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3366A - 셔틀 스태닝 장치의 쉐이딩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셔틀 스태닝 장치의 쉐이딩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3366A
KR19990043366A KR1019970064363A KR19970064363A KR19990043366A KR 19990043366 A KR19990043366 A KR 19990043366A KR 1019970064363 A KR1019970064363 A KR 1019970064363A KR 19970064363 A KR19970064363 A KR 19970064363A KR 19990043366 A KR19990043366 A KR 19990043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ing
scanner
scanning
shading correction
shutt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4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06419B1 (en
Inventor
이혁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4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6419B1/ko
Priority to US09/200,602 priority patent/US6665093B2/en
Priority to EP98309779A priority patent/EP0920192A3/en
Publication of KR19990043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33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4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04N1/401Compensating positionally unequal response of the pick-up or reproducing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Inpu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셔틀 스캐너를 이용하는 장치에서 쉐이딩 보정시에 발생가능한 노이즈와 왜곡을 방지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지된 상태에서 화이트 패널을 스캐닝할 때 발생되는 쉐이딩 팩터 분포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스캐너가 정속으로 구동되고 있을 때 쉐이딩 팩터 평균값을 이용하므로써 실제적으로 스캐닝을 수행할 때와 생길 수 있는 왜곡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셔틀 스캐너의 쉐이딩 보정 방법
본 발명은 셔틀 스캐너의 쉐이딩 보정시에 발생 가능한 노이즈와 왜곡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셔틀 스캐너를 정속으로 이동하면서 쉐이딩 보정 팩터를 취해서 평균치에 따라 쉐이딩 보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셔틀 방식 스캐닝 장치에서의 쉐이딩 보정 방법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캐너(3)가 화이트 패널(11)로 이동하여 정지한 상태에서 이루어진다. 화이트 패널(11)이 위치한 곳에서 빛을 비춰 스캐닝한 후 그 값을 쉐이딩 팩터로 사용하여 실제 스캐닝때에 쉐이딩 보정을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화이트 패널(11)의 오염된 부분을 읽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쉐이딩 보정 오차를 피하기 위하여 메디안 필터링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거하여 스팟(Spot) 노이즈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또한 화이트 가우시안 노이즈에 의한 쉐이딩 팩터의 불균일성으로 쉐이딩 보정후 라인 이동됨을 방지하기 위해 화이트 패널(11)을 여러번 읽은 후 그 값을 평균내어 팩터값으로 사용하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
