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3646A - 차량용 전선 접속박스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선 접속박스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3646A
KR19990053646A KR1019970073335A KR19970073335A KR19990053646A KR 19990053646 A KR19990053646 A KR 19990053646A KR 1019970073335 A KR1019970073335 A KR 1019970073335A KR 19970073335 A KR19970073335 A KR 19970073335A KR 19990053646 A KR19990053646 A KR 19990053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nnection
connection box
bracket
mounting structur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현철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70073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3646A/ko
Publication of KR19990053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3646A/ko

Links

Abstract

전선 접속박스의 장착을 차체의 브라켓트에 대한 결합만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하여 카울 탑 패널에 부착되면서 삽입부에 홀을 뚫어 절곡 형성되는 브라켓트의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전선 접속박스의 설치를 가능하게 상측에 돌기를 갖는 삽입홀을 형성한 조립부의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전선 접속박스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선 접속박스의 장착구조
본 발명은 차량용 전선 접속박스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 접속박스의 장착을 차체의 브라켓트에 대한 결합만으로 이루어지게 한 차량용 전선 접속박스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3은 종래기술로 전선 접속박스의 장착을 도시하고 있는데, 전선 접속박스(2)는 퓨즈박스(4)와 릴레이박스(6), 그리고 전자제어 시간 경보장치(8)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전선 접속박스(10)는 체결홀(12)을 형성한 상,하단의 체결부(14)를 이용 카울탑 패널(16)에 볼트(18)로 장착되고 있는데, 이를 위해 카울탑 패널(16)에는 너트(22)를 부착한 브라켓트(24)를 형성하고 있다.
전선 접속박스(10)는 차내와 엔짐룸 및 크러쉬패드 뒤면등에 분산 설치된 퓨즈박스(4)와 릴레이박스(6) 그리고 전자제어 시간 경보장치(8)를 통합 설치한 박스이다.
따라서 전선 접속박스(10)에는 많은 전선(26)이 연결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선 접속박스는 퓨즈박스, 릴레이박스, 그리고 전자제어 시간 경보장치를 통합 설치하고 있는 관계로 많은 전선이 연결되고 있어서, 카울탑 패널의 브라켓트에 장착시 협소한 공간에서 전선의 꺾임이 A와 같이 과도하여 장력이 발생하고, 이 장력이 장착방향에서 작용하고 있어서 장착작업에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전선 접속박스가 운전석의 왼쪽 무릎부위에 설치되고 있어서 공구를 이용한 체결 작업이 페달 등의 간섭으로 까다로워져서 공정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선 접속박스의 장착을 차체의 브라켓트에 대한 결합만으로 이루어지게 한 차량용 전선 접속박스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접속박스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접속박스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결합 측단면도.
도3은 종래기술을 도시한 도면.
이를 실현하기 위한 카울탑 패널에 부착되면서 홀을 뚫어 절곡 형성되는 브라켓트의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전선 접속박스의 설치를 가능하게 상측에 돌기를 갖는 삽입홀을 뚫은 조립부의 결합수단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차량용 전선 접속박스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퓨즈박스와 릴레이박스 그리고 전자제어 시간 경보장치를 포함하고 있는 전선 접속박스의 상단 결합수단인 조립부에 삽입홀을 형성하고, 여기에 돌기를 돌출 형성한다.
그리고 카울탑 패널에 부착된 지지수단인 브라켓트에 홀을 뚫어 형성하므로서 전선 접속박스의 결합수단인 조립부를 지지수단의 브라켓트 측으로 밀어 삽입시킨다.
이때 결합수단인 조립부의 삽입홀에 형성된 돌기는 브라켓트의 삽입과 더불어 홀에 조립시 걸리게 됨에 따라 볼트의 체결작업을 삭제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접속박스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접속박스의 장착구조를 도시한 결합 측단면도로, 카울탑 패널(30)에 부착되는 브라켓트(32)를 절곡하여 연장 형성한 삽입부(34)에 홀(36)을 뚫어 형성하고 있다.
상기 브라켓트(32)의 삽입부(34)에 끼워지게 전선 접속박스(37)의 상측에 조립부(38)를 형성하고 있으며, 여기에 돌기(40)를 기립 형성한 삽입홀(42)을 뚫어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전선 접속박스(37)의 컨넥터(43)에 꽂은 퓨즈박스(44)와 릴레이박스(46) 그리고 전자제어 시간 경보장치(48)를 포함하고 있는 전선 접속박스(37)의 상단에 돌기(40)를 형성한 삽입홀(42)을 뚫은 조립부(38)를 이용 브라켓트(32)의 삽입부(34)에 밀어 넣는다.
상기한 브라켓트(32)의 삽입부(34)를 운전석 측으로 돌출 형성하고 있어, 수많은 전선(50)이 연결되고 있는 전선 접속박스(37)를 밀어 넣더라도 전선 접속박스(36)의 뒤쪽 공간이 넓어 전선에 의한 A부분에서의 장력을 쉽게 극복할 수 있어 삽입부(34)와 조립부(38)간의 결합을 쉽게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선 접속박스(37)를 계속 밀어 조립부(38)의 삽입홀(42)에 형성된 돌기(40)가 브라켓트(32)의 삽입부(34)에 형성된 홀(36)에 걸리면서 조립된다.
다시 말해 전선 접속박스(37)를 브라켓트(32)에 대고 푸쉬하면 상부 고정은 쉽게 완료된다.
그리고 전선 접속박스(37)의 상부 조립부(38)가 고정된 상태에서 하단은 볼트(52)에 의해서 쉽게 체결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브라켓트(32)의 강도를 보강하고 운전자 측으로 삽입부(34)를 최대한 연장하므로서 작업자의 작업시야를 확보함은 물론 에어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손으로 밀어 넣어 조립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립작업의 신속을 꾀하게 된다.
또, 하나는 브라켓트(32)의 삽입부(34)를 연장함에 따라 조립되는 전선 접속박스(37)와 대시패널과의 사이에 공간이 확보되므로서 조립 작업시 전선에 의한 장력을 저감할 수 있어 조립을 쉽게 한다.
본 발명은 전선 접속박스의 설치시 볼트에 의한 1개의 고정 포인트를 삭제함에 따라 다른 작업자의 도움없이 조립작업을 마치게 되는 공수절감의 효과가 있다.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조립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선의 장력에 의한 불편함을 쉽게 극복할 수 있게 되는 등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전선 접속박스의 장착에 따른 볼트, 너트의 삭제로 원가절감이 이루어진다.
전선의 장력에 의해 전선 접속박스의 장착부 파손을 방지하게 됨에 따라 품질개선이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카울탑 패널에 부착되면서 삽입부에 홀을 뚫어 절곡 형성되는 브라켓트의 지지수단과,
    상기 지지수단에 전선 접속박스의 설치를 가능하게 상측에 돌기를 갖는 삽입홀을 뚫은 조립부의 결합수단을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선 접속박스의 장착구조.
KR1019970073335A 1997-12-24 1997-12-24 차량용 전선 접속박스의 장착구조 KR19990053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335A KR19990053646A (ko) 1997-12-24 1997-12-24 차량용 전선 접속박스의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335A KR19990053646A (ko) 1997-12-24 1997-12-24 차량용 전선 접속박스의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3646A true KR19990053646A (ko) 1999-07-15

