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0062B1 - 사설 교환기에서 통화 중의 멀티 스위칭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설 교환기에서 통화 중의 멀티 스위칭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0062B1
KR100230062B1 KR1019970025238A KR19970025238A KR100230062B1 KR 100230062 B1 KR100230062 B1 KR 100230062B1 KR 1019970025238 A KR1019970025238 A KR 1019970025238A KR 19970025238 A KR19970025238 A KR 19970025238A KR 100230062 B1 KR100230062 B1 KR 100230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switching
subscriber
line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5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1790A (ko
Inventor
방호식
Original Assignee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평원,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평원
Priority to KR1019970025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0062B1/ko
Publication of KR19990001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0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0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8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received calls from one subscriber to another; Arrangements affording interim conversations between either the calling or the called party and a third party

Abstract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의 국설망 접속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 중인 상태에서 국선 및 전용망을 재점유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사설 교환기에서 통화 중의 멀티 스위칭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사설 교환기는 국설을 통한 다자간 내선과 국선, 내선과 전용선이 일대일 통화만 가능할 뿐, 통화 중인 상태에서 다자간 멀티 통화는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해 통화 중인 상태에서 멀티 스위칭 코드의 입력 시에 멀티 스위칭부에서 스위칭 회로부와 동일한 하이웨이 경로를 형성하고 해당 형성된 하이웨이 경로를 다른 호출 회선과 상호 스위칭시켜 다자간 접속하도록 하므로, 통화 중인 회선을 끊지 않고 다른 회선과 통화할 수 있고 통화 도중 사서함 내용을 청취 및 페이저 호출도 가능하다.

Description

사설 교환기에서 통화 중의 멀티 스위칭 시스템 및 방법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의 국설망 접속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화 중인 상태에서 국선 및 전용망을 재점유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 사설 교환기에서 통화 중의 멀티 스위칭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설망을 접속하기 위한 사설 교환기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내 가입자 간의 상호 통화를 위한 가입자 회로부(11)와, 일반 국선과 통화하기 위한 국선 회로부(12)와, 전용선을 접속하기 위한 전용선 회로부(13)와, 각 회로 간의 하이웨이 스위칭(Highway Switching)을 유지하기 위한 스위칭 회로부(14)와, 라인(Line)의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하기 위한 TSB/RSB 회로부(15)와, DTMF와 톤(Tone)을 공급하기 위한 DTRF/톤 회로부(16)와, 각종 데이타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부(17)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 사설 교환기에서 국설망 접속 시스템의 동작을 간단히 살펴 보면, 먼저 어떤 가입자(A)가 전화기를 들었을 경우에 행-오프(Hang-Off) 신호를 TSB/RSB 회로부(15)에 구비된 TSB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에, 제어부(17)가 해당 TSB 메모리에 저장된 TSB 신호를 판독하여 분석한 후, DTMF/톤 회로부(16)에 구비된 톤 메모리에 저장된 발신음을 제어하여 스위칭 회로부(14)에 인가한다.
이에, 해당 가입자(A)는 해당 발신음을 청취하고 제1디지트(First Digit)를 누르면, 해당 DTMF/톤 회로부(16)를 통하여 DTMF 값을 해당 제어부(17)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해당 제어부(17)는 해당 제1디지트를 분석하여 내선 호출 번호인지 아니면 국선/전용선인지를 확인하는데, 해당 내선인 경우에는 다음의 제2디지트를 인가받아 해당 TSB/RSB 회로부(15)에 구비된 RSB 메모리를 제어하여 해당 내선 가입자(A)에게 링을 출력하도록 한다.
그리고, 해당 국선 호출 코드인 경우에는 해당 RSB 메모리를 제어하여 제1과 제3국설의 트렁크(Trunk)를 점유하게 한 후 해당 제2디지트를 국설 교환기에서 처리되도록 한다. 이에, 다른 상대편의 내선 가입자(B)가 전화기를 들었을 경우에 해당 TSB 메모리에 TSB 값을 판독하여 전화를 받았다는 응답 메세지를 해당 제어부(17)에 인가하며, 해당 제어부(17)는 해당 응답 메세지를 분석한 후 해당 RSB 메모리의 복구 메세지를 판독하므로 두 가입자(A, B)에게 송출되던 링을 중지하고 두 가입자(A, B)의 통화 상태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해당 국선/전용선인 경우에는 국설의 반전 신호를 인가받아 해당 국선일 때에 가입자(A)와 제1국설을 스위칭 상태로 유지하고 해당 전용선일 때에 가입자(A)와 제3국설을 스위칭 상태로 유지한다.