셔틀 방식의 스캐너는 급지되는 방향과 직각을 이루며 동작된다. 스캐너는 이상적인 상태가 아니므로 기울어짐이 발생하게 된다. 이 영향으로 쉐이딩 팩터를 독취하였을 때의 스캐너 상태와 실제 화상 영역을 스캐닝하였을 때의 스캐너 상태가 다를 수 있다. 이러한 원인에 따라 오히려 평균값을 취하지 않을 때 보다 더 에러가 많은 쉐이딩 보정 결과가 발생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쉐이딩 팩터 평균값을 이용한 쉐이딩 보정은 스캐너가 정지된 위치에서 여러번의 쉐이딩 팩터 독취를하여 평균값을 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제로 스캐너가 움직이고 있을 때의 쉐이딩 상황을 충실히 재현하지 못하는 단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쉐이딩 보정 팩터값과 실제 스캐닝값과의 오차 방지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캐너를 정속 구동시키면서 쉐이딩 팩터를 취하므로써 실제 스캐닝 동작과 유사한 조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스캐너를 가속 구동하여 화이트 패널이 위치한 곳까지 이동시키는 과정과, 화이트 패널이 위치한 곳에서 정속 구동으로 스캐닝하는 과정과, 스캐너의 위치 변화에 따른 화이트 패널의 스캐닝값을 저장하는 과정과, 스캐닝 데이터를 정렬하는 과정과, 스캐닝 데이터의 평균값을 쉐이딩 팩터로 사용하는 과정으로 진행되는 점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셔틀 방식 스캐닝 장치에서의 쉐이딩 보정 방법의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쉐이딩 보정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쉐이딩 방법의 동작 예시도,
도 4는 스캐너가 정지된 상태와 이동상태일때의 쉐이딩 분포의 비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본 발명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행 과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먼저 스캐너를 가속 및 정속 구동하여 화이트 패널이 위치한 곳이 체크될 때 까지(S12 과정) 이동시킨다.(S11 과정)
화이트 패널이 위치한 곳에서 정속을 유지하며 도 3에서와 같이 스캐닝한다. 종래의 기술이 화이트 패널의 한 장소에서 정지상태에서 스캐닝한데 비해, 본 발명은 화이트 패널(21)의 여러부분에서 정속구동하면서 스캐닝한다. 스캐너(3)는 정속으로 좌→우 및 우→좌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스캐닝한다. 스캐너가 정속으로 동작되면서 화이트 패널(21)을 스캐닝하기 위해 종래의 화이트 패널에 비해 다소 그 길이가 길어진 것을 알 수 있다.(S13 과정)
S13 과정에 따른 화이트 패널의 스캐닝값은 (표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2 차원 배열을 이루며 임의의 기억 장소에 저장된다. 아래의 (표 1)은 그 일례로 4 화소의 길이를 갖는 스캐너로 3개의 위치에서 얻어낸 결과이다.(S14 과정)
1 번째 스캐닝 2 번째 스캐닝 3 번째 스캐닝
화소위치(1) 254 251 255
화소위치(2) 254 249 248
화소위치(3) 150 249 245
화소위치(4) 254 248 252
각각의 화소 위치에 대해 기억장소에 저장된 스캐닝 데이터를 그 크기에 따라 (표 2)와 같이 정렬한다.(S15 과정)
최소 중간 최대
화소위치(1) 251 254 255
화소위치(2) 248 249 254
화소위치(3) 250 245 249
화소위치(4) 248 252 254
최소값과 최대값을 제외하고 그 나머지 값에 대하여 (표 3)과 같이 평균값을 구하여 쉐이딩 팩터로 사용한다.(S16 과정)
평균값
화소위치(1) 254
화소위치(2) 250
화소위치(3) 248
화소위치(4) 251
도 4은 실제의 실험결과에 따른 쉐이딩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x 축은 스캐너의 위치를 나타내고, y축은 광량을 나타낸 것이다.
(A)는 종래의 기술에 따라 스캐너가 정지한 상태의 쉐이딩 분포를 나타낸다. (B)는 본 발명에 따라 스캐너가 이동시에 쉐이딩 분포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쉐이딩 분포는 도 4의 (B)와 같이 쉐이딩 팩터 독취가 가능하므로 쉐이딩 팩터의 왜곡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지된 상태에서 독취한 쉐이딩 팩터 분포의 왜곡으로 인해 화상에 가로줄이 발생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쉐이딩 패널의 오염시에 발생할 수 있는 쉐이딩 팩터의 왜곡도 메디안 필터링의 효과로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2)

  1. 셔틀 스캐너를 이용한 쉐이딩 보정 방법에 있어서;
    스캐너를 가속 구동하여 화이트 패널이 위치한 곳까지 이동시키는 과정과,
    화이트 패널이 위치한 곳에서 정속 구동으로 스캐닝하는 과정과,
    스캐너의 위치 변화에 따른 화이트 패널의 스캐닝값을 저장하는 과정과,
    스캐닝 데이터를 정렬하는 과정과,
    스캐닝 데이터의 쉐이딩 팩터 산출 과정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쉐이딩 보정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쉐이딩 팩터 산출과정은 최소값과 최대값을 제외하고 그 나머지 값에 대하여 평균을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쉐이딩 보정 방법.