Family

ID=66099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335A KR19990053646A (ko) 1997-12-24 1997-12-24 차량용 전선 접속박스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36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84511A (ja) バッテリー用電気接続具
JP3661359B2 (ja) 自動車用電気接続箱
KR19990053646A (ko) 차량용 전선 접속박스의 장착구조
KR19990006265U (ko) 하니스 고정구 결합구조
JP3954257B2 (ja) 電装品のフレームへの固定構造
KR970003671Y1 (ko) 자동차의 ecm 브라켓트
KR200149302Y1 (ko) 컨넥터 박스
JP4466317B2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への機器の取付構造
KR100405362B1 (ko) 자동차용 카울크로스바의 장착구조
KR960006314Y1 (ko) 차량용 와이어 하네스 커넥터의 유동방지 브라켓
JPH0511064Y2 (ko)
KR200198936Y1 (ko) 자동차 패널 압입용 와이어링 크램프
KR200245196Y1 (ko) 파킹브레이크용어저스터와파킹케이블의조립구조
KR100380170B1 (ko) 자동차 트렁크의 릴리즈 커버 취부구조
JPH11321708A (ja) エンジンルームの隔壁構造
KR200160783Y1 (ko) 트럭의 캐브 마운팅장치
JPH0742726U (ja) センサユニットの取付構造
KR100334262B1 (ko) 자동차의 콘넥터 고정용 프로텍터
KR100205899B1 (ko) 케이블 및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어셈블리
KR0135633Y1 (ko) 개선된 후드릴리즈 케이블 장착취부구멍을 지닌 레버지지 패널
JP3837911B2 (ja) トリム取付構造
KR0118735Y1 (ko) 자동차용 브라켓트 취부구조
JP2601026Y2 (ja) インストゥルメントパネル用のワイヤハ−ネス
JPH0454705Y2 (ko)
JPH08140239A (ja) 自動車用アンテナフィーダ線配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