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6006A - 사설교환기에서 다양한 회의 기능 수행방법 - Google Patents

사설교환기에서 다양한 회의 기능 수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6006A
KR19990056006A KR1019970075982A KR19970075982A KR19990056006A KR 19990056006 A KR19990056006 A KR 19990056006A KR 1019970075982 A KR1019970075982 A KR 1019970075982A KR 19970075982 A KR19970075982 A KR 19970075982A KR 19990056006 A KR19990056006 A KR 19990056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ference
terminal
direct selection
ke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5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5376B1 (ko
Inventor
김용상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5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5376B1/ko
Publication of KR19990056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6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5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53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04M3/563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 H04M3/564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whereby the feature is a sub-con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04M3/563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 H04M3/566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relating to a participants right to spea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5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audio conference
    • H04M2203/5027Dropping a party from a con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에서 회의기능 수행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설교환기에서 회의기능 수행중, 회의에 참가하는 특정 단말간에 비밀 통화를 수행하도록 하거나, 회의에 참가하는 특정 단말을 회의 상태에서 제외 또는 추가 하도록 하는 다양화된 회의기능 수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국선직접선택키 또는 내선직접선택키 입력에 의해 국선직접선택 기능 또는 내선직접선택 기능이 수행되고, 회의 키 입력에 의해 회의기능이 수행되는 사설교환기의 회의기능 수행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설교환기에 가입된 단말들간의 회의 통화 상태에서, 상기 국선직접선택키 또는 내선직접선택키가 입력되면, 상기 키를 입력한 단말이 회의기능 주재 단말 인지를 판단하여, 주재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재 단말과 국선직접선택 기능 또는 내선직접선택기능에 해당하는 단말간에 별도의 통화로가 형성되고, 상기 국선직접선택 및 내선직접선택 기능에 해당하지 않은 단말은 상기 회의 통화 상태에 계속하여 참여 하도록 처리 하고, 만일, 상기 회의 통화 상태에 계속하여 참여되는 단말이 하나인 경우, 상기 단말은 공동 보류 상태에 있도록 처리되는 회의 기능 수행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설교환기에서 다양한 회의 기능 수행방법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에서 회의기능 수행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설교환기에서 회의기능 수행중, 회의에 참가하는 특정 단말간에 비밀 통화가 형성 되도록 하거나, 회의에 참가하는 특정 단말이 선택되어 회의 상태에서 제외 또는 추가 되도록 하는 다양화된 회의기능 수행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거의 대부분의 회사나 사무실 등에는 사설교환기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데, 이러한 사설교환기의 대표적인 사용예로는 'PABX(Private Branch Exchanger)'와 '키폰 시스템' 등이 있다. 상기한 사설교환기의 역할은 크게 구내 교환 설비와 소속 전환 취급 구간의 전화 회선(통상적으로 국선 이라 칭함)에 의해 국선의 연결 및 내선 가입자 상호간에 호를 연결시켜 주는 역할이다.
한편, 위와같은 사설교환기에는 통상 회의기능(Conference)이 구현되어 수행되는데, 이는 상기 사설교환기에 미리 설정된 용량만큼 회의 그룹이 구성되고, 상기 그룹마다 소정 수의 가입자가 자신의 단말을 이용 회의에 참여하여 상호간에 통화를 수행하는 기능을 말한다. 즉, 회의 그룹의 참여자는 각자가 송출하는 음성을 모두 다같이 들을 수 있으며, 언제리도 자신의 음성을 모든 참여자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기능이다. 이러한 회의기능은 상기 사설교환기 가입자들이 한 장소에서 모여 회의를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에 키폰단말을 통해서 상호간의 회의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편리함을 가입자들에게 가져다 주었다.
그러나, 종래 사설교환기의 회의기능은, 내선 가입자가 다른 다수의 내선 및 국선 가입자와 상기 회의기능을 통한 회의통화 수행중에, 필요에 의해 특정한 가입자에 한해서 비밀 대화를 하려 해도,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내선 가입자가 다른 다수의 내선 및 국선 가입자와 회의 통화중에, 특정한 회의 통화 참여자와 비밀 대화를 나누려면, 다른 참여자들을 회의 통화 상태에서 모드 제외 시킨 후, 통화를 하는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다시 회의를 속개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시 회의기능을 통해 다른 참여자들을 회의 통화에 참여 시켰다.
