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7251A - 엔진의 폐오일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엔진의 폐오일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7251A
KR19990057251A KR1019970077300A KR19970077300A KR19990057251A KR 19990057251 A KR19990057251 A KR 19990057251A KR 1019970077300 A KR1019970077300 A KR 1019970077300A KR 19970077300 A KR19970077300 A KR 19970077300A KR 19990057251 A KR19990057251 A KR 19990057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oil
waste oil
in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7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재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773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7251A/ko
Publication of KR19990057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7251A/ko

Links

Landscapes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의 폐오일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압축기(10)와 연결된 파이프(12)의 단부에 체결용 밸브(13)를 고정하고, 엔진에 체결용 밸브(13)를 삽입토록 하는 에어 인렛 캡(21)과 오일 주입구(22)를 구비한 유입부(20)를 설치하고, 엔진의 저부에 토출용 파이프(30)로 연결된 폐유 배출부를 포함하여, 엔진 내부에 있는 폐오일을 전부 빼낸 후 새로운 오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엔진의 폐오일 분리장치
본 발명은 엔진 오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일 교환시에 엔진 내부에 남아 있는 폐오일을 전부 배출시키고, 새로운 오일로 교체토록하여 엔진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엔진의 폐오일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혼합기를 압축하여 착화시킬 때 발생되는 팽창력을 회전력으로 변환시켜 주행의 필요한 구동력을 얻는 것으로 흡입, 압축, 착화, 배기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행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고온에 열로 인해 각 부품이 용융되어 주행불능인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엔진에는 윤활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윤활장치는 오일 팬, 오일 펌프, 오일 여과기, 유압조절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오일의 유로는 엔진 본체의 오일이 순환하는 통로와 파이프로 연결되어 있다.
엔진을 가동시키게 됨과 동시에 오일 펌프가 가동되고, 이어 오일 팬에 고여 있는 오일중이 오일 여과기를 통과하면서 이 물질이 걸러진 상태로 유압조절기를 경유하여 각 구동부위로 공급되어 마찰저항의 감소와 냉각을 시키게 된다.
윤활작용은 반복적으로 하게 되면 마찰부분에서의 마찰열로 인해 윤활유의 점성이 변질되고, 엔진 내부를 구성하고 있는 각 부분으로부터 피로한도에 의해 미세한 조각이 떨어져 오일내를 순환하게 되면서 오일 순환부분의 통로를 폐쇄하는 등의 원인으로 기관의 수명을 단축하는 결과를 가져오게 됨으로써, 일정한 거리를 주행후 새오일과 교환해주어야 한다.
교환시 엔진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오일 캡을 오픈 시키고, 오일 팬의 저부에 구비되어 있는 드레인 콕을 개방시켜 그 내부이 있는 폐오일을 전부 제거한 후, 새로운 오일을 재워 넣는 것으로 교환작업이 마무리 된다.
그러나, 엔진을 구성하고 있는 각부분에 고여 있는 폐오일은 밖으로 배출되지 않은 채 새로운 오일과 혼합됨으로써, 엔진의 출력과 그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엔진 내부에 있는 폐오일을 전부 배출시킨 후 새로운 오일로 교환토록 하는 엔진의 폐오일 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폐오일 분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압축기 12;파이프
13;체결용 밸브 20;유입부
21;에어 인렛 캡 22;오일 주입구
30;토출용 파이프 40;1차 오일 세퍼레이터
40;1차 제거부 42,42a;고정부재
44;필터 46;파이프
50;제 2 차 오일 세퍼레이터
50;2차 제거부 53;필터
54;공기 배출구 60;하우징
이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엔진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오일 주입구와 드레인 콕을 개방시켜 폐오일을 배출시키키고, 새로운 오일을 급유토록 되어 있는 엔진에 있어서, 압축기와 연결된 파이프의 단부에 체결용 밸브를 고정하고, 엔진에 체결용 밸브를 삽입토록 하는 에어 인렛 캡과 오일 주입구를 구비한 유입부를 설치하고, 엔진의 저부에 토출용 파이프로 연결된 폐유 배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폐오일 분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엔진의 폐오일 분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엔진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오일 주입구를 개방한 후 오일 팬의 저부에 설치되어 있는 드레인 콕을 개방시켜 폐오일을 배출시키키고, 새로운 오일을 급유토록 되어 있는 엔진에 있어서, 본 실시예는 엔진 내부 깊숙히 고여 있는 폐오일을 배출 시킨 후 새로운 오일로 급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엔진내로 고압의 공기를 급기시키도록 체결용 밸브(13)을 고정한 파이프(12)에 압축기(12)를 연결한다.
체결용 밸브(13)를 고정토록 하는 유입부(30)를 엔진의 일측에 설치한다.
이 유입부(30)는 압축된 공기가 엔진의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체결용 밸브(13)를 삽입하여 연결되도록 하는 에어 인렛 캡(21)과, 그 저부로 오일 주입구(22)를 일체로 구비한다.
그리고, 엔진의 저부에는 폐오일을 외부로 배출토록 시키는 토출용 파이프(30)가 구비되어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하우징(60)과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60)의 내부는 토출용 파이프(30)의 단부에 연결된 1 차 제거부(40)와 파이프(46)로 연결된 2차 제거부(50)로 구성된다.
1 차 제거부(40)는 폐오일 속에 포함되어 있는 이 물질을 제거토록 하는 것으로, 필터(44)와 일를 고정토록 하는 고정부재(42)(42a) 및 1 차 오일 세퍼레이터(40)으로 구성된다.
2 차 제거부(50)는 폐오일과 공기를 분류하는 것으로, 복수개의 필터(53)의 상부로 공기 배출구(54)를 구비하고, 필터(53)의 저부로 제 2 차 오일 세퍼레이터(50)이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오일 교환 방법은 다음과 같다.
폐오일을 배출시 파이프(12)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체결용 밸브(13)를 유입부(20)의 상단부에 구비되어 있는 에어 인렛 캡(21)에 삽입하는 것으로 고정된다.
이후, 압축기(10)을 가동시키게 됨과 동시에 고압의 공기가 파이프(12) 및 제결용 밸브(13)을 통해 엔진 내부로 유입이 된다.
엔진 내부로 유입된 압축공기의 압력으로 하부에 하우징(60)과 연결되어 있는 토출용 파이프(30)를 통해 1 차 제거부(40)의 필터(44)를 통과하면서 이 물질이 걸려지게 되고, 그 저면에 설치되어 있는 1 차오일 세퍼레이터(40)와 파이프(46)를 통해 2차 제거부(50)로 이동하게 된다.
2차 제거부내로 이동된 폐오일은 상단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다수개의 필터에 의해 공기만 걸러진 상태로 배출구(54)를 통해 공기가 배출된다.
이후, 종래와 동일하게 새로운 오일을 주입하면 된다.
이상에서 살 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엔진 오일 교환시 내부 깊숙이 있는 폐오일을 전부 배출시킨 후 새 오일을 급유토록 함으로써, 그 수명을 연장시키고, 출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2)

