU(3)는 유효한 안테나로부터의 조회하기 때문에 그것을 확인하고 IC카드(5)와 자동 표 발행기(24)에 되돌려 OBU(3)에 기록된 차로부터 미리 통보된 부과 데이터를 보낸다.
판상 장치(3)로부터의 응답을 인식하는 것은 유효하고, 자동 표 발행기(24)는 부과 데이터의 유효 기간과 금액의 선불 차액이 0이 되는 것을 확인한다.
그 다음에, 만일 OBU(3)로부터의 응답이 유효하다면, 입구 게이트를 명기하는 도로 번호, 요금 사무소 번호, 통과 날짜와 시간, 통로 번호를 포함하는 제 1 입구 데이터는 OBU(3)로 보내진다. OBU(3)는 제 1 입구 데이터가 알맞게 수신되는 것을 확인하고 길가 설비(1)측, 즉, 자동 표 발행기(24)에 데이터의 수령의 완료의 통지를 보낸다.
수신 완료의 통지는 제 1 안테나(23)를 거쳐 OBU(3)로부터 수신될 때, 자동 표 발행기는 표의 발행을 중지하고 차가 적당한 OBU(3)(이하 ETC 차에 관련된)로 로드된 차임을 인식한다.
그 다음에, 이 ETC 차는 자동 표 발행기(24)의 측면을 통과하고 차 출발 감지기(26)의 감지 영역 내로 들어올 때, 차 감지 신호는 차 출발 감지기(26)로부터 자동 표 발행기(24)까지의 신호이다. 이 감지 신호의 수령까지 자동 표 발행기(24)는 제 2 안테나(25)를 제어하므로써 OBU(3)와 조회 통신을 실행한다.
안테나로부터 유효한 조회로써 이 조회 통신을 인식할 때, OBU(3)는 IC카드(5)로부터 미리 통지된 ID번호와 조회에 대한 응답으로써 자동 표 발행기(24)에 대한 OBU(3)에 미리 기록된 ID번호를 보낸다.
이 응답의 수령까지, 자동 표 발행기(24)는 OBU(3)로부터의 응답의 유효성을 체크한다. 이 응답이 유효한 것으로 인식될 때, IC카드(5)의 ID번호와 OBU(3)의 ID번호는 제 1 안테나(23)와 버퍼 메모리에 저장된 것을 거쳐 이미 수신된 ID번호를 비교한다.
그 다음에, 이러한 ID번호가 서로 일치될 때, 차종 판별기(22)로부터 수신된 차종 판단 결과는 OBU(3)에 기록된 차 데이터와 비교되고 이 비교 결과는 제 2 안테나(25)를 거쳐 제 2 입구 데이터로써 OBU(3)에 되돌려 보내진다.
제 2 안테나(25)를 거쳐 제 2 입구 데이터를 적절히 수신할 때, OBU(3)는 수신 완료를 제 2 안테나(25)에 통지한다. 이 통지와 동시에, 적절하게 수신된 제 1 입구 데이터와 제 2 입구 데이터는 최종 입구 데이터로써 IC카드(5)에 기록된다.
다음, 출구 통로측을 서술할 것이다.
출구 통로측에서, 즉, 고속도로의 인터체인지의 출구 게이트에서, 각 통로의 출구 부스의 앞에 설치된 차량 감지기(31)는 차(Y)의 입장을 감지한다. 차(Y)의 입장을 감지할 때, 차량 감지기(31)는 차(Y)의 입장을 출구 부스(30)내에 설비인 출구 통로 제어기(45)에 통지한다.
출구 통로 제어기(45)는 제 1 안테나(32)를 제어하고 들어온 차(Y)와 조회 통신을 시작한다. 이 조회 신호의 수령까지 OBU(3)는 입구 통로와 같이 출구 통로에서 수신된 조회 신호의 유효성을 체크한다.