한편, 가입자 회로부(11), 국선 회로부(12) 및 전용선 회로부(13)에 물려 있는 어떤 가입자라도 전화를 끊으면, 해당 제어부(17)가 해당 TSB 메모리를 분석하여 가입자(A)에게 상대편 가입자(B)가 전화를 끊었다는 종료 메세지로 해당 톤 메모리를 세팅(Setting)하여 비지 톤(Busy Tone)을 가입자(A)에게 송출하며, 해당 가입자(A)는 비지 톤을 청취하고 수화기를 내려 놓으면 통화 상태가 종결된다.
해당 사설 교환기에 접속된 내선 가입자(A, B)가 국설 교환기와 접속되는 경우에 해당 국설을 통한 다자간 내선과 국선, 내선과 전용선이 일대일 통화만 되며, 일대이, 이대일, 일대다수 상태의 다자간 멀티 통화를 할 수 없으므로 통화 중인 상태에서 페이저(Pager) 호출 및 내선과 다른 내선 그리고 국선, 내선과 국선 그리고 전용선, 내선과 다른 내선 그리고 전용선, 내선과 다른 내선 그리고 국선과 다른 국선 그리고 전용선과 다른 전용선 등의 다자간 멀티 통화는 수용할 수 없다.
이와 같이, 종래의 사설 교환기는 국설을 통한 다자간 내선과 국선, 내선과 전용선이 일대일 통화만 가능할 뿐, 통화 중인 상태에서 다자간 멀티 통화는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설 교환기에서 통화 중의 멀티 스위칭 시스템 및 방법은 통화 중인 상태에서 다른 회선 및 전용선을 재점유시켜 국설망을 접속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설 교환기의 일반 전화기로 통화 중인 상태에서 페이저 호출 및 국설 교환기의 일반 가입자를 직접 호출하므로서, 일반 가입자와 다자간 회의 통화 및 전용망과 접속된 구내 번호를 직접 호출하여 원거리 다자간 회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다시 말해서, 사용중인 전화기로 사용 상태에서 페이져 호출 및 국선/전용선망을 재점유시켜 해당 국선망을 통한 부가 서비스로 망 접속하여 일 대 다수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 발명으로, 사설망에 접속된 가입자가 내선과 내선 간의 통화 중 내선을 끊지 않고 국설과 접속된 협력업체와 회의 통화를 할 수 있으며, 통화 도중 페이저가 울릴 경우에 사서함 내용을 청취 및 페이저 호출도 가능하며, 한 회사가 사업장이 분산되어 있는 경우에 제1사업장과 제2사업장이 전용망을 통하여 통화를 하는 중 제3사업장과 회의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통화 중의 이야기를 전화를 끊은 후에 제3사업장에 있는 사람에게 그 이야기를 전달해 줄 필요가 없도록 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사설 교환기에서 국설망 접속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설 교환기에서 통화 중의 멀티 스위칭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블록도.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스위칭 회로부와 멀티 스위칭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설 교환기에서 통화 중의 멀티 스위칭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가입자 회로부 22 : 국선 회로부
23 : 전용선 회로부 24 : 스위칭 회로부
25 : TSB/RSB 회로부 26 : DTRF/톤 회로부
27 : 제어부 28 : 멀티 스위칭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선 가입자 간의 통화를 접속하는 가입자 회로부와, 일반 국선의 통화를 접속하는 국선 회로부와, 전용선의 통화를 접속하는 전용선 회로부와, 해당 각 회로부 간의 신호를 접속하는 스위칭 회로부와, 라인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TSB/RSB 회로부와, DTMF와 톤을 공급하는 DTMF/톤 회로부를 구비하는 사설 교환기에 있어서, 다자간 통화를 위한 멀티 스위칭 코드를 인가받아 분석하여 제1제어 데이타를 인가하며, 통화 중 다른 호출 코드를 인가받아 분석하여 제2제어 데이타를 인가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제1제어 데이타에 따라 상기 스위칭 회로부의 하이웨이 경로와 같은 하이웨이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제2제어 데이타에 따라 해당 형성된 하이웨이 경로에 상기 호출 코드에 해당하는 하이웨이 경로를 상호 스위칭하여 다자간 통화를 접속하는 멀티 스위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설 교환기에서 통화 중의 멀티 스위칭 방법은 스위칭 회로부의 