이처럼, 종래 사설교환기에서 수행되는 회의기능은 특정한 회의 참여자 간에 비밀 대화를 지원하지 못하였고, 그 외에도 회의 분위기를 방해하는 참여자를 제외시키거나, 회의에 필요한 가입자를 추가로 참여시키는 동작도 지원이 되지 않았다.
상술한바와같은 불편함 때문에, 사설교환기를 이용하여 회의가 수행되는 경우가 거의 없었고, 이에 회의기능은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별 필요없는 기능으로 인식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 사설교환기에서 제한적인 기능만을 제공하였던 회의 기능을 다양화된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여, 가입자들이 회의기능을 유용하게 이용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에서 회의기능 수행중, 회의에 참가하는 특정 단말간에 비밀 통화가 수행되도록 하거나, 회의에 참가하는 특정 단말을 회의 상태에서 제외 또는 추가 시키는 기능이 부가된 다양화된 회의기능 수행 방법을 제공하고자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이러한 본 발명은, 국선직접선택키 또는 내선직접선택키 입력에 의해 국선직접선택 기능 또는 내선직접선택 기능이 수행되고, 회의 키 입력에 의해 회의기능이 수행되는 사설교환기의 회의기능 수행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설교환기에 가입된 단말들간의 회의 통화 상태에서, 상기 국선직접선택키 또는 내선직접선택키가 입력되면, 상기 키를 입력한 단말이 회의기능 주재 단말 인지를 판단하여, 주재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재 단말과 국선직접선택 기능 또는 내선직접선택기능에 해당하는 단말간에 별도의 통화로가 형성되고, 상기 국선직접선택 및 내선직접선택 기능에 해당하지 않은 단말은 상기 회의 통화 상태에 계속하여 참여 하도록 처리 하고, 만일, 상기 회의 통화 상태에 계속하여 참여되는 단말이 하나인 경우, 상기 단말은 공동 보류 상태에 있도록 처리되는 회의 기능 수행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수행되는 사설교환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양화된 회의기능 수행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양화된 회의기능 수행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양화된 회의기능 수행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우선,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이 수행되는 사설교환기의 블록 구성도로서, 통상적인 사설교환기에 음성사서함이 더 부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중앙처리장치100은 소정의 설정된 프로그램을 처리하여 통화 스위치를 제어하고 각종 서비스 및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제어한다. 램(RAM)110은 프로그램 및 휘발성 데이터 처리 영역을 구비하며, 다수의 각종 버퍼로 구성되어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의 작업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롬(ROM)120은 호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 및 초기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한다. 스위칭회로130은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 하에 각종 톤 및 음성 데이터, 내선들간의 연결, 국선의 연결 등을 스위칭 한다. 일반가입자 회로140은 다수의 가입자의 일반전화기와 장치간의 인터페이싱을 행한다. 국선회로180은 외부 국선과 접속되어, 외부 국선과 상기 교환기 간의 통화를 구현한다. 링발생기150은 구형파 형태의 링신호를 상기 일반가입자 회로140으로 출력한다. 키폰가입자 회로160은 다수의 키폰 전화기와 장치간의 인터페이싱을 행한다. 이때 상기 키폰 전화기는 소정의 표시부를 포함하여 가입자가 상기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 상태 및 입력 전화 번호 등을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톤발생기170은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에 의해 제어되며, 국선 라인을 시져하여 국선 루프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국선을 통하여 수신되는 인컴밍(Incoming)신호를 인터페이싱한다. DTMF수신기190은 상기 일반 가입자 회로140의 가입자로부터 발생되는 DTMF신호를 분석한다. 