만일 조회 신호가 유효하다면, OBU(3)는 OBU(3)에 기록된 입구 데이터, 부과 데이터 및 차 데이터를 제 1 안테나(32)에 되돌려 보낸다.
출구 통로 제어기(45)는 제 1 안테나(32)에 의해 수신된 다양한 데이터 외의 입구 데이터에 기초한 요금을 계산한다. 동시에, 출구 통로 제어기(45)는 ID번호 네거티브 리스트와 입구 데이터를 대조하므로써 ID번호의 유효성을 인식하고 입구 데이터와 출구 데이터(요금사무소 번호, 통과된 날짜와 시간, 통로 번호, 및 요금)를 이용 이력으로써 OBU(3)로 보낸다.
이 이용 이력의 수령까지, OBU(3)는 이용 이력이 알맞게 수신되고 길가 설비, 즉, 이용 이력의 수령을 출구 통로 제어기(45)에 통지하고 그 다음에 IC카드(5)에 이용 이력을 기록한다.
다음, 열린 시스템(고정 요금 통로)의 작동을 서술할 것이다.
상기 언급한 닫힌 시스템과 같이, 사용자는 차를 IC카드가 투입된 상태에서 설치된 OBU(3)으로 몰고 간다.
IC카드(5)가 OBU(3)내에 놓여질 때, 신호는 인터페이스(53)와 인터페이스(62) 사이에 OBU(3)의 유효성을 체크하기 위해 교환되고 만일 OBU(3)이 유효하다면, IC카드(5) 자체에 기록된 요금 부과 데이터는 OBU(3)로 보내진다.
고정 요금 통로의 경우에는, 요금은 유료 도로의 입구 또는 출구에서 징수된다.
예를 들어, 만일, 길가 설비(1), 즉, 도 7에 나타낸 구성에서의 설비가 유료 도로의 입구에서 설치된다면, 차(Y)의 입장이 감지될 때, 차량 감지기(71)는 차 입장을 요금 프로세서(73)에 통지한다. 그 다음에, 요금 프로세서(73)는 OBU(3)에 대한 조회 무선 통신을 시작한다.
첫째로, 요금 프로세서(73)는 제 1 안테나(72)를 거쳐 무선 조회 신호를 전달하고 OBU(3)는 상기 언급한 닫힌 시스템에서와 같이 수신된 조회 신호(통신 설비)의 유효성을 체크한다.
통신 설비가 체크 결과로써 유효됨이 확인될 때, OBU(3)는 안테나(4)로부터 그 자체에 기록된 IC카드(5)와 차 데이터에 이미 통지된 요금 부과 데이터를 보낸다.
제 1 안테나(72)를 거쳐 요금 부과 데이터와 차 데이터를 수신할 때, 요금 프로세서(73)는 우선 요금 부과 데이터로부터 ID번호를 뽑아내고 이 ID번호와 네거티브 리스트를 대조하고 ID번호의 유효성이 인식되면 차 데이터에 기초한 차종 판별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판별된 차종에 따라 요금을 계산한다.
연속하여, 요금 프로세서(73)는 계산된 요금에 기초한 요금 사무소 번호, 통과된 날짜와 시간, 통로 번호, 요금 등을 구비하는 요금 사무소 데이터를 준비하고 이 요금 사무소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이력으로써 0BU(3)로 전달한다.
사용하는 이력이 안테나(4)를 거쳐 수신될 때, OBU(3)는 사용하는 이력이 알맞게 수신되는 것을 체크하고, 길가 설비(1), 즉, 요금 프로세서(73)에 수신 완료 통지를 보내고 IC카드(5)에 사용하는 이력을 기록한다.
이하, 설비에 고장이 발생될 때 이 ETC 시스템의 고장 수리 기능을 도 8에서 도 14에 관련하여 서술할 것이다.
이 ETC 시스템에서, 길가 설비(1)와 OBU(3) 사이에, OBU(3)와 IC카드(5) 사이에, 조회 신호와 응답 명령은 교환되고 서로 통신을 하고 있는 당사자를 확인한 후에 데이터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환된다.
