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6766A - 직물가공방법 - Google Patents

직물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6766A
KR19990046766A KR1019990014594A KR19990014594A KR19990046766A KR 19990046766 A KR19990046766 A KR 19990046766A KR 1019990014594 A KR1019990014594 A KR 1019990014594A KR 19990014594 A KR19990014594 A KR 19990014594A KR 19990046766 A KR19990046766 A KR 19990046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entral portion
hole
printed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4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6179B1 (ko
Inventor
김병식
Original Assignee
김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식 filed Critical 김병식
Priority to KR1019990014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6179B1/ko
Publication of KR19990046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1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43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aminous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the foamed layer or of cellular layers
    • D06N3/005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aminous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the foamed layer or of cellular layers obtained by blowing or swelling ag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7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mechanical or physical treatments
    • D06N3/0077Embossing; Pressing of the surface; Tumbling and crumbling; Cracking; Cooling; Heating, e.g. mirror finish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02Producing patterns by locally destroying or modifying the fibres of a web by chemical actions, e.g. making transluc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물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직물에 다양한 형상의 구멍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구멍의 둘레부와 일치되게 발포수지부를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직물가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부(10)와 둘레부(20)로 구획되는 도안을 가진 직물(1)의 중앙부(10)에 구멍(12)을 형성하는 직물의 가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10)에는 황산이 함유된 산성잉크를 프린트하고, 상기 둘레부(20)에는 발포성수지를 프린트한 다음, 열처리과정을 통해서 상기 산성잉크에 함유된 황산성분을 가열농축하여 상기 중앙부(10)를 탄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둘레부(20)에 프린트된 발포성수지를 발포시킨 다음에, 수세 등의 과정을 통해서 상기 탄화된 중앙부(10)를 탈락시켜 구멍(1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가공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직물가공방법 {Method of cloth processing}
본 발명은 직물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직물에 다양한 형상의 구멍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구멍의 둘레부와 일치되게 발포수지부를 형성할 수 있는 새로운 직물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물에는 다양한 무늬를 형성하여 직물디자인의 다양화를 꾀한다. 그리고 근래에는 이러한 평면적인 무늬형성방법 외에도 직물에 구멍을 형성하거나 발포수지부로 입체감있는 무늬를 형성하는 방법도 제안되고 있다.
한편, 직물에 구멍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형성된 구멍의 둘레부를 단정하게 처리하여 장식성을 높이고 올풀림 등을 방지하기 위해 구멍의 둘레부에 발포수지부를 형성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직물에 구멍을 형성하고 그 둘레부에 발포수지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종래에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먼저 황산이 함유된 잉크를 구멍을 형성하고자 하는 부위에 프린트하고, 이를 열처리하여 황산을 농축시켜 잉크가 프린트된 부분을 탄화시켜 구멍을 형성한 다음, 형성된 구멍의 둘레부에 발포성수지를 프린트하고 다시 열처리하여 발포성수지를 발포시켜 발포수지부를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직물에 구멍을 형성하는 단계와 발포수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별도로 행하기 때문에 구멍의 둘레부와 일치되게 발포수지부를 형성하기가 곤란하였다. 따라서 제품의 불량률이 높았을 뿐만 아니라 그 공정이 복잡하여 코스트를 높이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직물에 다양한 형상의 구멍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구멍의 둘레부와 일치하게 올풀림방지와 장식을 위한 발포수지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공정이 간단하여 코스트를 낮출 수 있는 새로운 직물가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의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 A선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직물 10. 중앙부
