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6432Y1 - 주름이 형성된 고신축성 의류 - Google Patents

주름이 형성된 고신축성 의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6432Y1
KR200186432Y1 KR2019990028179U KR19990028179U KR200186432Y1 KR 200186432 Y1 KR200186432 Y1 KR 200186432Y1 KR 2019990028179 U KR2019990028179 U KR 2019990028179U KR 19990028179 U KR19990028179 U KR 19990028179U KR 200186432 Y1 KR200186432 Y1 KR 2001864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garment
clothing
wrinkles
prelimin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81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우진
Original Assignee
백우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9005413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0334847B1/ko
Application filed by 백우진 filed Critical 백우진
Priority to KR20199900281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64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64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64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HAPPLIANCES OR METHODS FOR MAKING CLOTHES, e.g. FOR DRESS-MAKING OR FOR TAILO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1H42/00Multi-step production lines for mak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7/00Details of garments or of their making
    • A41D27/24Hems; Sea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름이 형성된 의류에 관한 것으로서, 의류에 형성되는 주름이 앞뒤구별없이 전면에 걸쳐 유사한 미감을 갖는 주름이 형성되게 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의류의 색상과는 다른 색상의 염료가 이염처리되게 하므로서, 외관이 미려한 주름의류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합성수지원단을 신체의 치수보다 크게 재단, 봉재하여 예비의류(2)를 얻고, 상기 의류(2)내면에 열을 받으면 수축하는 부직포(4)나 원단을, 실로 자수, 봉재 혹은 홀치기 하여 이들이 서로 부분적으로 일체화되게 한 다음(이때 이염효과를 얻고자 할 경우에는 합성섬유원단 내외측에 탈색가능케 염색된 탈색원단(6)을 함께 재봉 혹은 자수함) 체형에 맞는 바디나 마네킹에 입히고 열처리하고, 동시에 실 및 수축용 부직포나 원단을 제거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주름이 형성된 고신축성 의류{High elastic clothing with wrinkles }
본 고안은 주름이 형성된 고신축성 의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네킹을 이용하여 의류상에 주름이 형성되게 하여 의류에 형성되는 앞뒤주름이 동일한 미감을 갖는 입체적인 주름이 형성되게 함과 동시에 제작자가 원하는 규격과 치수의 의류를 반복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름이 형성된 고신축성 의류에 대하여는 본 고안자가 특허출원 제1999 -13535호 ' 주름이 형성된 고신축성 의류의 제조방법'으로 선출원한 바 있다.
즉 합성섬유원단을 디자인(주름무늬)에 따라 적당하게 재단봉재하여 의류를 얻고, 상기 의류를 신축성 있는 실이나, 열에 의해 수축하는 실등으로 자수하여 원단사에 무정형의 주름이 형성되게 하고, 상기한 상태의 의류를 고온으로 열처리하여 주름이 원단상에 고정되게 한 다음, 냉각하고 후처리하여 주름이 형성된 고신축성의류를 제조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의류의 제조방법은 동일한 형상의 반복되는 주름이 아니라 무정형의 다양한 주름무늬를 얻을 수 있게 되는 효과는 있는 것이었으나 다음과 같은 단점도 있는 것이었다.
즉 비교적 크게 재단봉재하여 만들어진 의류를 신축사나 열을 받으면 수축하는 실을 자수사로 하여 의류의 앞뒷면이 동시에 자수 혹은 봉착한 다음 가열가압하여 주름무늬를 얻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앞면에 형성된 주름과 뒷면에 형성된 주름이 서로 다르게 표현되는 것이었다.
다시 설명하면 앞면에 둘출주름이 형성되면 뒷면에는 요입된 주름이 형성되므로 하나의 의류에 형성되는 주름의 미감이 앞뒷면에 다르게 표현되어 어색할 뿐 아니라 특히 경계부를 이루는 양측부의 모양이 자연스럽게 연결되지 못하여 전체적인 의류의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제반단점을 시정하고자 의류에 형성되는 앞뒤 주름이 동일한 미감을 갖는 형상으로 표현되게 함과 동시에 주름이 형성되는 정도나 규격 및 치수를 임의로 조정가능케 하며, 특히 연한색 계통의 의류제조시에는 다른 색상이 이염되게 하여 매우 특이한 미감을 갖는 의류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합성섬유원단을 신체치수보다 크게 재단봉재하여 의류를 제조한 다음 열을 받으면 수축하는 재봉사로 의류상에 다양한 무늬로 자수하거나 재봉하고, 체형에 맞는 바디나 마네킹에 입힌 후 열처리하여 재봉사가 수축되면서 의류상에 주름이 표현되게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합성섬유원단을 이용하여 신체치수보다 크게 재단봉재하여 의류를 얻고, 상기 의류내면에 열을 받으면 수축하는 부직포나 원단을 위치시킨 다음 재봉기, 자수기 혹은 홀치기 등의 방법으로 의류용 합성섬유원단과 수축용 부직포나 원단이 일체가 되게 하고, 상기 의류를 체형에 맞는 바디나 마네킹에 입힌 후 열처리하여 수축용 부직포 및 원단이 바디나 마네킹의 몸체에 밀착수축되면서 의류용 합성섬유 원단상에는 자연스런 주름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열처리수단으로서는 마네킹 외면에 스팀다리미로 가열하거나 열가마에 넣어 처리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열처리할 수 있다.