예를 들어, OBU(3)와 IC카드(5) 사이에, 카드 투입 명령은 IC카드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OBU(3)내로 투입될 때 OBU(3)에서 IC카드(5)까지 보내진다. 그후에, OBU(3)가 데이터를 읽을 준비가 되자마자, 데이터 해독 명령은 IC카드(5)에 보내진다.
IC카드(5)가 이 데이터 해독 명령에 의해 통신 설비를 인식하고 그 자체에 기록된 해독 데이터를 보낼 때, IC카드(5)의 데이터는 OBU(3)내로 해독되고 그후에 OBU(3)는 길가 설비(1)와 통신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IC카드에 기록된 데이터는 OBU(3)를 거쳐 길가 설비(1)에 의해 체크된다. 즉, IC카드에 기록된 금액 차액의 기초 또는 금액의 유효 기간을 체크하고, 통행 승인/비승인은 길가 설비(1)에 의해 판단되고 판단의 결과는 OBU(3)(이 통신 시간은 약 수㎳이다)에 보내진다.
만일 새로운 데이터가 이 통신의 결과로써 OBU(3)에 발생된다면, OBU(3)는 IC카드(5)에 쓰기 명령을 보내고 IC카드(5)에 새로운 데이터를 쓴다(쓰기에 필요한 시간은 약 수 초이다).
여기에, 만일 OBU(3)의 제어 패널(57)에 제공된 배출 버튼이 유료 도로를 사용하는 차 운전자에 의해 눌려진다면, OBU(3)는 IC카드에 카드 배출 명령을 보낸다. 쓰기가 완료될 때, IC카드(5)는 수신된 카드 배출 명령에 응답하여 OBU(3)에 배출 응답 명령을 보낸다. 이 배출 응답 명령의 수령까지 OBU(3)는 자동 로딩/배출 메카니즘(52)을 제어하므로써 자신의 카드 스택(51)으로부터 IC카드를 배출한다.
그러나, 만일 통신 프로세스의 상기 언급한 일련 동안에 OBU(3)와 IC카드(5) 사이에 어떤 결함이 발생된다면(예를 들어, 데이터는 길가 설비(1)에서 OBU(3)까지 보내지는데, 이 데이터를 IC 카드에 차례로 보내지만 데이터는 발생된 결함 때문에 알맞게 보내질 수 없다), 프로세스는 상기 언급한 결과에서와 같이 완료하지 않는다.
그래서, ETC시스템의 경우에는 IC카드(5)의 CPU(63)와 OBU(3)의 제어기(59)는 각각 아래에 나타낸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첫째로, IC카드에 내부 프로세스 작동을 서술할 것이다.
IC카드(5)의 CPU(63)는 카드 투입 대기 상태(S901)에 있고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명령의 수령(S902)을 대기하고 있고, 수신된 명령이 없는 동안에는 인터페이스(62)의 상태(S903)에 따라 카드 배출 상태를 체크하고 있다.
그 다음에, 명령을 수신할 때(S902에서 예), CPU(63)는 명령 종류(S904)를 판별하고 만일 수신된 명령이 카드를 투입 명령(S904에서 예)이라면 완료 상태(S905)에 카드가 있던 없던 간에 체크한다. 여기에 관련된 카드 완료 상태는 최후 프로세스가 적절히 되어지고 카드 내에서 내부 프로세스가 완료된 것을 표시한다.
이 체크 때문에, CPU(63)는 배출 응답 명령이 OBU(3)로 이전 명령의 교환 동안에 OBU(3)에 보내질 때와 동시에 순간 메모리(61)의 정해진 영역에 액세스 완료를 나타내기 위한 플래그를 더한다. 이 플래그의 존재는 체크된다. 바꾸어 말하면, 만일 카드에서의 내부 프로세스가 완료될 때, 플래그는 첨부되고(기록되고) 프로세스가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어떤 플래그도 첨부되지 않는다.