한편, DTMF송신기200은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 하에 DTMF신호를 스위칭회로130으로 출력한다. 시계회로105는 상기 중앙처리장치100의 제어 하에 미리 설정된 임의의 시간을 카운트 하는 타이머 역할을 하거나, 현재 시간을 검출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양화된 회의기능 수행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210단계에서 한 내선 단말에 의해 회의기능이 수행되어, 상기 사설교환기에 가입된 한 그룹은 회의 통화상태에 있게 된다. 212단계에서 상기 내선 단말로부터 국선직접선택(DTS)키 또는 내선직접선택키(DSS)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참고로 국선직접선택(DTS)키는 상기 사설교환기에 가입된 내선가입자의 내선 단말에 구비되는 기능키로, 상기 국선직접선택키가 입력되면, 사용자들은 발신음을 듣지 않고도 국선 발신을 할 수 있게 된다. 통상적인 사설교환기는 상기 국선직접선택키 하나에 하나의 국선만 수용가능하며, 특별한 성질의 국선을 설정시켜 놓게 된다. 상기 내선직접선택키(DSS)는 상기 국선선택키와 동일한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데, 차이는 국선이 아니라 내선을 대신하여 설정 해놓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212단계에서는 이와같은 국선직접선택(DTS)키 또는 내선직접선택키(DSS)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214단계에서 상기 국선직접선택(DTS)키 또는 내선직접선택키(DSS)가 입력된 내선 단말이 상기 수행되는 회의기능을 수행시킨 회의 주재 단말 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214단계에서 회의 주재 단말로 판단되면, 216단계에서 상기 212단계에서 입력된 국선직접선택(DTS)키 또는 내선직접선택키(DSS)에 해당하는 국선직접선택에 의한 국선 단말 또는 내선직접선택키(DSS)에 해당하는 내선직접선택에 의한 내선 단말과 상기 회으 주재 단말 사이는 비밀 통화 상태에 있도록 처리된다. 즉, 내선 단말을 사용하는 다수의 가입자가 회의 통화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국선직접선택(DTS) 또는 내선직접선택(DSS)에 해당하는 국선 가입자 및 내선 가입자에 한해서 상기 내선가입자와 통화가 수행되도록 처리 하는 것이다. 이의 통화 내용은 다른 회의 참가 가입자들에게는 전달되지 않는다. 즉, 다른 회으 참가 단말로는 상기 회의 주재 단말과의 통화로가 형성되지 않는다. 그리고, 218단계에서 상기 216단계의 비밀통화에서 제외된 회의 참가 단말이 하나인지를 판단한다. 즉, 회의 통화중, 내선가입자와 상기국선직접선택 또는 내선직접선택에 의한 가입자 사이의 비밀통화 형성에 있어서, 제외된 가입자가 한명 남았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 218단계에서 제외된 단말이 하나인 것으로 판단되면, 220단계에서 상기 제외된 하나의 단말이 공동보류상태에 있도록 한다. 이는 상기 사설교환기에 구현된 공동보류기능이 동작되어 상기 제외된 단말 사용자로는 보류음이 들리게 된다. 하지만, 상기 218단계에서 제외된 단말이 하나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외된 단말들간에 회의 통화 상태가 계속하여 유지된다. 그리고 222단계에서 상기 회의 주재 단말로부터 상기 회의 키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222단계에서 상기 회의 주재단말로부터 회의 키 입력이 있는것으로 판단되면, 224단계에서 상기 216단계에서 수행되던 비밀통화는 중지되고, 상기 210단계와 동일한 회의 통화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에는 모든 회의 가입자가 상호간에 대화를 나눌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다양화된 회의기능 수행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이는 상기 도 2에서 수행되는 비밀통화 외에 회의 주재자가 원하는 가입자를 회의 통화 상태에서 제외시키거나 추가 시키는 동작이 더부가된 회의기능 수행방법을 나타낸다.