하이웨이 경로를 통해 유지되고 있는 통화 상태를 확인한 후 다자간 통화를 위한 멀티 스위칭 코드가 인가되는지를 확인하는 제1과정과; 상기 멀티 스위칭 코드를 판독하여 분석한 후 상기 스위칭 회로부의 하이웨이 경로를 멀티 스위칭부의 하이웨이 경로로 전환시켜 주는 제2과정과; 상기 확인된 통화 상태를 상기 멀티 스위칭부의 하이웨이 경로를 통해 유지하고 호출 코드가 인가되는지를 확인하는 제3과정과; 상기 호출 코드를 판독하여 분석한 후 상기 멀티 스위칭부에서 유지되고 있는 하이웨이 경로와 상기 호출 코드에 해당하는 하이웨이 경로를 상호 스위칭시켜 주는 제4과정과; 상기 호출 코드에 해당하는 RSB 메모리를 세팅하여 회선을 루프시켜 다자간 통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제5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설 교환기에서 통화 중의 멀티 스위칭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에 있어서 스위칭 회로부와 멀티 스위칭부의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설 교환기에서 통화 중의 멀티 스위칭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챠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설 교환기에서 통화 중의 멀티 스위칭 시스템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내 가입자 간의 상호 통화를 위한 가입자 회로부(21)와, 일반 국선과 통화하기 위한 국선 회로부(22)와, 전용선 접속을 위한 전용선 회로부(23)와, 각 회로 간의 신호 접속을 위한 스위칭 회로부(24)와, 라인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하기 위한 TSB/RSB 회로부(25)와, DTMF와 톤을 공급하기 위한 DTMF/톤 회로부(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자간 통화를 위해서 제어부(27)과 멀티 스위칭부(28)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런데, 해당 제어부(27)는 상기 모든 회로부(21 ~ 26)의 일반적인 통화 접속을 위한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스위칭 제어부(24)의 하이웨이 경로를 통한 현재 통화 상태를 확인하고 다자간 통화를 위한 멀티 스위칭 코드를 인가받아 분석한 후 해당 통화 상태를 해당 멀티 스위칭부(28)의 하이웨이 경로로 전환하기 위한 제1제어 데이타를 인가하며, 해당 멀티 스위칭부(28)의 하이웨이 경로를 통하여 통화를 유지하는 동안 다른 호출 코드를 인가받아 분석하여 다자간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제2제어 데이타를 인가한다. 그리고, 해당 멀티 스위칭부(28)는 상기 제어부(27)로부터 인가되는 제1제어 데이타에 따라 상기 스위칭 회로부(24)의 하이웨이 경로와 동일한 하이웨이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어부(27)로부터 인가되는 제2제어 데이타에 따라 해당 형성된 하이웨이 경로에 상기 호출 코드에 해당하는 하이웨이 경로를 상호 스위칭시켜 다자간 통화가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상기 스위칭 회로부(24)의 송수신되는 라인을 상기 멀티 스위칭부(28)에 루프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타값을 기록하여 송신 하이웨이와 수신 하이웨이를 제어하하므로 스위칭시키기 위한 데이타 버스와, 해당 데이타 버스의 주소를 관리하기 위한 어드레스 버스와, 타임 슬롯을 할당하기 위한 각종 클럭의 수신 라인과, 가입자 간의 송신 음성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송신 하이웨이와, 가입자 간의 수신 음성 경로를 제공하기 위한 수신 하이웨이를 상기 스위칭 회로부(24)와 멀티 스위칭부(28)를 루프하며, 데이타의 판독, 기록, 침 선택 등의 총괄적인 제어를 하기 위한 제1제어 버스를 상기 스위칭 회로부(24)에 접속하고 제2제어 버스를 상기 멀티 스위칭부(28)에 접속하여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설 교환기에서 통화 중의 멀티 스위칭 시스템은 도 4의 플로우챠트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을 수행하는데, 기본적인 동작 설명은 종래의 기술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고 다자간 멀티 스위칭에 대한 경우만을 설명한다.