이 체크의 결과로써 만일 어떤 플래그도 첨부되지 않고 내부 프로세스가 완료된다면(S905에서 아니오), CPU(63)는 다음 프로세스를 실행하지 않고 OBU(3)으로부터 명령을 대기 상태에 되돌리고(S902), 대기 상태에서 유지된다(기능이 정지된 상태).
카드 투입 명령이 수신될 때 시작 상태에의 카드일 때, CPU(63)는 후속 수신 프로세스를 실행하지 않고, IC카드(5)는 기능이 정지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반면에, 카드 상태의 체크의 결과로써, 만일 플래그가 있고 내부 프로세스가 완료된다면(S905에서 예),카드 투입 명령 수신 프로세스는 다음 프로세스로써 실행되고 플래그는 순간 메모리(61)의 정해진 영역으로부터 지워지고 카드는 시작 상태에 넣어진다(S906). 시작 상태에서 카드를 만든 후, CPU(63)는 다음 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상태가 되고(S907, 908) 그 다음에 OBU(3)으로부터 보내진 다음 명령에 따라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한다(S909).
만일 수신된 명령이, 예를 들어, 읽기 명령이라면(S910), CPU(63)는 읽기 명령 수신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지정된 데이터를 되돌린다(S911).
게다가, 만일 수신된 명령이 쓰기 명령이라면(S912), CPU(63)는 쓰기 명령 수신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이 명령이 수신된 다음 순간 메모리(61)에 기록한다(S913).
만일 수신된 명령이 데이터 배출 명령이라면(S914), CPU(63)는 데이터 배출 명령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순간 메모리에 플래그를 첨부하고 완료 상태에 카드를 넣는다(S915).
그 다음에, 순간 메모리(61)내에 데이터의 기록과 완료 상태에서 카드를 놓는 것을 완료한 후, CPU(63)는 OBU(3)에 배출 응답을 되돌린다(S916).
다음, OBU(3)에서의 주요 프로세싱을 서술할 것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종 프로세스는 IC카드 투입 프로세스(S1001)에서 읽기 데이터에 기초한 완료 상태(S1002)에서의 적절하게 완료되거나 완료되는 것을 판단한다(도 11에 관련하여 서술할 것이다). 최종 프로세스가 적절하게 완료될 때, IC카드 배출 프로세스(S1010)(도 14에 관련하여 서술할 것이다)는 실행된다. 단계 S1002에서 최종 프로세스가 적절하게 완료된다고 판단될 때, 그것은 배출 버튼을 누를지를 판단한다(S1003). 배출 버튼이 눌려질 때, IC카드배출 프로세스(S1010)는 실행된다. 단계 S1003에서 배출 버튼이 눌려지지 않았다고 판단될 때, 무선 통신이 OBU(3)와 길가 설비 사이에서 시작되는지를 판단하고(S1004) 만일 시작하지 않았다면, 프로세스는 단계 S1003에 되돌린다. 만일 무선 통신이 시작된다면, 길가 설비(1)와의 무선 통신은 실행된다(S1005). 길가 설비(1)와의 이 무선 통신은 도 12와 관련하여 나중에 상세하게 서술할 것이다.
단계 1005에서 무선 통신 후, OBU(3)가 길가 설비(1)로부터 개정 데이터를 수신하는지를 판단하고(S1006) 만일 개정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았지만 데이터가 유효하지 않다는 결과를 통지되었다면(또는 통신 시작 후 고정된 시간이 경과한 때), 데이터는 유효하지 않다고 OBU(3)의 디스플래이(58)에 디스플래이되고 IC카드 배출 프로세스는 실행된다(S1010). 게다가, IC카드 배출 프로세스는 실행되고, IC카드 데이터는 리셋되고 사용하기전의 상태 또는 차액 부족이 프로세스된다고 IC카드에 기록된다.