12. 구멍 20. 둘레부
22. 발포수지부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부(10)와 둘레부(20)로 구획되는 도안을 가진 직물(1)의 중앙부(10)에 구멍(12)을 형성하는 직물의 가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10)에는 황산이 함유된 산성잉크를 프린트하고, 상기 둘레부(20)에는 발포성수지를 프린트한 다음, 열처리과정을 통해서 상기 산성잉크에 함유된 황산성분을 가열농축하여 상기 중앙부(10)를 탄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둘레부(20)에 프린트된 발포성수지를 발포시킨 다음에, 수세 등의 과정을 통해서 상기 탄화된 중앙부(10)를 탈락시켜 구멍(1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가공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2와 도 3은 그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직물(1)에 구멍(12)을 형성하면서 동시에 구멍(12)의 둘레부(20)와 일치되게 발포수지부(22)를 형성할 수 있는 직물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직물(1)을 중앙부(10)와 둘레부(20)로 구획하는 도안을 형성하고 상기 중앙부(10)에는 산성잉크를 스크린인쇄로 프린트한다. 상기 산성잉크는 내산성의 수지를 전색제로 가지는 잉크에 황산을 첨가하여 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산성의 수지에는 염화비닐수지, 불소수지 페놀수지, 에폭시수지 등이 있는데, 이와 같은 내산성의 수지를 전색제로 가지는 잉크를 사용하여야만 이에 황산을 첨가하여도 잉크가 황산에 의해 변화되지 않아 산성잉크를 효과적으로 프린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황산은 순도 99%의 것을 5∼30부피%로 첨가하는데 황산을 5%이하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중앙부(10)를 탄화시키기 위한 과정인 후술하는 열처리과정의 온도를 소정온도 이상으로 높여야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황산을 30%이상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스크린인쇄시 스크린망이 부식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여 산성잉크를 효과적으로 인쇄할 수 없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황산의 첨가량은 사용하는 황산의 농도에 반비례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성잉크를 직물(1)에 프린트한 후에는, 산성잉크가 프린트된 중앙부(10)의 둘레부(20)에 발포성수지를 스크린인쇄로 프린트한다. 상기 발포성수지는 후술하는 열처리과정에서 발포될 수 있도록 일반적인 수지발포법으로 처리된 것인데, 일반적인 수지발포법에는 휘발성발포제를 수지에 흡수시키고 가열에 의해 발포제를 기화시켜 발포하는 방법 또는 전분이나 텍스트린, 물에 잘 녹는 무기염 등의 가용성물질을 수지에 첨가하여 부형화한 후 가열하여 발포시킨 후 가용성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이러한 수지발포방법중에서 본 발명에서는 가용성 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인달카'라고 불리우는 상표명 MP102를 발포성수지로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발포성수지에 일반 날염용 염료를 첨가하여 다양한 색상을 부여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이하면 후술하는 열처리과정에서 발포성수지가 발포되어 형성되는 발포수지부(22)에 의한 장식성과 심미감을 한층 더 높일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산성잉크를 중앙부(10)에 프린트한 다음에 발포성수지를 프린트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발포성수지를 둘레부(20)에 먼저 프린트한 다음에 산성잉크를 프린트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산성잉크와 발포성수지를 도안의 중앙부(10)와 그 둘레부(20)에 프린트한 후에는 열처리한다. 열처리과정은 일반적인 직물날염과정에서 사용되는 건조기에서 이루어지는데, 산성잉크와 발포성수지가 프린트된 직물을 105∼160℃정도의 온도에서 1분 정도 처리한다. 이와 같은 열처리과정에서는 중앙부(10)에 프린트된 산성잉크가 건조되면서 황산성분이 농축됨에 따라 황산의 탈수작용으로 중앙부(10)는 탄화되며, 상기 둘레부(20)에 프린트된 발포성수지는 발포되어 입체감을 가지는 발포수지부(22)가 된다.
이와 같이하여 열처리가 끝나면, 직물을 수세하여 상기 탄화된 중앙부(10)를 탈락시켜서 구멍(12)을 형성한다. 그리고 건조나 다림질 등과 같은 마무리처리를 하여 제품을 완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형상의 구멍(12)을 형성함과 동시에 올풀림방지와 장식을 위한 발포수지부를 상기 구멍(10)의 둘레부(20)와 일치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직물에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구멍의 둘레부와 일치하게 장식과 올풀림방지를 위한 발포수지부를 형성할 수 있는 직물의 가공방법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산성잉크과 발포수지부를 형성하기 위한 발포성수지를 스크린인쇄로 프린트하고 한번의 열처리과정을 통해 에서 구멍과 발포수지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구멍형성과정과 발포수지부 형성과정이 별도로 행하여졌던 종래의 방법에 비해 제작공정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형성된 구멍의 둘레부와 일치되게 발포수지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작공정의 단축과 더불어 불량률을 낮출 수가 있으므로 코스트를 낮출 수 있다.