어떤 제1가입자(A)가 내선, 국선 및 전용선으로 호출하는 경우에 해당 내선, 국선 및 전용선의 호출 코드에 따라 제어부(27)는 스위칭 회로부(24)를 제어하여 통화 상태를 유지시키는데, 먼저 해당 제어부(27)는 현재 통화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호출 코드를 확인한다(단계 S1).
첫 번째로, 상기 제1단계(S1)에서 현재 유지되고 있는 통화 상태의 호출 코드가 내선과 내선 간인 제1가입자(A)와 제2가입자(B)라면, 즉 해당 제1가입자(A)와 제2가입자(B)가 통화 중이라면, 제1국설을 통해 국선 가입자와 통화하려고 할 경우에 두 가입자(A, B) 중 하나가 국선 회로부(22)에 접속되어 있는 제1국설 가입자를 호출하기 위해 이내선대일국선의 멀티 스위칭 코드를 누른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7)는 해당 이내선대일국선의 멀티 스위칭 코드가 인가되는지를 확인하고(단계 S2) DTRF/톤 회로부(26)의 DTRF 메모리를 통해서 해당 이내선대일국선의 멀티 스위칭 코드를 판독하여 분석한 후(단계 S3), 해당 두 가입자(A, B)가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 회로부(24)의 하이웨이 경로(Highway Pass)를 멀티 스위칭부(28)의 하이웨이 경로로 전환시켜 준다(단계 S4).
이 때, 상기 제어부(27)는 국선 호출 코드의 입력을 기다리는데, 상기 두 가입자(A, B)의 통화 상태를 상기 멀티 스위칭부(28)의 하이웨이 경로를 통해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두 가입자(A, B) 중 상기 이내선대일국선의 멀티 스위칭 코드를 누른 가입자가 해당 국선 호출 코드를 누르면, 상기 제어부(27)는 해당 국선 호출 코드가 인가되는지를 확인한 후(단계 S5) 해당 국선 호출 코드를 판독하여 분석하고(단계 S6) 상기 멀티 스위칭부(28)에서 상기 두 가입자(A, B)의 하이웨이 경로와 제1국설 가입자의 하이웨이 경로를 상호 스위칭시키도록 제어한다(단계 S7).
또한, 상기 제어부(27)는 상기 국선 회로부(22)의 RSB 메모리를 세팅하여 국설측과 루프(Loop)를 시켜 준다(단계 S8).
이렇게 하여, 상기 두 개의 내선 가입자(A, B)와 국선의 제1국설 가입자는 상기 멀티 스위칭부(28)에서 스위칭되어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두 번째로, 상기 제1단계(S1)에서 현재 유지되고 있는 통화 상태의 호출 코드가 내선과 국선 간인 제1가입자(A)와 제1국설 가입자라면, 즉 해당 제1가입자(A)와 제1국설 가입자가 통화 중이라면, 제2국설을 통해 또다른 국선 가입자와 통화하려고 할 경우에 제1가입자(A)가 상기 국선 회로부(22)에 접속되어 있는 제2국설 가입자를 호출하기 위해 일내선대이국선의 멀티 스위칭 코드를 누른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7)는 해당 일내선대이국선의 멀티 스위칭 코드가 인가되는지를 확인하고(단계 S9) 상기 DTRF/톤 회로부(26)의 DTRF 메모리를 통해서 해당 일내선대이국선의 멀티 스위칭 코드를 판독하여 분석한 후(단계 S10), 해당 제1가입자(A)와 제1국설 가입자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스위칭 회로부(24)의 하이웨이 경로를 상기 멀티 스위칭부(28)의 하이웨이 경로로 전환시켜 준다(단계 S11).
이 때, 상기 제어부(27)는 국선 호출 코드의 입력을 기다리는데, 상기 제1가입자(A)와 제1국설 가입자의 통화 상태를 상기 멀티 스위칭부(28)의 하이웨이 경로를 통해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입자(A)가 해당 국선 호출 코드를 누르면, 상기 제어부(27)는 해당 국선 호출 코드가 인가되는지를 확인한 후(단계 S12) 해당 국선 호출 코드를 판독하여 분석하고(단계 S13) 상기 멀티 스위칭부(28)에서 상기 제1가입자(A)와 제1국설 가입자의 하이웨이 경로와 제2국설 가입자의 하이웨이 경로를 상호 스위칭시키도록 제어한다(단계 S14).