단계 S1006에서, 개정 데이터가 수신될 때, IC카드 개정 프로세스는 성공적으로 실행된다(S1007). 이 IC카드 개정 프로세스는 도 13에 괸련하여 나중에 상세하게 서술할 것이다.
IC카드 개정 데이터 프로세스가 적절하게 완료될 때(S1008에서 예), 프로세스는 단계 S1003을 되돌리고 그것은 배출 버튼이 눌려졌는지를 다시 판단한다.
IC카드 개정 데이터 프로세스가 단계 S1008(S1008에서 아니오)에서 적절하게 완료되지 않을 때, IC카드 배출 프로세스는 실행된다(S1010).
다음, OBU에서의 작동을 서술할 것이다.
첫째로, OBU(3)에서의 IC카드 투입 프로세스의 작동을 서술할 것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IC카드(5)를 카드 스택커(51)의 입구 내로 투입할 때, OBU(3)의 제어기(59)는 자동 로딩/배출 메카니즘(52)(S1101)의 센서에 의해 그것을 감지하고, 자동 로딩 배출 메카니즘(52)을 제어하므로써 카드 스택커(51)내로 IC카드(5)를 투입하고, 인터페이스(53)와 인터페이스(62)를 연결한다.
연속하여, 제어기(59)는 IC카드(5)에 카드 투입 명령을 전달한다(S1102). 그 다음에, 제어기(59)는 어떤 이상에 대한 명령 전달을 체크한다(S1103).
그 다음에, 그것은 명령이 전달된 후 고정된 시간 내에 IC카드로부터의 응답인지를 체크한다.
이 프로세스에서 체크의 결과로써, 만일 IC카드로부터의 응답이 있고 전달 이상이 없다면(S1103에서 아니오), 데이터 읽기 명령은 IC카드(5)에 보내진다(S1104). 여기서, 상기와 같이, 제어기(59)는 명령전달의 이상을 체크하고(S1105) 만일 전달 이상이 없다면(S1105에서 아니오), IC카드(5) 투입 프로세스를 완료한다.
반면에, 단계 S1103 또는 S1105에서 전달 이상의 체크 결과로써, 만일 IC카드(5)로부터의 응답이 없고 전달 이상이 있다면, 투입된 IC카드(5)는 취급될 수 없다고 디스플래이(58)에 표시된다(S1106).
게다가, IC카드(5)가 완료 상태에 있지 않을 때(최종 프로세스가 적절하게 완료되지 않았다), IC카드(5)는 대기 상태에 있고 IC카드로부터 받은 응답이 없다(S1103에서 예). 따라서, OBU(3)는 전달 이상 상태로 판단되고 취급할 수 없음 이 표시되고(S1106) IC카드(5)는 배출된다.
다음, OBU(3)와 길가 설비(1) 사이에 무선 통신 프로세스는, 즉, 길가 설비(1)에서의 판단 프로세스는 도 12와 관련하여 서술할 것이다. 길가 설비(1)가 수신된 데이터, OBU(3)로부터 IC카드의 지불에 대한 차액 금액과 거래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할 때, 차액 금액이 모자라거나 지불에 대한 거래가 무효한지를 판단한다(S1201). 차액이 부족하거나 IC카드 지불에 대한 거래가 무효일 때, 메시지는 길가 설비(1)에서 OBU(3)까지 보내진 데이터가 무효임을 지시한다(S1203). 차액이 충분하고 IC카드 지물에 대한 거래가 유효할 때, 개정 데이터는 길가 설비(1)에서 OBU(3)까지 보내진다(S1202).
이제, OBU(3)내의 IC카드(5)의 개정 프로세스의 작동을 서술할 것이다. 이 경우에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기(59)는 IC카드(5)에 카드 쓰기 명령을 전달하고(S1301), 상기한 것과 같은 이상을 위한 명령 전달을 체크하고(S1302) 만일 IC카드(5)로부터의 응답이 있고, 전달에 이상이 없다면(S1302에서 아니오), 이 프로세스를 완료한다.
