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634B1 - 구멍을 가지는 직물제품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구멍을 가지는 직물제품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634B1
KR101945634B1 KR1020170153208A KR20170153208A KR101945634B1 KR 101945634 B1 KR101945634 B1 KR 101945634B1 KR 1020170153208 A KR1020170153208 A KR 1020170153208A KR 20170153208 A KR20170153208 A KR 20170153208A KR 101945634 B1 KR101945634 B1 KR 101945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fabric
hole
ink
acidic 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식
Original Assignee
김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식 filed Critical 김병식
Priority to KR1020170153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6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QDECORATING TEXTILES
    • D06Q1/00Decorating textiles
    • D06Q1/02Producing patterns by locally destroying or modifying the fibres of a web by chemical actions, e.g. making transluc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형상의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불필요한 단부를 자동으로 절단함으로써,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단부를 절단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 노동력이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며, 코스트도 저하되는 새로운 방식의 구멍을 가지는 직물제품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멍을 가지는 직물제품제조방법{Method of cloth processing}
본 발명은 구멍을 가지는 직물제품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가공원단에 구멍이 형성됨과 동시에 불필요한 단부가 자동으로 절단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되고 코스트도 저하되는 새로운 방식의 구멍을 가지는 직물제품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커튼 봉에 끼워서 설치하도록 된 커튼지에는 커튼 봉을 끼우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며, 또한, 식탁보나 가구용 덮개 등과 같은 제품에는 장식용으로 다양한 형태의 구멍이 형성되기도 한다.
한편, 이와 같이 구멍이 형성된 제품에 사용되는 직물을 가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특허등록 제10-0296179호 "직물가공방법"이 본원인에 의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특허는 산성잉크를 사용하여 직물에 구멍을 형성하고, 구멍 둘레부에 장식 및 올풀림방지를 위한 발포수지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특히, 구멍과 발포수지부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어서 제조공정이 단축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 의한 방법으로 구멍과 발포수지부가 형성된 직물은 텐터링(tentering)을 하여 폭을 일정하게 고정시킨 다음, 텐터링시에 텐터기에 물렸던 폭방향 단부를 절단하여 완제품화된다.
그런데 텐터링 후에 직물의 폭방향 단부를 제품의 디자인형태에 따라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절단하여야 하므로 생산성도 저하되고,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어 인건비가 상승되므로 제품의 코스트가 높아지는 단점을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296179호(2001. 05. 08.)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형상의 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불필요한 단부를 자동으로 절단함으로써,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단부를 절단하는 종래의 방법에 비해 노동력이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며, 코스트도 저하되는 새로운 방식의 구멍을 가지는 직물제품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가공원단(10)으로 천연섬유와 합성섬유가 혼합된 혼합직물을 준비하는 과정; 황산이 함유된 산성잉크를 상기 피가공원단(10)의 구멍을 형성할 부위에 인쇄하여 구멍형성용 산성잉크부(12)를 형성하고, 상기 산성잉크를 피가공원단(10)의 폭방향 단부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폭방향 단부를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인쇄하여 단부절단용 산성잉크부(13)를 형성하는 과정; 상기 구멍형성용 산성잉크부(12)의 둘레부와 상기 단부절단용 산성잉크부(13)의 내측을 따라 발포성 수지를 인쇄하여 발포성 수지인쇄부(14)를 형성하는 과정; 상기 피가공원단(10)을 상기 합성섬유의 용융점 보다 낮은 온도로 가열하여 구멍형성용 산성잉크부(12) 및 단부절단용 산성잉크부(13)의 천연섬유를 탄화시키고, 상기 발포성 수지인쇄부(14)를 발포시키는 과정; 상기 피가공원단(10)을 수세하여 탄화된 천연섬유를 제거하여 상기 구멍형성용 산성잉크부(12)와 단부절단용 산성잉크부(13)를 각각 합성섬유만 잔존되는 구멍형성용 망사부(16) 및 단부절단용 망사부(17)로 만드는 과정; 상기 피가공원단(10)의 폭방향 단부를 텐터링기에 물려서 피가공원단을 텐터링하는 과정; 상기 구멍형성용 망사부(16)와 단부절단용 망사부(17)를 상기 합성섬유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시켜 제거함으로써, 상기 구멍형성용 망사부(16)가 제거되어 구멍(22,23)이 형성되고, 상기 단부절단용 망사부(17)가 제거되어 텐터링과정에서 텐터링기에 물렸던 피가공원단(10)의 폭방향 단부가 절단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을 가지는 직물제품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피가공원단에 구멍이 형성됨과 동시에 피가공원단의 불필요한 단부가 자동으로 절단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피가공원단의 불필요한 단부를 절단하지 않아도 되므로 노동력이 절감되고, 생산성이 향상되며, 제품의 코트스도 저하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조공정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제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제품의 사시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되, 커튼봉을 끼워서 사용하는 커튼을 제작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을 보인 사시도이다.