이하.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310단계에서 회의 통화 상태를 수행한다. 312단계에서 상기 회의 키의 입력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회의키의 입력이 있는것으로 판단되면, 314단계에서 상기 312단계에서 회의 키가 입력된 단말이 회의 주재단말 인지를 판단한다. 만일 상기 314단계에서 회의 주재단말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315단계에서 상기 회의 키가 입력된 단말을 회의 주재단말과 동일한 권한을 갖도록 한 후, 316단계를 수행한다. 316단계에서는 회의 참여자의 추가 및 제외를 선택하는 상태로 진입한다. 이는, 회의 주재자가 회의에 참가중인 특정한 가입자를 회의 통화에서 제외하거나 회의에 참가하지 않고 있는 다른 특정 가입자를 추가 시키고자 하기 위한 선택 상태이다. 318단계에서는 상기 316단계의 상태에서 회의 주재단말로부터 회의 참여자를 추가시키는 선택에 대응하는 입력이 있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318단계에서 회의 참여자의 추가 선택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320단계에서 추가 가입자를 선택하고 호출하는 상태로 된다. 즉, 회의 통화에 추가 하고자 하는 특정 단말의 내선번호나 국선번호가 상기 회의 주재단말에 의해 입력되는 상태가 되어 입력이 된 후 입력된 내선번호 및 국선번호를 호출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322단계에서는 상기 320단계에서 호출한 단말이 응답하여 상기 회의 상태에 통화로가 형성되어 통화 상태가 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322단계에서 통화 상태가 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회의 주재단말로부터 상기 회의 키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이는 회의 통화에 추가하고자 하는 가입자를 호출하여, 가입자가 응답하면 회의 통화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동작이다. 상기 324단계에서 상기 회의 키의 입력이 있는것으로 판단되면, 326단계에서 상기 320단계에서 호출되어 응답한 국선 및 내선 단말을 회의 통화에 추가하도록 통화로 형성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328단계에서 상기 호출된 내선번호 및 국선번호에 해당하는 단말을 통화 회의 상태에 참여시키는 회의 통화 상태를 수행한다. 한편, 상기 318단계에서 회의 참여자 추가 선택에 해당하는 입력이 없는 경우는, 319단계에서 회의 참여자 제외 선택에 해당하는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319단계에서 회의 참여자 제외에 해당하는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321단계에서 국선직접선택(DTS)키 또는 내선직접선택키(DSS), 아니면, 특정 내선번호나 국선번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321단계에서 국선직접선택(DTS)키 또는 내선직접선택키(DSS), 혹은 내선번호나 국선번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323단계에서 상기 321단계에서 입력된 국선직접선택(DTS)키 또는 내선직접선택키(DSS)에 해당하는 단말 혹은 입력된 내선번호나 국선번호에 해당하는 단말을 회의 통화에서 제외시키도록 처리한다. 즉, 상기 321단계에서 입력된 번호에 해당하는 단말이 회의 통화에 참여하지 못하도록 강제로 퇴실 시키는, 즉, 통화로를 절단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한 도 3의 동작을 요약하자면, 회의기능에 따라 회 통화 수행중, 회의 주재자가 특정 가입자를 회의에 더 참여시키도록 하거나, 회의에서 퇴실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실시되는 동작이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도 4에 도시된 동작 흐름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다양화된 회의기능 수행방법을 나타내며, 이는, 상기 도 2에서 설명된 동작이 응용된 동작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412단계에서 회의 통화 수행중, 414단계에서 상기 국선직접선택(DTS)키 또는 내선직접선택키(DSS)의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하여,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416단계에서 입력한 단말이 회의 주재단말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416단계에서 회의 주재단말로 판단되면, 상기 국선직접선택(DTS)키 또는 내선직접선택키(DSS)에 해당하여 호출된 단말과 상기 회의 주재단말간에 한해서 통화로를 형성시키며, 따라서, 비밀통화를 수행하는 상태에 있도록 한다. 그리고, 422단계에서 상기 비밀통화에서 제외된 회의 통화 단말은 그 수가 하나이던 다수이던 모두다 공동보류 상태에 있도록 하여, 제외된 단말로 오류음을 발생시킨다. 상기 418단계와 상기 420단계에서 해당 단말들간의 비밀통화 수행과 제외 단말들의 공동보류상태에서, 상기 422단계에서 상기 비밀통화 수행상태에 있던 회의 단말로 부터 회의키 입력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422단계에서 상기 회의 키 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424단계에서 상기 412단계와 동일한 회의 통화 상태가 수행된다. 이때에는 상기 418단계에서 수행되는 비밀통화 상태가 종료하게 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도 2와 도 3 및 도 4의 설명에서는 상이한 동작이 설명되었지만, 이는 본 발명이 회의 기능을 다양화 하는 것임을 보여주고자 그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 실시자의 응용에 의해 또다른 동작이 수행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전체적인 관전에서 본 발명은 회의 기능 수행중, 회의 주재자에 의해 특정 가입자를 회의 통화에 참여하거나 참여중인 특정 가입자를 제외시키는 기능 구현과 회의 통화 중 특정한 가입자와 비밀통화를 수행 가능하게 하는 기능 구현으로 그 특징이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회의 통화 중에 비밀스런 대화를 원하는 두 가입자에 한해서 잠시 회의 통화 상태에서 빠져나와 통화를 수행할수 있어 회의 통화 중에 발생하는 비밀 유지 문제를 해결하는 이점이 있으며, 상기한 비밀스런 대화가 종료되면, 다시 회의 통화 상태에 합류하여 회의에 참여 할 수 있으므로, 회의에서 제외되지 않는 이점을 가져다 준다.