반면에, 만일 IC 카드(5)로부터의 응답이 없고 전달에 이상이 있다면(S1302에서 예), IC카드(5)에 기록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디스플래이(58)에 표시된다(S1303).
다음, OBU(3)내에 IC카드(5) 배출 프로세스의 작동을 서술할 것이다.
배출 버튼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드 스택커(51)에 수용되는 IC카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눌려질 때(S1401), OBU(3)의 제어기(59)는 IC카드(5)에 카드 배출 명령을 전달하고(S1402) 상기한 것과 같은 명령 전송에서 이상의 유무를 체크한다(S1403). IC카드(5)로부터의 응답이 있고 전송 이상이 없을 때(S1403에서 아니오), 제어기(59)는 자동 로딩 배출 메카니즘(52)을 제어하므로써 카드 스택커(51)로부터 IC카드(5)를 배출하고(S1405) 이 프로세스를 완료한다.
반면에, IC카드로부터 응답이 없고 전달 이상이 있을 때(S1403에서 예), OBU(3)의 제어기는 IC카드(5)에 대한 기록의 이상이 발생했음을 디스플래이(58)에 표시하고(S1404) 자동 로딩 배출 메카니즘(52)을 제어하므로써 카드 스택커(51)로부터 IC카드(5)를 배출한다(S1405).
상기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의 ETC시스템에 따라, OBU(3) 또는 IC카드(5) 둘중 어느 설비가 손상될 때, 또는 IC카드(5)가 힘에 의해 OBU(3)의 외부로 밀려지기 때문에 IC카드(5)에 대한 데이터 기록 프로세스가 적절하게 완료되지 않을 때, IC카드(5)의 CPU(63)는 버퍼 메모리에 대한 프로세스의 비완료를 위한 플래그를 첨부한다(기록한다). 그 후에, CPU(3)는 이 플래그를 체크하고 대기 상태, 즉, 소위 작동이 정지된 상태를 항상 유지한다. 반면에, OBU(3)에서는, 만일 IC카드(5)에서 OBU(3) 자체로부터의 명령 전송까지 응답이 없다면, OBU(3)는 자동으로 투입된 IC카드를 배출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IC카드(5)가 자신의 작동과 디스플래이(58)에 표시된 내용에 의해 배출되지 않는 IC카드(5)를 체크하므로써 사용할 수 없는 IC카드(5)를 미리 알 수 있다.
게다가, 비록 판상 장치(3)와 IC카드(5) 사이에 명령과 교환 작동이 상기한 실시예에서 서술되었다하더라도, OBU(3)의 외부로 밀려난 IC카드(5)와 길가 설비(1) 사이에 작동에 또한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길가 설비(1)에 의해 의도적으로 OBU(3)의 외부로 밀려난 IC카드(5)를 사용하기 위해 시도될 때조차도, IC카드(5) 자체는 응답을 하지 않고 그러므로 IC카드(5)는 OBU(3)에 유사하게 사용될 수 없고 게다가 IC카드(5)의 이상은 길가 설비(1)에서 요금 징수원에 의해 인식될 수 있고 또한 범죄 예방의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만일 이상 조건이 차측 설비, 즉, 판상 장치와 IC카드에서 발생된다면, 예를 들어, 설비가 손상되거나 IC카드가 의도적으로 밀려지고 IC카드에 기록된 데이터가 적절하게 만들어지지 않는다면, 적어도 IC카드측 기능은 정지된다. 결과로써, IC카드가 판상 장치 또는 길가 설비 내로 투입될 때, 어떤 이상과 이상이 감지된 때를 감지할 수 있게 되고, IC카드는 판상 장치 또는 길가 설비로부터 자동으로 배출되고 이상은 알려진다. 따라서, 차의 사용자가 판상 장치의 이상 또는 판상 장치로부터 배출된 IC카드를 봄으로써 미리 IC카드의 이상 또는 사용자 자신에 의한 IC카드 배출 없이 알려진 이상을 발견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2)

  1. 유료 도로를 통과하는 차에 설치되고 저장된 가격 카드를 로드/배출하는 무선 판상 장치, 및 상기 판상장치 또는 상기 판상 장치에서 배출된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 자체와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 사용자로부터 유료 도로의 요금을 징수하기 위한 길가 설비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로 상기 판상 장치의 액세스를 완료하면,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에 액세스 완료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수단,
    상기 판상 장치가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를 액세스하면 상기 액세스 완료 데이터를 확인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IC카드가 상기 판상 장치에서 로드될 때, 상기 액세스 완료 데이터가 상기 기록 수단에 의해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에 기록되지 않은 것을 상기 확인수단이 확인하는 경우, 상기 판상 장치로부터 저장된 가격 카드를 배출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 징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만일 상기 액세스 완료 데이터가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에 기록되지 않았다면 상기 판상 장치로부터 액세스를 계속하고 상기 판상 장치로부터 상기 액세스 완료 데이터를 지우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 징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장치가 상기 길가 설비로부터 상기 