1) 피가공원단(10)을 준비하는 과정
피가공원단(10)으로 천연섬유와 합성섬유로 직조된 혼합직물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혼합직물이란 천연섬유와 합성섬유가 각각 경사와 위사로 사용된 교직물(交織物, union cloth), 천연섬유와 합성섬유가 각각 교호로 경사 및 위사로 사용된 직물과 더불어 천연섬유와 합성섬유의 혼방사로 직조된 혼방직물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천연섬유는 면, 견, 모 등과 같이 식물성 및 동물성 천연섬유가 모두 사용 가능하다. 그리고 합성섬유로는 나일론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아크릴 섬유 등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가능하나,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탄화 및 발포과정에서 합성섬유가 용융되지 않아야 하며, 또한, 후술하는 망사부 제거과정에서 합성섬유가 효과적으로 용융되어 제거되어야 하므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적절한 수준의 용융점을 갖는 합성섬유를 사용한다.
2) 산성잉크를 인쇄하는 과정
준비된 피가공원단(10)의 구멍을 형성할 부분에 산성잉크를 스크린인쇄하여 구멍형성용 산성잉크부(12)를 형성하고, 피가공원단(10)의 장변부 즉, 폭방향 단부를 따라 산성잉크를 스크린인쇄하여 단부절단용 산성잉크부(13)를 형성한다. 커튼봉을 끼우기 위한 구멍과 장식용 구멍을 형성할 부분에 구멍형성용 산성잉크부(12)를 형성한다.
후술하는 텐터링과정에서 피가공원단(10)의 폭방향 단부를 텐터링기에 물려야 하기 때문에 상기 단부절단용 산성잉크부(13)는 피가공원단(10)의 폭방향 단부에서 소정 간격 내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단부절단용 산성잉크부(13)에 의해 피가공원단(10)의 단부가 절취되어 완성된 제품의 단부라인이 형성되기 때문에, 단부절단용 산성잉크부(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파형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도 1은 피가공원단(10)에 구멍형성용 산성잉크부(12)와 단부절단용 산성잉크부(13)가 형성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산성잉크는 내산성의 수지를 전색제로 가지는 잉크에 황산이 첨가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내산성의 수지에는 염화비닐수지, 불소수지, 페놀수지, 에폭시수지 등이 있다. "인달카"가 불리는 산성염료용 호료가 시판되고 있는데, "인달카"에 황산을 첨가하여 산성잉크를 제조하여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산성잉크는 순도 99%의 황산이 5∼30부피%로 첨가되는데, 황산이 5부피% 미만으로 첨가된 경우에는 후술하는 1차 열처리과정에서 탄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열처리 온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조절하여야 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리고 황산이 30부피%를 초과하여 첨가되는 경우에는 스크린인쇄시 산성잉크에 의해 스크린망이 부식되어 산성잉크를 제대로 인쇄하지 못하게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황산의 첨가량은 사용하는 황산의 농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3) 발포성 수지를 인쇄하는 과정
산성잉크를 인쇄한 다음, 상기 구멍형성용 산성잉크부(12)의 둘레부와 단부절강용 산성잉크부(13) 내측을 따라 발포성 수지를 스크린인쇄하여 발포성 수지인쇄부(14)를 형성한다.
구멍형성용 산성잉크부(12) 둘레부에 인쇄된 발포성 수지인쇄부(14)는 구멍형성용 산성잉크부(12)에 의해 형성되는 구멍(22) 단부의 올풀림방지 및 장식을 위한 것이고, 단부절단용 산성잉크부(13)의 내측을 따라 인쇄되는 발포성 수지인쇄부(14)는 상기 단부절단용 산성잉크부(13)에 의해 절단된 단부의 올풀림방지 및 장식을 위한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성잉크부(12,13)들의 둘레부 이외에도 피가공원단(10)의 장식을 위해 발포성 수지를 추가로 인쇄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는 피가공원단(10)에 발포성 수지인쇄부(14)가 형성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발포성 수지는 가온되면 발포되는 성질의 것으로서,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필요에 따라 발포성 수지에 일반 날염용 염료를 첨가하여 발포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는 발포수지부(24)가 다양한 색상을 가지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멍형성용 산성잉크부(12)와 단부절단용 산성잉크부(13)를 형성한 다음에, 발포성 수지인쇄부(14)를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발포성 수지인쇄부(14)를 먼저 형성하고 산성잉크부(12,13)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4) 탄화 및 발포과정
피가공원단(10)을 열처리한다. 열처리과정은 일반적인 직물날염과정에서 사용되는 건조기에서 이루어지는데, 피가공원단(10)을 105∼160℃ 정도의 온도로 열처리한다. 본 과정에서는 산성잉크의 황산농도 및 열처리 온도 등에 따라 5초~2분 정도로 열처리시간을 조절한다.