또한, 상기 제어부(27)는 상기 국선 회로부(22)의 RSB 메모리를 세팅하여 국설측과 루프시켜 준다(단계 S15).
이렇게 하여, 상기 내선의 제1가입자(A)와 두 개의 국선의 제1 및 제2국설 가입자는 상기 멀티 스위칭부(28)에서 스위칭되어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세 번째로, 상기 제1단계(S1)에서 현재 유지되고 있는 통화 상태의 호출 코드가 두 번째의 경우와 동일하게 상기 제1가입자(A)와 제1국설 가입자가 통화 중이라면, 제3국설을 통해 전용선 가입자와 통화하려고 할 경우에 상기 제1가입자(A)가 전용선 회로부(23)에 접속되어 있는 제3국설 가입자를 호출하기 위해 일내선대일국선대일전용선의 멀티 스위칭 코드를 누른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7)는 해당 일내선대일국선대일전용선의 멀티 스위칭 코드가 인가되는지를 확인하고(단계 S16) 상기 DTRF/톤 회로부(26)의 DTRF 메모리를 통해서 해당 일내선대일국선일전용선의 멀티 스위칭 코드를 판독하여 분석한 후(단계 S17), 상기 제1가입자(A)와 제1국설 가입자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스위칭 회로부(24)의 하이웨이 경로를 상기 멀티 스위칭부(28)의 하이웨이 경로로 전환시켜 준다(단계 S18).
이 때, 상기 제어부(27)는 전용선 호출 코드의 입력을 기다리는데, 상기 제1가입자(A)와 제1국설 가입자의 통화 상태를 상기 멀티 스위칭부(28)의 하이웨이 경로를 통해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입자(A)가 해당 전용선 호출 코드를 누르면, 상기 제어부(27)는 해당 전용선 호출 코드가 인가되는지를 확인한 후(단계 S19) 해당 전용선 호출 코드를 판독하여 분석하고(단계 S20) 상기 멀티 스위칭부(28)에서 상기 제1가입자(A)와 제1국설 가입자의 하이웨이 경로와 제3국설 가입자의 하이웨이 경로를 상호 스위칭시키도록 제어한다(단계 S21).
또한, 상기 제어부(27)는 전용선 회로부(23)의 RSB 메모리를 세팅하여 전용측과 루프시켜 준다(단계 S22).
이렇게 하여, 상기 내선의 제1가입자(A)와 국선의 제1국설 가입자와 전용선의 제3국설 가입자는 상기 멀티 스위칭부(28)에서 스위칭되어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네 번째로, 상기 제1단계(S1)에서 현재 유지되고 있는 통화 상태의 호출 코드가 내선과 전용선 간인 제1가입자(A)와 제3국설 가입자라면, 즉 해당 제1가입자(A)와 제3국설 가입자가 통화 중이라면, 제4국설을 통해 또다른 전용선 가입자와 통화하려고 할 경우에 제1가입자(A)가 상기 전용선 회로부(23)에 접속되어 있는 제4국설 가입자를 호출하기 위해 일내선대이전용선의 멀티 스위칭 코드를 누른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7)는 해당 일내선대이전용선의 멀티 스위칭 코드가 인가되는지를 확인하고(단계 S23) 상기 DTRF/톤 회로부(26)의 DTRF 메모리를 통해서 해당 일내선대이전용선의 멀티 스위칭 코드를 판독하여 분석한 후(단계 S24), 해당 제1가입자(A)와 제3국설 가입자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스위칭 회로부(24)의 하이웨이 경로를 상기 멀티 스위칭부(28)의 하이웨이 경로로 전환시켜 준다(단계 S25).
이 때, 상기 제어부(27)는 전용선 호출 코드의 입력을 기다리는데, 상기 제1가입자(A)와 제3국설 가입자의 통화 상태를 상기 멀티 스위칭부(28)의 하이웨이 경로를 통해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입자(A)가 해당 전용선 호출 코드를 누르면, 상기 제어부(27)는 해당 전용선 호출 코드가 인가되는지를 확인한 후(단계 S26) 해당 전용선 호출 코드를 판독하여 분석하고(단계 S27) 상기 멀티 스위칭부(28)에서 상기 제1가입자(A)와 제3국설 가입자의 하이웨이 경로와 제4국설 가입자의 하이웨이 경로를 상호 스위칭시키도록 제어한다(단계 S28).