IC카드에 전달된 데이터를 기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 징수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장치가 상기 길가 설비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안테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 징수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장치가 상기 액세스 완료 데이터를 지우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 징수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장치가: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에 명령을 전달하는 수단;
    상기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된 명령에 대하여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로부터의 응답이 없을 경우 전달 이상을 확인하는 수단; 및
    상기 전달 이상이 상기 확인 수단에 의해 확인되면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를 배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 징수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가 설비가: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에 명령을 전송하는 수단;
    상기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된 명령에 대하여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로부터의 응답의 존재에 따라 상기 전달 이상을 확인하는 수단; 및
    상기 전달 확인 수단에 의해 이상이 확인되면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를 배출하고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의 이상을 알리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 징수 시스템.
  8. 요금을 징수하기 위해 통로에 제공된 상기 길가 설비와 통신하기 위해 차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가 로드되면 저장된 가격 카드와 통신하기 위한 명령을 전달하는 제 1 전달 수단;
    상기 제 1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된 상기 카드 투입 명령에 대하여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로부터의 응답의 존재에 따라 상기 전달 이상을 확인하는 수단;
    상기 확인 수단에 의해 전달에 이상이 없다고 확인되면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에 데이터 해독 명령을 전달하는 제 2 전달 수단; 및
    상기 확인 수단에 의해 전달에 이상이 있다고 확인되면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를 배출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의 이상을 확인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의 배출을 지시하는 동작 수단;
    상기 동작 수단에 의해 배출이 지시되면 상기 IC 카드에 카드 배출 명령을 전달하는 수단;
    상기 전달 수단에 의해 전달된 상기 카드 배출 명령에 대하여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로부터의 응답의 존재에 따라 상기 전달 이상을 확인하는 수단; 및
    상기 확인 수단에 의해 전달에 이상이 있으면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의 이상을 확인하고 저장된 가격 카드를 배출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상 장치.
  11. 유료 도로를 통과하는 차에 설치되는 무선 판상 장치에/로부터 저장된 가격 카드를 로딩/배출하고 상기 판상 장치와 길가 설비 사이에 무선 통신 또는 상기 판상 장치로부터 배출된 IC카드와 상기 길가 설비 사이에 통신을 통해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의 사용자로부터 유료 도로를 사용하는 요금을 징수하고,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에 대한 상기 판상 장치의 액세스가 완료되면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에 액세스 완료 데이터를 기록하는 단계;
    상기 판상 장치가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를 액세스하고 있을 때 상기 액세스 완료 데이터가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에 기록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단계에 의해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에 상기 액세스 완료 데이터 기록이 없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판상 장치로부터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를 배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금 징수 방법.