  1. 엔진의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오일 주입구와 드레인 콕을 개방시켜 폐오일을 배출시키키고, 새로운 오일을 급유토록 되어 있는 엔진에 있어서,
    압축기(10)와 연결된 파이프(12)의 단부에 체결용 밸브(13)를 고정하고,
    엔진에 체결용 밸브(13)를 삽입토록 하는 에어 인렛 캡(21)과 오일 주입구(22)를 구비한 유입부(20)를 설치하고,
    엔진의 저부에 토출용 파이프(30)로 연결된 폐유 배출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폐오일 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유 배출부는 하우징(60)과,
    하우징(60)의 내부로 고정부재(42)(42a)에 고정된 필터(44)와 그 저면의 1차 오일 세퍼레이터(40)로 구비된 1차 제거부(40)와,
    공기 배출구(54)와 복수개의 필터(53) 및 제 2 차 오일 세퍼레이터(50)로 구비된 2차 제거부(50)와,
    1차 제거부와 2차 제거부를 연결하는 파이프(4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의 폐오일 분리장치.
KR1019970077300A 1997-12-29 1997-12-29 엔진의 폐오일 분리장치 KR199900572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7300A KR19990057251A (ko) 1997-12-29 1997-12-29 엔진의 폐오일 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7300A KR19990057251A (ko) 1997-12-29 1997-12-29 엔진의 폐오일 분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7251A true KR19990057251A (ko) 1999-07-15

Family

ID=66171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7300A KR19990057251A (ko) 1997-12-29 1997-12-29 엔진의 폐오일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72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442B1 (ko) * 2007-04-18 2009-01-09 박병섭 잔류엔진오일 제거장치
KR101292437B1 (ko) * 2012-04-17 2013-08-07 박병섭 차량용 잔류오일 제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442B1 (ko) * 2007-04-18 2009-01-09 박병섭 잔류엔진오일 제거장치
KR101292437B1 (ko) * 2012-04-17 2013-08-07 박병섭 차량용 잔류오일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267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 situ cleaning of oil filter
US4830745A (en) Process for removing water and/or other volatile impurities from lubricating oils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e process
US7232521B2 (en) Environmentally friendly acid neutralizing cartridge
US6263889B1 (en) Engine lubrication cleaning system
US4976854A (en) Oil filter II
RU208628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еаэрации смазочного масла
US20090078629A1 (en) Exchangeable Oil Filter With Spring-Operated Pin For Drainage
KR19990082663A (ko) 윤활유 분리장치
JP2005106044A (ja) 内燃機関のオイルフィルタアセンブリ
KR19990057251A (ko) 엔진의 폐오일 분리장치
JP2002195217A (ja) 油圧シリンダを有する油圧回路及び気泡分離器を有するフィルタ装置
KR100435731B1 (ko) 자동차의 블로바이가스 오일분리기
KR100552217B1 (ko) 블로바이가스 내의 오일 및 이물질 분리장치
JPH08219024A (ja) 油冷式圧縮機のドレン水除去方法ならびに装置
KR20060034349A (ko) 차량의 브로바이가스 재순환장치
JPH0953588A (ja) 油冷式圧縮機の油分離装置
KR200222054Y1 (ko) 엔진오일필터
KR100775046B1 (ko) 차량용 오일필터의 오일드레인구조
KR20040064874A (ko) 습식공기청정기
KR200310735Y1 (ko) 습식공기청정기
KR0125304Y1 (ko) 차량용 오일탱크
KR100365202B1 (ko) 헤드커버의오일세퍼레이터구조
EP0121999A1 (en) Improvements in flooded compressor separators
KR100535604B1 (ko) 터보차저 오일 홀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159788Y1 (ko) 시동시 오일 혼입을 방지하는 오일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