상기에서 의류를 제조하는 합성섬유원단의 색상이 비교적 밝은색 계통일 경우에는 의류용 합성섬유원단의 내,외측에 탈색가능한 탈염원단을 위치시킨 다음 열처리하게 되면 탈염원단의 색상이 의류용 합성섬유 원단에 이염되어 매우 특이한 미감의 의류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 : 본 고안 예비의류의 사시도.
도 2 : 본 고안 예비의류에 수축의류를 봉착한 상태의 사시도.
도 3 : 도 2에서 예비의류 일부를 절개한 상태 사시도.
도 4 : 본 고안 의류를 제조하기 위한 예비의류, 수축의류, 탈염의류의 분해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예비의류 (4)--수축의류
(6)--탈염의류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합성섬유원단을 필요한 다자인으로 신체의 치수보다 크게 재단하고 봉재하여예비의류(2)를 먼저 제조한다.
제조된 의류 내면에 열을 받으면 수축하는 부직포나 원단으로 만든 수축의류(4)를 위치시킨 다음 재봉기나 자수기 혹은 홀치기의 방법으로 도2 에서와같이 예비의류(2)와 수축의류(4)가 일체화되게 한다.
상기한 상태의 의류를 사용자의 신체와 비슷하게 만들어진 바디나 마네킹에 입힌 다음 열처리하여 수축용 부직포나 원단이 수축하면서 바디나 마네킹의 몸체에 밀착되게 하므로서 앞뒤 전면에 걸쳐 동일유사한 미감을 갖는 주름의류를 얻는다.
이때 열처리 방법으로서는 스팀다리미를 이용하거나 열가마에 투입하여 처리할 수도 있으며, 그 이외에도 여러가지 열처리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열처리 완료되어 주름이 형성된 의류를 바디나 마네킹으로부터 벗겨낸 다음 재봉사를 풀어낸 다음 수축의류(4)를 제거하므로서 본 고안에서 얻고자 하는 의류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을 실시함에 있어서 의류용 합성섬유원단의 색상이 밝은색 계통일 경우에는 예비의류(2) 외측 혹은 내외측에 탈염가능하게 염색된 원단으로 제조된 탈염의류(6)를 봉착하여 일체로 위치시킨 후 열처리하여 탈염의류(6)에 원단 염색된 염료가 의류용 합성섬유 원단에 부분적으로 이염고착되게 하므로서 매우 특이한 미감을 갖는 의류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때 탈염의류(6)대용으로 탈염가능케된 원단을 예비의류(2) 외측 혹은 내외측 필요한 부위에 일체화되게 한 다음 이염작업할 수도 있으며, 그 작용효과는 동일하다.
상기 이염과정에서 탈염원단과 의류용 합성섬유원단이 접촉되는 정도에 따라 이염되는 색상의 농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색상의 이염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의류제조시 수축용 부직포나 원단으로된 수축의류(4)를 사용하지 않고, 수축용 실을 이용하여 재봉기나 자수기로 여러 형태의 무늬를 만든 다음 바디나 마네킹에 입히고 열처리하여 수축되게 하므로서 주름이 형성된 의류를 얻고 동시에 수축용 실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의류를 얻을 수도 있다.
위 여러가지 방법 중 필요에 따라 편리한 처리방법을 선택사용하면 된다.