또한, 상기 제어부(27)는 상기 전용선 회로부(23)의 RSB 메모리를 세팅하여 전용측과 루프시켜 준다(단계 S29).
이렇게 하여, 상기 내선의 제1가입자(A)와 두 개의 전용선의 제3 및 제4국설 가입자는 상기 멀티 스위칭부(28)에서 스위칭되어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다섯 번째로, 상기 제1단계(S1)에서 현재 유지되고 있는 통화 상태의 호출 코드가 내선, 국선 및 전용선 간인 제1가입자(A), 제1국설 가입자 및 제3국설 가입자라면, 즉 해당 제1가입자(A), 제1국설 가입자 및 제3국설 가입자가 서로 통화 중이라면, 제4국설을 통해 제4국설 가입자와 통화하려고 할 경우에 제1가입자(A)가 상기 전용선 회로부(23)에 접속되어 있는 제4국설 가입자를 호출하기 위해 일내선대일국선대이전용선의 멀티 스위칭 코드를 누른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27)는 해당 일내선대일국선대이전용선의 멀티 스위칭 코드가 인가되는지를 확인하고(단계 S30) 상기 DTRF/톤 회로부(26)의 DTRF 메모리를 통해서 해당 일내선대일국선대이전용선의 멀티 스위칭 코드를 판독하여 분석한 후(단계 S31), 해당 제1가입자(A), 제1국설 가입자 및 제3국설 가입자가 연결되어 있는 상기 스위칭 회로부(24)의 하이웨이 경로를 상기 멀티 스위칭부(28)의 하이웨이 경로로 전환시켜 준다(단계 S32).
이 때, 상기 제어부(27)는 전용선 호출 코드의 입력을 기다리는데, 상기 제1가입자(A), 제1국설 가입자 및 제3국설 가입자의 통화 상태를 상기 멀티 스위칭부(28)의 하이웨이 경로를 통해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가입자(A)가 해당 전용선 호출 코드를 누르면, 상기 제어부(27)는 해당 전용선 호출 코드가 인가되는지를 확인한 후(단계 S33) 해당 전용선 호출 코드를 판독하여 분석하고(단계 S34) 상기 멀티 스위칭부(28)에서 상기 제1가입자(A), 제1국설 가입자 및 제3국설 가입자의 하이웨이 경로와 제4국설 가입자의 하이웨이 경로를 상호 스위칭시키도록 제어한다(단계 S35).
또한, 상기 제어부(27)는 상기 전용선 회로부(23)의 RSB 메모리를 세팅하여 전용측과 루프시켜 준다(단계 S36).
이렇게 하여, 상기 내선의 제1가입자(A)와 국선의 제1국설 가입자와 두 개의 전용선의 제3 및 제4국설 가입자는 상기 멀티 스위칭부(28)에서 스위칭되어 통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통화 중인 상태에서 멀티 스위칭 코드의 입력 시에 멀티 스위칭부에서 스위칭 회로부와 동일한 하이웨이 경로를 형성하고 해당 형성된 하이웨이 경로를 다른 호출 회선과 상호 스위칭시켜 다자간 접속하도록 하므로, 통화 중인 회선을 끊지 않고 다른 회선과 통화할 수 있고 통화 도중 사서함 내용을 청취 및 페이저 호출도 가능하다.

Claims (2)

  1. 내선 가입자 간의 통화를 접속하는 가입자 회로부(21)와, 일반 국선의 통화를 접속하는 국선 회로부(22)와, 전용선의 통화를 접속하는 전용선 회로부(23)와, 해당 각 회로부(21, 22, 23) 간의 신호를 접속하는 스위칭 회로부(24)와, 라인 상태를 감시하고 제어하는 TSB/RSB 회로부(25)와, DTMF와 톤을 공급하는 DTMF/톤 회로부(26)를 구비하는 사설 교환기에 있어서, 다자간 통화를 위한 멀티 스위칭 코드를 인가받아 분석하여 제1제어 데이타를 인가하며, 통화 중 다른 호출 코드를 인가받아 분석하여 제2제어 데이타를 인가하는 제어부(27)와; 상기 제어부(27)로부터 인가되는 제1제어 데이타에 따라 상기 스위칭 회로부(24)의 하이웨이 경로와 같은 하이웨이 경로를 형성하며, 상기 제어부(27)로부터 인가되는 제2제어 데이타에 따라 해당 형성된 하이웨이 경로에 상기 호출 코드에 해당하는 하이웨이 경로를 상호 스위칭하여 다자간 통화를 접속하는 멀티 스위칭부(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기에서 통화 중의 멀티 스위칭 시스템.