또한, 본 발명은 회의 통화중, 회의 분위기를 저해하는 참여자나 특별한 사정에 의해 제외 되어야할 참여자를 회의 주재자에 의해 회의에서 제외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회의 통화를 이루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그리고, 필요한 가입자를 회의 통화 중에 호출하여 회의에 참여시킬 수 있는 이점도 가진다.

Claims (6)

  1. 국선직접선택키 및 내선직접선택키 입력에 의해 국선직접선택 기능 및 내선직접선택 기능이 수행되고, 회의 키 입력에 의해 회의기능이 수행되는 사설교환기의 회의기능 수행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설교환기에 가입된 단말들간의 회의 통화 상태에서, 상기 국선직접선택키 및 내선직접선택키가 한 단말로부터 입력되면, 상기 키가 입력된 단말이 상기 회의 키를 이전에 입력하여 회의기능을 수행한 회의 주재단말인지를 판단하여, 주재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주재단말과 국선직접선택 기능 및 내선직접선택기능에 해당하는 단말에 한해서 별도의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국선직접선택 및 내선직접선택 기능에 해당하지 않고 상기 회의 통화 상태에 참여한 단말은 상기 회의 통화 상태가 계속하여 유지되며, 만일, 상기 회의 통화 상태가 계속하여 유지되는 단말이 하나인 경우, 상기 단말은 공동 보류 상태에 있도록 하는 사설교환기에서 다양한 회의기능 수행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별도의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동작과, 상기 회의 통화 상태를 계속하여 유지하는 동작과, 상기 공동 보류 상태에 있도록 하는 동작이 수행되는 중에, 상기 회의 주재단말로부터 상기 회의키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회의 통화 상태가 수행됨을 특징으로하는 사설교환기에서 다양한 회의기능 수행방법.
  3. 국선직접선택키 및 내선직접선택키 입력에 의해 국선직접선택 기능 및 내선직접선택 기능이 수행되고, 회의 키 입력에 의해 회의기능이 수행되는 사설교환기의 회의기능 수행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설교환기에 가입된 단말간의 회의 통화 상태에서, 상기 회의 키가 입력되면, 상기 회의 키가 입력된 단말이 상기 회의 통화 상태를 주재한 회의 주재단말 인지를 판단하여, 주재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회의 통화 상태에 추가될 가입자와 제외될 가입자를 선택하는 추가/제외 선택 모드에 진입되도록 하며, 상기 주재단말로부터 상기 추가 모드가 선택된 후, 상기 회의 통화 상태에서 추가될 가입자에 해당하는 내선번호 혹은 국선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내선번호 혹은 국선번호에 해당하는 단말이 호출되고, 상기 호출에 응답이 있는 경우, 상기 내선번호 혹은 국선번호에 해당하는 단마로 통화로를 형성하며, 통화로가 형성된 후 상기 회의 키의 입력여부를 판단하여,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통화로가 형성된 내선 혹은 국선 단말이 상기 회의 통화 상태에 참가하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 추가/제외 선택 모드에서, 상기 주재단말로부터 상기 제외 모드가 선택된 후, 상기 국선직접선택키 및 내선직접선택키가 입력되면, 상기 국선직접선택키 및 내선직접선택키 입력에 의해 수행되는 국선직접선택 기능 및 내선직접선택 기능에 해당하는 단말이 상기 회의 통화 상태에서 제외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에서 다양한 회의 기능 수행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의 키가 입력된 단말이 상기 회의 통화 상태의 회의 주재단말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회의 키가 입력된 단말의 회의 통화 상태의 권한이 상기 회의 통화 상태의 회의 주재단말과 동일한 회의 통화 상태의 권한을 가지도록 하는 과정을 더부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에서 다양한 회의 기능 수행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제외 선택 모드에서, 상기 주재단말로부터 상기 제외 모드가 선택된 후, 특정 내선 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내선 번호에 해당하는 단말을 상기 회의 통화 상태에서 제외시키는 과정을 더부가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에서 다양한 회의 기능 수행 방법.