KR1019970064363A 1997-11-29 1997-11-29 Method for correcting shading of shuttle scanner KR1003064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363A KR100306419B1 (en) 1997-11-29 1997-11-29 Method for correcting shading of shuttle scanner
US09/200,602 US6665093B2 (en) 1997-11-29 1998-11-27 Shading correction method for shuttle scanning device
EP98309779A EP0920192A3 (en) 1997-11-29 1998-11-30 Method of shading correction for shuttle scanning devi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363A KR100306419B1 (en) 1997-11-29 1997-11-29 Method for correcting shading of shuttle scan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366A true KR19990043366A (ko) 1999-06-15
KR100306419B1 KR100306419B1 (en) 2001-08-09

Family

ID=19525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4363A KR100306419B1 (en) 1997-11-29 1997-11-29 Method for correcting shading of shuttle scanne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665093B2 (ko)
EP (1) EP0920192A3 (ko)
KR (1) KR1003064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96288B2 (en) * 2000-09-28 2006-02-07 Gang Sun Method of calculating shading correction coefficients of imaging systems from non-uniform and unknown calibration standards
US7078864B2 (en) 2001-06-07 2006-07-18 Hitachi, Ltd. Display apparatus and power supply device for displaying
KR100472444B1 (ko) * 2002-04-03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캐닝을 위한 쉐이딩 데이타 관리 방법 및 장치
JP4388327B2 (ja) * 2003-08-25 2009-12-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顕微鏡像撮像装置及び顕微鏡像撮像方法
US20090141132A1 (en) * 2004-07-26 2009-06-04 Cellular Technology Ltd. Instrumentation for image acquisition from biological and non-biological assay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4543B2 (ja) * 1986-06-30 1996-03-29 株式会社リコー スキャナ
US4888492A (en) * 1987-03-03 1989-12-1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ading apparatus
JPH0620222B2 (ja) * 1987-07-30 1994-03-16 大日本スクリ−ン製造株式会社 画像走査読取り装置の受光部の感度基準設定方法
US5267053A (en) * 1988-10-27 1993-11-30 Eastman Kodak Company Automatic reference control for image scanners
JPH0335233A (ja) * 1989-06-30 1991-02-15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US5424537A (en) * 1990-08-13 1995-06-13 Howtek, Inc. Calibrated color scanner
US5647026A (en) * 1991-10-29 1997-07-08 Eastman Kodak Company Uniformity correction and threshold or halftoning conversion unit and method
US5323473A (en) * 1992-04-02 1994-06-21 Nc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he leading and trailing edges of a document in an image based system
US5787192A (en) * 1994-09-27 1998-07-28 Kabushikaisha Equos Research Image data compression apparatus and image data communication system
JPH08168003A (ja) * 1994-10-13 1996-06-25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903659A (en) * 1997-04-17 1999-05-11 Raytheon Company Adaptive non-uniformity compensation algorith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063874A1 (en) 2002-05-30
EP0920192A2 (en) 1999-06-02
US6665093B2 (en) 2003-12-16
EP0920192A3 (en) 2000-06-21
KR100306419B1 (en) 2001-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01358B2 (ja) 画像読取装置
KR19990043366A (ko) 셔틀 스태닝 장치의 쉐이딩 보정 방법
JPH10257273A (ja) 画像読取装置
JPH0689687A (ja) 走査電子顕微鏡における自動焦点合わせ装置
US6392762B1 (en) Device for quick and precise determination of scan start point for image scanner
US4740844A (en) Method of changing magnification of image
US73723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 identification in runlength compression data
US73758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scanning error in flatbed scanner
KR100377026B1 (ko) 집속이온빔장치,집속이온빔관찰방법및집속이온빔가공방법
US6229628B1 (en) Image reading apparatus
EP1294171B1 (en) Image forming device and image forming method
US6028966A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including pre-scanning
JPH0923320A (ja) 画像記録装置
JP2000175039A (ja) 画像読取装置
JPH1084456A (ja) 画像読取装置
KR100524057B1 (ko) 스캔을 위한 쉐이딩 방법
JPH11166900A (ja) 検査装置、検査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6264164A (ja) 画像彫刻装置
JPH02215269A (ja) スキャナ装置
JPH0622133A (ja) 画像読取装置
JPH085581A (ja) 巻糸ボビンの汚れ検出装置
JPH04168577A (ja) 画像処理装置
JP2002190929A (ja) 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記憶媒体
JPH0954238A (ja) 光学系における像の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方法及び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装置
JP2003018374A (ja) 画像読み取り装置におけるシェーディング補正板の欠陥位置特定方法および影響除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