  12. 특정 도로를 사용하는 차에 설치된 무선 판상 장치와 서로의 유효성을 확인하기 위해 상기 판상 장치 내로 로드된 저장된 가격 카드 사이에 명령을 교환하고,
    상기 판상 장치로부터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에 카드 배출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
    상기 카드 배출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에서의 내부 프로세스를 완료하고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로부터 상기 판상 장치에 응답을 되돌리는 단계;
    상기 판상 장치로부터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에 액세스를 시작하기 위해 카드 투입 명령을 전달하는 단계;
    상기 카드 투입 명령이 수신되는 동안에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의 프로세싱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저장된 가격 카드가 이미 시작 상태에 있으면 상기 판상 장치로부터 IC카드를 배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측 설비 확인 방법.
KR1019980055953A 1997-12-19 1998-12-18 요금 징수 시스템 KR199900631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51201 1997-12-19
JP35120197A JPH11184981A (ja) 1997-12-19 1997-12-19 料金収受システム、icカード、車載機、路側機、料金収受方法及び車両側機器確認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3178A true KR19990063178A (ko) 1999-07-26

Family

ID=18415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5953A KR19990063178A (ko) 1997-12-19 1998-12-18 요금 징수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H11184981A (ko)
KR (1) KR19990063178A (ko)
CN (1) CN122116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902B1 (ko) * 2000-12-11 2008-04-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거리 전용 통신을 이용한 통행 요금 정산 장치
CN1873663B (zh) * 2006-05-09 2010-05-12 株洲南车时代电气股份有限公司 利用无线ic卡对机车监控装置数据进行读写与存储的方法及装置
CN101140665B (zh) * 2006-09-05 2011-07-13 株式会社电装 无线通信系统、车辆单元、路边单元以及服务器
KR20080081795A (ko) * 2007-03-06 2008-09-10 조기영 충전식 하이패스 단말기
CN112087269B (zh) * 2020-09-08 2022-08-09 广州市埃特斯通讯设备有限公司 一种etc中obu的检测方法
CN112802214B (zh) * 2020-12-30 2023-09-05 北京万集智能网联技术有限公司 用于连接车载单元的方法、用户设备和etc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184981A (ja) 1999-07-09
CN1221163A (zh) 1999-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73353A (zh) 不需要车种判别装置的自动收费系统
KR19990063178A (ko) 요금 징수 시스템
EP1081658B1 (en) Toll collection system
JP2008021255A (ja) 料金収受システムおよび料金収受方法
JP3422521B2 (ja) マルチ券カード
JPH11328576A (ja) 料金収受システム、ゲート装置、及び料金収受方法
JP2009064052A (ja) 料金収受システムおよび料金収受方法
JP2001134718A (ja) 料金収受システム、車載器、icカード書込判定方法およびicカード書込異常時の復旧方法
JP2961429B2 (ja) 駐車場管理装置
JP2009070403A (ja) 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車載装置
JPH08221617A (ja) 料金収受システム
JPH05217041A (ja) 有料道路料金収受システム
JP3145475B2 (ja) 有料道路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車両側通信装置
JP4330928B2 (ja) 料金収受システム、カード処理機、料金収受方法
JP4053851B2 (ja) 車載装置、出口車線制御装置、およびカード処理方法
JP5776462B2 (ja) 券売機、および駅務システム
JPH08287308A (ja) 有料道路料金収受装置
KR200239253Y1 (ko) 차량 번호판 화상을 저장하는 주차관리 시스템
JPH11185082A (ja) 料金収受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料金収受方法
JP2007264900A (ja) 車上用改札システム
KR100510823B1 (ko) 차량 번호판 화상을 저장하는 주차관리 시스템
JPH1063889A (ja) カード処理システム
JPS6158873B2 (ko)
JP3009528B2 (ja) 有料道路の料金収受装置
JP2000215334A (ja) 料金収受装置、料金収受システム、車載装置及び料金収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