  2. 스위칭 회로부(24)의 하이웨이 경로를 통해 유지되고 있는 통화 상태를 확인한 후 다자간 통화를 위한 멀티 스위칭 코드가 인가되는지를 확인하는 제1과정과; 상기 멀티 스위칭 코드를 판독하여 분석한 후 상기 스위칭 회로부(24)의 하이웨이 경로를 멀티 스위칭부(28)의 하이웨이 경로로 전환시켜 주는 제2과정과; 상기 확인된 통화 상태를 상기 멀티 스위칭부(28)의 하이웨이 경로를 통해 유지하고 호출 코드가 인가되는지를 확인하는 제3과정과; 상기 호출 코드를 판독하여 분석한 후 상기 멀티 스위칭부(28)에서 유지되고 있는 하이웨이 경로와 상기 호출 코드에 해당하는 하이웨이 경로를 상호 스위칭시켜 주는 제4과정과; 상기 호출 코드에 해당하는 RSB 메모리를 세팅하여 회선을 루프시켜 다자간 통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제5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기에서 통화 중의 멀티 스위칭 방법.
KR1019970025238A 1997-06-17 1997-06-17 사설 교환기에서 통화 중의 멀티 스위칭 시스템 및 방법 KR100230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5238A KR100230062B1 (ko) 1997-06-17 1997-06-17 사설 교환기에서 통화 중의 멀티 스위칭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5238A KR100230062B1 (ko) 1997-06-17 1997-06-17 사설 교환기에서 통화 중의 멀티 스위칭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790A KR19990001790A (ko) 1999-01-15
KR100230062B1 true KR100230062B1 (ko) 1999-11-15

Family

ID=19509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5238A KR100230062B1 (ko) 1997-06-17 1997-06-17 사설 교환기에서 통화 중의 멀티 스위칭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00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975A (ko) * 2000-10-28 2002-05-04 구자홍 다기능 전화기를 이용한 통화 중 메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790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54482A (ja) 電話呼処理方法
US5815563A (en) Telecommunication system with remote call pick-up capabilities
RU2221345C2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злоумышленного вызова и коммутационный аппарат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ого способа
KR100230062B1 (ko) 사설 교환기에서 통화 중의 멀티 스위칭 시스템 및 방법
US5400397A (en) Private automatic branch exchange
JP2625460B2 (ja) 電話交換システムにおける通話ルート指定方法
KR100213660B1 (ko) 전용선을 이용한 동시 회의 연결방법
KR0148554B1 (ko) 사설 isdn망 간이 교환기의 방송호출 통화형성방법
KR20040040058A (ko) 다자간 통신을 서비스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제통화자의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KR100331463B1 (ko) 사설 교환 시스템의 국선 가입자 간 통화 연결방법
KR100248102B1 (ko) 구내교환기에서 씨티-2국선 및 일반국선 선택사용장치 및 방법
KR100255376B1 (ko) 사설교환기에서 다양한 회의 기능 수행방법
KR200362267Y1 (ko) 에이알에스장치와 에이씨에스장치가 통합된 목적번호접속 장치
JPH09130486A (ja) 発信加入者対応リンギング制御方法
KR100270743B1 (ko) 종합정보통신망교환기의호전환방법
JPS5884565A (ja) 複数のカスタム・コ−ルに対する装置
JPH08205213A (ja) 構内交換機
JPH05236124A (ja) 構内交換機における着信転送方式
KR20010108771A (ko) 사설 교환기의 자동 망 전환 방법
JPH05327932A (ja) 通信制御方式
JPS61230457A (ja) 交換装置
JPS63185146A (ja) 電話接続方式
JPH05176064A (ja) 局線着信方式
KR19990041509A (ko) 구내교환기의 국선보류 신호방법
KR20000042239A (ko) 국선자동 착신기능을 이용한 국선 발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