이러한 열처리과정에서 인쇄된 산성잉크가 건조되면서 산성잉크에 함유된 황산이 농축되며, 이에 따라 황산의 탈수작용으로 인해 구멍형성용 및 단부절단용 산성잉크부(12,13)의 천연섬유가 탄화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발포성 수지인쇄부(14)는 발포되어 입체감을 가지는 발포수지부(24)를 이룬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피가공원단(10)의 합성섬유가 본 과정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용융되지 않는 것이 사용되므로, 본 과정에서 각 산성잉크부(12,13)의 합성섬유에는 아무런 영양이 없다.
5) 수세과정
상기 과정이 끝나면, 피가공원단(10)을 수세하여 탄화된 상기 산성잉크부(12,13)의 천연섬유를 탈락시킨다. 수세하여 탄화된 천연섬유를 탈락시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멍형성용 산성잉크부(12)와 단부절단용 산성잉크부(13)에는 합성섬유만 남아서 피가공원단의 원래 조직보다 조직이 성긴 망사구조를 가진다. 설명의 편의 및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구멍형성용 산성잉크부(12)가 탄화된 부분을 구멍형성용 망사부(16), 상기 단부절단용 산성잉크부(13)가 탄화된 부분을 단부절단용 망사부(17)라 칭한다.
6) 텐터링과정
수세한 피가공원단(10)을 텐터기를 사용하여 텐터링(tentering)한다. 텐터링은 습윤된 원단을 곧게 펴서 원단의 폭을 일정하게 고정시키는 과정으로서, 원단가공시 통상적으로 행해지는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텐터링시에는 텐터링기에 구비된 핀이나 클립으로 습윤된 원단의 폭방향(위사방향) 단부를 물어서 잡아당기면서 열을 가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수세한 피가공원단(10)의 상기 단부절단용 산성인쇄부(13) 바깥쪽 부위를 물어서 텐터링한다. 본 과정에서는 피가공원단(10)의 합성섬유 용융점보다 낮은 온도로 피가공원단(10)을 가열하여 상기 망사부(16,17)들이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도 4는 텐터링한 후의 피가공원단(10)을 보인 도면으로서, 미설명 부호 11은텐터링기에 물렸던 자국이다.
7) 망사부 제거과정
텐터링한 다음에는 상기 구멍형성용 망사부(16)와 단부절단용 망사부(17)를 이들 망사부를 이루는 합성섬유의 용융점 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시켜 제거한다.
이와 같이 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멍형성용 망사부(16)가 제거되어 커튼봉을 끼우기 위한 구멍(22) 및 장식용 구멍(23)이 형성되고, 단부절단용 망사부(17)가 제거되어 피가공원단(10)의 폭방향 단부가 절단된다.
이와 같은 공정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튼지가 완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피가공원단(10)에 커튼봉을 끼우기 위한 구멍(22) 및 장식용 구멍(23)이 형성됨과 동시에 피가공원단(10)의 불필요한 단부가 자동으로 절단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피가공원단(10)의 단부를 절단할 필요없이 제품을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서는 커튼지를 비롯하여 가구용 덮개 등과 같은 다양한 직물 제품을 저렴한 코스트로 생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제품을 보인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완성된 제품에 일부 구멍형성용 망사부(16)가 잔존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망사부 제거과정에서, 구멍형성용 망사부(16) 중에서 장식용 구멍을 형성하기 위한 일부 구멍형성용 망사부(16)를 용융시키지 않아 서 완성된 제품에 일부 구멍형성용 망사부(16)가 잔존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잔존되는 구멍형성용 망사부(16)에 의해 제품이 장식되고 제품의 다양화도 꾀할 수 있다.