Claims (1)

  1. 중앙부(10)와 둘레부(20)로 구획되는 도안을 가진 직물(1)의 중앙부(10)에 구멍(12)을 형성하는 직물의 가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10)에는 황산이 함유된 산성잉크를 프린트하고, 상기 둘레부(20)에는 발포성수지를 프린트한 다음, 열처리과정을 통해서 상기 산성잉크에 함유된 황산성분을 가열농축하여 상기 중앙부(10)를 탄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둘레부(20)에 프린트된 발포성수지를 발포시킨 다음에, 수세 등의 과정을 통해서 상기 탄화된 중앙부(10)를 탈락시켜 구멍(1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물의 가공방법
KR1019990014594A 1999-04-23 1999-04-23 직물가공방법 KR100296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594A KR100296179B1 (ko) 1999-04-23 1999-04-23 직물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4594A KR100296179B1 (ko) 1999-04-23 1999-04-23 직물가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766A true KR19990046766A (ko) 1999-07-05
KR100296179B1 KR100296179B1 (ko) 2001-07-03

Family

ID=37527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4594A KR100296179B1 (ko) 1999-04-23 1999-04-23 직물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617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25276A1 (en) * 2001-08-13 2003-03-27 Yoo-Hyen Chun Textiles and clothes
KR20030033349A (ko) * 2001-10-22 2003-05-01 배영주 면직물원단의 부풀음을 위한 제조방법
KR20160006530A (ko) * 2014-07-09 2016-01-19 챌린저 서플라이 인코포레이티드 보일러 및 그의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25276A1 (en) * 2001-08-13 2003-03-27 Yoo-Hyen Chun Textiles and clothes
KR100422301B1 (ko) * 2001-08-13 2004-03-18 전유헌 원단 및 의류
KR20030033349A (ko) * 2001-10-22 2003-05-01 배영주 면직물원단의 부풀음을 위한 제조방법
KR20160006530A (ko) * 2014-07-09 2016-01-19 챌린저 서플라이 인코포레이티드 보일러 및 그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6179B1 (ko) 2001-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64443A (en) Process for dyeing textiles in a non-uniform fashion and resulting textile products
US20210285154A1 (en) Method facilitating textile preparation for direct-to-garment printing
US3467484A (en) Patterned application of benzyl alcohol with or without a resist on nylon fabrics and dyeing the patterned fabric
KR100296179B1 (ko) 직물가공방법
KR101171458B1 (ko) 디지털 날염 후로킹 카펫의 제조방법
CN109322191A (zh) 一种平网印花工艺
KR101945634B1 (ko) 구멍을 가지는 직물제품제조방법
GB1041020A (en) Dyeing and or printing of cellulose acetate
CN107780237A (zh) 一种面料的印花工艺
CN105256602B (zh) 一种水性聚氨酯超细纤维合成革的制造方法
US2315002A (en) Ornamental organic derivative of cellulose fabric
WO2002103104A3 (en) Dyeing and finishing of lyocell fabrics
GB544820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pattern effects on textile fabrics
CN111118935A (zh) 一种无浮色平网印花工艺
GB544821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pattern effects on textile fabrics
US2160827A (en)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US1889045A (en) Process of embossing fabrics and articles containing organic derivatives of cellulose
CN1152625C (zh) 喷染羊毛帽胎
US2416997A (en) Decoration of fabric in multicolor relief
KR0155674B1 (ko) 방 발염을 이용한 코르덴 직물의 염색가공 방법
JPS5836202A (ja) ネクタイの製造方法
CN115613374A (zh) 具有色彩变化效果的织物及其洗水方法、应用
CN104831566A (zh) 一种印经丝绸织物生产工艺
JPS584888A (ja) ポリエステル立毛布帛の後処理方法
JPS5928186B2 (ja) 布帛の色付立体柄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