  6. 국선직접선택키 및 내선직접선택키 입력에 의해 국선직접선택 기능 및 내선직접선택 기능이 수행되고, 회의 키 입력에 의해 회의기능이 수행되는 사설교환기의 회의기능 수행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설교환기에 가입된 단말들간의 회의 통화 상태에서, 한 단말로부터 상기 국선직접선택키 또는 내선직접선택키가 입력되면, 상기 국선직접선택키 또는 내선직접선택키가 입력된 단말이 상기 회의 키를 입력하여 상기 회의 통화 상태의 주재단말인지를 판단하여, 주재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국선직접선택키 또는 내선직접선택키 입력에 의해 수행되는 국선직접선택 기능 또는 내선직접선택 기능에 해당하는 단말과 상기 회의 주재단말 상호간에 한해서 별도의 통화로가 형성되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 국선직접선택 기능 및 내선직접선택 기능에 해당하는 단말과 상기 회의 주재단말 상호간을 제외한 상기 통화 상태에 참여한 단말은 공동보류상태에 있도록 하는 과정과,
    상기 별도의 통화로가 형성된 상태의 상기 주재단말로부터 상기 회의 키가 입력되면, 상기 공동보류상태를 해제되고 상기 별도로 형성된 통화로가 해제되고, 상기 회의 통화 상태가 복원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에서 다양한 회의 기능 수행 방법.
KR1019970075982A 1997-12-29 1997-12-29 사설교환기에서 다양한 회의 기능 수행방법 KR100255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982A KR100255376B1 (ko) 1997-12-29 1997-12-29 사설교환기에서 다양한 회의 기능 수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982A KR100255376B1 (ko) 1997-12-29 1997-12-29 사설교환기에서 다양한 회의 기능 수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6006A true KR19990056006A (ko) 1999-07-15
KR100255376B1 KR100255376B1 (ko) 2000-05-01

Family

ID=19529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5982A KR100255376B1 (ko) 1997-12-29 1997-12-29 사설교환기에서 다양한 회의 기능 수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53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270A (ko) 2020-11-25 2022-06-02 박찬호 인터넷을 이용한 요리추천 방법 및 그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2270A (ko) 2020-11-25 2022-06-02 박찬호 인터넷을 이용한 요리추천 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5376B1 (ko) 200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882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conference call
JPH11512265A (ja) 電話会議回路及び方法
RU2096921C1 (ru) Цифровая телефонная станция с групповой конференц-связью
US6512823B2 (en) Multiline telephone including interacting call appearances
CN101047737B (zh) 一种电话会议终端及切换方法
KR100255376B1 (ko) 사설교환기에서 다양한 회의 기능 수행방법
KR100608811B1 (ko) 삼자 통화를 위한 신호처리 시스템 및 이동통신 단말기의구조
KR10097226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다자간 통화 방법
JP2018174393A (ja) 電話会議システム、電話会議確立方法及び電話会議プログラム
JP2828685B2 (ja) 参加者着信規制方式
KR100264853B1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가상채널을이용한회의지령방법
KR0138128B1 (ko) 전화메시지 전달서비스 장치 및 서비스 방법
JPS6221362A (ja) 電話会議割込接続方式
JPS6031349A (ja) キ−番号照合接続方式
KR100230062B1 (ko) 사설 교환기에서 통화 중의 멀티 스위칭 시스템 및 방법
KR100270736B1 (ko) 패어지정을 통한 사설교환시스템의 내선 단말 호 처리 방법
JP2002027144A (ja) 通信端末および通話システムおよび回線確立方法
KR100606022B1 (ko) 사설교환기에서 착신호에 대하여 타 내선에서의 응답완료 톤 제공방법
JP2614528B2 (ja) 電話会議装置
JPS6286998A (ja) マルチパ−テイ回線における複数通話システム
JP2002330225A (ja) 会議通話システム
JPH10215317A (ja) 会議通話接続方法及び装置
JPH02123862A (ja) サービス中継装置
JPS60235567A (ja) 会議電話方式
JPS60223368A (ja) 会議電話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