10. 피가공원단 12. 구멍형성용 산성잉크부
13. 단부절단용 산성잉크부 14. 발포성 수지인쇄부
16. 구멍형성용 망사부 17. 단부절단용 망사부
22. 구멍 24. 발포수지부

Claims (1)

  1. 피가공원단(10)으로 천연섬유와 합성섬유가 혼합된 혼합직물을 준비하는 과정;
    황산이 함유된 산성잉크를 상기 피가공원단(10)의 구멍을 형성할 부분에 인쇄하여 구멍형성용 산성잉크부(12)를 형성하고, 상기 산성잉크를 피가공원단(10)의 폭방향 단부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폭방향 단부를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인쇄하여 단부절단용 산성잉크부(13)를 형성하는 과정;
    상기 구멍형성용 산성잉크부(12)의 둘레부와 상기 단부절단용 산성잉크부(13)의 내측을 따라 발포성 수지를 인쇄하여 발포성 수지인쇄부(14)를 형성하는 과정;
    상기 피가공원단(10)을 상기 합성섬유의 용융점 보다 낮은 온도로 가열하여 구멍형성용 산성잉크부(12) 및 단부절단용 산성잉크부(13)의 천연섬유를 탄화시키고, 상기 발포성 수지인쇄부(14)를 발포시키는 과정;
    상기 피가공원단(10)을 수세하여 탄화된 천연섬유를 제거하여 상기 구멍형성용 산성잉크부(12)와 단부절단용 산성잉크부(13)를 각각 합성섬유만 잔존되는 구멍형성용 망사부(16) 및 단부절단용 망사부(17)로 만드는 과정;
    상기 피가공원단(10)의 폭방향 단부에서 상기 단부절단용 망사부(17) 보다 외측 부위를 텐터링기에 물려서 피가공원단을 텐터링하는 과정;
    상기 구멍형성용 망사부(16)와 단부절단용 망사부(17)를 상기 합성섬유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시켜 제거함으로써, 상기 구멍형성용 망사부(16)가 제거되어 구멍(22,23)이 형성되고, 상기 단부절단용 망사부(17)가 제거되어 텐터링과정에서 텐터링기에 물렸던 피가공원단(10)의 폭방향 단부가 절단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멍을 가지는 직물제품제조방법.
KR1020170153208A 2017-11-16 2017-11-16 구멍을 가지는 직물제품제조방법 KR101945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208A KR101945634B1 (ko) 2017-11-16 2017-11-16 구멍을 가지는 직물제품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208A KR101945634B1 (ko) 2017-11-16 2017-11-16 구멍을 가지는 직물제품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634B1 true KR101945634B1 (ko) 2019-02-07

Family

ID=65366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208A KR101945634B1 (ko) 2017-11-16 2017-11-16 구멍을 가지는 직물제품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6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48911A (zh) * 2020-07-30 2020-12-08 信诚染织(福建)有限公司 洞洞布面料及其制作方法
KR102351548B1 (ko) 2021-07-27 2022-01-17 (주)에이치텍스타일 직물 제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48911A (zh) * 2020-07-30 2020-12-08 信诚染织(福建)有限公司 洞洞布面料及其制作方法
KR102351548B1 (ko) 2021-07-27 2022-01-17 (주)에이치텍스타일 직물 제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634B1 (ko) 구멍을 가지는 직물제품제조방법
CN104060420A (zh) 一种刺绣背胶贴的制作工艺
US20210262129A1 (en) Assembled textile products
KR101171458B1 (ko) 디지털 날염 후로킹 카펫의 제조방법
US3422512A (en) Method of modifying the appearance of a pile fabric
JP3401641B2 (ja) オパール加工パイル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KR950014971B1 (ko) 일부에 자수 문양을 갖는 홀치기 포지의 제법
JP3859690B1 (ja) 布又は布製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107676A (ko) 투톤 컬러를 갖는 파일 직물의 제조방법
DE2924409A1 (de) Verfahren zum erzeugen von schnittmusterbegrenzungslinien an polstoffen und danach hergestellte polstoffbahn
DE1943456A1 (de) Verfahren und Anordnung zum Herstellen und Ausschneiden von mit Verzierungen versehenen Formteilen aus einer biegsamen,aufrollbaren Materialbahn
KR100296179B1 (ko) 직물가공방법
KR101496770B1 (ko) 에어쿠션원단 및 그 제조방법
US2069760A (en) Embroidered fabric
KR200186432Y1 (ko) 주름이 형성된 고신축성 의류
EP0266322A2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blankets and product obtained from said process
KR20170087349A (ko) 이중으로 분리가 가능한 원단 가공방법
DE19817694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reidimensionalen Stickerei
JPH0332538Y2 (ko)
JP3119372U (ja) コーデュロイ
US1520333A (en) Pile fabric to simulate fur blankets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DE3247690A1 (de) Dekorationsstoff, insbesondere gardinenstoff,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339272C (de) Teppich, Wandbekleidung, Decke o. dgl. nach Art gemusterter, gewebter, geknuepfter oder gestickter Erzeugnisse
KR101469565B1 (ko) 울 함유 직물에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
KR20010034956A (ko) 기모가공된 파일원단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