상기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재봉사나 자수사 혹은 홀치기용 실은 수용성 비닐사와 같이 물에 용해되는 실을 사용하게 되면 주름처리가공된 의류로부터 실을 제거하기가 매우 편리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주름이 형성된 의류를 제조함에 있어서, 의류를 먼저 신체치수보다 크게 재단, 봉재하여 예비의류를 얻고, 의류 내면에 수축용 원단으로된 수축의류와 함께 탈염원단을으로된 탈염의류를 일체로 봉재, 자수 혹은 홀치기하여 일체화되게 한 다음 체형에 맞는 바디나 마네킹에 입히고 열처리하고 마무리 작업케 하므로서 의류상에 표현되는 주름의 미감이 앞뒤 구분없이 전반적으로 유사한 미감을 갖는 의류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탈염원단에 의한 이염효과에 의해 자연스러우면서 부드러운 색상의 의류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마네킹에 입힌 다음 열처리하여 수축되게 하므로서 최종 주름가공되는 의류의 치수나 규격이 조정이 가능하여 동일한 치수의 제품을 반복생산하기가 매우 용이한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주름이 형성된 고신축성 의류를 제조함에 있어서, 합성섬유원단을 신체의 치수보다 크게 재단봉재하여 예비의류(2)를 얻고, 상기 예비의류(2)내면에 열을 받으면 수축하는 부직포나 원단으로 제조된 수축의류(4)를 위치시킨 다음 봉재, 자수 혹은 홀치기하여 일체화되게 하고, 상기 예비의류(2)를 바디나 마네킹에 입힌 다음 열처리하여 수축되게 하므로서 예비의류(2)가 바디나 마네킹의 몸체에 밀착수축되면서 앞뒤구별없이 전면에 걸쳐 유사한 미감을 갖는 입체주름이 형성되게 하고, 동시에 의류로부터 수축의류(4)를 제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이 형성된 신축성 의류.
  2. 제1항에 있어서, 예비의류(2)외측 혹은 내외측에 탈색가능하게 염색된 탈염원단으로 제조된 탈염의류(6)를 위치시킨 다음 주름가공처리되게 하므로서 탈염원단에 염색된 염료가 의류용 합성수지 원단에 이염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이 형성된 고신축성 의류.
KR2019990028179U 1999-12-01 1999-12-14 주름이 형성된 고신축성 의류 KR2001864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179U KR200186432Y1 (ko) 1999-12-01 1999-12-14 주름이 형성된 고신축성 의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54135A KR100334847B1 (ko) 1999-12-01 1999-12-01 주름이 형성된 고신축성 의류의 제조방법 및 그 의류
KR2019990028179U KR200186432Y1 (ko) 1999-12-01 1999-12-14 주름이 형성된 고신축성 의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4135A Division KR100334847B1 (ko) 1999-12-01 1999-12-01 주름이 형성된 고신축성 의류의 제조방법 및 그 의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6432Y1 true KR200186432Y1 (ko) 2000-06-15

Family

ID=26635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179U KR200186432Y1 (ko) 1999-12-01 1999-12-14 주름이 형성된 고신축성 의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64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342A (ko) * 2000-10-27 2001-11-07 추병국 입체 누비직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5342A (ko) * 2000-10-27 2001-11-07 추병국 입체 누비직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602116B (zh) 一种利用海绵和收缩膜收缩打褶的服装造型方法
WO2000040108A1 (fr) Procede de realisation de motifs en relief sur un tissu vestimentaire et vetement correspondant
KR100297963B1 (ko) 주름이 형성된 고신축성 의류의 제조방법
NO822637L (no) Fremgangsmaate for forming av toey til tredimensjonal form, og produkter fremstilt ved bruk av fremgangsmaaten
KR200186432Y1 (ko) 주름이 형성된 고신축성 의류
KR100334847B1 (ko) 주름이 형성된 고신축성 의류의 제조방법 및 그 의류
KR20220107365A (ko) 주름이 형성되는 의류의 제조방법
KR100351508B1 (ko) 불규칙한 모양의 주름이 형성된 원단 및 의류의 제조방법
KR100389283B1 (ko) 수축주름과 직선주름이 교차 형성되게 한 주름의류 및원단의 제조방법
JP3108694B1 (ja) 布地に凹凸を有する衣服およびその衣服のための布地
KR100426674B1 (ko) 주름원단 및 주름의류
KR200175179Y1 (ko) 주름이 형성된 고신축성 의류
KR100297962B1 (ko) 돌출형 주름이 형성된 의류
JP2000199175A (ja) 凹凸シワを有する生地の製造方法
JPS63249788A (ja) 一部に刺繍模様を備える絞り布地の製法
EP0266322A2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blankets and product obtained from said process
EP1132515A1 (en) Shrinking clothing utilising tying techniques
JPS6253467A (ja) シ−ト素材のプリ−ツ模様構造
KR20020016057A (ko) 패딩주름의류 및 패딩주름원단의 제조방법
CN1008283B (zh) 有刺绣花样布料的制法
JP4838950B2 (ja) 衣服用布地への凹凸模様の形成方法
US6523196B1 (en) Shibori clothes manufacturing method, etc. and shibori clothes made by said manufacturing method
JPS60134062A (ja) 部分的に色落処理して成るデニム地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5836202A (ja) ネクタイの製造方法
JPH07157954A (ja) 衣料用装飾生地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